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 비와 늦은 비: 두 판 사이의 차이

 
Rachel (토론 | 기여)
오픈용-작가용 일치 및 각주 수정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 Klimadiagramm-metrisch-deutsch-Tel Aviv-Israel.png|섬네일|이스라엘 기후. 파란색 선이 강수량, 빨간색 선이 기온을 나타냄]]
[[파일: Klimadiagramm-metrisch-deutsch-Tel Aviv-Israel.png|섬네일|이스라엘 기후. 파란색 선이 강수량, 빨간색 선이 기온을 나타냄]]
'''이른 비'''와 '''늦은 비'''는 이스라엘의 곡식농사에 있어 매우 중요한 비다. 이스라엘의 주식인 밀과 보리는 가을에 파종하여 봄에 거둔다. 이른 비(히브리어: [https://dict.naver.com/hbokodict/ancienthebrew/#/entry/hboko/a3980bb79d654d6da0061b9e8dcc9423 יוֹרֶה][요레], 영어: Former rain, Early rain, Autumn rain)는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word_no=492722&searchKeywordTo=3 태양력]으로 10-11월경 우기가 시작될 때 내리는 가을비로, 건기 동안 메말랐던 땅을 적셔 경작하기 쉽게 해준다. 늦은 비(히브리어: [https://dict.naver.com/hbokodict/ancienthebrew/#/entry/hboko/38158c9ededb467d89c3769d6f2f9d7d מַלקוֹשׁ][말코쉬], 영어: Latter rain, Spring rain)는 우기가 끝나가는 3-4월경에 내리는 봄비로, 추수 시기에 곡식의 결실을 풍성하게 해준다. [[성경]]에서 이른 비와 늦은 비는 [[하나님]]이 부어주시는 축복인 [[성령#성령의 역사|성령]]을 의미한다.  
'''이른 비'''와 '''늦은 비'''는 이스라엘의 곡식농사에 있어 매우 중요한 비다. 이스라엘의 주식인 밀과 보리는 가을에 파종하여 봄에 거둔다. 이른 비(히브리어: יוֹרֶה[요레],<ref>{{웹 인용 |url=https://dict.naver.com/hbokodict/ancienthebrew/#/entry/hboko/a3980bb79d654d6da0061b9e8dcc9423 |제목=יוֹרֶה |웹사이트=고대 히브리어사전 |인용문= }}</ref> 영어: Former rain, Early rain, Autumn rain)는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word_no=492722&searchKeywordTo=3 태양력]으로 10-11월경 우기가 시작될 때 내리는 가을비로, 건기 동안 메말랐던 땅을 적셔 경작하기 쉽게 해준다. 늦은 비(히브리어: מַלקוֹשׁ[말코쉬],<ref>{{웹 인용 |url=https://dict.naver.com/hbokodict/ancienthebrew/#/entry/hboko/38158c9ededb467d89c3769d6f2f9d7d |제목=מַלקוֹשׁ |웹사이트=고대 히브리어사전 |인용문= }}</ref> 영어: Latter rain, Spring rain)는 우기가 끝나가는 3-4월경에 내리는 봄비로, 추수 시기에 곡식의 결실을 풍성하게 해준다. [[성경]]에서 이른 비와 늦은 비는 [[하나님]]이 부어주시는 축복인 [[성령#성령의 역사|성령]]을 의미한다.  


