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자가: 두 판 사이의 차이

Joshua (토론 | 기여)
Joshua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92번째 줄: 92번째 줄:
로마 제국의 기독교 박해는 313년 콘스탄티누스 1세가 밀라노 칙령을 반포한 후 기독교를 공인함으로써 종식되었다. 콘스탄티누스 1세는 기독교 우대정책을 펼치는 한편 기독교를 상징하는 주화 30여 종을 발행하기도 했는데, 십자가를 새긴 주화가 주조되었다.<ref>《콘스탄티누스 대제의 기독교 주화에 대한 연구》, 김동주, 한세대학교 출판부</ref>
로마 제국의 기독교 박해는 313년 콘스탄티누스 1세가 밀라노 칙령을 반포한 후 기독교를 공인함으로써 종식되었다. 콘스탄티누스 1세는 기독교 우대정책을 펼치는 한편 기독교를 상징하는 주화 30여 종을 발행하기도 했는데, 십자가를 새긴 주화가 주조되었다.<ref>《콘스탄티누스 대제의 기독교 주화에 대한 연구》, 김동주, 한세대학교 출판부</ref>
황제의 지지 속에 교세를 확장한 로마 교회(지금의 로마 가톨릭교회)는 기독교로 개종한 이교도들의 종교적 습관을 받아들였다.<ref>《교회사 핸드북》, 생명의말씀사, 131쪽, ISBN 89-04-01021-7 </ref> 그중 하나가 십자가 숭배 사상이었다.
황제의 지지 속에 교세를 확장한 로마 교회(지금의 로마 가톨릭교회)는 기독교로 개종한 이교도들의 종교적 습관을 받아들였다.<ref>《교회사 핸드북》, 생명의말씀사, 131쪽, ISBN 89-04-01021-7 </ref> 그중 하나가 십자가 숭배 사상이었다.
로마 가톨릭교회는 '성녀'라 불린 콘스탄티누스 1세의 어머니 헬레나(Helena)가 십자가 발현을 주장하고, 320년에서 345년 사이에는 예수님께서 못 박히셨던 십자가를 발견했다는 명분으로 예루살렘에 이를 안치할 십자가성당과 부활성당을 건축했다. 이어 헌당 축일을 제정하고 십자가를 공경의 대상으로 인정하기 시작했다.<ref name="가톨릭 십자가">[https://maria.catholic.or.kr/dictionary/term/term_view.asp?ctxtIdNum=2173&keyword=%EC%8B%AD%EC%9E%90%EA%B0%80&gubun=01 십자가], 《가톨릭대사전》</ref> 교회 내부에 십자가를 걸기 시작한 것은 431년경이다.<ref>[http://jmagazine.joins.com/monthly/view/318953 [기획특집 • 루터 종교개혁 500년 - 하나님의 교회와 성서의 진리] 무엇을 믿고, 무엇을 실천하나] 《월간중앙》, 2017년 12월호</ref> 568년경에는 교회 첨탑에 십자가가 세워졌다.<ref>[http://jmagazine.joins.com/monthly/view/318953 [기획특집 • 루터 종교개혁 500년 - 하나님의 교회와 성서의 진리] 무엇을 믿고, 무엇을 실천하나] 《월간중앙》, 2017년 12월호</ref> 이후 692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71652&cid=50762&categoryId=51340 트룰라눔(Trullanum) 교회회의]를 통해 십자가 숭배를 강화하고, 787년 제2차 니케아공의회에서 공식 채택한 후 오늘날까지  각종 십자가를 만들어 숭상하고 있다.<ref name "가톨릭 십자가" />
로마 가톨릭교회는 '성녀'라 불린 콘스탄티누스 1세의 어머니 헬레나(Helena)가 십자가 발현을 주장하고, 320년에서 345년 사이에는 예수님께서 못 박히셨던 십자가를 발견했다는 명분으로 예루살렘에 이를 안치할 십자가성당과 부활성당을 건축했다. 이어 헌당 축일을 제정하고 십자가를 공경의 대상으로 인정하기 시작했다.<ref name="가톨릭 십자가">[https://maria.catholic.or.kr/dictionary/term/term_view.asp?ctxtIdNum=2173&keyword=%EC%8B%AD%EC%9E%90%EA%B0%80&gubun=01 십자가], 《가톨릭대사전》</ref> 교회 내부에 십자가를 걸기 시작한 것은 431년경이다.<ref>[http://jmagazine.joins.com/monthly/view/318953 [기획특집 • 루터 종교개혁 500년 - 하나님의 교회와 성서의 진리] 무엇을 믿고, 무엇을 실천하나] 《월간중앙》, 2017년 12월호</ref> 568년경에는 교회 첨탑에 십자가가 세워졌다.<ref>[http://jmagazine.joins.com/monthly/view/318953 [기획특집 • 루터 종교개혁 500년 - 하나님의 교회와 성서의 진리] 무엇을 믿고, 무엇을 실천하나] 《월간중앙》, 2017년 12월호</ref> 이후 692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71652&cid=50762&categoryId=51340 트룰라눔(Trullanum) 교회회의]를 통해 십자가 숭배를 강화하고, 787년 제2차 니케아공의회에서 공식 채택한 후 오늘날까지  각종 십자가를 만들어 숭상하고 있다.<ref name="가톨릭 십자가" />


{{인용문 |교회와 사무실 속에 십자가가 도입된 것은 431년경이었고, 뾰족탑 위에 세워진 것은 568년경이었다. |《Harper's Book of Facts》 "십자가", 조셉 H. 윌시, 하퍼&브라더스, 1895 }}
{{인용문 |교회와 사무실 속에 십자가가 도입된 것은 431년경이었고, 뾰족탑 위에 세워진 것은 568년경이었다. |《Harper's Book of Facts》 "십자가", 조셉 H. 윌시, 하퍼&브라더스, 18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