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의 제사: 두 판 사이의 차이

Tester (토론 | 기여)
Tester (토론 | 기여)
61번째 줄: 61번째 줄:
죄와 잘못을 용서해주신 하나님께 감사드릴 때, 서원을 하거나 자원할 때 드렸던 제사가 화목제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7장 |제목=레위기 7:11-12 |저널= |인용문= 여호와께 드릴 화목제 희생의 규례는 이러하니라 만일 그것을 감사하므로 드리거든 기름 섞은 무교병과 기름 바른 무교전병과 고운 가루에 기름 섞어 구운 과자를 그 감사 희생과 함께 드리고}}</ref> 화목제라는 특정한 제사의 규례가 있었다기보다 자원하여 드리는 모든 제사를 통칭하는 성격이 강하다. 감사제, 낙헌제, 서원제, 자원제 등이 모두 화목제에 해당된다.  
죄와 잘못을 용서해주신 하나님께 감사드릴 때, 서원을 하거나 자원할 때 드렸던 제사가 화목제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7장 |제목=레위기 7:11-12 |저널= |인용문= 여호와께 드릴 화목제 희생의 규례는 이러하니라 만일 그것을 감사하므로 드리거든 기름 섞은 무교병과 기름 바른 무교전병과 고운 가루에 기름 섞어 구운 과자를 그 감사 희생과 함께 드리고}}</ref> 화목제라는 특정한 제사의 규례가 있었다기보다 자원하여 드리는 모든 제사를 통칭하는 성격이 강하다. 감사제, 낙헌제, 서원제, 자원제 등이 모두 화목제에 해당된다.  


* '''제사 방법''': 속죄제, 속건제와 달리 희생 제물을 특정하지 않았다. 화목제의 희생제물과 기름 섞은 [[무교병]], 기름 바른 무교전병과 구운 과자를 함께 드렸다. 감사제로 드린 희생의 고기는 당일 먹어야 했지만 서원제나 자원제의 고기는 이튿날까지 먹는 것이 가능했다. 제사장이 화목제 제물을 드리고 난 뒤 거제와 요제의 예식을 행했다. 화목제의 고기는 부위별로 예식을 집전한 제사장들의 몫이 정해져 있었으며, 제물을 가져온 사람의 몫도 있었다([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7장 레위기 7장 11-21, 28-34절]).
* '''제사 방법''': 속죄제, 속건제와 달리 희생 제물을 특정하지 않았다. 화목제의 희생제물과 기름 섞은 '''무교병''', 기름 바른 무교전병과 구운 과자를 함께 드렸다. 감사제로 드린 희생의 고기는 당일 먹어야 했지만 서원제나 자원제의 고기는 이튿날까지 먹는 것이 가능했다. 제사장이 화목제 제물을 드리고 난 뒤 거제와 요제의 예식을 행했다. 화목제의 고기는 부위별로 예식을 집전한 제사장들의 몫이 정해져 있었으며, 제물을 가져온 사람의 몫도 있었다([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7장 레위기 7장 11-21, 28-34절]).


=== 제물에 따른 분류 ===
=== 제물에 따른 분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