==이스라엘의 자연환경==
==이스라엘의 자연환경==
이른 비와 늦은 비의 중요성은 이스라엘의 자연환경을 보면 알 수 있다. 이스라엘 지역은 고대부터 물이 귀했다. 성경 역사에서 [[아브라함]]을 비롯한 족장들은 주거지를 옮길 때마다 우물 때문에 분쟁을 겪거나 우물을 새로 파야 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26장 |제목=창세기 26:15–22 |저널= |인용문= 아비 아브라함 때에 그 아비의 종들이 판 모든 우물을 막고 흙으로 메웠더라 ... 이삭이 ... 그 아비 아브라함 때에 팠던 우물들을 다시 팠으니 이는 아브라함 죽은 후에 블레셋 사람이 그 우물들을 메웠음이라 ... 이삭의 종들이 골짜기에 파서 샘 근원을 얻었더니 그랄 목자들이 이삭의 목자와 다투어 가로되 이 물은 우리의 것이라 하매 이삭이 그 다툼을 인하여 그 우물 이름을 에섹이라 하였으며 또 다른 우물을 팠더니 그들이 또 다투는 고로 그 이름을 싯나라 하였으며 이삭이 거기서 옮겨 다른 우물을 팠더니 }}</ref>
이른 비와 늦은 비의 중요성은 이스라엘의 자연환경을 보면 알 수 있다. 이스라엘 지역은 고대부터 물이 귀했다. 성경 역사에서 [[아브라함]]을 비롯한 족장들은 주거지를 옮길 때마다 우물 때문에 분쟁을 겪거나 우물을 새로 파야 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26장 |제목=창세기 26:15–22 |저널= |인용문= 아비 아브라함 때에 그 아비의 종들이 판 모든 우물을 막고 흙으로 메웠더라 ... 이삭이 ... 그 아비 아브라함 때에 팠던 우물들을 다시 팠으니 이는 아브라함 죽은 후에 블레셋 사람이 그 우물들을 메웠음이라 ... 이삭의 종들이 골짜기에 파서 샘 근원을 얻었더니 그랄 목자들이 이삭의 목자와 다투어 가로되 이 물은 우리의 것이라 하매 이삭이 그 다툼을 인하여 그 우물 이름을 에섹이라 하였으며 또 다른 우물을 팠더니 그들이 또 다투는 고로 그 이름을 싯나라 하였으며 이삭이 거기서 옮겨 다른 우물을 팠더니 }}</ref>
*'''지형 및 농경'''
*'''지형 및 농경'''
:이스라엘은 국토의 60% 이상이 사막 지대다. 토질이 석회석과 사암 등으로 형성되어 있어 지하수를 얻기도 어렵다. 비교적 강수량이 풍부한 북부를 중심으로 비옥한 땅이 펼쳐져 있지만 전체 국토의 20%밖에 되지 않는다.<ref>[https://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784/globalBbsDataView.do?setIdx=403&dataIdx=190451 《2021년 이스라엘 농축산업 정보》], Kotra, 2021, "기후 및 지형으로 본 이스라엘의 농업 여건: 이스라엘의 국토면적(내륙 수면 면적 포함)은 22,072㎢로 한국의 1/5 정도 크기이며 경상북도의 면적과 비슷하다. 이스라엘 농업농촌개발부의 2020년 발표에 따르면, 2013년 기준 총 국토면적 대비 농경지 비중은 20% 수준이다. 골란 고원과 갈릴리, 이스르엘 골짜기 등 강수량이 풍부한 북부 산맥지대와 골짜기 지역을 중심으로 비옥한 땅이 형성되어 있어 북부지역에 농축산업이 주로 발달되어 있다. 비교적 온화한 기후 조건을 가진 해안평야지대에도 농경지가 분포되어 있다. 또한, 이스라엘은 작물재배에 적합하지 않은 기후조건을 가진 지역에도 관개기술과 온실재배 기술을 활용하여 작물재배를 하고 있다. 국토의 65%를 차지하는 네게브(Negev) 광야는 대부분 반건조 기후지역(semiarid regions)으로 연강수량이 200mm 이하이다. 이스라엘은 천연수자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환경에 처해있음에도 불구하고, 광야를 농지로 개간하고자 끊임없이 노력해왔다.</ref>
:이스라엘은 국토의 60% 이상이 사막 지대다. 토질이 석회석과 사암 등으로 형성되어 있어 지하수를 얻기도 어렵다. 비교적 강수량이 풍부한 북부를 중심으로 비옥한 땅이 펼쳐져 있지만 전체 국토의 20%밖에 되지 않는다.<ref>[https://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784/globalBbsDataView.do?setIdx=403&dataIdx=190451 《2021년 이스라엘 농축산업 정보》], Kotra, 2021, "기후 및 지형으로 본 이스라엘의 농업 여건: 이스라엘의 국토면적(내륙 수면 면적 포함)은 22,072㎢로 한국의 1/5 정도 크기이며 경상북도의 면적과 비슷하다. 이스라엘 농업농촌개발부의 2020년 발표에 따르면, 2013년 기준 총 국토면적 대비 농경지 비중은 20% 수준이다. 골란 고원과 갈릴리, 이스르엘 골짜기 등 강수량이 풍부한 북부 산맥지대와 골짜기 지역을 중심으로 비옥한 땅이 형성되어 있어 북부지역에 농축산업이 주로 발달되어 있다.</ref>
:가을에 주식인 보리와 밀 농사를 시작해서 봄에 추수하고, 여름에 올리브와 포도, 석류 등 과일나무를 재배해 가을에 수확한다. 비가 오지 않는 건기와 강우량이 많지 않은 지역의 식물들은 새벽에 생기는 이슬로 수분을 공급받아 생장(生長)한다.
