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온의 위치: 두 판 사이의 차이

하나님의 교회 지식사전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Joshua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 예루살렘 성전 지도.jpg|섬네일 | 예루살렘 성전 지도: 다윗성은 시온산에 위치했으며 솔로몬 성전은 모리아산에 위치했다]]
[[파일: 예루살렘 성전 지도.jpg|섬네일 | 예루살렘 성전 지도: 다윗성은 시온산에 위치했으며 솔로몬 성전은 모리아산에 위치했다]]
'''시온의 위치'''는 이스라엘 중부에 있는 도시 [[예루살렘]]의 남동쪽이다. 시온은 원래 그곳에 있는 산의 이름이었으나 성경에서는 예루살렘 또는 이스라엘 전체를 지칭하는 단어로 사용되곤 했다.  
'''시온의 위치'''는 이스라엘 중부에 있는 도시 [[예루살렘]]의 남동쪽이다. 시온은 원래 그곳에 있는 산의 이름이었으나 [[성경]]에서는 예루살렘 또는 이스라엘 전체를 지칭하는 단어로 사용되곤 했다.  


==시온의 위치==
==시온의 위치==
시온은 예루살렘 남동쪽에 자리잡은 해발 약 790m의 산을 말한다. 시온 산성은 원래 여부스 족속의 거주지이자 요새였으나 [[다윗]]이 이곳을 점령해 성곽을 증축하고 [[다윗성]]이라 불렀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하#5장 |제목=사무엘하 5:7 |저널= |인용문= 다윗이 시온 산성을 빼앗았으니 이는 다윗성이더라}}</ref> 이후 다윗은 이곳을 이스라엘의 수도로 삼고 [[언약궤]]를 가져와 안치하면서 이스라엘의 정치적∙종교적 중심지가 되었다.<br>
시온은 예루살렘 남동쪽에 자리잡은 해발 약 790m의 산을 말한다. 시온 산성은 원래 여부스 족속의 거주지이자 요새였으나 [[다윗]]이 이곳을 점령해 성곽을 증축하고 [[다윗성]]이라 불렀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하#5장 |제목=사무엘하 5:7 |저널= |인용문= 다윗이 시온 산성을 빼앗았으니 이는 다윗성이더라}}</ref> 이후 다윗은 이곳을 이스라엘의 수도로 삼고 [[언약궤]]를 가져와 안치하면서 이스라엘의 정치적·종교적 중심지가 되었다.<br>
다윗에 이어 왕이 된 [[솔로몬]]은 시온산과 인접한 [[모리아|모리아산]]에 예루살렘 성전을 짓고<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하#3장 |제목=역대하 3:1 |저널= |인용문= 솔로몬이 예루살렘 모리아산에 여호와의 전 건축하기를 시작하니}}</ref> 다윗성 곧 시온산에 있던 언약궤를 옮겨왔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8장 |제목=열왕기상 8:1, 6 |저널= |인용문= 이에 솔로몬이 여호와의 언약궤를 다윗성 곧 시온에서 메어 올리고자 하여 ... 제사장들이 여호와의 언약궤를 그 처소로 메어 들였으니 곧 내전 지성소 그룹들의 날개 아래라}}</ref> 이후 모리아산까지를 포함해 시온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br>
다윗에 이어 왕이 된 [[솔로몬]]은 시온산과 인접한 모리아산에 예루살렘 [[성전]]짓고<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하#3장 |제목=역대하 3:1 |저널= |인용문= 솔로몬이 예루살렘 모리아산에 여호와의 전 건축하기를 시작하니}}</ref> 다윗성 곧 시온산에 있던 언약궤를 옮겨왔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8장 |제목=열왕기상 8:1, 6 |저널= |인용문= 이에 솔로몬이 여호와의 언약궤를 다윗성 곧 시온에서 메어 올리고자 하여 ... 제사장들이 여호와의 언약궤를 그 처소로 메어 들였으니 곧 내전 지성소 그룹들의 날개 아래라}}</ref> 이후 모리아산까지를 포함해 시온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br>


