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Fountainpen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
||
| 154번째 줄: | 154번째 줄: | ||
*[[초막절]]: 성력 7월 15-22일. 성막 지은 역사와 그리스도의 전도 행적 기념. 성령 강림이 예언된 절기. | *[[초막절]]: 성력 7월 15-22일. 성막 지은 역사와 그리스도의 전도 행적 기념. 성령 강림이 예언된 절기. | ||
===수건 규례=== | |||
성경은 기도나 예배 시 남자는 머리에 아무것도 쓰지 않고 여자는 머리에 수건을 쓰는 것을 예배의 법도로 가르친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1장|제목=고린도전서 11:1-16 |인용문=무릇 남자로서 머리에 무엇을 쓰고 기도나 예언을 하는 자는 그 머리를 욕되게 하는 것이요 무릇 여자로서 머리에 쓴 것을 벗고 기도나 예언을 하는 자는 그 머리를 욕되게 하는 것이니}}</ref> [[수건 문제|수건 규례]]는 그리스도의 가르침으로서, 하나님의 창조 섭리가 담겨 있으며 교회 질서를 위해 제정됐다. 하나님의 교회는 성경이 가르치는 하나님의 예법대로 예배나 기도를 드릴 때 여성도는 머리에 수건을 쓰고 남성도는 아무것도 쓰지 않는다.<ref name="하나님의교회 진리소개" /> | 성경은 기도나 예배 시 남자는 머리에 아무것도 쓰지 않고 여자는 머리에 수건을 쓰는 것을 예배의 법도로 가르친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1장|제목=고린도전서 11:1-16 |인용문=무릇 남자로서 머리에 무엇을 쓰고 기도나 예언을 하는 자는 그 머리를 욕되게 하는 것이요 무릇 여자로서 머리에 쓴 것을 벗고 기도나 예언을 하는 자는 그 머리를 욕되게 하는 것이니}}</ref> [[수건 문제|수건 규례]]는 그리스도의 가르침으로서, 하나님의 창조 섭리가 담겨 있으며 교회 질서를 위해 제정됐다. 하나님의 교회는 성경이 가르치는 하나님의 예법대로 예배나 기도를 드릴 때 여성도는 머리에 수건을 쓰고 남성도는 아무것도 쓰지 않는다.<ref name="하나님의교회 진리소개" /> | ||
===침례=== | |||
침례는 죄의 몸을 물로 장례 지내고 새롭게 거듭나는 의미의 예식이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골로새서#2장|제목=골로새서 2:12|저널=|인용문=너희가 침례로 그리스도와 함께 장사한 바 되고 또 죽은 자들 가운데서 그를 일으키신 하나님의 역사를 믿음으로 말미암아 그 안에서 함께 일으키심을 받았느니라 }}</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갈라디아서#3장|제목=갈라디아서 3:27 |저널=|인용문=누구든지 그리스도와 합하여 침례를 받은 자는 그리스도로 옷 입었느니라 }}</ref> 교단에 따라 세례라고도 부르나 하나님의 교회는 성경 원어의 의미대로 침례라 한다.<br> | 침례는 죄의 몸을 물로 장례 지내고 새롭게 거듭나는 의미의 예식이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골로새서#2장|제목=골로새서 2:12|저널=|인용문=너희가 침례로 그리스도와 함께 장사한 바 되고 또 죽은 자들 가운데서 그를 일으키신 하나님의 역사를 믿음으로 말미암아 그 안에서 함께 일으키심을 받았느니라 }}</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갈라디아서#3장|제목=갈라디아서 3:27 |저널=|인용문=누구든지 그리스도와 합하여 침례를 받은 자는 그리스도로 옷 입었느니라 }}</ref> 교단에 따라 세례라고도 부르나 하나님의 교회는 성경 원어의 의미대로 침례라 한다.<br> | ||
