나훔: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1번째 줄: 11번째 줄:
|장수=3장
|장수=3장
}}
}}
'''나훔'''은 구약성경의 34번째 책으로, 나훔 선지자가 기록했다. [[니느웨]]의 심판이 선포되어 있다.  
'''나훔'''은 [[구약성경]]의 34번째 책으로, 나훔 선지자가 기록했다. [[니느웨]]의 심판이 선포되어 있다.  


==나훔의 기록자와 기록 시기==
==나훔의 기록자와 기록 시기==
본서의 기록자는 나훔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나훔#1장 |제목=나훔 1:1 |저널= |인용문= 니느웨에 대한 중한 경고 곧 엘고스 사람 나훔의 묵시의 글이라}}</ref> '나훔(히브리어: נַחוּם)'은 '위로자', '위로'라는 뜻이다.<ref>{{웹 인용 |url=https://dict.naver.com/hbokodict/hebrew/#/entry/hboko/1d9eacad8d8f49d38f394aa1adf1cbd0 |제목=נַחוּם |웹사이트=고대 히브리어사전 |저널=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나훔 선지자에 대해서는 엘고스 출신이라는 것 외에는 알려진 바가 없다. 엘고스 위치는 정확히 알 수 없으며 갈릴리의 한 지방 또는 니느웨 근처 등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br>  
본서의 기록자는 나훔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나훔#1장 |제목=나훔 1:1 |저널= |인용문= 니느웨에 대한 중한 경고 곧 엘고스 사람 나훔의 묵시의 글이라}}</ref> '나훔(히브리어: נַחוּם)'은 '위로자', '위로'라는 뜻이다.<ref>{{웹 인용 |url=https://dict.naver.com/hbokodict/hebrew/#/entry/hboko/1d9eacad8d8f49d38f394aa1adf1cbd0 |제목=נַחוּם |웹사이트=네이버 고대 히브리어사전 |저널=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나훔 선지자에 대해서는 엘고스 출신이라는 것 외에는 알려진 바가 없다. 엘고스 위치는 정확히 알 수 없으며 [[갈릴리]]의 한 지방 또는 [[니느웨]] 근처 등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br>
나훔서 기록 연대 역시 나와 있지 않다. 그러나 나훔서가 '니느웨의 멸망'을 경고하는 메시지라는 점에서 니느웨 멸망(기원전 612년경) 이전에 기록되었을 것이다. 또한 본서에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1118&cid=50762&categoryId=51387 노아몬](이집트의 도시 '테베'를 히브리어로 번역한 것)의 함락이 언급된 것으로 보아,<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나훔#3장 |제목=나훔 3:8-10 |저널= |인용문= 네가 어찌 노아몬보다 낫겠느냐 ... 그가 포로가 되어 사로잡혀 갔고 그 어린아이들은 길 모퉁이 모퉁이에 메어침을 당하여 부서졌으며 그 존귀한 자들은 제비 뽑혀 나뉘었고 그 모든 대인은 사슬에 결박되었나니}}</ref> 기원전 663년경 이후에 기록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나훔서는 [[요나]] 선지자가 앗수르(아시리아)의 수도 [[니느웨]]에 회개의 메시지를 전해 멸망의 위기를 넘긴 지 100여 년이 지난, 기원전 663-612년경에 기록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나훔서 기록 연대 역시 나와 있지 않다. 그러나 나훔서가 '니느웨의 멸망'을 경고하는 메시지라는 점에서 니느웨 멸망(B.C. 612년경) 이전에 기록되었을 것이다. 또한 본서에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1118&cid=50762&categoryId=51387 노아몬](이집트의 도시 '테베'를 히브리어로 번역한 것)의 함락이 언급된 것으로 보아,<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나훔#3장 |제목=나훔 3:8-10 |저널= |인용문= 네가 어찌 노아몬보다 낫겠느냐 ... 그가 포로가 되어 사로잡혀 갔고 그 어린아이들은 길 모퉁이 모퉁이에 메어침을 당하여 부서졌으며 그 존귀한 자들은 제비 뽑혀 나뉘었고 그 모든 대인은 사슬에 결박되었나니}}</ref> [[기원전과 기원후|기원전]] 663년경 이후에 기록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나훔서는 [[요나]] 선지자가 앗수르(아시리아)의 수도 니느웨에 회개의 메시지를 전해 멸망의 위기를 넘긴 지 100여 년이 지난, 기원전 663-612년경에 기록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작성 배경==
==작성 배경==
요나 때, 심판이 예정됐던 앗수르의 수도 니느웨는 회개하여 심판을 면했다. 그러나 얼마 못 가 또다시 죄악을 저질렀다. 주변 나라를 강포하게 늑탈하고 잔인하게 살육하며, 정복하여 우상을 숭배하게 했다. 기원전 721년경에는 북 이스라엘을 멸망시켰고, 남 유다도 계속해서 괴롭혔다.  
요나 때, 심판이 예정됐던 앗수르의 수도 니느웨는 회개하여 심판을 면했다. 그러나 얼마 못 가 또다시 죄악을 저질렀다. 주변 나라를 강포하게 늑탈하고 잔인하게 살육하며, 정복하여 [[우상]]을 숭배하게 했다. 기원전 721년경에는 [[이스라엘 왕국|북 이스라엘]]을 멸망시켰고, [[남 유다 왕국|유다]]도 계속해서 괴롭혔다.  


==특징==
==특징==
24번째 줄: 24번째 줄:


==나훔의 내용 구성==
==나훔의 내용 구성==
하나님께서는 악행을 일삼는 앗수르를 심판할 것이라고 예언하셨다. 이 말씀은 앗수르의 압제를 받던 이스라엘 민족과 주변 나라에 화평의 소식이었다.
[[하나님]]께서는 악행을 일삼는 앗수르를 심판할 것이라고 예언하셨다. 이 말씀은 앗수르의 압제를 받던 이스라엘 민족과 주변 나라에 화평의 소식이었다.
{{인용문5 |내용= 볼지어다 아름다운 소식을 보하고 화평을 전하는 자의 발이 산 위에 있도다 유다야 네 절기를 지키고 네 서원을 갚을지어다 악인이 진멸되었으니 그가 다시는 네 가운데로 통행하지 아니하리로다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나훔#1장 나훔 1:15]}}
{{인용문5 |내용= 볼지어다 아름다운 소식을 보하고 화평을 전하는 자의 발이 산 위에 있도다 유다야 네 절기를 지키고 네 서원을 갚을지어다 악인이 진멸되었으니 그가 다시는 네 가운데로 통행하지 아니하리로다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나훔#1장 나훔 1:15]}}


원본 주소 "https://watv.kr/나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