:가을에 주식인 보리와 밀 농사를 시작해서 봄에 추수하고, 여름에 올리브와 포도, 석류 등 과일나무를 재배해 가을에 수확한다. 비가 오지 않는 건기와 강우량이 많지 않은 지역의 식물들은 새벽에 생기는 이슬로 수분을 공급받아 생장(生長)한다.
*'''기후'''
*'''기후'''
11번째 줄: 11번째 줄:


==이른 비와 늦은 비의 역할==
==이른 비와 늦은 비의 역할==
물이 부족한 이스라엘에서 비는 생활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 과거 농경사회에서는 비가 한 해 농사의 결과를 좌우하는데, 때에 맞게 내리는 이른 비와 늦은 비는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word_no=75174&searchKeywordTo=3 단비]'이자 축복의 상징이었다.<ref>필립 J. 킹, 로렌스 E. 스태거, 《고대 이스라엘 문화》, CLC, 2014, 137쪽, "팔레스타인의 기후는 아열대성 기후로 성경 시대 이후 변한 것이 거의 없다. ... 이렇듯 변덕스러운 강우량도 중요하지만 농업사회에서는 비가 오는 시기도 중요하다. 농부가 이미 알고 있는 비가 오는 적당한 시기는 예레미야가 말했던 것처럼 중요하다. "또 너희 마음으로 우리에게 이른 비와 늦은 비를 때를 따라 주시며 우리를 위하여 추수 기한을 정하시는 우리 하나님 여호와를 경외하자"(렘 5:24). 팔레스타인에는 단지 두 계절이 있을 뿐이다. 비가 전혀 오지 않는 5, 6월부터 9월까지의 여름 건기와 10월 중순부터 3월까지의 우기로 팔레스타인의 대부분의 비는 11월에서 2월 사이에 내린다. 히브리어에 비를 명칭하는 여러 개의 단어가 있는 것을 보아 농업을 위한 강우량이 매우 중요했음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는 마타르(mâṭâr)이다. 이른 비는 요레(yôreh), 늦은 비는 말코쉬(malqôš)로 함께 묶어서 사용되었다. ... 이른 비(요레<yôreh>)는 가을에 내려 땅을 부드럽게 만들어 땅을 갈고 씨뿌릴 수 있는 조건들로 만든다. 겨울의 폭우인 게쉠(gešem)은 땅을 적시고 물 저장고를 채운다. 늦은 비 말코쉬(malqôš)는 밀과 보리가 자라도록 돕는다.</ref><ref name=":0">{{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11장 |제목=신명기 11:14 |인용문=여호와께서 너희 땅에 이른 비, 늦은 비를 적당한 때에 내리시리니 너희가 곡식과 포도주와 기름을 얻을 것이요}}</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야고보서#5장 |제목=야고보서 5:7 |인용문=보라 농부가 땅에서 나는 귀한 열매를 바라고 길이 참아 이른 비와 늦은 비를 기다리나니}}</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시편#84장 |제목=시편 84:5-6|저널= |인용문=주께 힘을 얻고 그 마음에 시온의 대로가 있는 자는 복이 있나이다 저희는 눈물 골짜기로 통행할 때에 그곳으로 많은 샘의 곳이 되게 하며 이른 비도 은택을 입히나이다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잠언#16장 |제목=잠언 16:15 |저널= |인용문=왕의 희색에 생명이 있나니 그 은택이 늦은 비를 내리는 구름과 같으니라}}</ref> 반대로 이른 비와 늦은 비가 내리지 않는 것은 저주와도 같았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아모스#4장 |제목=아모스 4:7–8 |인용문=또 추수하기 석 달 전에 내가 너희에게 비를 멈추어 어떤 성읍에는 내리고 어떤 성읍에는 내리지 않게 하였더니 땅 한 부분은 비를 얻고 한 부분은 비를 얻지 못하여 말랐으매 두세 성읍 사람이 어떤 성읍으로 비틀거리며 물을 마시러 가서 만족히 마시지 못하였으나 너희가 내게로 돌아오지 아니하였느니라 이는 여호와의 말씀이니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3장 |제목=예레미야 3:2–3 |저널= |인용문=네 눈을 들어 자산을 보라 너의 행음치 아니한 곳이 어디 있느냐 ... 그러므로 단비가 그쳐졌고 늦은 비가 없어졌느니라 }}</ref>
