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복음: 두 판 사이의 차이

Kite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Kite (토론 | 기여)
잔글편집 요약 없음
12번째 줄: 12번째 줄:
}}
}}


'''요한복음'''(John)은 [[신약성경]] 중 네 번째 성경으로, 사도 요한이 기록했다. 예수님의 신성을 특별히 강조하며 근본 하나님이심을 나타내려 했다. [[마태복음]], [[마가복음]], [[누가복음]]과 함께 4복음서에 속한다.
'''요한복음'''(John)은 [[신약성경]] 중 네 번째 성경으로, 사도 요한이 기록했다. 예수님의 신성을 특별히 강조하며 근본 [[하나님]]이심을 나타내려 했다. [[마태복음]], [[마가복음]], [[누가복음]]과 함께 4복음서에 속한다.


==기록자 요한==
==기록자 요한==
요한복음의 기록자는 예수님의 열두 사도 중 한 사람인 [[사도 요한|요한]]이다. 사도 요한은 사도 야고보의 형제이자 [[갈릴리]] 출신 어부였다. [[침례 요한 (세례 요한) |침례 요한]]의 제자였다가 예수님의 제자가 된 것으로 추정되기도 한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장 |제목=요한복음 1:35-40 |저널= |인용문= 또 이튿날 요한[침례 요한]이 자기 제자 중 두 사람과 함께 섰다가 예수의 다니심을 보고 말하되 보라 하나님의 어린양이로다 두 제자가 그의 말을 듣고 예수를 좇거늘 ... 요한의 말을 듣고 예수를 좇는 두 사람 중에 하나는 시몬 베드로의 형제 안드레라}}</ref> 예수님께 많은 사랑을 받은 제자 중 하나로, 야고보와 함께 '우레의 아들'이란 별명을 얻었으나<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9장 |제목=마가복음 9:38 |저널= |인용문= 요한이 예수께 여짜오되 선생님 우리를 따르지 않는 어떤 자가 주의 이름으로 귀신을 내어쫓는 것을 우리가 보고 우리를 따르지 아니하므로 금하였나이다}}</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9장 |제목=누가복음 9:54 |저널= |인용문= 제자 야고보와 요한이 이를 보고 가로되 주여 우리가 불을 명하여 하늘로 좇아 내려 저희를 멸하라 하기를 원하시나이까}}</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3장 |제목=마가복음 3:17 |저널= |인용문= 세베대의 아들 야고보와 야고보의 형제 요한이니 이 둘에게는 보아너게 곧 우뢰의 아들이란 이름을 더하셨으며}}</ref> 후에는 '사랑의 사도'로 불릴 만큼 평생 사랑을 강조했다. 신약성경 중 요한복음, [[요한1서 | 요한1]]∙[[요한2서 | 2]]∙[[요한3서 | 3서]], [[요한계시록]] 총 다섯 권을 기록했다.
요한복음의 기록자는 예수님의 열두 사도 중 한 사람인 [[사도 요한|요한]]이다. 사도 요한은 사도 야고보의 형제이자 [[갈릴리]] 출신 어부였다. [[침례 요한 (세례 요한) |침례 요한]]의 제자였다가 예수님의 제자가 된 것으로 추정되기도 한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장 |제목=요한복음 1:35-40 |저널= |인용문= 또 이튿날 요한[침례 요한]이 자기 제자 중 두 사람과 함께 섰다가 예수의 다니심을 보고 말하되 보라 하나님의 어린양이로다 두 제자가 그의 말을 듣고 예수를 좇거늘 ... 요한의 말을 듣고 예수를 좇는 두 사람 중에 하나는 시몬 베드로의 형제 안드레라}}</ref> 예수님께 많은 사랑을 받은 제자 중 하나로, 야고보와 함께 '우레의 아들'이란 별명을 얻었으나<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9장 |제목=마가복음 9:38 |저널= |인용문= 요한이 예수께 여짜오되 선생님 우리를 따르지 않는 어떤 자가 주의 이름으로 귀신을 내어쫓는 것을 우리가 보고 우리를 따르지 아니하므로 금하였나이다}}</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9장 |제목=누가복음 9:54 |저널= |인용문= 제자 야고보와 요한이 이를 보고 가로되 주여 우리가 불을 명하여 하늘로 좇아 내려 저희를 멸하라 하기를 원하시나이까}}</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3장 |제목=마가복음 3:17 |저널= |인용문= 세베대의 아들 야고보와 야고보의 형제 요한이니 이 둘에게는 보아너게 곧 우뢰의 아들이란 이름을 더하셨으며}}</ref> 후에는 '사랑의 사도'로 불릴 만큼 평생 사랑을 강조했다. 신약성경 중 요한복음, [[요한1서|요한1]]∙[[요한2서|2]]∙[[요한3서|3서]], [[요한계시록]] 총 다섯 권을 기록했다.


