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부갓네살: 두 판 사이의 차이
태그: 되돌려진 기여 |
태그: 일괄 되돌리기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틀:성경인물 | {{틀:성경인물 | ||
|그림=[[파일: Nebukadnessar II.jpg|섬네일|가운데|250px| | |그림=[[파일: Nebukadnessar II.jpg|섬네일|가운데|250px|네부카드네자르 2세의 판화]] | ||
|제목= | |제목=느부갓네살<br><small>(네부카드네자르 2세)</small> | ||
|출생-사망=630 | |영어제목=Nebuchadnezzar II | ||
|통치 기간= 605 | |출생-사망=B.C. 630?-B.C. 562 | ||
|직업(특징)= | |통치 기간= B.C. 605-B.C. 562 | ||
|주요 행적= | |직업(특징)=신바빌로니아 제국 2대 왕 | ||
|주요 행적=서방 원정<br>남 유다 정복, 애굽 원정<br>각종 건축사업 | |||
}} | }} | ||
''' | '''느부갓네살'''([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pageSize=10&searchKeyword=%EB%84%A4%EB%B6%80%EC%B9%B4%EB%93%9C%EB%84%A4%EC%9E%90%EB%A5%B4%EC%9D%B4%EC%84%B8 네부카드네자르 2세], Nebuchadnezzar II)은 [[바벨론]](신바빌로니아)의 제2대 왕이다. 초대 왕 나보폴라사르의 아들로, 이름의 뜻은 '느보(Nebo) 신(神)이 국경을 지켜주었다'는 의미다.<ref>이성호, "느부갓네살", 《성경대사전》, 성서연구원, 2000, 274쪽</ref> 애굽(이집트), 남 유다, 두로(티레) 등 유프라테스강 서쪽 지역([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0966 레반트 지역], Levant)을 평정한 정복 군주이며 바벨론을 강대국으로 이끌었다. 남 유다 왕국을 완전히 멸망시키고, 유다 민족을 바벨론으로 이주시켜 [[바벨론 포로 (바빌론 유수)|바벨론 포로]](바빌론 유수, Babylonian Captivity) 시기를 겪게 했다. [[성경]] [[다니엘 (성경)|다니엘서]]에 느부갓네살의 행적, 그가 꾼 꿈과 그에 대한 다니엘의 해석이 기록되어 있다. | ||
==시대적 배경== | |||
[[파일:Alter Orient 0600BC.svg|섬네일 | 270px |B.C. 600년대의 근동지방]] | |||
기원전 7세기 말, 유프라테스 지역에는 [[앗수르]](아시리아)가 쇠퇴하면서 바벨론과 애굽(사이스 왕조, 제26왕조)의 힘이 커졌다. 남 바벨론 관리였던 나보폴라사르는 앗수르의 아슈르바니팔이 죽은 이후 바벨론 지역의 독립을 선언하고 왕위에 올라 세력을 확대했다. 이후 앗수르를 멸망시킨 바벨론은 서아시아의 주요 국가로 발돋움했다.<ref>이성호, "나보폴라사르", 《성경대사전》, 성서연구원, 2000, 214쪽</ref><br>기원전 6세기 초 바벨론은 동쪽으로 국경을 접하는 메대와 결혼 동맹을 맺고 서쪽으로 국경을 접하는 애굽과 자주 충돌했는데, 특히 유프라테스강 서쪽 지역(이하 레반트 지역)의 패권을 두고 잦은 전쟁을 벌였다.<ref>Joshua J. Mark, [https://www.worldhistory.org/Nebuchadnezzar_II/ "Nebuchadnezzar II,"] ''World History Encyclopedia'', Nov. 7. 2018.</ref> 이때 남 유다는 패권을 잡은 국가에 조공을 바쳤다. | |||
==느부갓네살의 주요 업적== | |||
===정복 사업=== | |||
== | [[파일:Levant.gif |섬네일 |250x250px|레반트 지역]] | ||
=== | |||
[[파일:Levant.gif |섬네일 |250x250px|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 | !시기 | ||
! | !느부갓네살의 정복 사업 | ||
! | !관련 성구 | ||
|- | |- | ||
| rowspan="4" | | | rowspan="4" |즉위 전 | ||
| | |바벨론 북쪽 원정 | ||
|[https://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하#35장 대하 35:20] | ||
|- | |- | ||
| | |시리아(아람, 수리아) 땅 정복 | ||
|[https://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49장 렘 49:23-27] | ||
|- | |- | ||
|''' | |'''남 유다 침략과 1차 포로(B.C. 606년경)''' | ||
|[https://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다니엘#1장 단 1:1-4] | ||
|- | |- | ||
| | |'''갈그미스 전투(B.C. 605년경)'''에서 승리 | ||
