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성소: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지성소(至聖所, The Most Holy Place)'''는 [[성소 (성막) | 성소(성막)]]의 가장 안쪽에 있는 내실로서, 십계명이 담긴 [[언약궤]]를 보관했던 곳이다. 휘장으로 성소와 구분되었고, 오직 대제사장만이 일 년에 한 번 피 흘림의 제사를 통해 들어갈 수 있었다. 이는 대제사장으로 이 땅에 임하신 그리스도의 보혈로 지성소에 나아가는 길이 열릴 것을 나타낸다. [[파일:성소(성막) 모형.jpg |섬네일 |250 px |성소(성막) 이미지]]
'''지성소(至聖所, The Most Holy Place)'''는 [[성소 (성막) |성소(성막)]]의 가장 안쪽에 있는 내실로서, [[십계명]]이 담긴 [[언약궤]]를 보관했던 곳이다. 휘장으로 성소와 구분되었고, 오직 대제사장만이 일 년에 한 번 피 흘림의 제사를 통해 들어갈 수 있었다. 이는 대제사장으로 이 땅에 임하신 그리스도의 보혈로 지성소에 나아가는 길이 열릴 것을 나타낸다. [[파일:성소(성막) 모형.jpg |섬네일 |250 px |성소(성막)의 모습]]
==명칭==
==명칭==
지성소는 ‘지극히 거룩한 곳’이라는 뜻이다. 성소(聖所, Sanctuary)를 히브리어로 ‘거룩한 것’이라는 뜻의 ‘코데쉬(קֹדֶשׁ)’라 하는데, 지성소는 그 최상급 형태로 ‘거룩한 것의 거룩한 것’이라는 뜻의 ‘코데쉬 학코다쉼(קֹדֶשׁ הַקֳּדָשִׁים)’이라 칭한다.<ref>{{인용 |url= |제목=코데쉬 학코다쉼(קֹדֶשׁ הַקֳּדָשִׁים) |웹사이트= |저널=CLC(기독교문서선교회) |출판사= |날짜=2007.9.20. |연도= |저자=신득일 |쪽= |시리즈= |isbn=9788934109754 |인용문=히브리어 최상급을 나타내는 다섯 가지 방법 가운데 같은 단어를 반복해서 속격관계를 만들어 최상급을 표시한다. 이것은 ‘노래 중의 노래’를 ‘아가서’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 }}</ref> 바깥 성소인 외소(外所)와 구별하기 위해 내소(內所)라 부르기도 한다. [[성소 (성막) | 성소(성막)]]는 외소와 내소를 통칭하는 표현이기도 하고,<ref name="히브리서10장">{{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10장 |제목=히브리서 10:19-20 |저널= |인용문= 그러므로 형제들아 우리가 예수의 피를 힘입어 성소[지성소]에 들어갈 담력을 얻었나니 그 길은 우리를 위하여 휘장 가운데로 열어 놓으신 새롭고 산 길이요 }}</ref> 넓게는 뜰까지 포함한 울타리 전체를 말한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6장 |제목=레위기 6:26 |저널= |인용문= 죄를 위하여 제사 드리는 제사장이 그것을 먹되 곧 회막[성소] 뜰 거룩한 곳에서 먹을 것이며 }}</ref>
지성소는 '지극히 거룩한 곳'이라는 뜻이다. 성소(聖所, Sanctuary)를 히브리어로 '거룩한 것'이라는 뜻의 '코데쉬(קֹדֶשׁ)'라 하는데, 지성소는 그 최상급 형태로 '거룩한 것의 거룩한 것'이라는 뜻의 '코데쉬 학코다쉼(קֹדֶשׁ הַקֳּדָשִׁים)'이라 칭한다.<ref>신득일, “코데쉬 학코다쉼(קֹדֶשׁ הַקֳּדָשִׁים)”, 《구약 히브리어》, 기독교문서선교회, 2007, <q>히브리어 최상급을 나타내는 다섯 가지 방법 가운데 같은 단어를 반복해서 속격관계를 만들어 최상급을 표시한다. 이것은 '노래 중의 노래'를 '아가서'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 </q></ref> 바깥 성소인 외소(外所)와 구별하기 위해 내소(內所)라 부르기도 한다. [[성소 (성막) |성소(성막)]]는 외소와 내소를 통칭하는 표현이기도 하고,<ref name="히브리서10장">{{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10장 |제목=히브리서 10:19-20 |저널= |인용문= 그러므로 형제들아 우리가 예수의 피를 힘입어 성소[지성소]에 들어갈 담력을 얻었나니 그 길은 우리를 위하여 휘장 가운데로 열어 놓으신 새롭고 산 길이요 }}</ref> 넓게는 뜰까지 포함한 울타리 전체를 말한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6장 |제목=레위기 6:26 |저널= |인용문= 죄를 위하여 제사 드리는 제사장이 그것을 먹되 곧 회막[성소] 뜰 거룩한 곳에서 먹을 것이며 }}</ref>


==위치 및 구조==
==위치 및 구조==
[[파일:성소평면도.jpg |섬네일 | 250px |성소 평면도]]
[[파일:성소평면도.jpg |섬네일 | 250px |성소 평면도]]
성소는 이스라엘 백성이 [[애굽]]에서 해방되어 광야 생활할 때, 하나님이 보여주신 식양대로 [[모세]]의 주도하에 만들어졌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5장 |제목=출애굽기 25:9 |저널= |인용문= 무릇 내가 네게 보이는 대로 장막의 식양과 그 기구의 식양을 따라 지을지니라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8장 |제목=히브리서 8:5 |저널= |인용문= 저희가 섬기는 것은 하늘에 있는 것의 모형과 그림자라 모세가 장막을 지으려 할 때에 지시하심을 얻음과 같으니 가라사대 삼가 모든 것을 산에서 네게 보이던 본을 좇아 지으라 하셨느니라}}</ref> 성소의 벽은 금을 입힌 널판들을 세워 만들었고,<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6장 |제목=출애굽기 26:15, 29 |저널= |인용문= 너는 조각목으로 성막을 위하여 널판을 만들어 세우되 ... 그 널판들을 금으로 싸고 그 널판들의 띠를 꿸 금고리를 만들고 그 띠를 금으로 싸라}}</ref> 천장은 네 겹의 휘장으로 덮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6장 |제목=출애굽기 26:1-14 |저널= |인용문=  그 성막을 덮는 막 곧 앙장을 염소털로 만들되 열한 폭을 만들지며 ... 붉은 물 들인 수양의 가죽으로 막의 덮개를 만들고 해달의 가죽으로 그 웃덮개를 만들지니라}}</ref> 겉으로는 하나로 보이나 안은 둘로 나누이는데, 안쪽에 있는 곳이 지성소다.  