물이 부족한 이스라엘에서 비는 생활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 과거 농경사회에서는 비가 한 해 농사의 결과를 좌우하는데, 때에 맞게 내리는 이른 비와 늦은 비는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word_no=75174&searchKeywordTo=3 단비]'이자 축복의 상징이었다.<ref>필립 J. 킹, 로렌스 E. 스태거, 《고대 이스라엘 문화》, CLC, 2014, 137쪽, "팔레스타인에는 단지 두 계절이 있을 뿐이다. 비가 전혀 오지 않는 5, 6월부터 9월까지의 여름 건기와 10월 중순부터 3월까지의 우기로 팔레스타인의 대부분의 비는 11월에서 2월 사이에 내린다. 히브리어에 비를 명칭하는 여러 개의 단어가 있는 것을 보아 농업을 위한 강우량이 매우 중요했음을 알 수 있다. ... 이른 비(요레<yôreh>)는 가을에 내려 땅을 부드럽게 만들어 땅을 갈고 씨뿌릴 수 있는 조건들로 만든다. 겨울의 폭우인 게쉠(gešem)은 땅을 적시고 물 저장고를 채운다. 늦은 비 말코쉬(malqôš)는 밀과 보리가 자라도록 돕는다.</ref><ref name=":0">{{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11장 |제목=신명기 11:14 |인용문=여호와께서 너희 땅에 이른 비, 늦은 비를 적당한 때에 내리시리니 너희가 곡식과 포도주와 기름을 얻을 것이요}}</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야고보서#5장 |제목=야고보서 5:7 |인용문=보라 농부가 땅에서 나는 귀한 열매를 바라고 길이 참아 이른 비와 늦은 비를 기다리나니}}</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시편#84장 |제목=시편 84:5-6|저널= |인용문=주께 힘을 얻고 그 마음에 시온의 대로가 있는 자는 복이 있나이다 저희는 눈물 골짜기로 통행할 때에 그곳으로 많은 샘의 곳이 되게 하며 이른 비도 은택을 입히나이다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잠언#16장 |제목=잠언 16:15 |저널= |인용문=왕의 희색에 생명이 있나니 그 은택이 늦은 비를 내리는 구름과 같으니라}}</ref> 반대로 이른 비와 늦은 비가 내리지 않는 것은 저주와도 같았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아모스#4장 |제목=아모스 4:7–8 |인용문=또 추수하기 석 달 전에 내가 너희에게 비를 멈추어 어떤 성읍에는 내리고 어떤 성읍에는 내리지 않게 하였더니 땅 한 부분은 비를 얻고 한 부분은 비를 얻지 못하여 말랐으매 두세 성읍 사람이 어떤 성읍으로 비틀거리며 물을 마시러 가서 만족히 마시지 못하였으나 너희가 내게로 돌아오지 아니하였느니라 이는 여호와의 말씀이니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3장 |제목=예레미야 3:2–3 |저널= |인용문=네 눈을 들어 자산을 보라 너의 행음치 아니한 곳이 어디 있느냐 ... 그러므로 단비가 그쳐졌고 늦은 비가 없어졌느니라 }}</ref>
*'''이른 비''': 건기가 끝나고 우기가 시작되는 초가을에 내리는 비다. 이 무렵 곡식을 파종하므로 이른 비가 내려야 땅이 물러져서 곡식이 안정적으로 성장할 여건이 갖춰진다.<ref>"이른 비",《CLP성경사전》, 기독교문사, 2013, 1124쪽, "우기가 시작되는 초가을에 오는 비. 이 비가 내려야 땅이 물러져 경작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이 비는 매우 중요했으며, 하나님의 선하심의 징표로서 늦은 비와 연결되었다(신 11:14; 시 84:6; 욜 2:23)."</ref>