==시온의 의미 확장==
==시온의 의미 확장==
세월이 흐르면서 시온은 종종 예루살렘 전체 또는 이스라엘을 나타내는 단어로 사용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s://www.britannica.com/place/Zion-hill-Jerusalem |제목=Zion(hill, Jerusalem) |웹사이트=Britannica |저널=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In biblical usage, however, “Mount Zion” often means the city rather than the hill itself. Zion appears in the Old Testament 152 times as a title of Jerusalem;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31장 |제목=예레미야 31:11-12 |저널= |인용문==여호와께서 야곱을 속량하시되 그들보다 강한 자의 손에서 구속하셨으니 그들이 와서 '''시온'''의 높은 곳에서 찬송하며 여호와의 은사 곧 곡식과 새 포도주와 기름과 어린 양의 떼와 소의 떼에 모일 것이라 그 심령은 물댄 동산 같겠고 다시는 근심이 없으리로다 할지어다}}</ref> 특히 바벨론 포로기를 겪으며 이스라엘 민족에게 시온은 거룩한 땅으로의 귀환을 바라는 염원과 열망이 담긴 단어로 자리 잡았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시편#126장 |제목=시편 126:1-3 |저널= |인용문=여호와께서 '''시온'''의 포로를 돌리실 때에 우리가 꿈꾸는 것 같았도다 그때에 우리 입에는 웃음이 가득하고 우리 혀에는 찬양이 찼었도다 열방 중에서 말하기를 여호와께서 저희를 위하여 대사를 행하셨다 하였도다 여호와께서 우리를 위하여 대사를 행하셨으니 우리는 기쁘도다}}</ref>
세월이 흐르면서 시온은 종종 예루살렘 전체 또는 이스라엘을 나타내는 단어로 사용되었다.<ref>[https://www.britannica.com/place/Zion-hill-Jerusalem "Zion(hill, Jerusalem),"] <i>Encyclopaedia Britannica</i>, <q>In biblical usage, however, "Mount Zion" often means the city rather than the hill itself. Zion appears in the Old Testament 152 times as a title of Jerusalem;</q></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31장 |제목=예레미야 31:11-12 |저널= |인용문=여호와께서 야곱을 속량하시되 그들보다 강한 자의 손에서 구속하셨으니 그들이 와서 '''시온'''의 높은 곳에서 찬송하며 여호와의 은사 곧 곡식과 새 포도주와 기름과 어린 양의 떼와 소의 떼에 모일 것이라 그 심령은 물댄 동산 같겠고 다시는 근심이 없으리로다 할지어다}}</ref> 특히 [[바벨론 포로 (바빌론 유수)|바벨론 포로기]]를 겪으며 이스라엘 민족에게 시온은 거룩한 땅으로의 귀환을 바라는 염원과 열망이 담긴 단어로 자리 잡았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시편#126장 |제목=시편 126:1-3 |저널= |인용문=여호와께서 '''시온'''의 포로를 돌리실 때에 우리가 꿈꾸는 것 같았도다 그때에 우리 입에는 웃음이 가득하고 우리 혀에는 찬양이 찼었도다 열방 중에서 말하기를 여호와께서 저희를 위하여 대사를 행하셨다 하였도다 여호와께서 우리를 위하여 대사를 행하셨으니 우리는 기쁘도다}}</ref>
구약성경은 기원전 586년경 바벨론에 포로로 끌려간 유다 민족이 고국을 그리워한 것을 시온을 기억하며 울었다고 표현했으며, 그들이 본국으로 돌아올 것을 시온으로 올 것이라 예언했다. <br> {{인용문5 |내용=우리가 바벨론의 여러 강변 거기 앉아서 '''시온'''을 기억하며 울었도다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시편#137장 시편 137:1]}}
[[구약성경]]은 기원전 586년경 바벨론에 포로로 끌려간 유다 민족이 고국을 그리워한 것을 시온을 기억하며 울었다고 표현했으며, 그들이 본국으로 돌아올 것을 시온으로 올 것이라 예언했다. <br> {{인용문5 |내용=우리가 바벨론의 여러 강변 거기 앉아서 '''시온'''을 기억하며 울었도다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시편#137장 시편 137:1]}}
{{인용문5 |내용=나 여호와가 말하노라 그 날 그 때에 이스라엘 자손이 돌아오며 그와 함께 유다 자손이 돌아오되 그들이 울며 그 길을 행하며 그 하나님 여호와께 구할 것이며 그들이 그 얼굴을 '''시온'''으로 향하여 그 길을 물으며 말하기를 너희는 오라 잊어버리지 아니할 영영한 언약으로 여호와와 연합하자 하리라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50장 예레미야 50:4-5]}}
{{인용문5 |내용=나 여호와가 말하노라 그 날 그 때에 이스라엘 자손이 돌아오며 그와 함께 유다 자손이 돌아오되 그들이 울며 그 길을 행하며 그 하나님 여호와께 구할 것이며 그들이 그 얼굴을 '''시온'''으로 향하여 그 길을 물으며 말하기를 너희는 오라 잊어버리지 아니할 영영한 언약으로 여호와와 연합하자 하리라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50장 예레미야 50:4-5]}}