성소는 이스라엘 백성이 [[출애굽|애굽에서 해방]]되어 [[광야 생활]]할 때, [[하나님]]이 보여주신 식양대로 [[모세]]의 주도하에 만들어졌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5장 |제목=출애굽기 25:9 |저널= |인용문= 무릇 내가 네게 보이는 대로 장막의 식양과 그 기구의 식양을 따라 지을지니라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8장 |제목=히브리서 8:5 |저널= |인용문= 저희가 섬기는 것은 하늘에 있는 것의 모형과 그림자라 모세가 장막을 지으려 할 때에 지시하심을 얻음과 같으니 가라사대 삼가 모든 것을 산에서 네게 보이던 본을 좇아 지으라 하셨느니라}}</ref> 성소의 벽은 금을 입힌 널판들을 세워 만들었고,<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6장 |제목=출애굽기 26:15, 29 |저널= |인용문= 너는 조각목으로 성막을 위하여 널판을 만들어 세우되 ... 그 널판들을 금으로 싸고 그 널판들의 띠를 꿸 금고리를 만들고 그 띠를 금으로 싸라}}</ref> 천장은 네 겹의 휘장으로 덮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6장 |제목=출애굽기 26:1-14 |저널= |인용문=  그 성막을 덮는 막 곧 앙장을 염소털로 만들되 열한 폭을 만들지며 ... 붉은 물 들인 수양의 가죽으로 막의 덮개를 만들고 해달의 가죽으로 그 웃덮개를 만들지니라}}</ref> 겉으로는 하나로 보이나 안은 둘로 나누이는데, 안쪽에 있는 곳이 지성소다.  
{{인용문5 |내용= 너는 청색 자색 홍색실과 가늘게 꼰 베실로 짜서 '''장[휘장]'''을 만들고 그 위에 그룹들을 공교히 수 놓아서 ... 그 장을 갈고리 아래 드리운 후에 증거궤[언약궤]를 그 장 안에 들여 놓으라 그 장이 너희를 위하여 '''성소[외소]'''와 '''지성소[내소]'''를 구별하리라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6장 출애굽기 26:31-33]}}{{인용문5 |내용= 또 '''둘째 휘장''' 뒤에 있는 장막을 '''지성소'''라 일컫나니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9장 히브리서 9:3]}}
{{인용문5 |내용= 너는 청색 자색 홍색실과 가늘게 꼰 베실로 짜서 '''장[휘장]'''을 만들고 그 위에 그룹들을 공교히 수놓아서 ... 그 장을 갈고리 아래 드리운 후에 증거궤[언약궤]를 그 장 안에 들여 놓으라 그 장이 너희를 위하여 '''성소[외소]'''와 '''지성소[내소]'''를 구별하리라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6장 출애굽기 26:31-33]}}{{인용문5 |내용= 또 '''둘째 휘장''' 뒤에 있는 장막을 '''지성소'''라 일컫나니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9장 히브리서 9:3]}}
지성소는 성소에서도 특별히 구별된 공간으로, 실로 짜서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0690&cid=50762&categoryId=51387 그룹] 형상을 수놓은 휘장으로 외소와 분리되었다. 지성소는 길이와 너비와 높이가 모두 10[[성경의 단위 |규빗]]으로 동일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6장 |제목=출애굽기 36:20-21 |저널= |인용문= 그가 또 조각목으로 성막에 세울 널판들을 만들었으니 각 판의 장은 십 규빗, 광은 일 규빗 반이며 }}</ref> [[가나안]]에 정착한 후에는 이동식 형태인 성막(聖幕) 대신 안정적인 성전(聖殿, Temple)으로 건축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6장 |제목=열왕기상 6:1 |저널= |인용문= 이스라엘 자손이 애굽 땅에서 나온 지 사백팔십 년이요 솔로몬이 이스라엘 왕이 된 지 사 년 시브월 곧 이월에 솔로몬이 여호와를 위하여 전 건축하기를 시작하였더라 }}</ref> 성막보다 큰 규모로 건축된 성전(예루살렘 성전) 역시 지성소는 정육면체 형태였다.  
