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사장 반차: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섬네일 | 300px |반차를 따라 직무를 행하는 제사장 '''제사장 반차'''(祭司長 班次, The Divisions of Pr... |
편집 요약 없음 |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 반차의 의미 == | == 반차의 의미 == | ||
반차는 ‘나눌 반(班)’, ‘버금(차례) 차(次)’ 자를 써서 ‘품계나 신분, 등급의 차례’를 의미한다. 동일한 직무를 여러 사람이 순번을 정해 돌아가면서 수행할 때 그 순서를 일컫는 말이다. 신약성경 한글번역본에서 ‘차례, 순서’라는 뜻의 헬라어 ‘탁시스(τάξις)’를 차례가 아닌 반차로 번역한 것은 제사장이 그 직무를 행하는 차례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5장|제목=히브리서 5:6|인용문=또한 이와 같이 | 반차는 ‘나눌 반(班)’, ‘버금(차례) 차(次)’ 자를 써서 ‘품계나 신분, 등급의 차례’를 의미한다. 동일한 직무를 여러 사람이 순번을 정해 돌아가면서 수행할 때 그 순서를 일컫는 말이다. 신약성경 한글번역본에서 ‘차례, 순서’라는 뜻의 헬라어 ‘탁시스(τάξις)’를 차례가 아닌 반차로 번역한 것은 제사장이 그 직무를 행하는 차례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5장|제목=히브리서 5:6|인용문=또한 이와 같이 다른 데 말씀하시되 네가 영원히 멜기세덱의 반차를 좇는 제사장이라 하셨으니}}</ref><ref>{{웹 인용|url= https://biblehub.com/interlinear/hebrews/5-6.htm |제목=Hebrews 5:6 |저널= |웹사이트= biblehub|날짜= |저자= |출판사=|인용문=Καθὼς καὶ ἐν ἑτέρῳ λέγει: Σὺ ἱερεὺς εἰς τὸν αἰῶνα, κατὰ τὴν '''τάξιν''' Μελχισέδεκ. }}</ref><ref>{{웹 인용|url= https://biblehub.com/greek/5010.htm |제목= τάξις |저널= |웹사이트= biblehub |날짜= |저자= |출판사=|인용문=order, (a) regular arrangement, (b) appointed succession, (c) position, rank. }}</ref><br> | ||
반차를 ‘반열(나눌 반[班], 벌일 열[列])’이라고도 한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상#28장|제목= 역대상 28:21 |저널=|인용문=제사장과 레위 사람의 반열이 있으니 여호와의 전의 모든 역사를 도울 것이요}}</ref> [[누가복음]] 1장에서는 [[침례 요한]]의 아버지 사가랴의 행적을 언급하며 ‘반열의 차례’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 반차를 ‘반열(나눌 반[班], 벌일 열[列])’이라고도 한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상#28장|제목= 역대상 28:21 |저널=|인용문=제사장과 레위 사람의 반열이 있으니 여호와의 전의 모든 역사를 도울 것이요}}</ref> [[누가복음]] 1장에서는 [[침례 요한 (세례 요한)|침례 요한]]의 아버지 사가랴의 행적을 언급하며 ‘반열의 차례’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 ||
{{인용문5 |내용= 유대 왕 헤롯 때에 아비야 반열에 제사장 하나가 있으니 이름은 사가랴요 ... 마침 사가랴가 그 '''반열의 차례'''대로 제사장의 직무를 하나님 앞에 행할새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1장 누가복음 1:5-8]}} | {{인용문5 |내용= 유대 왕 헤롯 때에 아비야 반열에 제사장 하나가 있으니 이름은 사가랴요 ... 마침 사가랴가 그 '''반열의 차례'''대로 제사장의 직무를 하나님 앞에 행할새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1장 누가복음 1:5-8]}} | ||
| 10번째 줄: | 10번째 줄: | ||
=== 구약: 아론의 반차 === | === 구약: 아론의 반차 === | ||
구약시대 제사장들은 초대 대제사장이었던 아론의 반차를 따라 제사장직을 수행했다. 아론이 레위 지파이기 때문에 아론의 반차를 '레위 계통의 제사 직분'이라고도 한다.<ref name=":0">{{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7장|제목= 히브리서 7:11 |저널=|인용문=레위 계통의 제사 직분으로 말미암아 온전함을 얻을 수 있었으면 (백성이 그 아래서 율법을 받았으니) 어찌하여 아론의 반차를 좇지 않고 멜기세덱의 반차를 좇는 별다른 한 제사장을 세울 필요가 있느뇨 }}</ref> 제사 예법은 성소에서 양이나 소와 같은 짐승의 피를 흘려 제사하는 방식이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1장|제목= 레위기 1:1-5 |저널=|인용문=여호와께서 회막에서 모세를 부르시고 그에게 일러 가라사대 이스라엘 자손에게 고하여 이르라 너희 중에 누구든지 여호와께 예물을 드리려거든 생축 중에서 소나 양으로 예물을 드릴지니라 ... 