|[https://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46장 렘 46:2, 13] | ||
|- | |- | ||
| rowspan="7" | | | rowspan="7" |즉위 후 | ||
| | |블레셋 정복 | ||
|[https://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47장 렘 47:2-7] | ||
|- | |- | ||
|''' | |'''남 유다 2차 침략(B.C. 598년경)''' | ||
|[https://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24장 왕하 24:1-16] | ||
|- | |- | ||
|''' | |'''남 유다 2차 포로(B.C. 597년경)''' | ||
|[https://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37장 렘 37:1],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스겔#17장 겔 17:12-20] | ||
|- | |- | ||
| | |시드기야를 남 유다의 왕으로 세움 | ||
|[https://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하#36장 대하 36:10-11] | ||
|- | |- | ||
|''' | |'''남 유다 3차 침략과 포로(B.C. 588-B.C. 586년경)''' | ||
|[https://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25장 왕하 25:6-11] | ||
|- | |- | ||
|''' | |'''남 유다를 멸망시킴(B.C. 586년경)''' | ||
|[https://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52장 렘 52:13-19] | ||
|- | |- | ||
| | |애굽 원정 | ||
|[https://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스겔#29장 겔 29:19-20] | ||
|} | |} | ||
| 139번째 줄: | 136번째 줄: | ||
:느부갓네살은 아름답고 견고한 나무가 거룩한 자에 의해 그루터기만 남기고 잘리며 그것이 7년간 이슬에 젖고 짐승과 더불어 지내게 될 것이라는 내용의 꿈을 꾸었다. 다니엘은 견고한 나무가 느부갓네살왕을 뜻하며, 왕이 사람들 사이에서 쫓겨나서 7년간 짐승처럼 지낼 것이라고 해석했다. 또 왕이 하나님께서 역사를 움직이시고 뜻에 맞는 사람을 왕으로 세우신다는 것을 깨달을 때까지 그렇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니엘의 경고에도 느부갓네살은 자신의 능력과 권세로 거대한 바벨론 도성을 건설했다는 교만한 말을 하여 꿈의 해석과 같이 7년간 짐승처럼 지내게 되었다. 7년이 지난 후 정신이 돌아온 느부갓네살이 하나님을 찬양하며 왕위를 회복했다.<br>느부갓네살의 병에 대한 기록은 대영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점토판에 남아 있다.<ref>원용국,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과 이스라엘 유적지들의 비교연구〉, 《성경과 고고학》 제19호, 한국성서고고학회, 1998, 19쪽</ref> | :느부갓네살은 아름답고 견고한 나무가 거룩한 자에 의해 그루터기만 남기고 잘리며 그것이 7년간 이슬에 젖고 짐승과 더불어 지내게 될 것이라는 내용의 꿈을 꾸었다. 다니엘은 견고한 나무가 느부갓네살왕을 뜻하며, 왕이 사람들 사이에서 쫓겨나서 7년간 짐승처럼 지낼 것이라고 해석했다. 또 왕이 하나님께서 역사를 움직이시고 뜻에 맞는 사람을 왕으로 세우신다는 것을 깨달을 때까지 그렇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니엘의 경고에도 느부갓네살은 자신의 능력과 권세로 거대한 바벨론 도성을 건설했다는 교만한 말을 하여 꿈의 해석과 같이 7년간 짐승처럼 지내게 되었다. 7년이 지난 후 정신이 돌아온 느부갓네살이 하나님을 찬양하며 왕위를 회복했다.<br>느부갓네살의 병에 대한 기록은 대영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점토판에 남아 있다.<ref>원용국,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과 이스라엘 유적지들의 비교연구〉, 《성경과 고고학》 제19호, 한국성서고고학회, 1998, 19쪽</ref> | ||
== | ==같이 보기== | ||
*[[ | *[[바벨론]] | ||
*[[ | *[[바벨론 포로 (바빌론 유수)]] | ||
*[[ | *[[다니엘 (성경)]] | ||
== | == 각주== | ||
<references /> | <references /> | ||
[[분류: | [[분류:성경 상식]] | ||
[[분류: | [[분류:성경 인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