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위기: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 17번째 줄: | 17번째 줄: | ||
레위기는 많은 부분이 [[레위인]]이나 레위인에 속한 제사장의 직무에 관련되어 있다. <br> | 레위기는 많은 부분이 [[레위인]]이나 레위인에 속한 제사장의 직무에 관련되어 있다. <br> | ||
레위기의 기록자는 [[모세]]다. 본서의 첫 구절이 '여호와께서 회막에서 모세를 부르시고 그에게 일러 가라사대'이며, 전체 27장 가운데 20장이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일러 가라사대'라는 문장으로 시작한다. 다른 성경들도 본서의 저자가 모세임을 증거하고 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스라#6장 |제목=에스라 6:18 |저널= |인용문= 제사장을 그 분반대로, 레위 사람을 그 반차대로 세워 예루살렘에서 하나님을 섬기게 하되 모세의 책에 기록된 대로 하게 하니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8장 |제목=마태복음 8:2-4 |저널= |인용문= 예수께서 이르시되 삼가 아무에게도 이르지 말고 다만 가서 제사장에게 네 몸을 보이고 모세의 명한 예물을 드려 저희에게 증거하라 하시니라}}</ref> <br> | 레위기의 기록자는 [[모세]]다. 본서의 첫 구절이 '여호와께서 회막에서 모세를 부르시고 그에게 일러 가라사대'이며, 전체 27장 가운데 20장이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일러 가라사대'라는 문장으로 시작한다. 다른 성경들도 본서의 저자가 모세임을 증거하고 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스라#6장 |제목=에스라 6:18 |저널= |인용문= 제사장을 그 분반대로, 레위 사람을 그 반차대로 세워 예루살렘에서 하나님을 섬기게 하되 모세의 책에 기록된 대로 하게 하니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8장 |제목=마태복음 8:2-4 |저널= |인용문= 예수께서 이르시되 삼가 아무에게도 이르지 말고 다만 가서 제사장에게 네 몸을 보이고 모세의 명한 예물을 드려 저희에게 증거하라 하시니라}}</ref> <br> | ||
레위기는 회막이 완공되고 나서<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1장 |제목=레위기 1:1 |저널= |인용문= 여호와께서 회막에서 모세를 부르시고 그에게 일러 가라사대}}</ref> 하나님께서 시내산에서 주신 말씀을 모세가 기록한 책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26장 |제목=레위기 26:46 |저널= |인용문= 이상은 여호와께서 시내산에서 자기와 이스라엘 자손 사이에 모세로 세우신 규례와 법도와 율법이니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27장 |제목=레위기 27:34 |저널= |인용문= 이상은 여호와께서 시내산에서 이스라엘 자손을 위하여 모세에게 명하신 계명이니라}}</ref> 그렇다면 기록 시기는 회막을 완공한 출애굽 2년 1월 1일<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40장 |제목=출애굽기 40:17 |저널= |인용문= 제이년 정월 곧 그달 초일일에 성막을 세우니라}}</ref> 이후부터 시내산을 떠난 출애굽 2년 2월 20일<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10장 |제목=민수기 10:11-12 |저널= |인용문= 제이년 이월 | 레위기는 회막이 완공되고 나서<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1장 |제목=레위기 1:1 |저널= |인용문= 여호와께서 회막에서 모세를 부르시고 그에게 일러 가라사대}}</ref> 하나님께서 시내산에서 주신 말씀을 모세가 기록한 책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26장 |제목=레위기 26:46 |저널= |인용문= 이상은 여호와께서 시내산에서 자기와 이스라엘 자손 사이에 모세로 세우신 규례와 법도와 율법이니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27장 |제목=레위기 27:34 |저널= |인용문= 이상은 여호와께서 시내산에서 이스라엘 자손을 위하여 모세에게 명하신 계명이니라}}</ref> 그렇다면 기록 시기는 회막을 완공한 출애굽 2년 1월 1일<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40장 |제목=출애굽기 40:17 |저널= |인용문= 제이년 정월 곧 그달 초일일에 성막을 세우니라}}</ref> 이후부터 시내산을 떠난 출애굽 2년 2월 20일<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10장 |제목=민수기 10:11-12 |저널= |인용문= 제이년 이월 이십일에 구름이 증거막에서 떠오르매 이스라엘 자손이 시내 광야에서 출발하여 자기 길을 행하더니}}</ref> 사이로 추정된다. | ||
