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이사: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Bluehi (토론 | 기여)
잔글 각주 형식 수정(작가용 일치)
4번째 줄: 4번째 줄:
==기원==
==기원==
황제를 지칭하는 '가이사'의 기원이 된 율리우스 카이사르(영어식 독음은 줄리어스 시저)는 로마 공화정 말기의 정치가이자 장군이다. 그는 군인으로서 이룩한 전공(戰功)을 바탕으로 정치적 영향력을 키웠고 내전을 일으켜 정권을 장악했다. 자신을 종신 독재관(獨裁官, 라틴어: dictator)으로 선언하며 귀족 중심인 로마 공화정을 1인 지배 체제인 로마제국으로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얼마 뒤 그가 정적들에게 암살당하자 양자 옥타비아누스가 모든 정치적 유산을 이어받아 로마제국의 초대 황제가 되었다.<br>
황제를 지칭하는 '가이사'의 기원이 된 율리우스 카이사르(영어식 독음은 줄리어스 시저)는 로마 공화정 말기의 정치가이자 장군이다. 그는 군인으로서 이룩한 전공(戰功)을 바탕으로 정치적 영향력을 키웠고 내전을 일으켜 정권을 장악했다. 자신을 종신 독재관(獨裁官, 라틴어: dictator)으로 선언하며 귀족 중심인 로마 공화정을 1인 지배 체제인 로마제국으로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얼마 뒤 그가 정적들에게 암살당하자 양자 옥타비아누스가 모든 정치적 유산을 이어받아 로마제국의 초대 황제가 되었다.<br>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사후, 로마의 정치 기구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42283 원로원]은 그를 신격화하여 숭배했다.<ref>{{웹 인용 |url=http://jmagazine.joins.com/forbes/view/320240 |제목= 로마 폐허 속 율리우스 카이사르 신화 |웹사이트= |저널=포브스 코리아 |출판사= |날짜=2018년 3월호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살해된 다음 날인 3월 16일 카시우스와 브루투스를 주축으로 하는 암살 주모자들은 정적을 깨고 로마 시민들이 모여 있는 포로 로마노의 광장에 나섰다. 원로원은 암살범들을 사면해주는 대신에 카이사르의 정책을 고수하며, 카이사르를 추모하는 국장(國葬)을 치르고 카이사르를 신격화한다는 것이었다. }}</ref> 그의 성(姓)인 카이사르(가이사)는 로마 황제를 가리키는 용어가 되었다. 카이사르(가이사)는 근대에까지 영향을 끼쳐, 황제를 뜻하는 영어의 시저(Caesar), 독일어 '카이저(Kaiser)', 러시아어 '차르(царь)' 등의 어원이 되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사후, 로마의 정치 기구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42283 원로원]은 그를 신격화하여 숭배했다.<ref>"[http://jmagazine.joins.com/forbes/view/320240 로마 폐허 속 율리우스 카이사르 신화]", 《포브스 코리아》, 2018년 3월호,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살해된 다음 날인 3월 16일 카시우스와 브루투스를 주축으로 하는 암살 주모자들은 정적을 깨고 로마 시민들이 모여 있는 포로 로마노의 광장에 나섰다. ... 원로원은 암살범들을 사면해주는 대신에 카이사르의 정책을 고수하며, 카이사르를 추모하는 국장(國葬)을 치르고 카이사르를 신격화한다는 것이었다."</ref> 그의 성(姓)인 카이사르(가이사)는 로마 황제를 가리키는 용어가 되었다. 카이사르(가이사)는 근대에까지 영향을 끼쳐, 황제를 뜻하는 영어의 시저(Caesar), 독일어 '카이저(Kaiser)', 러시아어 '차르(царь)' 등의 어원이 되었다.


==신약성경 속 가이사==
==신약성경 속 가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