지성소는 성소에서도 특별히 구별된 공간으로, 실로 짜서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0690&cid=50762&categoryId=51387 그룹(Cherub)] 형상을 수놓은 휘장으로 외소와 분리되었다. 지성소는 길이와 너비와 높이가 모두 10[[성경의 단위 |규빗]]으로 동일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6장 |제목=출애굽기 36:20-21 |저널= |인용문= 그가 또 조각목으로 성막에 세울 널판들을 만들었으니 각 판의 장은 십 규빗, 광은 일 규빗 반이며 }}</ref> [[가나안]]에 정착한 후에는 이동식 형태인 성막(聖幕) 대신 안정적인 [[성전|성전(聖殿, Temple)]]으로 건축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6장 |제목=열왕기상 6:1 |저널= |인용문= 이스라엘 자손이 애굽 땅에서 나온 지 사백팔십 년이요 솔로몬이 이스라엘 왕이 된 지 사 년 시브월 곧 이월에 솔로몬이 여호와를 위하여 전 건축하기를 시작하였더라 }}</ref> 성막보다 큰 규모로 건축된 성전(예루살렘 성전) 역시 지성소는 정육면체 형태였다.  
{{인용문5 |내용=여호와의 언약궤를 두기 위하여 전 안에 '''내소'''를 예비하였는데 그 내소의 속이 '''장이 이십 규빗'''이요 '''광이 이십 규빗'''이요 '''고가 이십 규빗'''이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6장 열왕기상 6:19-20] }}
{{인용문5 |내용=여호와의 언약궤를 두기 위하여 전 안에 '''내소'''를 예비하였는데 그 내소의 속이 '''장이 이십 규빗'''이요 '''광이 이십 규빗'''이요 '''고가 이십 규빗'''이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6장 열왕기상 6:19-20] }}


19번째 줄: 19번째 줄:
|-
|-
| <center>뜰</center>
| <center>뜰</center>
| <center>약 25m×50m×2.5m<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7장 |제목=출애굽기 27:9-13 |저널= |인용문= 뜰의 길이는 백 규빗이요 너비는 쉰 규빗이요 세마포 휘장의 높이는 다섯 규빗이요 }}</ref></center>
| <center>약 25m×50m×2.5m<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7장 |제목=출애굽기 27:18 |저널= |인용문= 뜰의 장은 백 규빗이요 광은 오십 규빗이요 세마포장의 고는 오 규빗이요 그 받침은 놋이며 }}</ref></center>
| <center>번제단, 물두멍<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40장 |제목=출애굽기 40:29-30 |저널= |인용문=또 회막의 성막 문 앞에 번제단을 두고 번제와 소제를 그 위에 드리니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명하신대로 되니라 그가 또 물두멍을 회막과 단 사이에 두고 거기 씻을 물을 담고 }}</ref></center>
| <center>번제단, 물두멍<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40장 |제목=출애굽기 40:29-30 |저널= |인용문=또 회막의 성막 문 앞에 번제단을 두고 번제와 소제를 그 위에 드리니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명하신대로 되니라 그가 또 물두멍을 회막과 단 사이에 두고 거기 씻을 물을 담고 }}</ref></center>
|-
|-
25번째 줄: 25번째 줄:
| <center>약 5m×15m×5m</center>
| <center>약 5m×15m×5m</center>
| <center>분향단,<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0장 |제목=출애굽기 30:1-6 |저널= |인용문=너는 분향할 단을 만들지니 ... 그 단을 증거궤 위 속죄소 맞은편 곧 증거궤 앞에 있는 장 밖에 두라}}</ref> 촛대, 떡상<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6장 |제목=출애굽기 26:35 |저널= |인용문=그 장 바깥 북편에 상을 놓고 남편에 등대를 놓아 상과 대하게 할지며}}</ref></center>
| <center>분향단,<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0장 |제목=출애굽기 30:1-6 |저널= |인용문=너는 분향할 단을 만들지니 ... 그 단을 증거궤 위 속죄소 맞은편 곧 증거궤 앞에 있는 장 밖에 두라}}</ref> 촛대, 떡상<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6장 |제목=출애굽기 26:35 |저널= |인용문=그 장 바깥 북편에 상을 놓고 남편에 등대를 놓아 상과 대하게 할지며}}</ref></center>
| <center>제사장<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3장 |제목=민수기 3:5-10 |저널= |인용문=그들이 회막 앞에서 아론의 직무와 온 회중의 직무를 위하여 회막에서 시무하되 ... 너는 아론과 그 아들들을 세워 제사장 직분을 행하게 하라 외인이 가까이 하면 죽임을 당할 것이니라}}</ref></center>
