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자가: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File:Sankt Jakob-1093226.jpg|Sankt_Jakob-1093226|대체글=|섬네일|독일의 한 천주교회 제단에 있는 십자가]] | '''굵은 글씨'''[[File:Sankt Jakob-1093226.jpg|Sankt_Jakob-1093226|대체글=|섬네일|독일의 한 천주교회 제단에 있는 십자가]] | ||
'''십자가(十字架, cross)'''는 대다수 기독교회에서 교회의 상징으로 사용하고 있는 형상이다. 그러나 [[십자가 고난|그리스도의 수난]] 이후 처음 생겨난 신앙 상징물이 아니라 고대부터 이방 종교에서 숭배되어 욌다. 십자 모양의 틀은 고대 근동 지역에서 사형수를 못 박아 형을 집행하던 사형틀로도 사용되었다.<br> | '''십자가(十字架, cross)'''는 대다수 기독교회에서 교회의 상징으로 사용하고 있는 형상이다. 그러나 [[십자가 고난|그리스도의 수난]] 이후 처음 생겨난 신앙 상징물이 아니라 고대부터 이방 종교에서 숭배되어 욌다. 십자 모양의 틀은 고대 근동 지역에서 사형수를 못 박아 형을 집행하던 사형틀로도 사용되었다.<br> | ||
[[예수 그리스도]]는 인류의 죄를 대속하기 위해 기원후 30년경, [[무교절]]이자 [[안식일]] 전날이었던 성력 1월 15일에 예루살렘 성 밖 골고다 언덕에서 십자가에 못 박혀 운명했다.<ref>{{인용 |url= |제목=예수, 사랑의 율법 |웹사이트= |저널= |출판사=시공사 |날짜=2007.7.30. |연도= |저자=제라르 베시에르 |쪽=14 |시리즈= |isbn=978-89-7259-525-0 |인용문=30년 4월 7일. 예루살렘 성 밖, 성문 근처에서 세 개의 십자가에 세 사내가 못박혔다. … 가운데에 못박힌 사내는 갈릴리 지방 나자렛 출신의 예수였다. }}</ref> 초대교회 기독교인들에게 십자가는 예수 그리스도뿐 아니라 수많은 교인들을 죽게 한 사형틀이기 때문에 이를 신앙의 상징으로 사용할 가능성은 전혀 없었다. 성경에도, 기독교 역사에도 초대교회가 십자가를 신앙의 상징으로 사용한 기록은 없다. 이방 종교의 상징이며 사형틀로 사용되었던 십자가는 교회가 세속화되고 진리가 변질되면서 4세기에 교회 안에 세워지기 시작한 것으로 전해진다.<ref>{{인용 |url=https://www.britannica.com/topic/cross-religious-symbol |제목= Cross |인용문=Before the time of the emperor Constantine in the 4th century, Christians were extremely reticent about portraying the cross because too open a display of it might expose them to ridicule or danger. After Constantine converted to Christianity, he abolished crucifixion as a death penalty and promoted, as symbols of the Christian faith, both the cross and the chi-rho monogram of the name of Christ. }}</ref> | [[예수 그리스도]]는 인류의 죄를 대속하기 위해 기원후 30년경, [[무교절]]이자 [[안식일]] 전날이었던 성력 1월 15일에 예루살렘 성 밖 골고다 언덕에서 십자가에 못 박혀 운명했다.<ref>{{인용 |url= |제목=예수, 사랑의 율법 |웹사이트= |저널= |출판사=시공사 |날짜=2007.7.30. |연도= |저자=제라르 베시에르 |쪽=14 |시리즈= |isbn=978-89-7259-525-0 |인용문=30년 4월 7일. 예루살렘 성 밖, 성문 근처에서 세 개의 십자가에 세 사내가 못박혔다. … 가운데에 못박힌 사내는 갈릴리 지방 나자렛 출신의 예수였다. }}</ref> 초대교회 기독교인들에게 십자가는 예수 그리스도뿐 아니라 수많은 교인들을 죽게 한 사형틀이기 때문에 이를 신앙의 상징으로 사용할 가능성은 전혀 없었다. 성경에도, 기독교 역사에도 초대교회가 십자가를 신앙의 상징으로 사용한 기록은 없다. 이방 종교의 상징이며 사형틀로 사용되었던 십자가는 교회가 세속화되고 진리가 변질되면서 4세기에 교회 안에 세워지기 시작한 것으로 전해진다.<ref>{{인용 |url=https://www.britannica.com/topic/cross-religious-symbol |제목= Cross |인용문=Before the time of the emperor Constantine in the 4th century, Christians were extremely reticent about portraying the cross because too open a display of it might expose them to ridicule or danger. After Constantine converted to Christianity, he abolished crucifixion as a death penalty and promoted, as symbols of the Christian faith, both the cross and the chi-rho monogram of the name of Christ. }}</ref> | ||