기원후 70년 로마제국에 의해 나라를 완전히 잃은 유대인들은 온 세계에 뿔뿔히 흩어져 살면서도 구원자가 시온을 회복해 주신다는 성경의 예언을 잊지 않았다. 19세기, 유대인들은 고국 팔레스타인에 유대 국가를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한 민족주의 운동을 전개하면서 이를 '[[시오니즘]]'으로 지칭했다. 이스라엘 국가를 보존하려는 유대인들의 노력을 가리키는 의미로 사용된 단어 '시오니즘'은 유대인들에게 시온이 가지고 있는 의미를 보여준다.<br>
기원후 70년 로마제국에 의해 나라를 완전히 잃은 유대인들은 온 세계에 뿔뿔이 흩어져 살면서도 구원자가 시온을 회복해 주신다는 성경의 예언을 잊지 않았다. 19세기, 유대인들은 고국 팔레스타인에 유대 국가를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한 민족주의 운동을 전개하면서 이를 '[[시오니즘]]'으로 지칭했다. 이스라엘 국가를 보존하려는 유대인들의 노력을 가리키는 의미로 사용된 단어 '시오니즘'은 유대인들에게 시온이 가지고 있는 의미를 보여준다.<br>
한편 성경에는 하나님이 거하시고<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8장 |제목=이사야 8:18 |저널= |인용문= 이는 시온산에 계신 만군의 여호와께로 말미암은 것이니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시편#2장 |제목=시편 74:2 |저널= |인용문= 주의 거하신 시온산도 생각하소서}}</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시편#13장 |제목=시편 132:13-14 |저널= |인용문= 여호와께서 시온을 택하시고 자기 거처를 삼고자 하여 이르시기를 이는 나의 영원히 쉴 곳이라 내가 여기 거할 것은 이를 원하였음이로다}}</ref> 통치하시며<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24장 |제목=이사야 24:23 |저널= |인용문= 만군의 여호와께서 시온산과 예루살렘에서 왕이 되시고 그 장로들 앞에서 영광을 나타내실 것임이니라}}</ref> 영생의 축복을 허락하시는 시온<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시편#133장 |제목=시편 133:1-3 |저널= |인용문= 헐몬의 이슬이 시온의 산들에 내림 같도다 거기서 여호와께서 복을 명하셨나니 곧 영생이로다}}</ref>에 대한 예언도 있다. 이때의 시온은 구약시대의 시온이 아닌 예수님께서 세우실 영적인 장소를 의미한다. 영생은 예수님께서 오셔서 허락하셨기 때문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0장 |제목=요한복음 10:10 |저널= |인용문= 내[예수님]가 온 것은 양으로 생명을 얻게 하고 더 풍성히 얻게 하려는 것이라}}</ref> 이스라엘 민족에게 시온은 반드시 돌아가야 할 곳이었듯, 영적 유대인인 성도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로마서#2장 |제목=로마서 2:28-29 |저널= |인용문= 대저 표면적 유대인이 유대인이 아니요 표면적 육신의 할례가 할례가 아니라 오직 이면적 유대인이 유대인이며}}</ref>에게도 [[영적 시온]]은 구원을 위해 반드시 나아가야 할 장소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12장 |제목=히브리서 12:22-24 |저널= |인용문= 그러나 너희가 이른 곳은 시온산과 살아계신 하나님의 도성인 하늘의 예루살렘과 천만 천사와 하늘에 기록한 장자들의 총회와 교회와 만민의 심판자이신 하나님과 및 온전케 된 의인의 영들과 새 언약의 중보이신 예수와 및 아벨의 피보다 더 낫게 말하는 뿌린 피니라}}</ref> <br>