| <center>제사장<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3장 |제목=민수기 3:7-10 |저널= |인용문=그들이 회막 앞에서 아론의 직무와 온 회중의 직무를 위하여 회막에서 시무하되 ... 너는 아론과 그 아들들을 세워 제사장 직분을 행하게 하라 외인이 가까이 하면 죽임을 당할 것이니라}}</ref></center>
|-
|-
| <center>지성소</center>
| <center>지성소</center>
35번째 줄: 35번째 줄:
==역할==
==역할==
[[파일:성소 증거궤.jpg |섬네일 | 250px |언약궤 모형]]
[[파일:성소 증거궤.jpg |섬네일 | 250px |언약궤 모형]]
지성소에는 [[언약궤 | 언약궤(Ark of the Covenant)]]를 보관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6장 |제목=출애굽기 26:34 |저널= |인용문=너는 지성소에 있는 증거궤 위에 속죄소를 두고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하#5장 |제목=역대하 5:1 |저널= |인용문=제사장들이 여호와의 언약궤를 그 처소로 메어 들였으니 곧 내전 지성소 그룹들의 날개 아래라 }}</ref> 언약궤 안에는 [[만나]]를 담은 금항아리, 아론의 싹 난 지팡이, 하나님이 모세에게 주신 [[십계명]]이 들어 있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9장 |제목=히브리서 9:3-4 |저널= |인용문=또 둘째 휘장 뒤에 있는 장막을 지성소라 일컫나니 금향로와 사면을 금으로 싼 언약궤가 있고 그 안에 만나를 담은 금항아리와 아론의 싹난 지팡이와 언약의 비석들이 있고 }}</ref> 언약궤의 덮개를 속죄소(贖罪所)라 하는데, 속죄소 양편에는 금으로 만든 두 그룹(Cherub) 천사의 형상이 서로 마주 보게 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5장 |제목=출애굽기 25:17-20 |저널= |인용문= 금으로 그룹 둘을 속죄소 두 끝에 쳐서 만들되 그 날개로 속죄소를 덮으며 그 얼굴을 서로 대하여 속죄소를 향하게 하고 }}</ref> 이 그룹 사이에서 죄 사함과 하나님의 은혜가 내려졌다. 속죄소를 ‘하나님의 은혜가 베풀어지는 자리’라 하여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2816&cid=50762&categoryId=51387 시은좌(施恩座, Mercy Seat)]’라고도 부른다.  
지성소에는 [[언약궤 |언약궤(Ark of the Covenant)]]를 보관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6장 |제목=출애굽기 26:34 |저널= |인용문=너는 지성소에 있는 증거궤 위에 속죄소를 두고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하#5장 |제목=역대하 5:7 |저널= |인용문=제사장들이 여호와의 언약궤를 그 처소로 메어 들였으니 곧 내전 지성소 그룹들의 날개 아래라 }}</ref> 언약궤 안에는 [[만나]]를 담은 금항아리, [[아론]]의 싹 난 지팡이, 하나님이 모세에게 주신 [[십계명]]이 들어 있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9장 |제목=히브리서 9:3-4 |저널= |인용문=또 둘째 휘장 뒤에 있는 장막을 지성소라 일컫나니 금향로와 사면을 금으로 싼 언약궤가 있고 그 안에 만나를 담은 금항아리와 아론의 싹난 지팡이와 언약의 비석들이 있고 }}</ref> 언약궤의 덮개를 속죄소(贖罪所)라 하는데, 속죄소 양편에는 금으로 만든 두 그룹 천사의 형상이 서로 마주 보게 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5장 |제목=출애굽기 25:18-20 |저널= |인용문= 금으로 그룹 둘을 속죄소 두 끝에 쳐서 만들되 ... 그룹들은 그 날개를 높이 펴서 그 날개로 속죄소를 덮으며 그 얼굴을 서로 대하여 속죄소를 향하게 하고}}</ref> 이 그룹 사이에서 [[사함]]과 하나님의 은혜가 내려졌다. 속죄소를 '하나님의 은혜가 베풀어지는 자리'라 하여 '시은좌(施恩座, Mercy Seat)'라고도 부른다.  
{{인용문5 |내용=속죄소를 궤 위에 얹고 내가 네게 줄 증거판[십계명]을 궤 속에 넣으라 거기서 내가 너와 만나고 '''속죄소''' 위 곧 증거궤[언약궤] 위에 있는 두 그룹 사이에서 내가 이스라엘 자손을 위하여 네게 명할 모든 일을 '''네게 이르리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5장 출애굽기 25:21-22] }}
{{인용문5 |내용=속죄소를 궤 위에 얹고 내가 네게 줄 증거판[십계명]을 궤 속에 넣으라 거기서 내가 너와 만나고 '''속죄소''' 위 곧 증거궤[언약궤] 위에 있는 두 그룹 사이에서 내가 이스라엘 자손을 위하여 네게 명할 모든 일을 '''네게 이르리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5장 출애굽기 25:21-22] }}


==지성소에 들어가는 문제==
==지성소에 들어가는 문제==
===피 흘림의 제사로 들어감===
===피 흘림의 제사로 들어감===
가장 거룩한 곳인 지성소는 아무나 들어갈 수 없었다. 오직 [[대제사장]]만 들어갈 수 있었는데 대제사장이라도 일 년에 단 하루, [[대속죄일 | 속죄일(贖罪日, Day of Atonement)]]에 짐승의 피를 뿌려 속죄한 후에야 들어갈 수 있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0장 |제목=출애굽기 30:6-10 |저널= |인용문=아론이 일 년 일 차씩 이 향단 뿔을 위하여 속죄하되 속죄제의 피로 일 년 일 차씩 대대로 속죄할지니라 이 단은 여호와께 지극히 거룩하니라 }}</ref>
