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시아: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파일:Annibale Carracci - The Samaritan Woman at the Well - WGA4446.jpg |섬네일 | 260픽셀 |안니발레 카라치(Annibale Carracci,1560–1609)의 <우물가의 사마리아 여인>. | [[파일:Annibale Carracci - The Samaritan Woman at the Well - WGA4446.jpg |섬네일 | 260픽셀 |안니발레 카라치(Annibale Carracci,1560–1609)의 <우물가의 사마리아 여인>. 예수님께서는 사마리아의 '수가'라는 동네의 우물가에서 만난 여자와 대화할 때 당신이 메시아임을 밝히셨다.]] | ||
'''메시아'''( | '''메시아'''(히브리어: מָשִׁיחַ, 아람어: מְשִׁיחָא, 영어: Messiah)는 '기름 부음 받은 자'라는 뜻이다. [[구약성경]]에서 장차 이스라엘을 구원할 왕 또는 [[구속주|구세주]]를, [[신약성경]]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이르는 말이다. 현행 국어 어문 규정이 적용되지 않은 개역한글판 [[성경]]에는 메시야로 표기돼 있다. 유대인들은 성경에 예언된 메시아가 영광 중에 나타나 로마의 압제에서 자신들을 해방시켜 주기를 바랐다. 그러나 실제 메시아로 오신 예수님은 평범한 사람의 모습으로 나타나, 죄와 사망에 빠진 인류를 구원하셨다. | ||
==어원과 의미== | ==어원과 의미== | ||
메시아는 | 메시아는 히브리어 '마쉬아흐(mashiach, מָשִׁיחַ)'에 해당하는 아람어 '메시하(מְשִׁיחָא)'의 음역으로, '기름 부음 받은 자'라는 뜻이다. 마쉬아흐는 '기름을 붓다'라는 뜻의 동사 '마솨흐(mashach, מָשַׁח)'에서 파생된 단어다.<ref>{{웹 인용 |url=https://biblehub.com/hebrew/4899.htm |제목=4899. mashiach |웹사이트=Biblehub |저널=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Word Origin: from mashach, Definition: anointed}}</ref> 메시아를 헬라어로 번역한 말이 [[그리스도]](크리스토스, Χριστός)이며, 이 역시 '기름 붓다'라는 뜻의 헬라어 동사 크리오(χρίω)에서 유래했다.<ref>{{웹 인용 |url=https://biblehub.com/greek/5547.htm |제목=5547. Christos |웹사이트=Biblehub |저널=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Christos: the Anointed One, Messiah, Christ, Word Origin: from chrió}}</ref> | ||
{{인용문5 |내용=그가 먼저 자기의 형제 시몬을 찾아 말하되 우리가 '''메시야'''를 만났다 하고 (메시야는 번역하면 '''그리스도'''라)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장 요한복음 1:41]}} | {{인용문5 |내용=그가 먼저 자기의 형제 시몬을 찾아 말하되 우리가 '''메시야'''를 만났다 하고 (메시야는 번역하면 '''그리스도'''라)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장 요한복음 1:41]}} | ||
==기름 부음 받은 자== | ==기름 부음 받은 자== | ||
[[파일:Bénouville, Samuel sacrant David.jpg |섬네일 | 250픽셀 |사무엘이 다윗에게 기름 부음을 행하는 장면. 프랑수아 레옹 베누빌(François-Léon Benouville, 1821–1859) 作.]] | [[파일:Bénouville, Samuel sacrant David.jpg |섬네일 | 250픽셀 |사무엘이 다윗에게 기름 부음을 행하는 장면. 프랑수아 레옹 베누빌(François-Léon Benouville, 1821–1859) 作.]] | ||
기름 부음을 받는다는 것은 | 기름 부음을 받는다는 것은 [[하나님]]의 특별한 일을 수행할 자로 성별(聖別)된다는 뜻이다. 메시아는 구약시대에 하나님께서 기름을 부어 임명하신 왕이나 [[제사장]], 선지자를 가리키는 보편적인 표현이었다. 그들은 자신에게 주어진 기간 동안 기름 부음 받은 자(메시아)로서 역할을 수행했다. | ||