*'''이른 비''': 건기가 끝나고 우기가 시작되는 초가을에 내리는 비다. 이 무렵 곡식을 파종하므로 이른 비가 내려야 땅이 물러져서 곡식이 안정적으로 성장할 여건이 갖춰진다.<ref>"이른 비",《CLP성경사전》, 기독교문사, 2013, 1124쪽, "우기가 시작되는 초가을에 오는 비. 이 비가 내려야 땅이 물러져 경작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이 비는 매우 중요했으며, 하나님의 선하심의 징표로서 늦은 비와 연결되었다(신 11:14; 시 84:6; 욜 2:23)."</ref>
*'''늦은 비''': 우기가 마치는 3-4월경에 내리는 비다. 곡식을 수확하기 직전에 내리며 '봄비' 또는 '축복의 비'라고도 한다. 늦은 비는 농산물 증산에 절대적인 영향을 준다. 추수기에 영양분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면 곡식이 튼실하게 영글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때에 맞게 내리는 늦은 비는 하나님의 축복 그 자체였다.<ref name=":0" /><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욥기#29장|제목=욥기 29:23|인용문=그들이 나 바라기를 비같이 하였으며 입을 벌리기를 늦은 비 기다리듯 하였으므로}}</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5장|제목=예레미야 5:24|인용문=또 너희 마음으로 우리에게 이른 비와 늦은 비를 때를 따라 주시며 우리를 위하여 추수 기한을 정하시는 우리 하나님 여호와를 경외하자 말하지도 아니하니}}</ref><ref name=":1" />
*'''늦은 비''': 우기가 마치는 3-4월경에 내리는 비다. 곡식을 수확하기 직전에 내리며 '봄비' 또는 '축복의 비'라고도 한다. 늦은 비는 농산물 증산에 절대적인 영향을 준다. 추수기에 영양분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면 곡식이 튼실하게 영글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때에 맞게 내리는 늦은 비는 하나님의 축복 그 자체였다.<ref name=":0" /><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욥기#29장|제목=욥기 29:23|인용문=그들이 나 바라기를 비같이 하였으며 입을 벌리기를 늦은 비 기다리듯 하였으므로}}</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5장|제목=예레미야 5:24|인용문=또 너희 마음으로 우리에게 이른 비와 늦은 비를 때를 따라 주시며 우리를 위하여 추수 기한을 정하시는 우리 하나님 여호와를 경외하자 말하지도 아니하니}}</ref><ref name=":1" />
25번째 줄: 25번째 줄:
[[요엘|요엘서]]의 예언은 사도 시대 오순절에 내린 이른 비 성령으로 일부 성취되었으며, 영적 추수 때인 세상 끝에 임하는 늦은 비 성령으로 완전 성취된다.  
[[요엘|요엘서]]의 예언은 사도 시대 오순절에 내린 이른 비 성령으로 일부 성취되었으며, 영적 추수 때인 세상 끝에 임하는 늦은 비 성령으로 완전 성취된다.  
{{인용문5 |내용='''시온'''에서 나팔을 불며 나의 성산에서 호각을 불어 이 땅 거민으로 다 떨게 할지니 이는 여호와의 날이 이르게 됨이니라 ... '''시온'''의 자녀들아 너희는 너희 하나님 여호와로 인하여 기뻐하며 즐거워할지어다 그가 너희를 위하여 비를 내리시되 ... '''이른 비와 늦은 비'''가 전과 같을 것이라 ... 그 후에 내가 내 신[성령]을 만민에게 부어 주리니 ... '''여호와의 크고 두려운 날'''이 이르기 전에 해가 어두워지고 달이 핏빛같이 변하려니와 누구든지 여호와의 이름을 부르는 자는 구원을 얻으리니 이는 나 여호와의 말대로 '''시온산과 예루살렘'''에서 피할 자가 있을 것임이요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엘#2장 요엘 2:1–31]}}
