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일 휴업령: 두 판 사이의 차이

Sally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Sally (토론 | 기여)
21번째 줄: 21번째 줄:
또한 콘스탄티누스에게 기독교는 로마제국 전체를 하나로 묶어줄 수단이었다.
또한 콘스탄티누스에게 기독교는 로마제국 전체를 하나로 묶어줄 수단이었다.
{{인용문|콘스탄틴은 교회를 애호하려는 분명한 생각을 가지고 출발한 것은 틀림없으나 비록 그것은 그렇다 할지라도 이교도들을 잘 달래는 일도 필요하였다. 따라서 밀란(Milan)에서 합의를 본 그 정책은 모든 종교는 완전히 동등한 것으로 인정한 것이었다. 그러나 콘스탄틴은 다스려 가면서 점점 더 그리스도교인을 지지하였고, 그리고 '''그의 목적은 그리스도교가 전 제국을 하나로 묶어 줄 세멘트[시멘트]가 되도록 하자는 것이었다'''고 우리가 결론을 지을 수 있다.|J.W.C. 완드, 《교회사(초대편)》, 이장식 역, 대한기독교서회, 2000, 192쪽}}
{{인용문|콘스탄틴은 교회를 애호하려는 분명한 생각을 가지고 출발한 것은 틀림없으나 비록 그것은 그렇다 할지라도 이교도들을 잘 달래는 일도 필요하였다. 따라서 밀란(Milan)에서 합의를 본 그 정책은 모든 종교는 완전히 동등한 것으로 인정한 것이었다. 그러나 콘스탄틴은 다스려 가면서 점점 더 그리스도교인을 지지하였고, 그리고 '''그의 목적은 그리스도교가 전 제국을 하나로 묶어 줄 세멘트[시멘트]가 되도록 하자는 것이었다'''고 우리가 결론을 지을 수 있다.|J.W.C. 완드, 《교회사(초대편)》, 이장식 역, 대한기독교서회, 2000, 192쪽}}
콘스탄티누스는 로마제국 내에 늘어나고 있는 기독교인들을 핍박하기보다는 자신의 지지기반으로 만들어 기독교 세력을 중심으로 기존 다신교 세력을 통합하고자 했다. 일요일 휴업령 역시 이 같은 의도에서 나온 정책이다. 콘스탄티누스는 일요일을 신성시하는 태양신교와 이미 하나님의 가르침을 떠나 일요일 예배를 지키고 있던 기독교(서방 교회)를 통합하는 묘책으로 일요일 휴업령을 내린 것이다.
콘스탄티누스는 로마제국 내에 늘어나고 있는 기독교인들을 핍박하기보다는 자신의 지지 기반으로 만들어 기독교 세력을 중심으로 기존 다신교 세력을 통합하고자 했다. 일요일 휴업령 역시 이 같은 의도에서 나온 정책이다. 콘스탄티누스는 일요일을 신성시하는 태양신교와 이미 하나님의 가르침을 떠나 일요일 예배를 지키고 있던 기독교(서방 교회)를 통합하는 묘책으로 일요일 휴업령을 내린 것이다.


==일요일 휴업령의 영향==
==일요일 휴업령의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