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인과 아벨: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 27번째 줄: | 27번째 줄: | ||
== 교훈 == | == 교훈 == | ||
===죄 사함과 피 흘림=== | ===죄 사함과 피 흘림=== | ||
[[File:Cainabel.jpg|섬네일|율리우스 슈노르 폰 카롤스펠트( | [[File:Cainabel.jpg|섬네일|율리우스 슈노르 폰 카롤스펠트(Schnorr von Carolsfeld, Julius), 1890, 하나님께 제사를 드리는 아벨과 가인]] | ||
성경은 가인을 악한 자, 아벨을 의로운 자로 평가한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3장|제목=마태복음 23:35|인용문=그러므로 의인 아벨의 피로부터 성전과 제단 사이에서 너희가 죽인 바라갸의 아들 사가랴의 피까지 땅 위에서 흘린 의로운 피가 다 너희에게 돌아가리라}}</ref>{{인용문5|내용='''가인'''같이 하지 말라 저는 '''악한 자'''에게 속하여 그 아우를 죽였으니 어찐 연고로 죽였느뇨 자기의 행위는 악하고 그 '''아우'''[아벨]의 행위는 '''의로움'''이니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1서#3장 요한1서 3:12]}} | 성경은 가인을 악한 자, 아벨을 의로운 자로 평가한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3장|제목=마태복음 23:35|인용문=그러므로 의인 아벨의 피로부터 성전과 제단 사이에서 너희가 죽인 바라갸의 아들 사가랴의 피까지 땅 위에서 흘린 의로운 피가 다 너희에게 돌아가리라}}</ref>{{인용문5|내용='''가인'''같이 하지 말라 저는 '''악한 자'''에게 속하여 그 아우를 죽였으니 어찐 연고로 죽였느뇨 자기의 행위는 악하고 그 '''아우'''[아벨]의 행위는 '''의로움'''이니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1서#3장 요한1서 3:12]}} | ||
사도 [[바울]]은 아벨이 하나님께 '의로운 자'로 인정받은 이유가 믿음으로써 가인보다 더 나은 제사를 드렸기 때문이라고 증거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11장|제목=히브리서 11:4|인용문=믿음으로 아벨은 가인보다 더 나은 제사를 하나님께 드림으로 의로운 자라 하시는 증거를 얻었으니 하나님이 그 예물에 대하여 증거하심이라 저가 죽었으나 그 믿음으로써 오히려 말하느니라}}</ref> 하나님이 아벨의 제사를 열납한 것은 피 흘림의 제사였기 때문이다. 제사의 주 목적은 죄 사함이다. 성경은 [[죄 사함]]에는 반드시 피 흘림이 있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인용문5|내용=율법을 좇아 거의 모든 물건이 피로써 정결케 되나니 '''피 흘림이 없은즉 사함이 없느니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9장 히브리서 9:22]}} | 사도 [[바울]]은 아벨이 하나님께 '의로운 자'로 인정받은 이유가 믿음으로써 가인보다 더 나은 제사를 드렸기 때문이라고 증거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11장|제목=히브리서 11:4|인용문=믿음으로 아벨은 가인보다 더 나은 제사를 하나님께 드림으로 의로운 자라 하시는 증거를 얻었으니 하나님이 그 예물에 대하여 증거하심이라 저가 죽었으나 그 믿음으로써 오히려 말하느니라}}</ref> 하나님이 아벨의 제사를 열납한 것은 피 흘림의 제사였기 때문이다. 제사의 주 목적은 죄 사함이다. 성경은 [[죄 사함]]에는 반드시 피 흘림이 있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인용문5|내용=율법을 좇아 거의 모든 물건이 피로써 정결케 되나니 '''피 흘림이 없은즉 사함이 없느니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9장 히브리서 9:2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