| 15번째 줄: | 15번째 줄: | ||
===처형 도구=== | ===처형 도구=== | ||
십자가형은 사형수를 십자가에 못 박거나 결박하여 처형하던 형벌로, 주로 극악한 범죄자나 반역자, 노예 등을 처벌하는 데 사용되었다.<ref>{{인용 |url= |제목= 십자가형|웹사이트= |저널=CLP 성경사전 |출판사=기독교문사 |날짜= |연도= |저자= |쪽=800 |시리즈= |isbn= |인용문=십자가형(十字架刑, crucifixion) 사형수를 십자가 혹은 나무에 못 박거나 결박함으로써 처형하던 형벌. 이 처형 방식은 대중들로부터 모욕을 주고 서서히 육체적인 고통을 가하는 잔인한 방식이다. 십자가형은 본래 페니키아와 페르시아에서 시행하던 것으로, 로마에 유입되면서 노예들과 외국인들에게만 사용되었다. }}</ref><ref>{{웹 인용 |url=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4472&cid=50762&categoryId=51387 |제목=십자가 |웹사이트=라이프 성경사전 |저널=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십자가형은 로마에 도입되어 극악한 범죄자나 로마 황제의 권위에 도전한 반역자에게만 가해졌다. }}</ref> 십자가형은 가장 잔인하고 수치스러운 형벌 중 하나였는데, 그 기원은 고대 바벨론(바빌로니아)과 앗수르(아시리아)로 추정하고 있다. 십자가형은 기원전 6세기에 페르시아에서 체계적으로 사용되었고, 이후 그리스, 로마에 전해졌다.<ref>{{웹 인용 |url=https://pubmed.ncbi.nlm.nih.gov/14750495/ |제목=The history and pathology of crucifixion |인용문=In antiquity crucifixion was considered one of the most brutal and shameful modes of death. Probably originating with the Assyrians and Babylonians, it was used systematically by the Persians in the 6th century BC. Alexander the Great brought it from there to the eastern Mediterranean countries in the 4th century BC, and the Phoenicians introduced it to Rome in the 3rd century BC. … The Romans perfected crucifion for 500 years until it was abolished by Constantine I in the 4th century AD. }}</ref> | 십자가형은 사형수를 십자가에 못 박거나 결박하여 처형하던 형벌로, 주로 극악한 범죄자나 반역자, 노예 등을 처벌하는 데 사용되었다.<ref>{{인용 |url= |제목= 십자가형|웹사이트= |저널=CLP 성경사전 |출판사=기독교문사 |날짜= |연도= |저자= |쪽=800 |시리즈= |isbn= |인용문=십자가형(十字架刑, crucifixion) 사형수를 십자가 혹은 나무에 못 박거나 결박함으로써 처형하던 형벌. 이 처형 방식은 대중들로부터 모욕을 주고 서서히 육체적인 고통을 가하는 잔인한 방식이다. 십자가형은 본래 페니키아와 페르시아에서 시행하던 것으로, 로마에 유입되면서 노예들과 외국인들에게만 사용되었다. }}</ref><ref>{{웹 인용 |url=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4472&cid=50762&categoryId=51387 |제목=십자가 |웹사이트=라이프 성경사전 |저널=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십자가형은 로마에 도입되어 극악한 범죄자나 로마 황제의 권위에 도전한 반역자에게만 가해졌다. }}</ref> 십자가형은 가장 잔인하고 수치스러운 형벌 중 하나였는데, 그 기원은 고대 바벨론(바빌로니아)과 앗수르(아시리아)로 추정하고 있다. 십자가형은 기원전 6세기에 페르시아에서 체계적으로 사용되었고, 이후 그리스, 로마에 전해졌다.<ref>{{웹 인용 |url=https://pubmed.ncbi.nlm.nih.gov/14750495/ |제목=The history and pathology of crucifixion |인용문=In antiquity crucifixion was considered one of the most brutal and shameful modes of death. Probably originating with the Assyrians and Babylonians, it was used systematically by the Persians in the 6th century BC. Alexander the Great brought it from there to the eastern Mediterranean countries in the 4th century BC, and the Phoenicians introduced it to Rome in the 3rd century BC. … The Romans perfected crucifion for 500 years until it was abolished by Constantine I in the 4th century AD. }}</ref> | ||
