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라기: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틀:성경 |그림=섬네일|가운데 |제목=말라기 |영어제목=Malachi |약자=말, Mal |구분=구약 |분류=소예언서 |기록자=말라기 |기... |
편집 요약 없음 |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장수=4장 | |장수=4장 | ||
}} | }} | ||
'''말라기(Malachi) | '''말라기'''(Malachi)는 [[구약성경]]의 마지막 책으로 말라기 선지자가 기록했다. 말라기서 이후 [[예수 그리스도]]가 등장하기까지 [[성경]]은 약 400년 동안 기록되지 않았다. | ||
==말라기 기록자 및 기록 연대== | ==말라기 기록자 및 기록 연대== | ||
본서의 기록자는 말라기 선지자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말라기#1장 |제목=말라기 1:1 |저널= |인용문=여호와께서 말라기로 이스라엘에게 말씀하신 경고라 }}</ref> | 본서의 기록자는 말라기 선지자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말라기#1장 |제목=말라기 1:1 |저널= |인용문=여호와께서 말라기로 이스라엘에게 말씀하신 경고라}}</ref> '말라기'(히브리어: מַלְאָכִי)란 '나의 사자'란 뜻이다. 말라기서는 느헤미야가 총독의 신분으로 [[예루살렘]]에 귀국한 후 바사(페르시아)로 돌아갔다가 재차 [[예루살렘]]으로 왔던 기원전 430년경에 기록되었다고 보는데, 그 근거는 다음과 같다.<br> | ||
<br | 첫째, 말라기 선지자는 [[성전]] 제단에 더러운 떡을 드릴 정도로 [[제사장]]들이 본연의 임무에 소홀하고 유다 백성들의 열심이 식은 것을 지적했는데,<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말라기#1장 |제목=말라기 1:7 |저널= |인용문=너희가 더러운 떡을 나의 단에 드리고도 말하기를 우리가 어떻게 주를 더럽게 하였나이까 하는도다 이는 너희가 주의 상은 경멸히 여길 것이라 말함을 인함이니라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말라기#3장 |제목=말라기 3:8-9 |저널= |인용문= 사람이 어찌 하나님의 것을 도적질하겠느냐 그러나 너희는 나의 것을 도적질하고도 말하기를 우리가 어떻게 주의 것을 도적질하였나이까 하도다 이는 곧 십일조와 헌물이라 너희 곧 온 나라가 나의 것을 도적질하였으므로 너희가 저주를 받았느니라 }}</ref> 이는 성전 완공 때(B.C. 516년경)로부터 상당한 시간이 흘렀다는 것을 짐작하게 한다.<br> | ||
<br | 둘째, [[메대 바사 (페르시아)|바사]] 총독이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말라기#1장 |제목=말라기 1:8 |저널= |인용문= 만군의 여호와가 이르노라 너희가 눈 먼 희생으로 드리는 것이 어찌 악하지 아니하며 저는 것, 병든 것으로 드리는 것이 어찌 악하지 아니하냐 이제 그것을 너희 총독에게 드려보라 그가 너를 기뻐하겠느냐 너를 가납하겠느냐 }}</ref> 말라기서가 바사가 [[바벨론]]을 점령한 이후에 기록되었음을 알 수 있다.<br> | ||
<br | 셋째, 말라기서의 내용은 [[느헤미야 (성경)|느헤미야서]]에 언급된 내용과 상당히 비슷하다. 본서 1, 2장과 느헤미야 13장에서 동일하게 제사장 직분의 부패를 지적하고 있으며, '레위 언약 파기'에 대해 언급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말라기#2장 |제목=말라기 2:8 |저널= |인용문= 너희는 정도에서 떠나 많은 사람으로 율법에 거치게 하도다 나 만군의 여호와가 이르노니 너희가 레위의 언약을 파하였느니라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느헤미야#13장 |제목=느헤미야 13:29 |저널= |인용문= 내 하나님이여 저희가 제사장의 직분을 더럽히고 제사장의 직분과 레위 사람에 대한 언약을 어기었사오니 저희를 기억하옵소서}}</ref> 이를 통해 말라기 선지자와 느헤미야의 활동 시기가 근접했을 것이라고 추정된다. 