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브라함 가정의 역사: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이삭]](Issac)은 아브라함과 그의 본처 사라 사이에서 난 외아들이다. 하나님께서는 나이 많아 폐경이었던 사라에게 아들을 낳을 것이라 말씀하시며 이삭이란 이름을 지어주셨다. 그 이름의 뜻은 '웃음'이다.<ref name="창세기17">{{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7장 |제목=창세기 17:19 |인용문= 하나님이 가라사대 아니라 네 아내 사라가 정녕 네게 아들을 낳으리니 너는 그 이름을 이삭이라 하라 내가 그와 내 언약을 세우리니 그의 후손에게 영원한 언약이 되리라}}</ref> 이삭이 태어났을 때 아브라함이 100세였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21장 |제목=창세기 21:5 |인용문= 아브라함이 그 아들 이삭을 낳을 때에 백 세라}}</ref> 하나님의 약속대로 아브라함과 사라는 노년에 귀한 아들 이삭을 얻고 매우 기뻐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21장 |제목=창세기 21:2-6 |인용문= 사라가 잉태하고 하나님의 말씀하신 기한에 미쳐 늙은 아브라함에게 아들을 낳으니 아브라함이 그 낳은 아들 곧 사라가 자기에게 낳은 아들을 이름하여 이삭이라 하였고 ... 사라가 가로되 하나님이 나로 웃게 하시니 듣는 자가 다 나와 함께 웃으리로다}}</ref> 아브라함의 후사는 엘리에셀과 이스마엘이 순차적으로 탈락한 뒤 이삭으로 최종 결정됐다. | [[이삭]](Issac)은 아브라함과 그의 본처 사라 사이에서 난 외아들이다. 하나님께서는 나이 많아 폐경이었던 사라에게 아들을 낳을 것이라 말씀하시며 이삭이란 이름을 지어주셨다. 그 이름의 뜻은 '웃음'이다.<ref name="창세기17">{{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7장 |제목=창세기 17:19 |인용문= 하나님이 가라사대 아니라 네 아내 사라가 정녕 네게 아들을 낳으리니 너는 그 이름을 이삭이라 하라 내가 그와 내 언약을 세우리니 그의 후손에게 영원한 언약이 되리라}}</ref> 이삭이 태어났을 때 아브라함이 100세였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21장 |제목=창세기 21:5 |인용문= 아브라함이 그 아들 이삭을 낳을 때에 백 세라}}</ref> 하나님의 약속대로 아브라함과 사라는 노년에 귀한 아들 이삭을 얻고 매우 기뻐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21장 |제목=창세기 21:2-6 |인용문= 사라가 잉태하고 하나님의 말씀하신 기한에 미쳐 늙은 아브라함에게 아들을 낳으니 아브라함이 그 낳은 아들 곧 사라가 자기에게 낳은 아들을 이름하여 이삭이라 하였고 ... 사라가 가로되 하나님이 나로 웃게 하시니 듣는 자가 다 나와 함께 웃으리로다}}</ref> 아브라함의 후사는 엘리에셀과 이스마엘이 순차적으로 탈락한 뒤 이삭으로 최종 결정됐다. | ||
{{인용문5 |내용= 아브라함이 이삭에게 자기 모든 소유를 주었고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25장 창세기 25:5]}} | {{인용문5 |내용= 아브라함이 이삭에게 자기 모든 소유를 주었고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25장 창세기 25:5]}} | ||
이삭은 아브라함의 아들이어야 한다는 조건만 아니라 사라의 아들이어야 한다는 조건을 충족했다. 당시에는 [[장자]]가 상속을 받는 것이 일반적이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25장 |제목=창세기 25:31 |저널= |인용문=야곱이 가로되 형의 장자의 명분을 오늘날 내게 팔라 }}</ref> 부계(父係)로 보자면 장자는 이스마엘이므로 그가 상속인이 되어야 했다.<ref>{{인용 |url= |제목=사라와 하갈 |웹사이트= |저널=성서 그리고 역사 |출판사=황소자리 출판사 |날짜=2012.5.10. |연도= |저자=장-피에르 이즈부츠 |쪽=65 |시리즈= |isbn=9788991508682 |인용문=메소포타미아 부족에서 자주 일어나는 이러한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함무라비 법전에는 분명한 조항이 마련되어 있다. 노예 소생이라 해도 아버지로부터 ‘내 자식’이라는 말을 들은 자식이라면 정실 소생과 동등한 대접을 받으며 상속에서도 동등하다는 것이다(170조). }}</ref> 그러나 하나님은 장자상속제도를 배제하고 이스마엘 대신 이삭을 아브라함의 후사로 택하셨다. 사라가 아들을 낳을 것을 예언하시며 그와 언약을 세우겠다고 하신 하나님 말씀 그대로였다.<ref name="창세기17"></ref> 이로 보건대 차남인 이삭이 아브라함의 후사가 될 수 있었던 이유는 아브라함의 친자이면서도 어머니가 종 하갈이 아닌 자유자 사라이기 때문이었다. | 이삭은 아브라함의 아들이어야 한다는 조건만 아니라 사라의 아들이어야 한다는 조건을 충족했다. 당시에는 [[장자]]가 상속을 받는 것이 일반적이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25장 |제목=창세기 25:31 |저널= |인용문=야곱이 가로되 형의 장자의 명분을 오늘날 내게 팔라 }}</ref> 부계(父係)로 보자면 장자는 이스마엘이므로 그가 상속인이 되어야 했다.<ref>{{인용 |url= |제목=사라와 하갈 |웹사이트= |저널=성서 그리고 역사 |출판사=황소자리 출판사 |날짜=2012.5.10. |연도= |저자=장-피에르 이즈부츠 저|저자2=이상원 역|쪽=65 |시리즈= |isbn=9788991508682 |인용문=메소포타미아 부족에서 자주 일어나는 이러한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함무라비 법전에는 분명한 조항이 마련되어 있다. 노예 소생이라 해도 아버지로부터 ‘내 자식’이라는 말을 들은 자식이라면 정실 소생과 동등한 대접을 받으며 상속에서도 동등하다는 것이다(170조). }}</ref> 그러나 하나님은 장자상속제도를 배제하고 이스마엘 대신 이삭을 아브라함의 후사로 택하셨다. 사라가 아들을 낳을 것을 예언하시며 그와 언약을 세우겠다고 하신 하나님 말씀 그대로였다.<ref name="창세기17"></ref> 이로 보건대 차남인 이삭이 아브라함의 후사가 될 수 있었던 이유는 아브라함의 친자이면서도 어머니가 종 하갈이 아닌 자유자 사라이기 때문이었다.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