==특징== | ==특징== | ||
* 레위기는 분명하고 직설적인 문장으로 제사장과 일반 백성들이 어떻게 거룩하고 정결한 삶을 살 수 있는지를 말하고 있다. 이스라엘에게 거룩한 삶이 강조된 이유는 이들이 섬기는 하나님이 거룩한 분이기 때문이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11장 |제목=레위기 11:44-45 |저널= |인용문= 나는 여호와 너희 하나님이라 내가 거룩하니 너희도 몸을 구별하여 거룩하게 하고 땅에 기는 바 기어다니는 것으로 인하여 스스로 더럽히지 말라 나는 너희의 하나님이 되려고 너희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낸 여호와라 내가 거룩하니 너희도 | * 레위기는 분명하고 직설적인 문장으로 제사장과 일반 백성들이 어떻게 거룩하고 정결한 삶을 살 수 있는지를 말하고 있다. 이스라엘에게 거룩한 삶이 강조된 이유는 이들이 섬기는 하나님이 거룩한 분이기 때문이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11장 |제목=레위기 11:44-45 |저널= |인용문= 나는 여호와 너희 하나님이라 내가 거룩하니 너희도 몸을 구별하여 거룩하게 하고 땅에 기는 바 기어다니는 것으로 인하여 스스로 더럽히지 말라 나는 너희의 하나님이 되려고 너희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낸 여호와라 내가 거룩하니 너희도 거룩할지어다}}</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19장 |제목=레위기 19:2 |저널= |인용문= 너희는 거룩하라 나 여호와 너희 하나님이 거룩함이니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20장 |제목=레위기 20:26 |저널= |인용문= 너희는 내게 거룩할지어다 이는 나 여호와가 거룩하고 내가 또 너희로 나의 소유를 삼으려고 너희를 만민 중에서 구별하였음이니라}}</ref> | ||
* 회막에 하나님께서 거하신다는 것을 강조했다. 회막 앞 제단에서 지내는 제사를 '여호와 앞에서' 행하는 제사 의식,<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1장 |제목=레위기 1:3 |저널= |인용문= 그 예물이 소의 번제이면 흠 없는 수컷으로 회막 문에서 '''여호와 앞에''' 열납하시도록 드릴지니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3장 |제목=레위기 3:1, 7 |저널= |인용문= 사람이 만일 화목제의 희생을 예물로 드리되 소로 드리려거든 수컷이나 암컷이나 흠 없는 것으로 '''여호와 앞'''에 드릴지니 ... 만일 예물로 드리는 것이 어린양이면 그것을 '''여호와 앞으로''' 끌어다가}}</ref> '여호와께 드리는' 제사,<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2장 |제목=레위기 2:16 |저널= |인용문= 제사장은 찧은 곡식 얼마와 기름의 얼마와 모든 유향을 기념물로 불사를지니 이는 '''여호와께 드리는''' 화제니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3장 |제목=레위기 3:6, 11 |저널= |인용문= 만일 '''여호와께 예물로 드리는''' 화목제의 희생이 ... 이는 화제로 '''여호와께 드리는''' 식물이니라}}</ref> '여호와께 향기로운 냄새'가 되는 번제<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1장 |제목=레위기 1:9, 13, 17 |저널= |인용문= 제사장은 그 전부를 단 위에 불살라 번제를 삼을지니 이는 화제라 '''여호와께 향기로운 냄새'''니라 ... 이는 화제라 '''여호와께 향기로운 냄새'''니라 ... 