==작성 배경==
==작성 배경==
사도 요한은 예수님의 신성과 인성을 분명하게 증거하고 동시에 예수님이 하나님의 아들이며 그리스도이심을 믿게 하려 본서를 기록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20장 |제목=요한복음 20:30-31 |저널= |인용문=  예수께서 제자들 앞에서 이 책에 기록되지 아니한 다른 표적도 많이 행하셨으나 오직 이것을 기록함은 너희로 예수께서 하나님의 아들 그리스도이심을 믿게 하려 함이요 또 너희로 믿고 그 이름을 힘입어 생명을 얻게 하려 함이니라}}</ref> 예수님께서 행하신 [[유월절]] 날의 세족예식과 그날에 주신 설교 말씀 등 다른 세 개의 복음서에서 빠진 부분을 보충했다.<ref>{{인용 |url= |제목=유세비우스의 교회사 |웹사이트= |저널= |출판사=도서출판 은성 |날짜=2003.4.25. |연도= |저자=유세비우스 팜필루스 |쪽=148-149 |시리즈= |isbn= |인용문= 한편 마가와 누가가 복음서를 펴낸 뒤, 아무것도 기록하지 않고 복음을 전파해 온 요한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인해 복음서를 기록하기에 이르렀다. 이미 기록된 새 개의 복음서는 사람들에게 유포되었고 요한에게도 전해졌다. ... 그러나 거기에는 그리스도께서 최초에 행하신 몇 가지 일과 복음의 시작에 관한 이야기가 부족하다는 것도 증언하였다. ... 이런 이유로 인해 복음서 기록에 착수하라는 요청을 받은 사도 요한은 앞의 세 기자들이 기록하지 않은 시대의 이야기(요한이 투옥되기 전에 발생하였으므로), 그리고 그들이 지나쳐버린 주님의 행적을 기록했다고 한다.}}</ref>
사도 요한은 예수님의 신성과 인성을 분명하게 증거하고 동시에 예수님이 하나님의 아들이며 [[그리스도]]이심을 믿게 하려 본서를 기록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20장 |제목=요한복음 20:30-31 |저널= |인용문=  예수께서 제자들 앞에서 이 책에 기록되지 아니한 다른 표적도 많이 행하셨으나 오직 이것을 기록함은 너희로 예수께서 하나님의 아들 그리스도이심을 믿게 하려 함이요 또 너희로 믿고 그 이름을 힘입어 생명을 얻게 하려 함이니라}}</ref> 예수님께서 행하신 [[유월절]] 날의 세족예식과 그날에 주신 설교 말씀 등 다른 세 개의 복음서에서 빠진 부분을 보충했다.<ref>{{인용 |url= |제목=유세비우스의 교회사 |웹사이트= |저널= |출판사=도서출판 은성 |날짜=2003.4.25. |연도= |저자=유세비우스 팜필루스 |쪽=148-149 |시리즈= |isbn= |인용문= 한편 마가와 누가가 복음서를 펴낸 뒤, 아무것도 기록하지 않고 복음을 전파해 온 요한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인해 복음서를 기록하기에 이르렀다. 이미 기록된 새 개의 복음서는 사람들에게 유포되었고 요한에게도 전해졌다. ... 그러나 거기에는 그리스도께서 최초에 행하신 몇 가지 일과 복음의 시작에 관한 이야기가 부족하다는 것도 증언하였다. ... 이런 이유로 인해 복음서 기록에 착수하라는 요청을 받은 사도 요한은 앞의 세 기자들이 기록하지 않은 시대의 이야기(요한이 투옥되기 전에 발생하였으므로), 그리고 그들이 지나쳐버린 주님의 행적을 기록했다고 한다.}}</ref>


==요한복음의 특징==
==요한복음의 특징==
* 요한복음의 가장 큰 특징은, 예수님의 행적과 가르침에 집중했던 공관복음(마태복음, 마가복음, 누가복음)과 달리 예수님의 신성과 인류애를 집중 기록했다는 점이다. 예수님은 인류를 사랑하셔서 육체를 입고 이 땅에 오신 하나님임을 나타내고자 한 것이다. 본서에는 '생명의 떡',<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6장 |제목=요한복음 6:35 |저널= |인용문= 예수께서 가라사대 내가 곧 생명의 떡이니 내게 오는 자는 결코 주리지 아니할 터이요 나를 믿는 자는 영원히 목마르지 아니하리라}}</ref> '세상의 빛',<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8장 |제목=요한복음 8:12 |저널= |인용문=  예수께서 또 일러 가라사대 나는 세상의 빛이니 나를 따르는 자는 어두움에 다니지 아니하고 생명의 빛을 얻으리라}}</ref> '양의 문',<ref name="요10:10">{{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0장 |제목=요한복음 10:7-10 |저널= |인용문= 예수께서 다시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말하노니 나는 양의 문이라 ... 