*'''왕''' | *'''왕''' | ||
:기름 부음은 왕위를 받을 때 행해진다. 선지자 | :기름 부음은 왕위를 받을 때 행해진다. 선지자 사무엘은 하나님의 명을 받들어 이스라엘 왕을 세울 때 [[사울]]에게 기름을 부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상#10장 |제목=사무엘상 10:1 |저널= |인용문=이에 사무엘이 기름병을 취하여 사울의 머리에 붓고 입 맞추어 가로되 여호와께서 네게 기름을 부으사 그 기업의 지도자를 삼지 아니하셨느냐}}</ref> 이스라엘의 두 번째 왕인 [[다윗]]도 기름 부음을 받았고,<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하#5장 |제목=사무엘하 5:3 |저널= |인용문=저희가 다윗에게 기름을 부어 이스라엘 왕을 삼으니라}}</ref> [[솔로몬]]도 왕이 될 때에 기름 부음을 받았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1장 |제목=열왕기상 1:39 |저널= |인용문= 제사장 사독이 성막 가운데서 기름 뿔을 가져다가 솔로몬에게 기름을 부으니 이에 양각을 불고 모든 백성이 솔로몬 왕 만세를 부르니라}}</ref> | ||
*'''제사장''' | *'''제사장''' | ||
:제사장에 임명될 때에 기름 부음을 받는다. [[아론]]과 그의 아들들의 경우가 대표적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40장 |제목= 출애굽기 40:13 |저널= |인용문=아론에게 거룩한 옷을 입히고 그에게 기름을 부어 거룩하게 하여 그로 내게 제사장의 직분을 행하게 하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8장 |제목= 출애굽기 28:41 |저널= |인용문=너는 그것들로 네 형 아론과 그와 함께한 그 아들들에게 입히고 그들에게 기름을 부어 위임하고 거룩하게 하여 그들로 제사장 직분을 내게 행하게 할지며}}</ref> 제사장들은 다른 백성과 구별되어 성소에서 제사와 봉사 직무를 수행했으며, 대제사장만이 1년 중 단 한 번, 대속죄일에 지성소로 들어갈 수 있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9장 |제목=히브리서 9:7 |저널= |인용문= 오직 둘째 장막 | :제사장에 임명될 때에 기름 부음을 받는다. [[아론]]과 그의 아들들의 경우가 대표적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40장 |제목= 출애굽기 40:13 |저널= |인용문=아론에게 거룩한 옷을 입히고 그에게 기름을 부어 거룩하게 하여 그로 내게 제사장의 직분을 행하게 하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8장 |제목= 출애굽기 28:41 |저널= |인용문=너는 그것들로 네 형 아론과 그와 함께한 그 아들들에게 입히고 그들에게 기름을 부어 위임하고 거룩하게 하여 그들로 제사장 직분을 내게 행하게 할지며}}</ref> 제사장들은 다른 백성과 구별되어 성소에서 제사와 봉사 직무를 수행했으며, 대제사장만이 1년 중 단 한 번, 대속죄일에 지성소로 들어갈 수 있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9장 |제목=히브리서 9:7 |저널= |인용문= 오직 둘째 장막(지성소)은 대제사장이 홀로 일 년 일 차씩 들어가되 피 없이는 아니하나니 이 피는 자기와 백성의 허물을 위하여 드리는 것이라}}</ref> | ||
*'''선지자''' | *'''선지자''' | ||
:선지자의 사명을 받을 때도 기름 부음이 이루어진다. 선지자 [[엘리야]]는 하나님의 지시에 따라 자신을 대신할 선지자로 [[엘리사]]에게 기름을 부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19장 |제목= 열왕기상 19:16 |저널= |인용문=아벨므홀라 사밧의 아들 엘리사에게 기름을 부어 너를 대신하여 선지자가 되게 하라}}</ref> | :선지자의 사명을 받을 때도 기름 부음이 이루어진다. 선지자 [[엘리야]]는 하나님의 지시에 따라 자신을 대신할 선지자로 [[엘리사]]에게 기름을 부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19장 |제목= 열왕기상 19:16 |저널= |인용문=아벨므홀라 사밧의 아들 엘리사에게 기름을 부어 너를 대신하여 선지자가 되게 하라}}</ref> | ||