{{인용문5 |내용='''시온'''에서 나팔을 불며 나의 성산에서 호각을 불어 이 땅 거민으로 다 떨게 할지니 이는 여호와의 날이 이르게 됨이니라 ... '''시온'''의 자녀들아 너희는 너희 하나님 여호와로 인하여 기뻐하며 즐거워할지어다 그가 너희를 위하여 비를 내리시되 ... '''이른 비와 늦은 비'''가 전과 같을 것이라 ... 그 후에 내가 내 신[성령]을 만민에게 부어 주리니 ... '''여호와의 크고 두려운 날'''이 이르기 전에 해가 어두워지고 달이 핏빛같이 변하려니와 누구든지 여호와의 이름을 부르는 자는 구원을 얻으리니 이는 나 여호와의 말대로 '''시온산과 예루살렘'''에서 피할 자가 있을 것임이요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엘#2장 요엘 2:1–31]}}
하나님은 해가 어두워지고 달이 핏빛같이 변하는 징조가 있은 후 '[[여호와]]의 크고 두려운 날'이 임한다고 하셨다. 요엘서의 '여호와의 크고 두려운 날'은 세상 끝을 의미한다.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재림과 세상 끝에 있을 징조를 알려주면서 "그때에 해가 어두워지며 달이 빛을 내지 않을 것"이라고 말씀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4장 |제목=마태복음 24:3, 29–31 |인용문=예수께서 감람산 위에 앉으셨을 때에 제자들이 종용히 와서 가로되 우리에게 이르소서 어느 때에 이런 일이 있겠사오며 또 주의 임하심과 세상 끝에는 무슨 징조가 있사오리이까 ... 그날 환난 후에 즉시 해가 어두워지며 달이 빛을 내지 아니하며 별들이 하늘에서 떨어지며 하늘의 권능들이 흔들리리라 그때에 인자의 징조가 하늘에서 보이겠고 그때에 땅의 모든 족속들이 통곡하며 그들이 인자가 구름을 타고 능력과 큰 영광으로 오는 것을 보리라 저가 큰 나팔 소리와 함께 천사들을 보내리니 저희가 그 택하신 자들을 하늘 이 끝에서 저 끝까지 사방에서 모으리라}}</ref> 또한 사도 요한은 큰 환난에 앞서 [[하나님의 인]]을 치는 역사가 시작되기 전에 '해가 검어지고 달이 피같이 되는' 징조가 있다고 기록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6장 |제목=요한계시록 6:12–13 |저널= |인용문= 내가 보니 여섯째 인을 떼실 때에 큰 지진이 나며 해가 총담같이 검어지고 온 달이 피같이 되며 하늘의 별들이 무화과나무가 대풍에 흔들려 선 과실이 떨어지는 것같이 땅에 떨어지며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7장 |제목=요한계시록 7:1–3 |저널= |인용문= 이 일 후에 내가 네 천사가 땅 네 모퉁이에 선 것을 보니 땅의 사방의 바람을 붙잡아 바람으로 하여금 땅에나 바다에나 각종 나무에 불지 못하게 하더라 또 보매 다른 천사가 살아계신 하나님의 인을 가지고 해 돋는 데로부터 올라와서 땅과 바다를 해롭게 할 권세를 얻은 네 천사를 향하여 큰 소리로 외쳐 가로되 우리가 우리 하나님의 종들의 이마에 인치기까지 땅이나 바다나 나무나 해하지 말라 하더라 }}</ref> 늦은 비 성령의 역사는 영적 추수기로 비유된 세상 끝에 나타난다.<br>
하나님은 해가 어두워지고 달이 핏빛같이 변하는 징조가 있은 후 '[[여호와]]의 크고 두려운 날'이 임한다고 하셨다. 요엘서의 '여호와의 크고 두려운 날'은 세상 끝을 의미한다.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재림과 세상 끝에 있을 징조를 알려주면서 "그때에 해가 어두워지며 달이 빛을 내지 않을 것"이라고 말씀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4장 |제목=마태복음 24:3, 29–31 |인용문=예수께서 감람산 위에 앉으셨을 때에 제자들이 종용히 와서 가로되 우리에게 이르소서 어느 때에 이런 일이 있겠사오며 또 주의 임하심과 세상 끝에는 무슨 징조가 있사오리이까 ... 