내가 문이니 누구든지 나로 말미암아 들어가면 구원을 얻고 또는 들어가며 나오며 꼴을 얻으리라 ... 내가 온 것은 양으로 생명을 얻게 하고 더 풍성히 얻게 하려는 것이라}}</ref> '부활이요 생명',<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1장 |제목=요한복음 11:25-26 |저널= |인용문= 예수께서 가라사대 나는 부활이요 생명이니 나를 믿는 자는 죽어도 살겠고 무릇 살아서 나를 믿는 자는 영원히 죽지 아니하리니}}</ref> '길이요 진리요 생명',<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4장 |제목=요한복음 14:6 |저널= |인용문= 예수께서 가라사대 내가 곧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니 나로 말미암지 않고는 아버지께로 올 자가 없느니라}}</ref> '참 포도나무'<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5장 |제목=요한복음 15:1, 5 |저널= |인용문= 내가 참 포도나무요 내 아버지는 그 농부라 ... 나는 포도나무요 너희는 가지니 저가 내 안에, 내가 저 안에 있으면 이 사람은 과실을 많이 맺나니 나를 떠나서는 너희가 아무것도 할 수 없음이라}}</ref> 등으로 당신을 증거하는 예수님의 말씀이 기록되어 있다.  
* 요한복음의 가장 큰 특징은, 예수님의 행적과 가르침에 집중했던 공관복음(마태복음, 마가복음, 누가복음)과 달리 예수님의 신성과 인류애를 집중 기록했다는 점이다. 예수님은 인류를 사랑하셔서 육체를 입고 이 땅에 오신 하나님임을 나타내고자 한 것이다. 본서에는 '생명의 떡',<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6장 |제목=요한복음 6:35 |저널= |인용문= 예수께서 가라사대 내가 곧 생명의 떡이니 내게 오는 자는 결코 주리지 아니할 터이요 나를 믿는 자는 영원히 목마르지 아니하리라}}</ref> '세상의 빛',<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8장 |제목=요한복음 8:12 |저널= |인용문=  예수께서 또 일러 가라사대 나는 세상의 빛이니 나를 따르는 자는 어두움에 다니지 아니하고 생명의 빛을 얻으리라}}</ref> '양의 문',<ref name="요10:10">{{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0장 |제목=요한복음 10:7-10 |저널= |인용문= 예수께서 다시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말하노니 나는 양의 문이라 ... 내가 문이니 누구든지 나로 말미암아 들어가면 구원을 얻고 또는 들어가며 나오며 꼴을 얻으리라 ... 내가 온 것은 양으로 생명을 얻게 하고 더 풍성히 얻게 하려는 것이라}}</ref> '부활이요 생명',<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1장 |제목=요한복음 11:25-26 |저널= |인용문= 예수께서 가라사대 나는 부활이요 생명이니 나를 믿는 자는 죽어도 살겠고 무릇 살아서 나를 믿는 자는 영원히 죽지 아니하리니}}</ref> '길이요 진리요 생명',<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4장 |제목=요한복음 14:6 |저널= |인용문= 예수께서 가라사대 내가 곧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니 나로 말미암지 않고는 아버지께로 올 자가 없느니라}}</ref> '참 포도나무'<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5장 |제목=요한복음 15:1, 5 |저널= |인용문= 내가 참 포도나무요 내 아버지는 그 농부라 ... 나는 포도나무요 너희는 가지니 저가 내 안에, 내가 저 안에 있으면 이 사람은 과실을 많이 맺나니 나를 떠나서는 너희가 아무것도 할 수 없음이라}}</ref> 등으로 당신을 증거하는 예수님의 말씀이 기록되어 있다.  