가장 거룩한 곳인 지성소는 아무나 들어갈 수 없었다. 오직 [[제사장#대제사장|대제사장]]만 들어갈 수 있었는데 대제사장이라도 일 년에 단 하루, [[대속죄일 |속죄일(贖罪日, Day of Atonement)]]에 짐승의 피를 뿌려 속죄한 후에야 들어갈 수 있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0장 |제목=출애굽기 30:10 |저널= |인용문=아론이 일 년 일 차씩 이 향단 뿔을 위하여 속죄하되 속죄제의 피로 일 년 일 차씩 대대로 속죄할지니라 이 단은 여호와께 지극히 거룩하니라 }}</ref>
{{인용문5 |내용='''제사장[대제사장]'''은 속죄하되 세마포 옷 곧 성의를 입고 지성소를 위하여 속죄하며 ... 이스라엘 자손의 모든 죄를 위하여 '''일 년 일 차''' 속죄할 것이니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16장 레위기 16:32-34] }}{{인용문5 |내용=오직 '''둘째 장막[지성소]'''은 '''대제사장이 홀로 일 년 일차씩 들어가되 피 없이는 아니하나니''' 이 피는 자기와 백성의 허물을 위하여 드리는 것이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9장 히브리서 9:7] }}
{{인용문5 |내용='''제사장[대제사장]'''은 속죄하되 세마포 옷 곧 성의를 입고 지성소를 위하여 속죄하며 ... 이스라엘 자손의 모든 죄를 위하여 '''일 년 일 차''' 속죄할 것이니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16장 레위기 16:32-34] }}{{인용문5 |내용=오직 '''둘째 장막[지성소]'''은 '''대제사장이 홀로 일 년 일차씩 들어가되 피 없이는 아니하나니''' 이 피는 자기와 백성의 허물을 위하여 드리는 것이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9장 히브리서 9:7] }}
지성소의 출입을 엄격히 정하신 이유는 지성소에 보관된 언약궤 속 십계명 때문이었다. 옛적 에덴동산에서 [[아담]]과 [[하와 (이브) | 하와]]가 범죄한 이후 죄인으로서는 [[생명과]]를 먹을 수 없도록 두 그룹 천사가 화염검을 가지고 지켰다.<ref name="생명과그룹">{{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3장 |제목=창세기 3:24 |저널= |인용문=하나님이 그 사람을 쫓아내시고 에덴동산 동편에 그룹들과 두루 도는 화염검을 두어 생명나무의 길을 지키게 하시니라}}</ref> 언약궤 역시 두 그룹 천사가 지키고 있는데,<ref name="언약궤그룹">{{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7장 |제목=출애굽기 37:1-9 |저널= |인용문=브살렐이 조각목으로 궤[언약궤]를 만들었으니 ...  금으로 그룹 둘을 속죄소 양편에 쳐서 만들었으되 한 그룹은 이편 끝에, 한 그룹은 저편 끝에 곧 속죄소와 한 덩이로 그 양편에 만들었으니}}</ref> 이는 언약궤 속 십계명이 에덴동산의 생명과를 의미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그런 언약궤를 함부로 대하면 죽임을 당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하#6장 |제목=사무엘하 6:6-7 |저널= |인용문= 저희가 나곤의 타작 마당에 이르러서는 소들이 뛰므로 웃사가 손을 들어 하나님의 궤를 붙들었더니 여호와 하나님이 웃사의 잘못함을 인하여 진노하사 저를 그곳에서 치시니 저가 거기 하나님의 궤 곁에서 죽으니라}}</ref> 언약궤가 있는 지성소에 들어갈 때는 반드시 속죄를 위한 피 흘림의 제사가 선행되어야 했다.
지성소의 출입을 엄격히 정하신 이유는 지성소에 보관된 언약궤 속 십계명 때문이었다. 옛적 에덴동산에서 [[아담]]과 [[하와 (이브) |하와]]가 범죄한 이후 죄인으로서는 [[생명과]]를 먹을 수 없도록 두 그룹 천사가 화염검을 가지고 지켰다.<ref name="생명과그룹">{{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3장 |제목=창세기 3:24 |저널= |인용문=하나님이 그 사람을 쫓아내시고 에덴동산 동편에 그룹들과 두루 도는 화염검을 두어 생명나무의 길을 지키게 하시니라}}</ref> 언약궤 역시 두 그룹 천사가 지키고 있는데,<ref name="언약궤그룹">{{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7장 |제목=출애굽기 37:1-9 |저널= |인용문=브살렐이 조각목으로 궤[언약궤]를 만들었으니 ...  금으로 그룹 둘을 속죄소 양편에 쳐서 만들었으되 한 그룹은 이편 끝에, 한 그룹은 저편 끝에 곧 속죄소와 한 덩이로 그 양편에 만들었으니}}</ref> 이는 언약궤 속 십계명이 에덴동산의 생명과를 의미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그런 언약궤를 함부로 대하면 죽임을 당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하#6장 |제목=사무엘하 6:6-7 |저널= |인용문= 저희가 나곤의 타작 마당에 이르러서는 소들이 뛰므로 웃사가 손을 들어 하나님의 궤를 붙들었더니 여호와 하나님이 웃사의 잘못함을 인하여 진노하사 저를 그곳에서 치시니 저가 거기 하나님의 궤 곁에서 죽으니라}}</ref> 언약궤가 있는 지성소에 들어갈 때는 반드시 속죄를 위한 피 흘림의 제사가 선행되어야 했다.