십자가형을 집행하는 방식은 다양한데 일반적으로 형을 선고받은 죄수는 채찍질을 당한 후에 십자가 틀에 손목과 발이 못 박힌 채 땅에 수직으로 세워져 고통을 당하게 된다. 학자들에 따르면 십자가형은 육체적으로 극심하고 치명적인 고통을 유발시킨다고 한다. 십자가에 못 박혀 수직으로 매달리면 근육에 충격이 가해져 횡경막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혈액 순환 장애와 장기 부전, 질식과 쇼크 등이 유발돼 사망에 이르게 된다고 한다.<ref>{{웹 인용 |url= https://www.britannica.com/topic/crucifixion-capital-punishment |제목= crucifixion |웹사이트=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저널=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There were various methods of performing the execution. Usually, the condemned man, after being whipped, or | 십자가형을 집행하는 방식은 다양한데 일반적으로 형을 선고받은 죄수는 채찍질을 당한 후에 십자가 틀에 손목과 발이 못 박힌 채 땅에 수직으로 세워져 고통을 당하게 된다. 학자들에 따르면 십자가형은 육체적으로 극심하고 치명적인 고통을 유발시킨다고 한다. 십자가에 못 박혀 수직으로 매달리면 근육에 충격이 가해져 횡경막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혈액 순환 장애와 장기 부전, 질식과 쇼크 등이 유발돼 사망에 이르게 된다고 한다.<ref>{{웹 인용 |url= https://www.britannica.com/topic/crucifixion-capital-punishment |제목= crucifixion |웹사이트=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저널=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There were various methods of performing the execution. Usually, the condemned man, after being whipped, or "scourged," dragged the crossbeam of his cross to the place of punishment, where the upright shaft was already fixed in the ground. Stripped of his clothing either then or earlier at his scourging, he was bound fast with outstretched arms to the crossbeam or nailed firmly to it through the wrists. The crossbeam was then raised high against the upright shaft and made fast to it about 9 to 12 feet (approximately 3 metres) from the ground. Next, the feet were tightly bound or nailed to the upright shaft. A ledge inserted about halfway up the upright shaft gave some support to the body; evidence for a similar ledge for the feet is rare and late. Over the criminal's head was placed a notice stating his name and his crime. Death ultimately occurred through a combination of constrained blood circulation, organ failure, and asphyxiation as the body strained under its own weight. It could be hastened by shattering the legs (crurifragium) with an iron club, which prevented them from supporting the body's weight and made inhalation more difficult, accelerating both asphyxiation and shock. }}</ref><ref>{{인용 |url= |제목= The Medical Evidence|웹사이트= |저널=The case for Chrsist |출판사=Zondervan |날짜= |연도= |저자= |쪽=255-256 |시리즈= |isbn=0-310-22655-4 |인용문=Once a person is hanging in the vertical position … crucifixion is essentially an agonizingly slow death by asphyxiation. The reason is that the stresses on the muscles