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식일: 두 판 사이의 차이

Sally (토론 | 기여)
Sally (토론 | 기여)
67번째 줄: 67번째 줄:
*'''근거3. 역사 기록'''
*'''근거3. 역사 기록'''
기원전 63년 로마 장군 폼페이우스가 예루살렘을 정복한 일에 대해 기록한 두 가지 역사서를 비교해 보면 성경의 안식일이 토요일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br>
기원전 63년 로마 장군 폼페이우스가 예루살렘을 정복한 일에 대해 기록한 두 가지 역사서를 비교해 보면 성경의 안식일이 토요일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br>
1세기 유대인 역사가 요세푸스는 폼페이우스가 유대인들이 일곱째 날 안식일에 일하지 않는 점을 이용하여 예루살렘을 정복했다고 기록했다. 군대를 이끌고 예루살렘 성전을 포위한 폼페이우스는 유대인들이 일곱째 날 안식일에는 공격을 하지 않고 방어만 한다는 것을 눈치챘다. 로마군은 안식일마다 아무런 방해도 받지 않은 채 성전을 둘러싼 참호와 골짜기를 메우는 공사를 진행하고 공성기를 운반했다. 결국 예루살렘 성전은 3개월 만에 함락됐다.<ref>플라비우스 요세푸스,《유대고대사》, 제14권 4장, "And had it not been our practice, from the days of our forefathers, '''to rest on the seventh day''', this bank could never have been perfected, by reason of the opposition the Jews would have made; for though our law gives us leave then to defend ourselves against those that begin to fight with us and assault us, yet does it not permit us to meddle with our enemies while they do any thing else. Which thing when the Romans understood, '''on those days which we call Sabbaths''' they threw nothing at the Jews, nor came to any pitched battle with them; but raised up their earthen banks, and brought their engines into such forwardness, that they might do execution the next day."</ref><br>
1세기 유대인 역사가 요세푸스는 폼페이우스가 유대인들이 일곱째 날 안식일에 일하지 않는 점을 이용하여 예루살렘을 정복했다고 기록했다. 군대를 이끌고 예루살렘 성전을 포위한 폼페이우스는 유대인들이 일곱째 날 안식일에는 공격을 하지 않고 방어만 한다는 것을 눈치챘다. 로마군은 안식일마다 아무런 방해도 받지 않은 채 성전을 둘러싼 참호와 골짜기를 메우는 공사를 진행하고 공성기를 운반했다. 결국 예루살렘 성전은 3개월 만에 함락됐다.<ref>플라비우스 요세푸스,《유대고대사》제14권 4장, "And had it not been our practice, from the days of our forefathers, '''to rest on the seventh day''', this bank could never have been perfected, by reason of the opposition the Jews would have made; for though our law gives us leave then to defend ourselves against those that begin to fight with us and assault us, yet does it not permit us to meddle with our enemies while they do any thing else. Which thing when the Romans understood, '''on those days which we call Sabbaths''' they threw nothing at the Jews, nor came to any pitched battle with them; but raised up their earthen banks, and brought their engines into such forwardness, that they might do execution the next day."</ref><br>
3세기 초 로마 역사가 디오 카시우스는 같은 사건을 두고 유대인들이 '토성의 날'에 일하지 않아 로마인들이 성벽을 무너뜨릴 기회를 얻었다고 기록했다.<ref>디오 카시우스,《로마사》제37권 16장, "if they had continued defending it on all days alike, he could not have got possession of it. As it was, they made an excavation of '''what are called the days of Saturn''', and '''by doing no work at all on those days''' afforded the Romans an opportunity in this interval to batter down the wall. The latter, on learning of this superstitious awe of theirs, made no serious attempts the rest of the time, but on those days, when they came round in succession, assaulted most vigorously. Thus the defenders were captured '''on the day of Saturn''', without making any defence, and all the wealth was plundered."</ref><br>
3세기 초 로마 역사가 디오 카시우스는 같은 사건을 두고 유대인들이 '토성의 날'에 일하지 않아 로마인들이 성벽을 무너뜨릴 기회를 얻었다고 기록했다.<ref>디오 카시우스,《로마사》제37권 16장, "if they had continued defending it on all days alike, he could not have got possession of it. As it was, they made an excavation of '''what are called the days of Saturn''', and '''by doing no work at all on those days''' afforded the Romans an opportunity in this interval to batter down the wall. The latter, on learning of this superstitious awe of theirs, made no serious attempts the rest of the time, but on those days, when they came round in succession, assaulted most vigorously. Thus the defenders were captured '''on the day of Saturn''', without making any defence, and all the wealth was plundered."</ref><br>
이는 유대인들이 지켰던 일곱째 날 안식일이 로마인들에게는 토성의 날, 즉 토요일이었다는 의미다.  
이는 유대인들이 지켰던 일곱째 날 안식일이 로마인들에게는 토성의 날, 즉 토요일이었다는 의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