이는 화제라 '''여호와께 향기로운 냄새'''니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2장 |제목=레위기 2:9 |저널= |인용문= 이는 화제라 '''여호와께 향기로운 냄새'''니라}}</ref> 등으로 설명했다. | * 회막에 하나님께서 거하신다는 것을 강조했다. 회막 앞 제단에서 지내는 제사를 '여호와 앞에서' 행하는 제사 의식,<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1장 |제목=레위기 1:3 |저널= |인용문= 그 예물이 소의 번제이면 흠 없는 수컷으로 회막 문에서 '''여호와 앞에''' 열납하시도록 드릴지니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3장 |제목=레위기 3:1, 7 |저널= |인용문= 사람이 만일 화목제의 희생을 예물로 드리되 소로 드리려거든 수컷이나 암컷이나 흠 없는 것으로 '''여호와 앞'''에 드릴지니 ... 만일 예물로 드리는 것이 어린양이면 그것을 '''여호와 앞으로''' 끌어다가}}</ref> '여호와께 드리는' 제사,<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2장 |제목=레위기 2:16 |저널= |인용문= 제사장은 찧은 곡식 얼마와 기름의 얼마와 모든 유향을 기념물로 불사를지니 이는 '''여호와께 드리는''' 화제니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3장 |제목=레위기 3:6, 11 |저널= |인용문= 만일 '''여호와께 예물로 드리는''' 화목제의 희생이 ... 이는 화제로 '''여호와께 드리는''' 식물이니라}}</ref> '여호와께 향기로운 냄새'가 되는 번제<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1장 |제목=레위기 1:9, 13, 17 |저널= |인용문= 제사장은 그 전부를 단 위에 불살라 번제를 삼을지니 이는 화제라 '''여호와께 향기로운 냄새'''니라 ... 이는 화제라 '''여호와께 향기로운 냄새'''니라 ... 이는 화제라 '''여호와께 향기로운 냄새'''니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2장 |제목=레위기 2:9 |저널= |인용문= 이는 화제라 '''여호와께 향기로운 냄새'''니라}}</ref> 등으로 설명했다. | ||
==레위인== | ==레위인== | ||
[[야곱]]의 셋째 아들인 레위의 후손을 이르는 말이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46장|제목=창세기 46: | [[야곱]]의 셋째 아들인 레위의 후손을 이르는 말이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46장|제목=창세기 46:8-11 |저널=|인용문=야곱과 그 아들들 곧 야곱의 맏아들 르우벤과 르우벤의 아들 하녹과 발루와 헤스론과 갈미요 시므온의 아들 곧 여무엘과 야민과 오핫과 야긴과 스할과 가나안 여인의 소생 사울이요 레위의 아들 곧 게르손과 그핫과 므라리요 }}</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6장|제목=출애굽기 6:16-19 |저널=|인용문=레위의 아들들의 이름은 그 연치대로 이러하니 게르손과 고핫과 므라리요 … 이들은 그 연치대로 레위의 족장이요 }}</ref> 레위의 둘째 아들인 그핫(고핫) 계열의 아론과 그 자손은 제사장 직책을 맡고,<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4장|제목=민수기 4:2-4 |저널=|인용문=레위 자손 중에서 고핫 자손을 그들의 가족과 종족을 따라 총계할지니 … 고핫 자손이 회막 안 지성물에 대하여 할 일은 이러하니라 }}</ref> 그 외의 레위 후손들은 제사장을 도와 성막(성전)에서 봉사하며, 하나님께 백성들의 죄를 대속하는 제반 업무를 수행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8장 |제목=민수기 8:16-22 |저널= |인용문= 그들[레위인]은 이스라엘 자손 중에서 내게 온전히 드린 바 된 자라 이스라엘 자손 중 일절 초태생 곧 모든 처음 난 자의 대신으로 내가 그들을 취하였나니 ... 이러므로 내가 이스라엘 자손 중 모든 처음 난 자의 대신으로 레위인을 취하였느니라 ... 후에 레위인이 회막에 들어가서 아론과 그 아들들의 앞에서 봉사하니라}}</ref> 백성들에게 하나님의 율법을 가르치고 지도하는 일도 담당했다. 제사장을 돕는 레위인의 봉사 기간은 25세부터 50세까지였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8장|제목=민수기 8:24-25 |저널=|인용문=레위인은 이같이 할지니 곧 이십오 세 이상으로는 회막에 들어와서 봉사하여 일할 것이요 오십 세부터는 그 일을 쉬어 봉사하지 아니할 것이나 }}</ref> <br> | ||