==메시아에 관한 예언== | ==메시아에 관한 예언== | ||
다니엘 | [[다니엘 (선지자)|다니엘 선지자]]는 장차 '기름 부음을 받은 자(메시아)'가 일어날 것이며, 그때에 허물이 마치고 죄가 끝난다고 예언했다.<ref>{{웹 인용 |url= https://www.blueletterbible.org/kjv/dan/9/1/t_conc_859025 |제목=히브리어-영어 성경 대조(단 9:25) |웹사이트=Blue Letter Bible |저널=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מָשִׁיחַ-Messiah }}</ref> | ||
{{인용문5 |내용=허물이 마치며 죄가 끝나며 죄악이 영속되며 영원한 의가 드러나며 이상과 예언이 응하며 또 '''지극히 거룩한 자'''가 기름 부음을 받으리라 ... '''기름 부음을 받은 자''' 곧 왕이 일어나기까지 일곱 이레와 육십이 이레가 지날 것이요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다니엘#9장 다니엘 9:24-25]}} | {{인용문5 |내용=허물이 마치며 죄가 끝나며 죄악이 영속되며 영원한 의가 드러나며 이상과 예언이 응하며 또 '''지극히 거룩한 자'''가 기름 부음을 받으리라 ... '''기름 부음을 받은 자''' 곧 왕이 일어나기까지, 일곱 이레와 육십이 이레가 지날 것이요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다니엘#9장 다니엘 9:24-25]}} | ||
이 예언은 새 언약 진리로 인류의 죄를 사해주신 예수님을 통해 성취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6장 |제목=마태복음 26:26-28 |저널= |인용문=저희가 먹을 때에 예수께서 떡을 가지사 축복하시고 떼어 제자들을 주시며 가라사대 받아 먹으라 이것이 내 몸이니라 하시고 또 잔을 가지사 사례하시고 저희에게 주시며 가라사대 너희가 다 이것을 마시라 이것은 죄 사함을 얻게 하려고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 바 나의 피 곧 언약의 피니라 }}</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2장|제목=누가복음 22:19-20 |저널=|인용문=또 떡을 가져 사례하시고 떼어 저희에게 주시며 가라사대 이것은 너희를 위하여 주는 내 몸이라 너희가 이를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하시고 저녁 먹은 후에 잔도 이와 같이 하여 가라사대 이 잔은 내 피로 세우는 새 언약이니 곧 너희를 위하여 붓는 것이라 }}</ref> 하나님께서는 왕, 제사장, 선지자 직분마다 메시아를 나타내는 표상적 인물을 세우고 그들의 행적을 통해 메시아로 오신 예수님을 알게 하셨다. | 이 예언은 [[새 언약]] 진리로 인류의 죄를 사해주신 예수님을 통해 성취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6장 |제목=마태복음 26:26-28 |저널= |인용문=저희가 먹을 때에 예수께서 떡을 가지사 축복하시고 떼어 제자들을 주시며 가라사대 받아 먹으라 이것이 내 몸이니라 하시고 또 잔을 가지사 사례하시고 저희에게 주시며 가라사대 너희가 다 이것을 마시라 이것은 죄 사함을 얻게 하려고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 바 나의 피 곧 언약의 피니라 }}</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2장|제목=누가복음 22:19-20 |저널=|인용문=또 떡을 가져 사례하시고 떼어 저희에게 주시며 가라사대 이것은 너희를 위하여 주는 내 몸이라 너희가 이를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하시고 저녁 먹은 후에 잔도 이와 같이 하여 가라사대 이 잔은 내 피로 세우는 새 언약이니 곧 너희를 위하여 붓는 것이라 }}</ref> 하나님께서는 왕, 제사장, 선지자 직분마다 메시아를 나타내는 표상적 인물을 세우고 그들의 행적을 통해 메시아로 오신 예수님을 알게 하셨다. | ||
*'''다윗과 같은 왕''' | *'''다윗과 같은 왕''' | ||