또한 말라기는 이스라엘 사람들이 이방 신의 딸들, 즉 다른 신을 섬기는 이방인과 결혼한 사실을 비난하는데,<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말라기#2장 |제목=말라기 2:11 |저널= |인용문= 유다는 궤사를 행하였고 이스라엘과 예루살렘 중에서는 가증한 일을 행하였으며 유다는 여호와의 사랑하시는 그 성결을 욕되게 하여 이방 신의 딸과 결혼하였으니 }}</ref> 느헤미야도 두 번째 예루살렘에 올라와 총독으로 재임하면서 이 문제를 지적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느헤미야#13장 |제목=느헤미야 13:23-25 |저널= |인용문=그때에 내가 또 본즉 유다 사람이 아스돗과 암몬과 모압 여인을 취하여 아내를 삼았는데 ... 내가 책망하고 저주하며 두어 사람을 때리고 그 머리털을 뽑고 이르되 너희는 너희 딸들로 저희 아들들에게 주지 말고 너희 아들들이나 너희를 위하여 저희 딸을 데려오지 않겠다고 하나님을 가리켜 맹세하라 하고}}</ref> | ||
==작성 배경== | ==작성 배경== | ||
바벨론 | [[바벨론 포로 (바빌론 유수)|바벨론 포로]]에서 해방되어 예루살렘에 귀환한 이스라엘 백성들은 많은 어려움 속에서도 성전을 재건하고 영광스러운 [[하나님]]의 나라가 도래하기를 바랐다. 하지만 [[학개]], [[스가랴]] 선지자의 예언이 있은 지 100여 년이 지나도록 [[메시아]] 왕국이 오지 않고 삶도 나아지지 않자 백성들은 하나님의 약속을 의심하며 믿음을 잃어갔다. 하나님께 올리는 [[구약의 제사|제사]]도 무성의하고 형식적이었다. | ||
==말라기의 내용 구성== | ==말라기의 내용 구성==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 500px;" | ||
|-style="color: white; background: #0F4C82" | |-style="color: white; background: #0F4C82" | ||
| '''장''' || '''내용''' | | '''장''' || '''내용''' | ||
| 29번째 줄: | 29번째 줄: |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말라기#1장 1-3장] || 이스라엘의 회개를 촉구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말라기#1장 1-3장] || 이스라엘의 회개를 촉구 | ||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말라기#4장 4장] ||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말라기#4장 4장] || [[여호와]]의 정하신 날 | ||
|} | |} | ||
제사장들은 온전하지 않은 예물을 하나님께 드리는 등 하나님의 제사를 멸시했고, 백성들도 하나님의 규례를 지키지 않고 완악한 말로 하나님을 대적했다. 말라기 선지자는 이스라엘을 향한 하나님의 사랑을 일깨우며, 회개하고 하나님의 규례를 온전히 지키는 자가 축복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 제사장들은 온전하지 않은 예물을 하나님께 드리는 등 하나님의 제사를 멸시했고, 백성들도 하나님의 규례를 지키지 않고 완악한 말로 하나님을 대적했다. 말라기 선지자는 이스라엘을 향한 하나님의 사랑을 일깨우며, 회개하고 하나님의 규례를 온전히 지키는 자가 축복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br> | ||
<br | 또한 하나님께서 극렬한 불로 세상을 심판하실 날이 이르기 전에 선지 [[엘리야]]를 보내실 것이라고 공표했다. 하나님을 경외하는 자는 심판의 날에 구원받지만, 교만한 자와 악을 행하는 자는 형벌을 받게 된다고 경고했다. | ||
==각주== | ==각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