* 요한복음의 서문<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장 |제목=요한복음 1:1-5 |저널= |인용문= 태초에 말씀이 계시니라 이 말씀이 하나님과 함께 계셨으니 이 말씀은 곧 하나님이시니라 그가 태초에 하나님과 함께 계셨고 만물이 그로 말미암아 지은 바 되었으니 지은 것이 하나도 그가 없이는 된 것이 없느니라 그 안에 생명이 있었으니 이 생명은 사람들의 빛이라 빛이 어두움에 비취되 어두움이 깨닫지 못하더라}}</ref>은 창세기의 서문<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장 |제목=창세기 1:1-4 |저널= |인용문=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 하나님이 가라사대 빛이 있으라 하시매 빛이 있었고 그 빛이 하나님의 보시기에 좋았더라 하나님이 빛과 어두움을 나누사}}</ref>을 연상하게 한다. 이는 예수님이 창세전부터 계시고, 세상을 창조하신 하나님이심을 강조한 것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7장 |제목=요한복음 17:5 |저널= |인용문= 아버지여 창세전에 내가 아버지와 함께 가졌던 영화로써 지금도 아버지와 함께 나를 영화롭게 하옵소서}}</ref>
* 요한복음의 서문<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장 |제목=요한복음 1:1-5 |저널= |인용문= 태초에 말씀이 계시니라 이 말씀이 하나님과 함께 계셨으니 이 말씀은 곧 하나님이시니라 그가 태초에 하나님과 함께 계셨고 만물이 그로 말미암아 지은 바 되었으니 지은 것이 하나도 그가 없이는 된 것이 없느니라 그 안에 생명이 있었으니 이 생명은 사람들의 빛이라 빛이 어두움에 비취되 어두움이 깨닫지 못하더라}}</ref>은 [[창세기]]의 서문<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장 |제목=창세기 1:1-4 |저널= |인용문=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 하나님이 가라사대 빛이 있으라 하시매 빛이 있었고 그 빛이 하나님의 보시기에 좋았더라 하나님이 빛과 어두움을 나누사}}</ref>을 연상하게 한다. 이는 예수님이 창세전부터 계시고, 세상을 창조하신 하나님이심을 강조한 것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7장 |제목=요한복음 17:5 |저널= |인용문= 아버지여 창세전에 내가 아버지와 함께 가졌던 영화로써 지금도 아버지와 함께 나를 영화롭게 하옵소서}}</ref>
* 요한복음에는 요한 자신의 이름이 언급되지 않는다. 요한은 자신을 '유월절 석상에서 예수님의 품에 의지했던 제자', '예수님의 사랑받는 제자'<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3장 |제목=요한복음 13:23-25 |저널= |인용문= 예수의 제자 중 하나 곧 그의 사랑하시는 자가 예수의 품에 의지하여 누웠는지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9장 |제목=요한복음 19:26-27 |저널= |인용문= 예수께서 그 모친과 사랑하시는 제자가 곁에 섰는 것을 보시고}}</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20장 |제목=요한복음 20:2 |저널= |인용문= 시몬 베드로와 예수의 사랑하시던 그 다른 제자에게 달려가서 말하되}}</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21장 |제목=요한복음 21:7, 20 |저널= |인용문= 예수의 사랑하시는 그 제자가 베드로에게 이르되 주시라 하니 ... 