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104번째 줄: |
104번째 줄: |
| ==안식일에 대한 교파별 입장== | | ==안식일에 대한 교파별 입장== |
| ===유대교=== | | ===유대교=== |
| 유대교의 안식일은 금요일 해 지는 시각에 시작해 토요일 해 지는 시각에 끝난다. 안식일에 일을 하지 않는 구약 율법에 따라 이스라엘에서는 안식일에 관공서와 식당, 상점 등이 문을 닫고 버스·전철 같은 대중교통이 운행을 중단한다.<ref>"[https://www.mk.co.kr/news/home/view/2007/01/31079/ 토요일엔 상점 문닫는 이스라엘]", 《매일경제》, 2007. 1. 19.</ref> 가정에서는 금요일 해가 지기 전 두 개의 초를 켜놓고 안식일이 시작되면 '할라'라고 하는 안식일용 빵과 포도주로 만찬을 갖는다. 안식일을 철저하게 지키는 정통파 유대인들은 전기 스위치를 켜거나 끄는 것도 금지하기 때문에 전등불이 자동으로 꺼지도록 장치를 해놓은 집이 많다. 호텔이나 고층 아파트는 안식일에 탑승자가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매 층마다 자동으로 서는 승강기를 설치해 놓았다.<ref>"[https://www.gndaily.kr/news/articleView.html?idxno=25204 안식일에 안식하지 못하는 사람들]", 《굿뉴스데일리》, 2017. 2. 20.</ref><br>
| |
| 이스라엘 국적항공사인 엘알항공은 안식일에 비행기 운행을 하지 않는다. 공항도 비행기 이착륙을 중단하기 때문에 항공사들은 이스라엘로 향하는 비행기 시간표를 안식일 이전이나 이후로 조정해야 한다. 정통파 유대인들이 사는 지역에는 안식일에 외국인들이나 타지방 사람들이 차를 몰고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로의 입구마다 철제 바리케이트를 설치한다. 차를 몰고 들어갈 경우 그곳의 유대인들이 돌을 던져 차를 부수기도 하기 때문이다.<ref>"[https://www.christiantoday.co.kr/news/318033 유대인 삶의 중심, 안식일]", 《크리스천투데이》, 2018. 11. 28.</ref>
| |
| ===천주교===
| |
| 성경의 안식일은 토요일이지만 가톨릭교의 권위로 주일(일요일) 예배 교리를 만들었다는 입장이다.
| |
| {{인용문|성서에 일요일이 아니라 토요일로 명시되어 있으니 성교회로가 아니라 성서에서부터 직접 종교를 끌어왔다고 우기는 가톨릭이 아닌 이들도 토요일 대신 일요일을 지키는 것이 이상하지 않은가? 정말 이치에 맞지 않는다. 그러나 실은 개신교가 태어나기 15세기 전에 이렇게 변경된 것으로 개신교가 탄생된 당시에는 이것이 보편적인 관습이 되어 있었다. 이것은 비록 '''성서에 명시된 글에 따른 것이 아니고 가톨릭교회의 권위에 바탕을 둔 것'''이지만 그들은 이 관습을 그대로 계속해오고 있다.|존 오브라이언, 《억만인의 신앙》, 정진석 역, 가톨릭출판사, 2006, 600쪽}}
| |
| 일요일은 태양을 숭배하는 날이었으나 초기 그리스도인들이 전례적 목적으로 일요일을 주님의 날이라 하며 그리스도의 부활과 성령 강림을 기념했다고 주장한다.<ref>"[https://maria.catholic.or.kr/dictionary/term/term_view.asp?ctxtIdNum=3281&keyword=%EC%A3%BC%EC%9D%BC&gubun=01 주일]", 《가톨릭 사전》, 천주교 서울대교구.</ref><br>
| |
| 십계명 중 안식일에 관한 계명도 성경과 다르게 변경했다. 가톨릭교는 5세기경 아우구스티누스 주교와 몇몇 교부들이 분류한 십계명을 사용하는데 이 분류는 '안식일을 기억하여 거룩히 지키라'는 계명 대신 '주일을 지키라'는 계명을 넣었다.<ref>"[https://pasteve.com/christianity-comparison/catholic/the-ten-commandments-and-catholic/ 십계명도 고친 천주교]", 《패스티브》</ref>
| |
|
| |
| ===개신교===
| |
| 칼뱅주의 신앙을 담고 있는 교리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한글로 번역한 《신도게요서》 제21장에 따르면, 개신교는 '안식일은 창세부터 그리스도의 부활까지는 일주일의 마지막 날(토요일)이었으나 그리스도의 부활 이후 일주일의 첫날(일요일)로 바뀌었다'고 주장한다.<ref>"[http://www.gapck.org/sub_06/sub09_21.asp 신도게요서]", 《총회헌법》,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ref> 이들은 사도행전 20장 7절<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20장|제목=사도행전 20:7|인용문=안식 후 첫날에 우리가 떡을 떼려 하여 모였더니}}</ref>과 고린도전서 16장 2절<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6장|제목=고린도전서 16:2|인용문=매주일 첫날에 너희 각 사람이 이를 얻은 대로 저축하여 두어서 내가 갈 때에 연보를 하지 않게 하라}}</ref> 등이 초대교회가 매주 첫날인 일요일에 [[주일예배 (일요일 예배)|주일예배]]를 드린 기록이라고 주장한다.<ref>박원섭, 《새신자 가이드》, 한국문서선교회, 1998, 80쪽, "2.왜 이레 중 첫날을 주일로 지키는가? ... 4)성경에 보면 신약 교회 설립 시초부터 주일을 지켜왔기 때문입니다(행20:7, 고전16:2, 계1:10)"</ref> 그러나 사도행전 20장은 부활절을 기념하는 장면이고, 고린도전서 16장은 예루살렘을 돕기 위한 특별헌금 방법에 대한 권면일 뿐 매주 일요일 예배 기록이 아니다.