하나님이 그들의 기업이었기에 레위인들은 가나안 정복 후 땅을 기업으로 받지 않았다. 그 대신 6개의 [[도피성 제도|도피성]]을 포함해 이스라엘 각 지파로부터 48개 성읍과 주변 목초지, 십일조를 분배받았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35장 |제목=민수기 35:1-8 |저널= |인용문= 이스라엘 자손에게 명하여 그들의 얻은 기업에서 레위인에게 거할 성읍들을 주게 하고 너희는 또 그 성읍 사면의 들을 레위인에게 주어서 성읍으로는 그들의 거처가 되게 하고 들로는 그들의 가축과 물산과 짐승들을 둘 곳이 되게 할 것이라 ... 너희가 레위인에게 줄 성읍은 살인자로 피케 할 도피성으로 여섯 성읍이요 그 외에 | 하나님이 그들의 기업이었기에 레위인들은 가나안 정복 후 땅을 기업으로 받지 않았다. 그 대신 6개의 [[도피성 제도|도피성]]을 포함해 이스라엘 각 지파로부터 48개 성읍과 주변 목초지, 십일조를 분배받았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35장 |제목=민수기 35:1-8 |저널= |인용문= 이스라엘 자손에게 명하여 그들의 얻은 기업에서 레위인에게 거할 성읍들을 주게 하고 너희는 또 그 성읍 사면의 들을 레위인에게 주어서 성읍으로는 그들의 거처가 되게 하고 들로는 그들의 가축과 물산과 짐승들을 둘 곳이 되게 할 것이라 ... 너희가 레위인에게 줄 성읍은 살인자로 피케 할 도피성으로 여섯 성읍이요 그 외에 사십이 성읍이라 너희가 레위인에게 모두 사십팔 성읍을 주고 그 들도 함께 주되}}</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18장 |제목=민수기 18:20-24 |저널= |인용문= 여호와께서 또 아론에게 이르시되 너는 이스라엘 자손의 땅의 기업도 없겠고 그들 중에 아무 분깃도 없을 것이나 나는 이스라엘 자손 중에 네 분깃이요 네 기업이니라 내가 이스라엘의 십일조를 레위 자손에게 기업으로 다 주어서 그들의 하는 일 곧 회막에서 하는 일을 갚나니}}</ref> | ||
==레위기의 내용 구성== | ==레위기의 내용 구성== | ||
| 53번째 줄: | 53번째 줄: | ||
===제사법[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1장 (1-16장)]=== | ===제사법[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1장 (1-16장)]=== | ||
'''제사'''(1-7장) <br> | '''제사'''(1-7장) <br> | ||
모세 율법에 따른 | 모세 율법에 따른 [[구약의 제사|제사]]는 다양했다. 곡물을 제물로 바치는 소제 외에 번제, 화목제, 속죄제, 속건제에는 모두 짐승이 희생되었다. 이스라엘 백성은 정해진 방법에 따라 희생 제물을 준비해 하나님께 제사를 드렸다. <br> | ||
'''제사장의 직무'''(8-10장) <br> | '''제사장의 직무'''(8-10장) <br> | ||
제사장은 | 제사장은 성소에서 제사를 맡아보는 사람이다. <br> | ||
하나님은 아론과 그 아들들을 제사장으로 삼으셨다. 아론이 제사장으로서 드린 첫 제사를 하나님은 기쁘게 받으셨다. 하지만 아론의 아들 나답과 아비후는 하나님이 정하신 불이 아닌 다른 불을 담아 성소에 나아갔다가 죽음을 당했다. <br> | 하나님은 아론과 그 아들들을 제사장으로 삼으셨다. 아론이 제사장으로서 드린 첫 제사를 하나님은 기쁘게 받으셨다. 하지만 아론의 아들 나답과 아비후는 하나님이 정하신 불이 아닌 다른 불을 담아 성소에 나아갔다가 죽음을 당했다. <br> | ||
| 86번째 줄: | 86번째 줄: | ||
'''안식년과 희년'''(25장) <br> | '''안식년과 희년'''(25장) <br> | ||
7년마다 돌아오는 | 7년마다 돌아오는 안식년은, 농사를 짓지 않고 땅을 안식하게 하는 해였다. 안식년이 7번 지나고 이듬해에 맞는 50년째는 희년이라고 했다. <br> | ||
희년에도 안식년과 마찬가지로 땅을 쉬게 했다. 그뿐 아니라 종들은 자유를 얻어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었고, 가난해서 조상 대대로 물려받은 땅을 팔았던 사람은 다시 그 땅을 돌려받았다. <br> | 희년에도 안식년과 마찬가지로 땅을 쉬게 했다. 그뿐 아니라 종들은 자유를 얻어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었고, 가난해서 조상 대대로 물려받은 땅을 팔았던 사람은 다시 그 땅을 돌려받았다. <b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