성경은 침례를 하나님과 언약의 표, 구원의 표라고 증거한다. 침례는 신앙생활의 첫걸음으로, 침례를 받은 사람은 진정한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천국의 시민권을 가진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빌립보서#3장|제목=빌립보서 3:20 |인용문=오직 우리의 시민권은 하늘에 있는지라 거기로서 구원하는 자 곧 주 예수 그리스도를 기다리노니}}</ref> "가서 모든 족속으로 제자를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침례를 주라"고 한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에 따라<ref name=":1" /> 성부, 성자, 성령의 이름으로 집전되어야 진정한 침례이며, 침례 받는 사람 또한 아버지 하나님과 어머니 하나님에 대한 믿음을 갖고 받아야 한다. | 성경은 침례를 하나님과 언약의 표, 구원의 표라고 증거한다. 침례는 신앙생활의 첫걸음으로, 침례를 받은 사람은 진정한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천국의 시민권을 가진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빌립보서#3장|제목=빌립보서 3:20 |인용문=오직 우리의 시민권은 하늘에 있는지라 거기로서 구원하는 자 곧 주 예수 그리스도를 기다리노니}}</ref> "가서 모든 족속으로 제자를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침례를 주라"고 한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에 따라<ref name=":1" /> 성부, 성자, 성령의 이름으로 집전되어야 진정한 침례이며, 침례 받는 사람 또한 아버지 하나님과 어머니 하나님에 대한 믿음을 갖고 받아야 한다. | ||
===일요일(주일) 예배는 사람의 계명=== | |||
일요일은 기독교의 예배일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성경에서는 그 근거를 찾을 수 없다. 사도시대까지만 해도 성경대로 안식일 규례가 지켜졌지만, 교회가 세속화되고 로마를 중심으로 한 서방 교회가 [[주일예배 (일요일 예배)|일요일 예배]]를 주장하면서 혼란이 시작됐다.<br> | 일요일은 기독교의 예배일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성경에서는 그 근거를 찾을 수 없다. 사도시대까지만 해도 성경대로 안식일 규례가 지켜졌지만, 교회가 세속화되고 로마를 중심으로 한 서방 교회가 [[주일예배 (일요일 예배)|일요일 예배]]를 주장하면서 혼란이 시작됐다.<br> | ||
313년 기독교를 공인한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40280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321년 한 주의 첫째 날을 '존경할 만한 태양의 날(Sunday)'로 규정하고 이날을 예배일 겸 휴일로 규정하는 일요일 휴업령을 내림으로 안식일 예배가 완전히 사라지고 일요일 예배가 확립됐다. 당시 반포된 콘스탄티누스의 명령은 '모든 재판관과 시민 그리고 기술자들은 존엄한 태양의 날에 쉬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즉 일요일은 그리스도를 위한 예배일이 아니라 당시 대다수 로마인이 믿고 있던 태양신을 위한 예배일이었다. 이때부터 일요일 예배가 교회의 전통으로 굳어져 신·구교를 막론하고 대다수 교회가 일요일에 예배하나, 하나님의 교회는 성경대로 일곱째 날 안식일인 토요일에 예배한다.<ref name="하나님의교회 진리소개" /> | 313년 기독교를 공인한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40280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321년 한 주의 첫째 날을 '존경할 만한 태양의 날(Sunday)'로 규정하고 이날을 예배일 겸 휴일로 규정하는 일요일 휴업령을 내림으로 안식일 예배가 완전히 사라지고 일요일 예배가 확립됐다. 당시 반포된 콘스탄티누스의 명령은 '모든 재판관과 시민 그리고 기술자들은 존엄한 태양의 날에 쉬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즉 일요일은 그리스도를 위한 예배일이 아니라 당시 대다수 로마인이 믿고 있던 태양신을 위한 예배일이었다. 이때부터 일요일 예배가 교회의 전통으로 굳어져 신·구교를 막론하고 대다수 교회가 일요일에 예배하나, 하나님의 교회는 성경대로 일곱째 날 안식일인 토요일에 예배한다.<ref name="하나님의교회 진리소개" /> | ||
===크리스마스는 태양신 탄생일=== | |||