===그리스도의 보혈로 들어감===
===그리스도의 보혈로 들어감===
구약의 율법은 장차 등장할 참 형상을 알려주기 위한 모형이다. 구약의 율법, 즉 짐승의 피로는 온전케 할 수 없고 희생 제물의 실체 되신 그리스도의 피가 있어야만 완전한 죄 사함이 이루어진다.  
[[모세의 율법|구약의 율법]]은 장차 등장할 참 형상을 알려주기 위한 모형이었다. 구약의 율법, 즉 짐승의 피로는 온전케 할 수 없고 희생 제물의 실체 되신 [[그리스도]]의 피가 있어야만 완전한 죄 사함이 이루어진다.  
{{인용문5 |내용='''율법은''' 장차 오는 좋은 일의 '''그림자요''' 참 형상이 아니므로 해마다 늘 드리는 바 같은 제사로는 나아오는 자들을 언제든지 온전케 할 수 없느니라 … 이는 황소와 염소의 피가 능히 죄를 없이하지 못함이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10장 히브리서 10:1-4] }}
{{인용문5 |내용='''율법은''' 장차 오는 좋은 일의 '''그림자요''' 참 형상이 아니므로 해마다 늘 드리는 바 같은 제사로는 나아오는 자들을 언제든지 온전케 할 수 없느니라 … 이는 황소와 염소의 피가 능히 죄를 없이하지 못함이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10장 히브리서 10:1-4] }}
성소에서 드려졌던 짐승의 피는 [[십자가]]에서 흘리실 그리스도의 보혈을 상징한다. 그리스도는 [[멜기세덱과 그리스도 | 멜기세덱]]의 반차를 좇는 대제사장으로 오셔서, 죽을 수밖에 없는 인류를 위해 대신 희생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로마서#6장 |제목=로마서 6:23 |저널= |인용문= 죄의 삯은 사망이요 하나님의 은사는 그리스도 예수 우리 주 안에 있는 영생이니라}}</ref><ref name="히브리서6장">{{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6장 |제목=히브리서 6:19-20 |저널= |인용문= 우리가 이 소망이 있는 것은 영혼의 닻 같아서 튼튼하고 견고하여 휘장 안에 들어가나니 그리로 앞서 가신 예수께서 멜기세덱의 반차를 좇아 영원히 대제사장이 되어 우리를 위하여 들어가셨느니라}}</ref> 예수님이 십자가상에서 육체가 찢기는 희생을 당하고 운명하실 때 성소의 휘장이 찢어진 것은,<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7장 |제목=마태복음 27:50-51 |저널= |인용문= 예수께서 다시 크게 소리지르시고 영혼이 떠나시다 이에 성소 휘장이 위로부터 아래까지 찢어져 둘이 되고}}</ref> 그리스도의 보혈로 휘장을 제거하심으로 하늘 지성소의 길이 열린 것을 의미한다.  
성소에서 드려졌던 짐승의 피는 [[십자가]]에서 흘리실 그리스도의 보혈을 상징한다. 그리스도는 [[멜기세덱]]의 [[제사장 반차|반차]]를 좇는 대제사장으로 오셔서, 죽을 수밖에 없는 인류를 위해 대신 희생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로마서#6장 |제목=로마서 6:23 |저널= |인용문= 죄의 삯은 사망이요 하나님의 은사는 그리스도 예수 우리 주 안에 있는 영생이니라}}</ref><ref name="히브리서6장">{{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6장 |제목=히브리서 6:19-20 |저널= |인용문= 우리가 이 소망이 있는 것은 영혼의 닻 같아서 튼튼하고 견고하여 휘장 안에 들어가나니 그리로 앞서 가신 예수께서 멜기세덱의 반차를 좇아 영원히 대제사장이 되어 우리를 위하여 들어가셨느니라}}</ref> 예수님이 십자가상에서 육체가 찢기는 희생을 당하고 운명하실 때 성소의 휘장이 찢어진 것은,<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7장 |제목=마태복음 27:50-51 |저널= |인용문= 예수께서 다시 크게 소리지르시고 영혼이 떠나시다 이에 성소 휘장이 위로부터 아래까지 찢어져 둘이 되고}}</ref> 그리스도의 보혈로 휘장을 제거하심으로 하늘 지성소의 길이 열린 것을 의미한다.  
{{인용문5 |내용=그러므로 형제들아 우리가 예수의 피를 힘입어 성소[지성소]에 들어갈 담력을 얻었나니 그 길은 우리를 위하여 휘장 가운데로 열어 놓으신 새롭고 산 길이요 '''휘장은 곧 저의 육체'''니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10장 히브리서 10:19-20] }}
{{인용문5 |내용=그러므로 형제들아 우리가 예수의 피를 힘입어 성소[지성소]에 들어갈 담력을 얻었나니 그 길은 우리를 위하여 휘장 가운데로 열어 놓으신 새롭고 산 길이요 '''휘장은 곧 저의 육체'''니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10장 히브리서 10:19-20] }}
위 구절에서 언급한 성소는 휘장 뒤에 있는 지성소를 가리킨다. 지성소에는 생명과를 상징하는 언약궤가 있었다.<ref name="생명과그룹" /><ref name="언약궤그룹" /> 죄인으로서는 손댈 수 없는 생명과가 보관되어 있어 그동안 함부로 들어가지 못했던 지성소가, 예수님의 죽으심으로 열렸다. 이로 인해 인류는 하늘 지성소에 나아가 생명과를 먹음으로 죽음에서 해방되어 영원한 생명을 얻게 되었다.