한편 성경에는 [[하나님]]이 거하시고<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8장 |제목=이사야 8:18 |저널= |인용문= 이는 시온산에 계신 만군의 여호와께로 말미암은 것이니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시편#2장 |제목=시편 74:2 |저널= |인용문= 주의 거하신 시온산도 생각하소서}}</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시편#13장 |제목=시편 132:13-14 |저널= |인용문= 여호와께서 시온을 택하시고 자기 거처를 삼고자 하여 이르시기를 이는 나의 영원히 쉴 곳이라 내가 여기 거할 것은 이를 원하였음이로다}}</ref> 통치하시며<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24장 |제목=이사야 24:23 |저널= |인용문= 만군의 여호와께서 시온산과 예루살렘에서 왕이 되시고 그 장로들 앞에서 영광을 나타내실 것임이니라}}</ref> 영생의 축복을 허락하시는 시온<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시편#133장 |제목=시편 133:1-3 |저널= |인용문= 헐몬의 이슬이 시온의 산들에 내림 같도다 거기서 여호와께서 복을 명하셨나니 곧 영생이로다}}</ref>에 대한 예언도 있다. 이때의 시온은 구약시대의 시온이 아닌 [[예수 그리스도|예수님]]께서 세우실 영적인 장소를 의미한다. 영생은 예수님께서 오셔서 허락하셨기 때문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0장 |제목=요한복음 10:10 |저널= |인용문= 내[예수님]가 온 것은 양으로 생명을 얻게 하고 더 풍성히 얻게 하려는 것이라}}</ref> 이스라엘 민족에게 시온은 반드시 돌아가야 할 곳이었듯, 영적 유대인인 성도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로마서#2장 |제목=로마서 2:28-29 |저널= |인용문= 대저 표면적 유대인이 유대인이 아니요 표면적 육신의 할례가 할례가 아니라 오직 이면적 유대인이 유대인이며}}</ref>에게도 [[영적 시온]]은 구원을 위해 반드시 나아가야 할 장소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12장 |제목=히브리서 12:22-24 |저널= |인용문= 그러나 너희가 이른 곳은 시온산과 살아계신 하나님의 도성인 하늘의 예루살렘과 천만 천사와 하늘에 기록한 장자들의 총회와 교회와 만민의 심판자이신 하나님과 및 온전케 된 의인의 영들과 새 언약의 중보이신 예수와 및 아벨의 피보다 더 낫게 말하는 뿌린 피니라}}</ref> <br>
[[이사야]] 선지자는 죄 사함의 축복이 약속된 영적 시온이 '절기 지키는 곳'이라고 알려주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33장 |제목=이사야 33:20-24 |저널= |인용문= 우리의 절기 지키는 시온성을 보라 네 눈에 안정한 처소된 예루살렘이 보이리니 ... 여호와께서는 거기서 우리와 함께 계시리니 ... 여호와는 우리의 왕이시니 우리를 구원하실 것임이니라 ... 그 거민은 내가 병들었노라 하지 아니할 것이라 거기 거하는 백성이 사죄함을 받으리라}}</ref> 이 땅에서는 이스라엘이나 예루살렘성 주위가 시온이지만, 영적으로는 어디든지 [[새 언약 절기]]지키는 곳이 시온이다.
[[이사야]] 선지자는 죄 사함의 축복이 약속된 영적 시온이 '[[하나님의 절기|절기]] 지키는 곳'이라고 알려주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33장 |제목=이사야 33:20-24 |저널= |인용문= 우리의 절기 지키는 시온성을 보라 네 눈에 안정한 처소된 예루살렘이 보이리니 ... 여호와께서는 거기서 우리와 함께 계시리니 ... 여호와는 우리의 왕이시니 우리를 구원하실 것임이니라 ... 그 거민은 내가 병들었노라 하지 아니할 것이라 거기 거하는 백성이 사죄함을 받으리라}}</ref> 이 땅에서는 이스라엘이나 예루살렘성 주위가 시온이지만, 영적으로는 어디든지 [[새 언약]] 절기를 지키는 곳이 시온이다.