and diaphragm put the chest into the inhaled position; basically, in order to exhale, the individual must push up on his feet so the tension on the muscles would be eased for a moment. In doing so, the nail would tear through the foot, eventually locking up against the tarsal bones. … After managing to exhale, the person would then be able to relax down and take another breath in. Again he'd have to push himself up to exhale, scraping his bloodied back against the coarse wood of the cross. This would go on and on until complete exhaustion would take over, and the person wouldn't be able to push up and breathe anymore.}}</ref> | ||
| 92번째 줄: | 92번째 줄: | ||
로마 제국의 기독교 박해는 313년 콘스탄티누스 1세가 밀라노 칙령을 반포한 후 기독교를 공인함으로써 종식되었다. 콘스탄티누스 1세는 기독교 우대정책을 펼치는 한편 기독교를 상징하는 주화 30여 종을 발행하기도 했는데, 십자가를 새긴 주화가 주조되었다.<ref>《콘스탄티누스 대제의 기독교 주화에 대한 연구》, 김동주, 한세대학교 출판부</ref> | 로마 제국의 기독교 박해는 313년 콘스탄티누스 1세가 밀라노 칙령을 반포한 후 기독교를 공인함으로써 종식되었다. 콘스탄티누스 1세는 기독교 우대정책을 펼치는 한편 기독교를 상징하는 주화 30여 종을 발행하기도 했는데, 십자가를 새긴 주화가 주조되었다.<ref>《콘스탄티누스 대제의 기독교 주화에 대한 연구》, 김동주, 한세대학교 출판부</ref> | ||
황제의 지지 속에 교세를 확장한 로마 교회(지금의 로마 가톨릭교회)는 기독교로 개종한 이교도들의 종교적 습관을 받아들였다.<ref>《교회사 핸드북》, 생명의말씀사, 131쪽, ISBN 89-04-01021-7 </ref> 그중 하나가 십자가 숭배 사상이었다. | 황제의 지지 속에 교세를 확장한 로마 교회(지금의 로마 가톨릭교회)는 기독교로 개종한 이교도들의 종교적 습관을 받아들였다.<ref>《교회사 핸드북》, 생명의말씀사, 131쪽, ISBN 89-04-01021-7 </ref> 그중 하나가 십자가 숭배 사상이었다. | ||
로마 가톨릭교회는 '성녀'라 불린 콘스탄티누스 1세의 어머니 헬레나(Helena)가 십자가 발현을 주장하고, 320년에서 345년 사이에는 예수님께서 못 박히셨던 십자가를 발견했다는 명분으로 예루살렘에 이를 안치할 십자가성당과 부활성당을 건축했다. 이어 헌당 축일을 제정하고 십자가를 공경의 대상으로 인정하기 시작했다.<ref name= | 로마 가톨릭교회는 '성녀'라 불린 콘스탄티누스 1세의 어머니 헬레나(Helena)가 십자가 발현을 주장하고, 320년에서 345년 사이에는 예수님께서 못 박히셨던 십자가를 발견했다는 명분으로 예루살렘에 이를 안치할 십자가성당과 부활성당을 건축했다. 이어 헌당 축일을 제정하고 십자가를 공경의 대상으로 인정하기 시작했다.<ref name="가톨릭 십자가">[https://maria.catholic.or.kr/dictionary/term/term_view.asp?ctxtIdNum=2173&keyword=%EC%8B%AD%EC%9E%90%EA%B0%80&gubun=01 십자가], 《가톨릭대사전》</ref> 교회 내부에 십자가를 걸기 시작한 것은 431년경이다.<ref>[http://jmagazine.joins.com/monthly/view/318953 [기획특집 • 루터 종교개혁 500년 - 하나님의 교회와 성서의 진리] 무엇을 믿고, 무엇을 실천하나] 《월간중앙》, 2017년 12월호</ref> 568년경에는 교회 첨탑에 십자가가 세워졌다.<ref>[http://jmagazine.joins.com/monthly/view/318953 [기획특집 • 루터 종교개혁 500년 - 하나님의 교회와 성서의 진리] 무엇을 믿고, 무엇을 실천하나] 《월간중앙》, 2017년 12월호</ref> 이후 692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71652&cid=50762&categoryId=51340 트룰라눔(Trullanum) 교회회의]를 통해 십자가 숭배를 강화하고, 787년 제2차 니케아공의회에서 공식 채택한 후 오늘날까지 각종 십자가를 만들어 숭상하고 있다.<ref name"가톨릭 십자가" /> | ||
{{인용문 |교회와 사무실 속에 십자가가 도입된 것은 431년경이었고, 뾰족탑 위에 세워진 것은 568년경이었다. | | {{인용문 |교회와 사무실 속에 십자가가 도입된 것은 431년경이었고, 뾰족탑 위에 세워진 것은 568년경이었다. |《Harper's Book of Facts》 "십자가", 조셉 H. 윌시, 하퍼&브라더스, 1895 }} | ||
===논란=== | ===논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