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활절: 두 판 사이의 차이

Sally (토론 | 기여)
Sally (토론 | 기여)
38번째 줄: 38번째 줄:
오늘날 많은 교회는 삶은 달걀을 먹으며 부활절을 기념하고, 토끼와 달걀을 부활절의 상징으로 여긴다. 토끼와 달걀이 부활절의 상징이 된 이유는 봄과 새벽을 관장하는 튜턴족의 여신 이스터(에오스트레) 숭배 관습이 기독교로 유입되었기 때문으로 추정한다.<ref>[http://www.kb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412406 잘못된 부활절 토끼와 계란 풍습]《경북매일》2017. 4. 17.</ref> 봄이 새로운 생명의 계절인 까닭에 이스터는 '다산의 여신'으로도 여겨졌는데, 토끼와 달걀은 모두 다산의 상징으로 사용됐다.<ref>{{웹 인용|url=https://www.crosswalk.com/special-coverage/easter/who-is-eostre-and-what-does-she-have-to-do-with-easter.html |제목=Who Is Eostre and What Does She Have to Do With Easter? |웹사이트=crosswalk.com }}</ref> 오늘날 영어와 독일어에서 부활절을 나타내는 명칭이 여신의 이름에서 유래된 '이스터(Easter)' 또는 '오스테른(Ostern)'인 것도 부활절이 이방 종교의 영향으로 변질되었다는 사실을 방증한다. 이스터 여신과 달걀에 관한 기원은 훨씬 더 오래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대 바빌로니아인들은 하늘에서 커다란 알이 유프라테스강으로 떨어졌고, 그 알에서 여신 이슈타르(Ishtar)가 부화했다고 믿었다.<ref>{{웹 인용 |url=https://archangel16.livejournal.com/159251.html
오늘날 많은 교회는 삶은 달걀을 먹으며 부활절을 기념하고, 토끼와 달걀을 부활절의 상징으로 여긴다. 토끼와 달걀이 부활절의 상징이 된 이유는 봄과 새벽을 관장하는 튜턴족의 여신 이스터(에오스트레) 숭배 관습이 기독교로 유입되었기 때문으로 추정한다.<ref>[http://www.kb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412406 잘못된 부활절 토끼와 계란 풍습]《경북매일》2017. 4. 17.</ref> 봄이 새로운 생명의 계절인 까닭에 이스터는 '다산의 여신'으로도 여겨졌는데, 토끼와 달걀은 모두 다산의 상징으로 사용됐다.<ref>{{웹 인용|url=https://www.crosswalk.com/special-coverage/easter/who-is-eostre-and-what-does-she-have-to-do-with-easter.html |제목=Who Is Eostre and What Does She Have to Do With Easter? |웹사이트=crosswalk.com }}</ref> 오늘날 영어와 독일어에서 부활절을 나타내는 명칭이 여신의 이름에서 유래된 '이스터(Easter)' 또는 '오스테른(Ostern)'인 것도 부활절이 이방 종교의 영향으로 변질되었다는 사실을 방증한다. 이스터 여신과 달걀에 관한 기원은 훨씬 더 오래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대 바빌로니아인들은 하늘에서 커다란 알이 유프라테스강으로 떨어졌고, 그 알에서 여신 이슈타르(Ishtar)가 부화했다고 믿었다.<ref>{{웹 인용 |url=https://archangel16.livejournal.com/159251.html
  |제목=The Truth about Easter (Babylonian Fertility Cult) |웹사이트= |저널=LiveJournal  |출판사= |날짜=2009. 3. 30.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The true origin of Easter is more about fertility and mother earth than the Bible. "The egg was a sacred symbol among the Babylonians. They believed an old fable about an egg of wondrous size which was supposed to have fallen from heaven into the Euphrates River. From this marvelous egg - according to the ancient story - the Goddess Ishtar (Semiramis), was hatched. And so the egg came to symbolize the Goddess Easter," The Jewish Encyclopedia, Vol. 9, p. 309. }}</ref> 이스라엘에서는 아스다롯(Ashtoreth)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ref>{{웹 인용 |url=https://jewishencyclopedia.com/articles/2265-baaltis |제목=ASTARTE WORSHIP AMONG THE HEBREWS |웹사이트= |저널=유대인 백과사전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Astarte is the Phenician name of the primitive Semitic mother-goddess, out of which the most important of the Semitic deities were developed. She was known in Arabia as "Athtar," and inBabylonia as "Ishtar." Her name appears in the Old Testament (I Kings xi. 5; II Kings xxiii. 13) as "Ashtoreth,"