베드로가 돌이켜 예수의 사랑하시는 그 제자가 따르는 것을 보니 그는 만찬석에서 예수의 품에 의지하여 주여 주를 파는 자가 누구오니이까 묻던 자러라}}</ref>로 소개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21장 |제목=요한복음 21:24 |저널= |인용문= 이 일을 증거하고 이 일을 기록한 제자가 이 사람이라 우리는 그의 증거가 참인 줄 아노라}}</ref>
* 요한복음에는 요한 자신의 이름이 언급되지 않는다. 요한은 자신을 '유월절 석상에서 예수님의 품에 의지했던 제자', '예수님의 사랑받는 제자'<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3장 |제목=요한복음 13:23-25 |저널= |인용문= 예수의 제자 중 하나 곧 그의 사랑하시는 자가 예수의 품에 의지하여 누웠는지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9장 |제목=요한복음 19:26-27 |저널= |인용문= 예수께서 그 모친과 사랑하시는 제자가 곁에 섰는 것을 보시고}}</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20장 |제목=요한복음 20:2 |저널= |인용문= 시몬 베드로와 예수의 사랑하시던 그 다른 제자에게 달려가서 말하되}}</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21장 |제목=요한복음 21:7, 20 |저널= |인용문= 예수의 사랑하시는 그 제자가 베드로에게 이르되 주시라 하니 ... 베드로가 돌이켜 예수의 사랑하시는 그 제자가 따르는 것을 보니 그는 만찬석에서 예수의 품에 의지하여 주여 주를 파는 자가 누구오니이까 묻던 자러라}}</ref>로 소개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21장 |제목=요한복음 21:24 |저널= |인용문= 이 일을 증거하고 이 일을 기록한 제자가 이 사람이라 우리는 그의 증거가 참인 줄 아노라}}</ref>


50번째 줄: 50번째 줄:
예수님은 사랑하는 인류에게 영원한 생명을 주러 이 땅에 오신 하나님이셨다.<ref name="요10:10"/> 예수님이 기적을 베풀 때는 많은 이들이 따라다녔지만 정작 당신이 생명의 떡이라 하시며 영생의 진리를 가르치시자 다들 떠나갔다. 그러나 열두 제자는 "영생의 말씀이 계시매 뉘게로 가오리까" 하며 예수님 곁에 남았다. <br>
예수님은 사랑하는 인류에게 영원한 생명을 주러 이 땅에 오신 하나님이셨다.<ref name="요10:10"/> 예수님이 기적을 베풀 때는 많은 이들이 따라다녔지만 정작 당신이 생명의 떡이라 하시며 영생의 진리를 가르치시자 다들 떠나갔다. 그러나 열두 제자는 "영생의 말씀이 계시매 뉘게로 가오리까" 하며 예수님 곁에 남았다. <br>
예수님은 그런 제자들에게 당신은 목숨을 걸고 양을 지키는 선한 목자시며, 내 양이라면 내 음성을 듣고 나아올 것이라고 교훈하셨다. <br>
예수님은 그런 제자들에게 당신은 목숨을 걸고 양을 지키는 선한 목자시며, 내 양이라면 내 음성을 듣고 나아올 것이라고 교훈하셨다. <br>
유월절을 앞두고 예수님은 [[예루살렘]]으로 향하셨다. 베다니에 이르렀을 때 마리아라 하는 여인이 순전한 나드 한 근을 예수님 발에 붓고 자기 머리털로 발을 씻어드렸다. 이는 예수님의 장사할 날을 위함이었다.
유월절을 앞두고 예수님은 [[예루살렘]]으로 향하셨다. 베다니에 이르렀을 때 [[마리아]]라 하는 여인이 순전한 나드 한 근을 예수님 발에 붓고 자기 머리털로 발을 씻어드렸다. 이는 예수님의 장사할 날을 위함이었다.