아론의 자손 제사장들은 그 피를 가져다가 회막 문 앞 단 사면에 뿌릴 것이며}}</ref><br> | 구약시대 제사장들은 초대 대제사장이었던 아론의 반차를 따라 제사장직을 수행했다. 아론이 레위 지파이기 때문에 아론의 반차를 '레위 계통의 제사 직분'이라고도 한다.<ref name=":0">{{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7장|제목= 히브리서 7:11 |저널=|인용문=레위 계통의 제사 직분으로 말미암아 온전함을 얻을 수 있었으면 (백성이 그 아래서 율법을 받았으니) 어찌하여 아론의 반차를 좇지 않고 멜기세덱의 반차를 좇는 별다른 한 제사장을 세울 필요가 있느뇨 }}</ref> 제사 예법은 성소에서 양이나 소와 같은 짐승의 피를 흘려 제사하는 방식이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1장|제목= 레위기 1:1-5 |저널=|인용문=여호와께서 회막에서 모세를 부르시고 그에게 일러 가라사대 이스라엘 자손에게 고하여 이르라 너희 중에 누구든지 여호와께 예물을 드리려거든 생축 중에서 소나 양으로 예물을 드릴지니라 ... 아론의 자손 제사장들은 그 피를 가져다가 회막 문 앞 단 사면에 뿌릴 것이며}}</ref><br> | ||
제사장직은 아론의 후손들이 대를 이어 봉사했는데,<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8장|제목= 출애굽기 28:1 |저널=|인용문=너는 이스라엘 자손 중 네 형 아론과 그 아들들 곧 나답과 아비후와 엘르아살과 이다말을 그와 함께 네게로 나아오게 하여 나를 섬기는 제사장 직분을 행하게 하되 }}</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18장|제목= 민수기 18:1 |저널=|인용문= 여호와께서 아론에게 이르시되 너와 네 아들들과 네 종족은 성소에 대한 죄를 함께 담당할 것이요 너와 네 아들들은 너희가 그 제사장 직분에 대한 죄를 함께 담당할 것이니라}}</ref> 다윗왕 때는 아론의 후손 중 제사장 직무를 수행할 사람들을 제비 뽑아 24반차로 조직하여 차례대로 성전에서 봉사하게 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상#24장|제목= 역대상 24:1-5 |저널=|인용문= 아론 자손의 반차가 이러하니라 ... 다윗이 엘르아살의 자손 사독과 이다말의 자손 아히멜렉으로 더불어 저희를 나누어 각각 그 섬기는 직무를 맡겼는데 엘르아살의 자손 중에 족장이 이다말의 자손보다 많으므로 나눈 것이 이러하니 엘르아살 자손의 족장이 | 제사장직은 아론의 후손들이 대를 이어 봉사했는데,<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8장|제목= 출애굽기 28:1 |저널=|인용문=너는 이스라엘 자손 중 네 형 아론과 그 아들들 곧 나답과 아비후와 엘르아살과 이다말을 그와 함께 네게로 나아오게 하여 나를 섬기는 제사장 직분을 행하게 하되 }}</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18장|제목= 민수기 18:1 |저널=|인용문= 여호와께서 아론에게 이르시되 너와 네 아들들과 네 종족은 성소에 대한 죄를 함께 담당할 것이요 너와 네 아들들은 너희가 그 제사장 직분에 대한 죄를 함께 담당할 것이니라}}</ref> 다윗왕 때는 아론의 후손 중 제사장 직무를 수행할 사람들을 제비 뽑아 24반차로 조직하여 차례대로 성전에서 봉사하게 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상#24장|제목= 역대상 24:1-5 |저널=|인용문= 아론 자손의 반차가 이러하니라 ... 다윗이 엘르아살의 자손 사독과 이다말의 자손 아히멜렉으로 더불어 저희를 나누어 각각 그 섬기는 직무를 맡겼는데 엘르아살의 자손 중에 족장이 이다말의 자손보다 많으므로 나눈 것이 이러하니 엘르아살 자손의 족장이 십육이요 이다말 자손은 그 열조의 집을 따라 여덟이라 이에 제비 뽑아 피차에 차등이 없이 나누었으니 이는 성소의 일을 다스리는 자와 하나님의 일을 다스리는 자가 엘르아살의 자손 중에도 있고 이다말의 자손 중에도 있음이라}}</ref> 한 달을 평균 4주로 감안했을 때 1년 동안 한 반차가 2주씩 제사장 직무를 수행했을 것으로 추정된다.<br> | ||
[[역대상]] 24장에 언급된 24반차의 제사장들 중에서 여덟 번째인 아비야는 침례 요한의 아버지 사가랴가 속한 반열이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상#24장|제목= 역대상 24:6-10 |저널=|인용문= 레위 사람 느다넬의 아들 서기관 스마야가 왕과 방백과 제사장 사독과 아비아달의 아들 아히멜렉과 및 제사장과 레위 사람의 족장 앞에서 그 이름을 기록하여 엘르아살의 자손 중에서 한 집을 취하고 이다말의 자손 중에서 한 집을 취하였으니 첫째로 제비 뽑힌 자는 여호야립이요 ... 