위 구절에서 언급한 성소는 휘장 뒤에 있는 지성소를 가리킨다. 지성소에는 생명과를 상징하는 언약궤가 있었다.<ref name="생명과그룹" /><ref name="언약궤그룹" /> 죄인으로서는 손댈 수 없는 생명과가 보관되어 있어 그동안 함부로 들어가지 못했던 지성소가, 예수님의 죽으심으로 열렸다. 이로 인해 인류는 하늘 지성소에 나아가 생명과를 먹음으로 죽음에서 해방되어 영원한 생명을 얻게 되었다.
53번째 줄: 53번째 줄:
==지성소의 실체==
==지성소의 실체==
===지성소와 하늘 예루살렘===
===지성소와 하늘 예루살렘===
[[사도 요한]]은 천사에게 이끌려 이상 중에 [[새 예루살렘]] 곧 하늘 예루살렘성을 보았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21장 |제목=요한계시록 21:2 |저널= |인용문=  또 내가 보매 거룩한 성 새 예루살렘이 하나님께로부터 하늘에서 내려오니 그 예비한 것이 신부가 남편을 위하여 단장한 것 같더라 }}</ref> 그 성의 특징은 길이와 너비와 높이가 같은 정방형이라는 점이다.  
[[요한 (사도)|사도 요한]]은 천사에게 이끌려 이상 중에 [[새 예루살렘]] 곧 하늘 예루살렘성을 보았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21장 |제목=요한계시록 21:2 |저널= |인용문=  또 내가 보매 거룩한 성 새 예루살렘이 하나님께로부터 하늘에서 내려오니 그 예비한 것이 신부가 남편을 위하여 단장한 것 같더라 }}</ref> 그 성의 특징은 길이와 너비와 높이가 같은 정방형이라는 점이다.  
{{인용문5 |내용=성령으로 나를 데리고 크고 높은 산으로 올라가 하나님께로부터 '''하늘'''에서 내려오는 '''거룩한 성 예루살렘'''을 보이니 ... 그 성은 네모가 반듯하여 장광이 같은지라 그 갈대로 그 성을 척량하니 일만 이천 스다디온이요 '''장[길이]과 광[너비]과 고[높이]가 같더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21장 요한계시록 21:10-16] }}
{{인용문5 |내용=성령으로 나를 데리고 크고 높은 산으로 올라가 하나님께로부터 '''하늘'''에서 내려오는 '''거룩한 성 예루살렘'''을 보이니 ... 그 성은 네모가 반듯하여 장광이 같은지라 그 갈대로 그 성을 척량하니 일만 이천 스다디온이요 '''장[길이]과 광[너비]과 고[높이]가 같더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21장 요한계시록 21:10-16] }}
하늘 예루살렘은 대우주 중심에 있는 하나님의 도성으로, 그 안에 하나님과 천사들과 온전케 된 의인의 영들이 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12장 |제목=히브리서 12:22-23 |저널= |인용문= 그러나 너희가 이른 곳은 시온산과 살아계신 하나님의 도성인 하늘의 예루살렘과 천만 천사와 하늘에 기록한 장자들의 총회와 교회와 만민의 심판자이신 하나님과 및 온전케 된 의인의 영들과 ... }}</ref> 네모반듯하여 사면의 크기가 같은 하늘 예루살렘성의 구조는 지극히 거룩한 곳, 지성소의 구조와 일치한다. 또한 하늘 예루살렘성 안에는 생명나무가 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22장 |제목=요한계시록 22:2-14 |저널= |인용문=길 가운데로 흐르더라 강 좌우에 생명나무가 있어 열두 가지 실과를 맺히되 달마다 그 실과를 맺히고 그 나무 잎사귀들은 만국을 소성하기 위하여 있더라 ...그 두루마기를 빠는 자들은 복이 있으니 이는 저희가 생명나무에 나아가며 문들을 통하여 성에 들어갈 권세를 얻으려 함이로다 }}</ref> 하늘 예루살렘의 길이와 너비와 높이가 똑같고 그 안에 생명과가 있다는 것은 지상 성소의 지성소가 하늘 예루살렘성을 상징한다는 뜻이다.<br>
하늘 예루살렘은 대우주 중심에 있는 하나님의 도성으로, 그 안에 하나님과 [[천사]]들과 온전케 된 의인의 영들이 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12장 |제목=히브리서 12:22-23 |저널= |인용문= 그러나 너희가 이른 곳은 시온산과 살아계신 하나님의 도성인 하늘의 예루살렘과 천만 천사와 하늘에 기록한 장자들의 총회와 교회와 만민의 심판자이신 하나님과 및 온전케 된 의인의 영들과 }}</ref> 네모반듯하여 사면의 크기가 같은 하늘 예루살렘성의 구조는 지극히 거룩한 곳, 지성소의 구조와 일치한다. 또한 하늘 예루살렘성 안에는 생명나무가 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22장 |제목=요한계시록 22:2 |저널= |인용문=강 좌우에 생명나무가 있어 열두 가지 실과를 맺히되 달마다 그 실과를 맺히고 그 나무 잎사귀들은 만국을 소성하기 위하여 있더라 }}</ref> 하늘 예루살렘의 길이와 너비와 높이가 똑같고 그 안에 생명과가 있다는 것은 지상 성소의 지성소가 하늘 예루살렘성을 상징한다는 뜻이다.<br>


===하늘 예루살렘 어머니===
===하늘 예루살렘 어머니===
하늘 예루살렘성은 [[천국 혼인 잔치]]의 신부를 나타내는 상징물이다. 천국 혼인 잔치의 신랑이 어린양으로 표상되듯 그 신부는 하늘 예루살렘성으로 표상되는 것이다.