===예루살렘 입성[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2장 (12장 12-50절)]===
===예루살렘 입성[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2장 (12장 12-50절)]===
57번째 줄: 57번째 줄:


===유월절과 새 계명[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3장 (13-16장)]===
===유월절과 새 계명[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3장 (13-16장)]===
유월절 저녁. 예수님은 친히 제자들의 발을 씻겨주시고, 서로 사랑하라는 새 계명을 허락하셨다. 또한 이제부터는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해야 응답을 받는다고 알려주셨다.  
유월절 저녁. 예수님은 친히 제자들의 발을 씻겨주시고, 서로 사랑하라는 [[계명]]을 허락하셨다. 또한 이제부터는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해야 응답을 받는다고 알려주셨다.  


===수난[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7장 (17-19장)]===  
===수난[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7장 (17-19장)]===  
기도로 유월절 예식을 마치신 예수님께서는 제자들과 기드론 계곡 건너편의 한 동산으로 가셨다. 그때 [[대제사장]]과 [[바리새인]]들이 보낸 무리가 예수님을 잡으러 왔다. 예수님은 검을 휘두르며 그들을 막는 베드로를 진정시키고 순순히 잡혀가셨다. 예수님은 밤새 심문을 당했고, 새벽에 빌라도 관정으로 끌려가셨다. 빌라도는 예수님을 풀어주려 했으나 도리어 민란이 날 것 같자 저들의 요구대로 사형 판결을 내렸다. <br>
기도로 유월절 예식을 마치신 예수님께서는 제자들과 기드론 계곡 건너편의 한 동산으로 가셨다. 그때 대제사장과 [[바리새인]]들이 보낸 무리가 예수님을 잡으러 왔다. 예수님은 검을 휘두르며 그들을 막는 베드로를 진정시키고 순순히 잡혀가셨다. 예수님은 밤새 심문을 당했고, 새벽에 빌라도 관정으로 끌려가셨다. 빌라도는 예수님을 풀어주려 했으나 도리어 민란이 날 것 같자 저들의 요구대로 사형 판결을 내렸다. <br>
[[십자가]]에 못 박힌 예수님의 죄패에는 '유대인의 왕'이라 기록되었다. 예수님이 운명하신 뒤 한 군병이 창으로 옆구리를 찌르자 피와 물이 나왔다. 아리마대 요셉이 빌라도에게 예수님의 시체를 달라 해서 새 무덤에 안치했다. 이날은 [[안식일]] 전날이었다.
[[십자가]]에 못 박힌 예수님의 죄패에는 '유대인의 왕'이라 기록되었다. 예수님이 운명하신 뒤 한 군병이 창으로 옆구리를 찌르자 피와 물이 나왔다. 아리마대 요셉이 빌라도에게 예수님의 시체를 달라 해서 새 무덤에 안치했다. 이날은 [[안식일]] 전날이었다.


===예수님의 부활[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20장 (20-21장)]===
===예수님의 부활[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20장 (20-21장)]===
안식 후 첫날 이른 아침, 예수님의 시체가 사라졌다는 소식을 들은 베드로와 다른 제자가 무덤으로 달려갔다. 무덤은 깨끗하게 정리된 채로 비어 있었다. <br>
안식 후 첫날 이른 아침, 예수님의 시체가 사라졌다는 소식을 들은 베드로와 다른 제자가 무덤으로 달려갔다. 무덤은 깨끗하게 정리된 채로 비어 있었다. <br>
그날 저녁 예수님이 제자들에게 나타나셨다. 그 자리에 없었던 도마는 예수님의 부활을 믿지 못하다가 8일 뒤 다시 나타나신 예수님의 옆구리에 손을 넣어보고서야 믿었다. <br>
그날 저녁 예수님이 제자들에게 나타나셨다. 그 자리에 없었던 도마는 [[예수님의 부활]]을 믿지 못하다가 8일 뒤 다시 나타나신 예수님의 옆구리에 손을 넣어보고서야 믿었다. <br>
예수님은 [[베드로]]에게 당신을 사랑한다면 성도들을 돌보라는 분부를 남기셨다.
예수님은 [[베드로]]에게 당신을 사랑한다면 성도들을 돌보라는 분부를 남기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