대다수 기독교인들은 매년 12월 25일을 [[크리스마스 (성탄절)|크리스마스]]라 하며 예수님의 탄생일로 기념한다. 그러나 성경 어디에도 12월 25일이 그리스도의 탄생일이라는 기록이 없다. 역사 기록에 따르면, 12월 25일은 로마의 동지제로서 태양신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29273&cid=50766&categoryId=50794 미트라]의 탄생일이었다.<ref>송낙원, 《교회사》, 이건사, 1981, 101쪽</ref> 약 4세기경 기독교가 세속화되면서 태양신 탄생일이 교회에 유입되어 예수님 탄생일로 변질된 것이 크리스마스다. 하나님의 교회는 성경에 없는 이방 종교의 축제일인 크리스마스를 지키지 않는다.<ref name="하나님의교회 진리소개" /> | 대다수 기독교인들은 매년 12월 25일을 [[크리스마스 (성탄절)|크리스마스]]라 하며 예수님의 탄생일로 기념한다. 그러나 성경 어디에도 12월 25일이 그리스도의 탄생일이라는 기록이 없다. 역사 기록에 따르면, 12월 25일은 로마의 동지제로서 태양신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29273&cid=50766&categoryId=50794 미트라]의 탄생일이었다.<ref>송낙원, 《교회사》, 이건사, 1981, 101쪽</ref> 약 4세기경 기독교가 세속화되면서 태양신 탄생일이 교회에 유입되어 예수님 탄생일로 변질된 것이 크리스마스다. 하나님의 교회는 성경에 없는 이방 종교의 축제일인 크리스마스를 지키지 않는다.<ref name="하나님의교회 진리소개" /> | ||
===십자가 우상 배척=== | |||
대부분의 사람들은 [[십자가]]를 교회의 상징으로 떠올리지만 예수님이 세우시고 사도들이 다녔던 초대교회에는 십자가가 없었다. 십자가도 하나의 형상이므로 십자가를 만들거나 그 앞에서 기도하는 것은 '어떤 형상도 만들지 말고 숭배하지 말라'는 하나님의 계명에 반하는 행위이기 때문이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0장 |제목=출애굽기 20:4-5 |인용문=너를 위하여 새긴 우상을 만들지 말고 또 위로 하늘에 있는 것이나 아래로 땅에 있는 것이나 땅 아래 물 속에 있는 것의 아무 형상이든지 만들지 말며 그것들에게 절하지 말며 그것들을 섬기지 말라}}</ref><br> | 대부분의 사람들은 [[십자가]]를 교회의 상징으로 떠올리지만 예수님이 세우시고 사도들이 다녔던 초대교회에는 십자가가 없었다. 십자가도 하나의 형상이므로 십자가를 만들거나 그 앞에서 기도하는 것은 '어떤 형상도 만들지 말고 숭배하지 말라'는 하나님의 계명에 반하는 행위이기 때문이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0장 |제목=출애굽기 20:4-5 |인용문=너를 위하여 새긴 우상을 만들지 말고 또 위로 하늘에 있는 것이나 아래로 땅에 있는 것이나 땅 아래 물 속에 있는 것의 아무 형상이든지 만들지 말며 그것들에게 절하지 말며 그것들을 섬기지 말라}}</ref><br> | ||
교회사와 백과사전 등의 자료를 보면 십자가는 고대 여러 이방 종교에서 신앙의 상징이나 부적 등으로 사용하던 우상 중 하나였다. 예수님 당시 로마 제국 내에서는 사형틀이기도 했다. 십자가 형상이 교회에 유입되고 세워진 것은 교회가 세속화되면서부터다. 십자가가 교회 안에 세워진 것은 431년경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교회 탑 꼭대기에 세운 것은 568년경부터라고 알려졌다.<ref>조셉 H. 윌시, "십자가", 《Harper's Book of Facts》, 하퍼앤브라더스, 1895, "교회와 사무실 속에 십자가가 도입된 것은 431년경이었고, 뾰족탑 위에 세워진 것은 568년경이었다."</ref><br> | 교회사와 백과사전 등의 자료를 보면 십자가는 고대 여러 이방 종교에서 신앙의 상징이나 부적 등으로 사용하던 우상 중 하나였다. 예수님 당시 로마 제국 내에서는 사형틀이기도 했다. 십자가 형상이 교회에 유입되고 세워진 것은 교회가 세속화되면서부터다. 십자가가 교회 안에 세워진 것은 431년경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교회 탑 꼭대기에 세운 것은 568년경부터라고 알려졌다.<ref>조셉 H. 윌시, "십자가", 《Harper's Book of Facts》, 하퍼앤브라더스, 1895, "교회와 사무실 속에 십자가가 도입된 것은 431년경이었고, 뾰족탑 위에 세워진 것은 568년경이었다."</ref><b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