:이사야 선지자는 장차 아기로 태어나실 하나님께서 평강의 왕으로 [[다윗]]의 위(位)에 앉아서 영원토록 공평과 정의로 나라를 다스릴 것이라고 예언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9장 |제목=이사야 9:6-7 |저널= |인용문=이는 한 아기가 우리에게 났고 한 아들을 우리에게 주신 바 되었는데 그 어깨에는 정사를 메었고 그 이름은 기묘자라, 모사라, 전능하신 하나님이라, 영존하시는 아버지라, 평강의 왕이라 할 것임이라 그 정사와 평강의 더함이 무궁하며 또 다윗의 위에 앉아서 그 나라를 굳게 세우고 자금 이후 영원토록 공평과 정의로 그것을 보존하실 것이라 만군의 여호와의 열심이 이를 이루시리라}}</ref> 예수님은 이 예언대로 영적 다윗의 위에 앉으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1장 |제목=누가복음 1:31-32 |저널= |인용문=보라 네가 수태하여 아들을 낳으리니 그 이름을 예수라 하라 … 주 하나님께서 그 조상 다윗의 위를 저에게 주시리니}}</ref> 다윗이 30세에 기름 부음을 받고 왕위(王位)에 나아갔듯, 예수님께서도 30세에 영적 기름 부음인 [[침례]]를 받고 복음 나라를 이끄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하#5장 |제목=사무엘하 5:3-4 |저널= |인용문=저희가 다윗에게 기름을 부어 이스라엘 왕을 삼으니라 다윗이 삼십 세에 위에 나아가서 사십 년을 다스렸으되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3장 |제목=누가복음 3:21-23 |저널= |인용문=백성이 다 침례를 받을새 예수도 침례를 받으시고 기도하실 때에 ... 하늘로서 소리가 나기를 너는 내 사랑하는 아들이라 내가 너를 기뻐하노라 하시니라 예수께서 가르치심을 시작할 때에 삼십 세쯤 되시니라}}</ref> | :이사야 선지자는 장차 아기로 태어나실 하나님께서 평강의 왕으로 [[다윗]]의 위(位)에 앉아서 영원토록 공평과 정의로 나라를 다스릴 것이라고 예언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9장 |제목=이사야 9:6-7 |저널= |인용문=이는 한 아기가 우리에게 났고 한 아들을 우리에게 주신 바 되었는데 그 어깨에는 정사를 메었고 그 이름은 기묘자라, 모사라, 전능하신 하나님이라, 영존하시는 아버지라, 평강의 왕이라 할 것임이라 그 정사와 평강의 더함이 무궁하며 또 다윗의 위에 앉아서 그 나라를 굳게 세우고 자금 이후 영원토록 공평과 정의로 그것을 보존하실 것이라 만군의 여호와의 열심이 이를 이루시리라}}</ref> 예수님은 이 예언대로 영적 다윗의 위에 앉으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1장 |제목=누가복음 1:31-32 |저널= |인용문=보라 네가 수태하여 아들을 낳으리니 그 이름을 예수라 하라 … 주 하나님께서 그 조상 다윗의 위를 저에게 주시리니}}</ref> 다윗이 30세에 기름 부음을 받고 왕위(王位)에 나아갔듯, 예수님께서도 30세에 영적 기름 부음인 [[침례 (세례)|침례]]를 받고 복음 나라를 이끄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하#5장 |제목=사무엘하 5:3-4 |저널= |인용문=저희가 다윗에게 기름을 부어 이스라엘 왕을 삼으니라 다윗이 삼십 세에 위에 나아가서 사십 년을 다스렸으되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3장 |제목=누가복음 3:21-23 |저널= |인용문=백성이 다 침례를 받을새 예수도 침례를 받으시고 기도하실 때에 ... 하늘로서 소리가 나기를 너는 내 사랑하는 아들이라 내가 너를 기뻐하노라 하시니라 예수께서 가르치심을 시작할 때에 삼십 세쯤 되시니라}}</ref> | ||
*'''멜기세덱과 같은 제사장''' | *'''멜기세덱과 같은 제사장''' | ||
:구약시대 살렘 왕이자 하나님의 제사장이었던 [[멜기세덱]]은 떡과 포도주로 [[아브라함]]에게 축복을 빌어주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4장 |제목=창세기 14:18-19 |저널= |인용문=살렘 왕 멜기세덱이 떡과 포도주를 가지고 나왔으니 그는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의 제사장이었더라 그가 | :구약시대 살렘 왕이자 하나님의 제사장이었던 [[멜기세덱]]은 떡과 포도주로 [[아브라함]]에게 축복을 빌어주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4장 |제목=창세기 14:18-19 |저널= |인용문=살렘 왕 멜기세덱이 떡과 포도주를 가지고 나왔으니 그는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의 제사장이었더라 그가 아브람에게 축복하여 가로되 천지의 주재시요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이여 아브람에게 복을 주옵소서 }}</ref> 당시 제사장들은 짐승을 희생 제물로 삼아 하나님께 제사를 드렸으나 멜기세덱은 이례적으로 떡과 포도주를 제물로 사용했다. 