  |제목=The Truth about Easter (Babylonian Fertility Cult) |웹사이트= |저널=LiveJournal  |출판사= |날짜=2009. 3. 30.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The true origin of Easter is more about fertility and mother earth than the Bible. "The egg was a sacred symbol among the Babylonians. They believed an old fable about an egg of wondrous size which was supposed to have fallen from heaven into the Euphrates River. From this marvelous egg - according to the ancient story - the Goddess Ishtar (Semiramis), was hatched. And so the egg came to symbolize the Goddess Easter," The Jewish Encyclopedia, Vol. 9, p. 309. }}</ref> 이스라엘에서는 아스다롯(Ashtoreth)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ref>{{웹 인용 |url=https://jewishencyclopedia.com/articles/2265-baaltis |제목=ASTARTE WORSHIP AMONG THE HEBREWS |웹사이트= |저널=유대인 백과사전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Astarte is the Phenician name of the primitive Semitic mother-goddess, out of which the most important of the Semitic deities were developed. She was known in Arabia as "Athtar," and inBabylonia as "Ishtar." Her name appears in the Old Testament (I Kings xi. 5; II Kings xxiii. 13) as "Ashtoreth,"
  }}</ref> 성경은 이스라엘이 이방 종교의 습속을 받아들임으로써 하나님의 진노를 샀다고 전하고 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사기#2장 |제목=사사기 2:12-15 |저널= |인용문=애굽 땅에서 그들을 인도하여 내신 그 열조의 하나님 여호와를 버리고 다른 신 곧 그 사방에 있는 백성의 신들을 좇아 그들에게 절하여 여호와를 진노하시게 하였으되 곧 그들이 여호와를 버리고 바알과 아스다롯을 섬겼으므로 여호와께서 이스라엘에게 진노하사 노략하는 자의 손에 붙여 그들로 노략을 당케 하시며 또 사방 모든 대적의 손에 파시매 그들이 다시는 대적을 당치 못하였으며 그들이 어디를 가든지 여호와의 손이 그들에게 재앙을 내리시매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11장 |제목=열왕기상 11:31-33 |저널= |인용문=여로보암에게 이르되 너는 열 조각을 취하라 이스라엘 하나님 여호와의 말씀이 내가 이 나라를 솔로몬의 손에서 찢어 빼앗아 열 지파를 네게 주고 오직 내 종 다윗을 위하고 이스라엘 모든 지파 중에서 뺀 성 예루살렘을 위하여 한 지파를 솔로몬에게 주리니 이는 저희가 나를 버리고 시돈 사람의 여신 아스다롯과 모압의 신 그모스와 암몬 자손의 신 밀곰을 숭배하며 그 아비 다윗의 행함 같지 아니하여 내 길로 행치 아니하며 나 보기에 정직한 일과 나의 법도와 나의 율례를 행치 아니함이니라 }}</ref> 이러한 문제를 인식한 일부 기독교단은 부활절에 삶은 달걀 대신 사탕, 초콜릿 등을 먹으며 기념하기도 하지만 이 역시 초대교회의 부활절 예식에서 전혀 찾아볼 수 없는, 성경에 근거하지 않은 풍습이다.<ref>[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5178446 요즘 부활절엔 '계란 없다'…이교도 습관 섞어 놓은 것]《중앙일보》2017. 4. 15.</ref>
  }}</ref> 성경은 이스라엘이 이방 종교의 습속을 받아들임으로써 하나님의 진노를 샀다고 전하고 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사기#2장 |제목=사사기 2:12-15 |저널= |인용문=애굽 땅에서 그들을 인도하여 내신 그 열조의 하나님 여호와를 버리고 다른 신 곧 그 사방에 있는 백성의 신들을 좇아 그들에게 절하여 여호와를 진노하시게 하였으되 곧 그들이 여호와를 버리고 바알과 아스다롯을 섬겼으므로 여호와께서 이스라엘에게 진노하사 노략하는 자의 손에 붙여 그들로 노략을 당케 하시며 또 사방 모든 대적의 손에 파시매 그들이 다시는 대적을 당치 못하였으며 그들이 어디를 가든지 여호와의 손이 그들에게 재앙을 내리시매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11장 |제목=열왕기상 11:31-33 |저널= |인용문=여로보암에게 이르되 너는 열 조각을 취하라 이스라엘 하나님 여호와의 말씀이 내가 이 나라를 솔로몬의 손에서 찢어 빼앗아 열 지파를 네게 주고 오직 내 종 다윗을 위하고 이스라엘 모든 지파 중에서 뺀 성 예루살렘을 위하여 한 지파를 솔로몬에게 주리니 이는 저희가 나를 버리고 시돈 사람의 여신 아스다롯과 모압의 신 그모스와 암몬 자손의 신 밀곰을 숭배하며 그 아비 다윗의 행함 같지 아니하여 내 길로 행치 아니하며 나 보기에 정직한 일과 나의 법도와 나의 율례를 행치 아니함이니라 }}</ref> 이러한 문제를 인식한 일부 기독교단은 부활절에 삶은 달걀 대신 사탕, 초콜릿 등을 먹으며 기념하기도 하지만 이 역시 초대교회의 부활절 예식에서 전혀 찾아볼 수 없는, 성경에 근거하지 않은 풍습이다.<ref>[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5178446 요즘 부활절엔 '계란 없다'…이교도 습관 섞어 놓은 것]《중앙일보》2017. 4. 14.</ref>


*'''언어별 부활절의 명칭'''
*'''언어별 부활절의 명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