==같이 보기==
==같이 보기==
[[시온]] <br>
* [[시온]]  
[[다윗성]] <br>
* [[다윗성]]  
[[영적 시온]]
* [[영적 시온]]


==각주==
==각주==

2024년 8월 5일 (월) 09:52 기준 최신판

예루살렘 성전 지도: 다윗성은 시온산에 위치했으며 솔로몬 성전은 모리아산에 위치했다

시온의 위치는 이스라엘 중부에 있는 도시 예루살렘의 남동쪽이다. 시온은 원래 그곳에 있는 산의 이름이었으나 성경에서는 예루살렘 또는 이스라엘 전체를 지칭하는 단어로 사용되곤 했다.

시온의 위치

시온은 예루살렘 남동쪽에 자리잡은 해발 약 790m의 산을 말한다. 시온 산성은 원래 여부스 족속의 거주지이자 요새였으나 다윗이 이곳을 점령해 성곽을 증축하고 다윗성이라 불렀다.[1] 이후 다윗은 이곳을 이스라엘의 수도로 삼고 언약궤를 가져와 안치하면서 이스라엘의 정치적·종교적 중심지가 되었다.
다윗에 이어 왕이 된 솔로몬은 시온산과 인접한 모리아산에 예루살렘 성전을 짓고[2] 다윗성 곧 시온산에 있던 언약궤를 옮겨왔다.[3] 이후 모리아산까지를 포함해 시온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시온의 의미 확장

세월이 흐르면서 시온은 종종 예루살렘 전체 또는 이스라엘을 나타내는 단어로 사용되었다.[4][5] 특히 바벨론 포로기를 겪으며 이스라엘 민족에게 시온은 거룩한 땅으로의 귀환을 바라는 염원과 열망이 담긴 단어로 자리 잡았다.[6] 구약성경은 기원전 586년경 바벨론에 포로로 끌려간 유다 민족이 고국을 그리워한 것을 시온을 기억하며 울었다고 표현했으며, 그들이 본국으로 돌아올 것을 시온으로 올 것이라 예언했다.

우리가 바벨론의 여러 강변 거기 앉아서 시온을 기억하며 울었도다

- 시편 137:1


나 여호와가 말하노라 그 날 그 때에 이스라엘 자손이 돌아오며 그와 함께 유다 자손이 돌아오되 그들이 울며 그 길을 행하며 그 하나님 여호와께 구할 것이며 그들이 그 얼굴을 시온으로 향하여 그 길을 물으며 말하기를 너희는 오라 잊어버리지 아니할 영영한 언약으로 여호와와 연합하자 하리라

- 예레미야 50:4-5


기원후 70년 로마제국에 의해 나라를 완전히 잃은 유대인들은 온 세계에 뿔뿔이 흩어져 살면서도 구원자가 시온을 회복해 주신다는 성경의 예언을 잊지 않았다. 19세기, 유대인들은 고국 팔레스타인에 유대 국가를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한 민족주의 운동을 전개하면서 이를 '시오니즘'으로 지칭했다. 이스라엘 국가를 보존하려는 유대인들의 노력을 가리키는 의미로 사용된 단어 '시오니즘'은 유대인들에게 시온이 가지고 있는 의미를 보여준다.
한편 성경에는 하나님이 거하시고[7][8][9] 통치하시며[10] 영생의 축복을 허락하시는 시온[11]에 대한 예언도 있다. 이때의 시온은 구약시대의 시온이 아닌 예수님께서 세우실 영적인 장소를 의미한다. 영생은 예수님께서 오셔서 허락하셨기 때문이다.[12] 이스라엘 민족에게 시온은 반드시 돌아가야 할 곳이었듯, 영적 유대인인 성도들[13]에게도 영적 시온은 구원을 위해 반드시 나아가야 할 장소다.[14]
이사야 선지자는 죄 사함의 축복이 약속된 영적 시온이 '절기 지키는 곳'이라고 알려주었다.[15] 이 땅에서는 이스라엘이나 예루살렘성 주위가 시온이지만, 영적으로는 어디든지 새 언약 절기를 지키는 곳이 시온이다.