하늘 예루살렘성은 [[천국 혼인 잔치]]의 [[어린양의 아내 (신부)|신부]]를 나타내는 상징물이다. 천국 혼인 잔치의 신랑이 어린양으로 표상되듯 그 신부는 하늘 예루살렘성으로 표상되는 것이다.
{{인용문5 |내용=일곱 천사 중 하나가 나아와서 내게 말하여 가로되 이리 오라 내가 '''신부 곧 어린양의 아내를''' 네게 '''보이리라''' 하고 성령으로 나를 데리고 크고 높은 산으로 올라가 하나님께로부터 '''하늘'''에서 내려오는 거룩한 성 '''예루살렘을 보이니''' ...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21장 요한계시록 21:9-10] }}
{{인용문5 |내용=일곱 천사 중 하나가 나아와서 내게 말하여 가로되 이리 오라 내가 '''신부 곧 어린양의 아내를''' 네게 '''보이리라''' 하고 성령으로 나를 데리고 크고 높은 산으로 올라가 하나님께로부터 '''하늘'''에서 내려오는 거룩한 성 '''예루살렘을 보이니''' ...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21장 요한계시록 21:9-10] }}
성경은 하늘 예루살렘으로 표상되는 분이 성도들의 영적 어머니, 곧 어머니 하나님이라고도 알려주고 있다.
성경은 하늘 예루살렘으로 표상되는 분이 성도들의 영적 어머니, 곧 [[어머니 하나님]]이라고도 알려주고 있다.
{{인용문5 |내용=오직 '''위[하늘]에 있는 예루살렘'''은 자유자니 곧 '''우리 어머니'''라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갈라디아서#4장 갈라디아서 4:26]}}
{{인용문5 |내용=오직 '''위[하늘]에 있는 예루살렘'''은 자유자니 곧 '''우리 어머니'''라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갈라디아서#4장 갈라디아서 4:26]}}
따라서 하늘 예루살렘으로 표상된 신부는 어머니 하나님이다. 하늘 예루살렘성이 내려온다는 말씀은 어머니 하나님의 등장에 대한 예언인 것이다. <br>
따라서 하늘 예루살렘으로 표상된 신부는 어머니 하나님이다. 하늘 예루살렘성이 내려온다는 말씀은 어머니 하나님의 등장에 대한 예언인 것이다. <br>
또한 하늘 예루살렘이 지상 성소 가운데 지성소의 특징과 일치한다는 사실은 어머니 하나님이 지성소의 실체라는 뜻이다. [[요한계시록]]의 예언을 따라 어린양과 그 아내, 곧 [[성령과 신부]]가 등장하는 성령시대에는, 신부이신 어머니 하나님께서 지성소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생명과를 의미하는 십계명을 지성소에 보관했던 구약시대의 역사는 그림자로서, 지성소의 실체이신 하늘 어머니께 나아가는 자들이 [[생명수]]를 받아 영원한 생명을 얻게 된다.  
또한 하늘 예루살렘이 지상 성소 가운데 지성소의 특징과 일치한다는 사실은 어머니 하나님이 지성소의 실체라는 뜻이다. [[요한계시록]]의 예언을 따라 어린양과 그 아내, 곧 [[성령과 신부]]가 등장하는 성령시대에는, 신부이신 어머니 하나님께서 지성소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생명과를 의미하는 십계명을 지성소에 보관했던 구약시대의 역사는 그림자로서, 지성소의 실체이신 [[하늘 어머니]]께 나아가는 자들이 [[생명수]]를 받아 영원한 생명을 얻게 된다.  
{{인용문5 |내용='''성령과 신부'''가 말씀하시기를 오라 하시는도다 듣는 자도 오라 할 것이요 목마른 자도 올 것이요 또 원하는 자는 값없이 '''생명수'''를 받으라 하시더라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22장 요한계시록 22:17] }}
{{인용문5 |내용='''성령과 신부'''가 말씀하시기를 오라 하시는도다 듣는 자도 오라 할 것이요 목마른 자도 올 것이요 또 원하는 자는 값없이 '''생명수'''를 받으라 하시더라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22장 요한계시록 22:17] }}
==관련 영상==
* 설교: '''하늘 어머니와 지성소'''
<youtube>EXlEohgJm44</youtube>


==같이 보기==
==같이 보기==
76번째 줄: 80번째 줄:
*[[엘로힘]]
*[[엘로힘]]
*[[어머니 하나님]]
*[[어머니 하나님]]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각주==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