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수기: 두 판 사이의 차이

Rachel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Rachel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6번째 줄: 16번째 줄:
==민수기의 어원 및 기록자==
==민수기의 어원 및 기록자==
민수기의 히브리 원어 제목은 '광야에서'라는 뜻을 가진 '베미드바르(בְּמִדְבַּר)'이다. 이후 헬라어로 번역하면서 [[광야 생활]]을 시작할 때와 마칠 때 두 번 인구 조사를 했던 것에 착안해 '숫자들'이란 뜻의 '아리드모이'로 정했다. 한글 성경은 '백성들의 수를 센 기록'이라는 뜻의 '민수기(民數記)'로 번역했다. <br>
민수기의 히브리 원어 제목은 '광야에서'라는 뜻을 가진 '베미드바르(בְּמִדְבַּר)'이다. 이후 헬라어로 번역하면서 [[광야 생활]]을 시작할 때와 마칠 때 두 번 인구 조사를 했던 것에 착안해 '숫자들'이란 뜻의 '아리드모이'로 정했다. 한글 성경은 '백성들의 수를 센 기록'이라는 뜻의 '민수기(民數記)'로 번역했다. <br>
민수기의 기록자는 [[모세]]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33장 |제목=민수기 33:2 |저널= |인용문= 모세가 여호와의 명대로 그 노정을 따라 그 진행한 것을 기록하였으니 그 진행한 대로 그 노정은 이러하니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36장 |제목=민수기 36:13 |저널= |인용문= 이는 여리고 맞은편 요단가 모압 평지에서 여호와께서 모세로 이스라엘 자손에게 명하신 명령과 규례니라}}</ref> 모세는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은 선지자이자 지도자로, 애굽에서 노예 생활 하던 이스라엘 민족을 바로(파라오)의 압제에서 해방시켰으며 가나안으로 인도하고자 헌신했다. 모세가 기록한 다섯 권의 성경(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을 ‘모세오경’이라고 부른다.
민수기의 기록자는 [[모세]]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33장 |제목=민수기 33:2 |저널= |인용문= 모세가 여호와의 명대로 그 노정을 따라 그 진행한 것을 기록하였으니 그 진행한 대로 그 노정은 이러하니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36장 |제목=민수기 36:13 |저널= |인용문= 이는 여리고 맞은편 요단가 모압 평지에서 여호와께서 모세로 이스라엘 자손에게 명하신 명령과 규례니라}}</ref> 모세는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은 선지자이자 지도자로, 애굽에서 노예 생활 하던 이스라엘 민족을 바로(파라오)의 압제에서 해방시켰으며 가나안으로 인도하고자 헌신했다. 모세가 기록한 다섯 권의 성경(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을 '모세오경'이라고 부른다.


==특징==
==특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