그날 환난 후에 즉시 해가 어두워지며 달이 빛을 내지 아니하며 별들이 하늘에서 떨어지며 하늘의 권능들이 흔들리리라 그때에 인자의 징조가 하늘에서 보이겠고 그때에 땅의 모든 족속들이 통곡하며 그들이 인자가 구름을 타고 능력과 큰 영광으로 오는 것을 보리라 저가 큰 나팔 소리와 함께 천사들을 보내리니 저희가 그 택하신 자들을 하늘 이 끝에서 저 끝까지 사방에서 모으리라}}</ref> 또한 사도 요한은 큰 환난에 앞서 [[하나님의 인]]을 치는 역사가 시작되기 전에 '해가 검어지고 달이 피같이 되는' 징조가 있다고 기록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6장 |제목=요한계시록 6:12–13 |저널= |인용문= 내가 보니 여섯째 인을 떼실 때에 큰 지진이 나며 해가 총담같이 검어지고 온 달이 피같이 되며 하늘의 별들이 무화과나무가 대풍에 흔들려 선 과실이 떨어지는 것같이 땅에 떨어지며}}</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7장 |제목=요한계시록 7:1–3 |저널= |인용문= 이 일 후에 내가 네 천사가 땅 네 모퉁이에 선 것을 보니 땅의 사방의 바람을 붙잡아 바람으로 하여금 땅에나 바다에나 각종 나무에 불지 못하게 하더라 또 보매 다른 천사가 살아계신 하나님의 인을 가지고 해 돋는 데로부터 올라와서 땅과 바다를 해롭게 할 권세를 얻은 네 천사를 향하여 큰 소리로 외쳐 가로되 우리가 우리 하나님의 종들의 이마에 인치기까지 땅이나 바다나 나무나 해하지 말라 하더라 }}</ref> 늦은 비 성령의 역사는 영적 추수기로 비유된 세상 끝에 나타난다.<br>
늦은 비를 맞은 곡식이 영글어 곡간에 들어가듯, 영적 추수 때인 세상 끝에 내리는 늦은 비 성령의 역사를 통해 알곡으로 비유된 하나님의 택한 백성이 모이고 [[천국 복음]] 사업이 완성된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13장 |제목=마태복음 13:36–43 |저널= |인용문= 예수께서 그들 앞에 또 비유를 베풀어 가라사대 천국은 좋은 씨를 제 밭에 뿌린 사람과 같으니 ... 추수 때에 내가 추수꾼들에게 말하기를 ... 곡식은 모아 내 곳간에 넣으라 하리라 ... 좋은 씨를 뿌리는 이는 인자요 밭은 세상이요 좋은 씨는 천국의 아들들이요 ... 추수 때는 세상 끝이요 추수꾼은 천사들이니 ... 그때에 의인들은 자기 아버지 나라에서 해와 같이 빛나리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4장 |제목=마태복음 24:30–31 |저널= |인용문=그때에 인자의 징조가 하늘에서 보이겠고 그때에 땅의 모든 족속들이 통곡하며 그들이 인자가 구름을 타고 능력과 큰 영광으로 오는 것을 보리라 저가 큰 나팔 소리와 함께 천사들을 보내리니 저희가 그 택하신 자들을 하늘 이 끝에서 저 끝까지 사방에서 모으리라 }}</ref>
늦은 비를 맞은 곡식이 영글어 곡간에 들어가듯, 영적 추수 때인 세상 끝에 내리는 늦은 비 성령의 역사를 통해 알곡으로 비유된 하나님의 택한 백성이 모이고 [[천국 복음]] 사업이 완성된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13장 |제목=마태복음 13:36–43 |저널= |인용문= 예수께서 그들 앞에 또 비유를 베풀어 가라사대 천국은 좋은 씨를 제 밭에 뿌린 사람과 같으니 ... 추수 때에 내가 추수꾼들에게 말하기를 ... 곡식은 모아 내 곳간에 넣으라 하리라 ... 좋은 씨를 뿌리는 이는 인자요 밭은 세상이요 좋은 씨는 천국의 아들들이요 ... 추수 때는 세상 끝이요 추수꾼은 천사들이니 ... 그때에 의인들은 자기 아버지 나라에서 해와 같이 빛나리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4장 |제목=마태복음 24:30–31 |저널= |인용문=그때에 인자의 징조가 하늘에서 보이겠고 그때에 땅의 모든 족속들이 통곡하며 그들이 인자가 구름을 타고 능력과 큰 영광으로 오는 것을 보리라 저가 큰 나팔 소리와 함께 천사들을 보내리니 저희가 그 택하신 자들을 하늘 이 끝에서 저 끝까지 사방에서 모으리라 }}</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