여덟째는 아비야요 }}</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1장|제목= 누가복음 1:5 |저널=|인용문= 유대 왕 헤롯 | [[역대상]] 24장에 언급된 24반차의 제사장들 중에서 여덟 번째인 아비야는 침례 요한의 아버지 사가랴가 속한 반열이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상#24장|제목= 역대상 24:6-10 |저널=|인용문= 레위 사람 느다넬의 아들 서기관 스마야가 왕과 방백과 제사장 사독과 아비아달의 아들 아히멜렉과 및 제사장과 레위 사람의 족장 앞에서 그 이름을 기록하여 엘르아살의 자손 중에서 한 집을 취하고 이다말의 자손 중에서 한 집을 취하였으니 첫째로 제비 뽑힌 자는 여호야립이요 ... 여덟째는 아비야요 }}</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1장|제목= 누가복음 1:5 |저널=|인용문= 유대 왕 헤롯 때에 아비야 반열에 제사장 하나가 있으니 이름은 사가랴요 그 아내는 아론의 자손이니 이름은 엘리사벳이라 }}</ref> 아론의 후손들로 구성된 제사장 반차 조직은 솔로몬왕 때에도 이어졌고,<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하#8장|제목= 역대하 8:14 |저널=|인용문= 솔로몬이 또 그 부친 다윗의 정규를 좇아 제사장들의 반차를 정하여 섬기게 하고 레위 사람에게도 그 직분을 맡겨 매일에 합의한 대로 찬송하며 제사장들 앞에서 수종 들게 하며 또 문지기로 그 반차를 좇아 각 문을 지키게 하였으니 이는 하나님의 사람 다윗이 전에 이렇게 명하였음이라 }}</ref> 히스기야왕 시대에도 그 기록을 찾을 수 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하#31장|제목= 역대하 31:2-4 |저널=|인용문= 히스기야가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의 반차를 정하고 각각 그 직임을 행하게 하되 곧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로 번제와 화목제를 드리며 여호와의 영문에서 섬기며 감사하며 찬송하게 하고 또 자기 재산 중에서 얼마를 정하여 여호와의 율법에 기록된 대로 번제 곧 조석 번제와 안식일과 초하루와 절기의 번제에 쓰게 하고 또 예루살렘에 거한 백성을 명하여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의 응식을 주어 저희로 여호와의 율법을 힘쓰게 하라 한지라}}</ref> | ||
=== 신약: 멜기세덱의 반차 === | === 신약: 멜기세덱의 반차 === | ||
| 41번째 줄: | 41번째 줄: | ||
|- | |- | ||
! 제물 | ! 제물 | ||
| 짐승<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1장|제목= 레위기 1:2 |저널=|인용문= 이스라엘 자손에게 고하여 이르라 너희 중에 누구든지 여호와께 예물을 드리려거든 생축 중에서 소나 양으로 예물을 | | 짐승<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1장|제목= 레위기 1:2 |저널=|인용문= 이스라엘 자손에게 고하여 이르라 너희 중에 누구든지 여호와께 예물을 드리려거든 생축 중에서 소나 양으로 예물을 드릴지니라 }}</ref> | ||
| 떡과 포도주<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4장|제목= 창세기 14:18 |저널=|인용문= 살렘 왕 멜기세덱이 떡과 포도주를 가지고 나왔으니 그는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의 제사장이었더라}}</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6장|제목= 마태복음 26:17-28 |저널=|인용문= 무교절의 첫날에 제자들이 예수께 나아와서 가로되 유월절 잡수실 것을 우리가 어디서 예비하기를 원하시나이까 ... 저희가 먹을 때에 예수께서 떡을 가지사 축복하시고 떼어 제자들을 주시며 가라사대 받아 먹으라 이것이 내 몸이니라 하시고 또 [포도주가 담긴] 잔을 가지사 사례하시고 저희에게 주시며 가라사대 너희가 다 이것을 마시라 이것은 죄 사함을 얻게 하려고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바 나의 피 곧 언약의 피니라 }}</ref> | | 떡과 포도주<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4장|제목= 창세기 14:18 |저널=|인용문= 살렘 왕 멜기세덱이 떡과 포도주를 가지고 나왔으니 그는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의 제사장이었더라}}</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6장|제목= 마태복음 26:17-28 |저널=|인용문= 무교절의 첫날에 제자들이 예수께 나아와서 가로되 유월절 잡수실 것을 우리가 어디서 예비하기를 원하시나이까 ... 저희가 먹을 때에 예수께서 떡을 가지사 축복하시고 떼어 제자들을 주시며 가라사대 받아 먹으라 이것이 내 몸이니라 하시고 또 [포도주가 담긴] 잔을 가지사 사례하시고 저희에게 주시며 가라사대 너희가 다 이것을 마시라 이것은 죄 사함을 얻게 하려고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바 나의 피 곧 언약의 피니라 }}</ref>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