같이 보기

각주

  1. 사무엘하 5:7. 다윗이 시온 산성을 빼앗았으니 이는 다윗성이더라 
  2. 역대하 3:1. 솔로몬이 예루살렘 모리아산에 여호와의 전 건축하기를 시작하니 
  3. 열왕기상 8:1, 6. 이에 솔로몬이 여호와의 언약궤를 다윗성 곧 시온에서 메어 올리고자 하여 ... 제사장들이 여호와의 언약궤를 그 처소로 메어 들였으니 곧 내전 지성소 그룹들의 날개 아래라 
  4. "Zion(hill, Jerusalem)," Encyclopaedia Britannica, In biblical usage, however, "Mount Zion" often means the city rather than the hill itself. Zion appears in the Old Testament 152 times as a title of Jerusalem;
  5. 예레미야 31:11-12. 여호와께서 야곱을 속량하시되 그들보다 강한 자의 손에서 구속하셨으니 그들이 와서 시온의 높은 곳에서 찬송하며 여호와의 은사 곧 곡식과 새 포도주와 기름과 어린 양의 떼와 소의 떼에 모일 것이라 그 심령은 물댄 동산 같겠고 다시는 근심이 없으리로다 할지어다 
  6. 시편 126:1-3. 여호와께서 시온의 포로를 돌리실 때에 우리가 꿈꾸는 것 같았도다 그때에 우리 입에는 웃음이 가득하고 우리 혀에는 찬양이 찼었도다 열방 중에서 말하기를 여호와께서 저희를 위하여 대사를 행하셨다 하였도다 여호와께서 우리를 위하여 대사를 행하셨으니 우리는 기쁘도다 
  7. 이사야 8:18. 이는 시온산에 계신 만군의 여호와께로 말미암은 것이니라 
  8. 시편 74:2. 주의 거하신 시온산도 생각하소서 
  9. 시편 132:13-14. 여호와께서 시온을 택하시고 자기 거처를 삼고자 하여 이르시기를 이는 나의 영원히 쉴 곳이라 내가 여기 거할 것은 이를 원하였음이로다 
  10. 이사야 24:23. 만군의 여호와께서 시온산과 예루살렘에서 왕이 되시고 그 장로들 앞에서 영광을 나타내실 것임이니라 
  11. 시편 133:1-3. 헐몬의 이슬이 시온의 산들에 내림 같도다 거기서 여호와께서 복을 명하셨나니 곧 영생이로다 
  12. 요한복음 10:10. 내[예수님]가 온 것은 양으로 생명을 얻게 하고 더 풍성히 얻게 하려는 것이라 
  13. 로마서 2:28-29. 대저 표면적 유대인이 유대인이 아니요 표면적 육신의 할례가 할례가 아니라 오직 이면적 유대인이 유대인이며 
  14. 히브리서 12:22-24. 그러나 너희가 이른 곳은 시온산과 살아계신 하나님의 도성인 하늘의 예루살렘과 천만 천사와 하늘에 기록한 장자들의 총회와 교회와 만민의 심판자이신 하나님과 및 온전케 된 의인의 영들과 새 언약의 중보이신 예수와 및 아벨의 피보다 더 낫게 말하는 뿌린 피니라 
  15. 이사야 33:20-24. 우리의 절기 지키는 시온성을 보라 네 눈에 안정한 처소된 예루살렘이 보이리니 ... 여호와께서는 거기서 우리와 함께 계시리니 ... 여호와는 우리의 왕이시니 우리를 구원하실 것임이니라 ... 그 거민은 내가 병들었노라 하지 아니할 것이라 거기 거하는 백성이 사죄함을 받으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