| |
| {{참고|주일예배 (일요일 예배) #성경적 견해|설명=더 자세한 내용은}}
| |
|
| |
| ===안식교===
| |
|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안식교)는 유대인들의 관습을 따라 하루의 시작을 해 질 때로 보고 금요일 해 질 때부터 토요일 해 질 때까지를 안식일로 여겨 금요일 저녁과 토요일 오전·오후에 예배를 드린다. 안식교는 안식일이 하나님과 백성 사이의 표징이라는 구절을 들어 안식일이 '하나님의 인'이라고 주장한다.<ref>"[https://pasteve.com/christianity-comparison/sda/seventh-day-adventist-church-sabbath/ 안식일이 '하나님의 인'인가?]", 《패스티브》</ref>
| |
| 유대교의 안식일은 금요일 해 지는 시각에 시작해 토요일 해 지는 시각에 끝난다. 안식일에 일을 하지 않는 구약 율법에 따라 이스라엘에서는 안식일에 관공서와 식당, 상점 등이 문을 닫고 버스·전철 같은 대중교통이 운행을 중단한다.<ref>"[https://www.mk.co.kr/news/home/view/2007/01/31079/ 토요일엔 상점 문닫는 이스라엘]", 《매일경제》, 2007. 1. 19.</ref> 가정에서는 금요일 해가 지기 전 두 개의 초를 켜놓고 안식일이 시작되면 '할라'라고 하는 안식일용 빵과 포도주로 만찬을 갖는다. 안식일을 철저하게 지키는 정통파 유대인들은 전기 스위치를 켜거나 끄는 것도 금지하기 때문에 전등불이 자동으로 꺼지도록 장치를 해놓은 집이 많다. 호텔이나 고층 아파트는 안식일에 탑승자가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매 층마다 자동으로 서는 승강기를 설치해 놓았다.<ref>"[https://www.gndaily.kr/news/articleView.html?idxno=25204 안식일에 안식하지 못하는 사람들]", 《굿뉴스데일리》, 2017. 2. 20.</ref><br> | | 유대교의 안식일은 금요일 해 지는 시각에 시작해 토요일 해 지는 시각에 끝난다. 안식일에 일을 하지 않는 구약 율법에 따라 이스라엘에서는 안식일에 관공서와 식당, 상점 등이 문을 닫고 버스·전철 같은 대중교통이 운행을 중단한다.<ref>"[https://www.mk.co.kr/news/home/view/2007/01/31079/ 토요일엔 상점 문닫는 이스라엘]", 《매일경제》, 2007. 1. 19.</ref> 가정에서는 금요일 해가 지기 전 두 개의 초를 켜놓고 안식일이 시작되면 '할라'라고 하는 안식일용 빵과 포도주로 만찬을 갖는다. 안식일을 철저하게 지키는 정통파 유대인들은 전기 스위치를 켜거나 끄는 것도 금지하기 때문에 전등불이 자동으로 꺼지도록 장치를 해놓은 집이 많다. 호텔이나 고층 아파트는 안식일에 탑승자가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매 층마다 자동으로 서는 승강기를 설치해 놓았다.<ref>"[https://www.gndaily.kr/news/articleView.html?idxno=25204 안식일에 안식하지 못하는 사람들]", 《굿뉴스데일리》, 2017. 2. 20.</ref><br> |
| 이스라엘 국적항공사인 엘알항공은 안식일에 비행기 운행을 하지 않는다. 공항도 비행기 이착륙을 중단하기 때문에 항공사들은 이스라엘로 향하는 비행기 시간표를 안식일 이전이나 이후로 조정해야 한다. 정통파 유대인들이 사는 지역에는 안식일에 외국인들이나 타지방 사람들이 차를 몰고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로의 입구마다 철제 바리케이트를 설치한다. 차를 몰고 들어갈 경우 그곳의 유대인들이 돌을 던져 차를 부수기도 하기 때문이다.<ref>"[https://www.christiantoday.co.kr/news/318033 유대인 삶의 중심, 안식일]", 《크리스천투데이》, 2018. 11. 28.</ref> | | 이스라엘 국적항공사인 엘알항공은 안식일에 비행기 운행을 하지 않는다. 공항도 비행기 이착륙을 중단하기 때문에 항공사들은 이스라엘로 향하는 비행기 시간표를 안식일 이전이나 이후로 조정해야 한다. 정통파 유대인들이 사는 지역에는 안식일에 외국인들이나 타지방 사람들이 차를 몰고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로의 입구마다 철제 바리케이트를 설치한다. 차를 몰고 들어갈 경우 그곳의 유대인들이 돌을 던져 차를 부수기도 하기 때문이다.<ref>"[https://www.christiantoday.co.kr/news/318033 유대인 삶의 중심, 안식일]", 《크리스천투데이》, 2018. 11. 28.</re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