신약시대에도 유대의 제사장들은 [[유월절]]에 양이나 염소 등으로 제사를 드렸지만 예수님은 유월절의 떡과 포도주로 영생의 축복을 빌어주셨다.<ref name="유월절">{{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6장 |제목=마태복음 26:17-28 |저널= |인용문=무교절의 첫날에 ... 제자들이 예수의 시키신 대로 하여 유월절을 예비하였더라 ... 예수께서 떡을 가지사 축복하시고 떼어 제자들을 주시며 가라사대 받아 먹으라 이것이 내 몸이니라 하시고 또 잔을 가지사 사례하시고 저희에게 주시며 가라사대 너희가 다 이것을 마시라 이것은 죄 사함을 얻게 하려고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 바 나의 피 곧 언약의 피니라 }}</ref><ref>{{인용 |url= |제목=멜기세덱의 반차 |웹사이트= |저널=하나님의 비밀과 생명수의 샘 |출판사=멜기세덱출판사 |날짜=2016. 4. 25. |연도= |저자=안상홍 |쪽=129 |시리즈= |isbn=9788961860611 |인용문=옛날 멜기세덱 당시에 제사장들이 많이 있었어도 떡과 포도주로 복을 빈 사람은 멜기세덱뿐이었으며, 신약에 예수님 당시에도 유월절에 양이나 염소나 소로 제사드렸지만 떡과 포도주로 복을 빌어주신 분은 오직 예수님뿐이었다.}}</ref> 그래서 성경은 예수님을 멜기세덱의 반차를 좇은 대제사장이라고 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5장 |제목=히브리서 5:8-10 |저널= |인용문=그가 아들이시라도 받으신 고난으로 순종함을 배워서 온전하게 되었은즉 자기를 순종하는 모든 자에게 영원한 구원의 근원이 되시고 하나님께 멜기세덱의 반차를 좇은 대제사장이라 칭하심을 받았느니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4장 |제목=히브리서 4:14 |저널= |인용문=그러므로 우리에게 큰 대제사장이 있으니 승천하신 자 곧 하나님 아들 예수시라 우리가 믿는 도리를 굳게 잡을지어다}}</ref> 멜기세덱이 메시아인 예수님을 표상하는 인물이었던 것이다. | ||
*'''모세와 같은 선지자''' | *'''모세와 같은 선지자''' | ||
:하나님은 애굽에서 종살이하던 이스라엘 백성을 해방시키기 위해 [[모세]]를 지도자로 세우셨다. 모세의 영도하에 유월절을 지킨 이스라엘 백성들은 장자(長子)를 멸하는 재앙에서 보호받는 동시에 애굽에서 해방받았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2장 |제목=출애굽기 12:1-42 |저널= |인용문=여호와께서 애굽 땅에서 모세와 아론에게 일러 가라사대 ... 이것이 여호와의 유월절이니라 ... 밤중에 여호와께서 애굽 땅에서 모든 처음 난 것 곧 위에 앉은 바로의 장자로부터 옥에 갇힌 사람의 장자까지와 생축의 처음난 것을 다 치시매 ... 사백삼십 년이 마치는 그날에 여호와의 군대가 다 애굽 땅에서 나왔은즉 이 밤은 그들을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내심을 인하여 여호와 앞에 지킬 것이니 이는 여호와의 밤이라 이스라엘 자손이 다 대대로 지킬 것이니라}}</ref> 예수님은 모세와 같은 | :하나님은 애굽에서 종살이하던 이스라엘 백성을 해방시키기 위해 [[모세]]를 지도자로 세우셨다. 모세의 영도하에 유월절을 지킨 이스라엘 백성들은 장자(長子)를 멸하는 재앙에서 보호받는 동시에 애굽에서 해방받았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2장 |제목=출애굽기 12:1-42 |저널= |인용문=여호와께서 애굽 땅에서 모세와 아론에게 일러 가라사대 ... 이것이 여호와의 유월절이니라 ... 밤중에 여호와께서 애굽 땅에서 모든 처음 난 것 곧 위에 앉은 바로의 장자로부터 옥에 갇힌 사람의 장자까지와 생축의 처음난 것을 다 치시매 ... 사백삼십 년이 마치는 그날에 여호와의 군대가 다 애굽 땅에서 나왔은즉 이 밤은 그들을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내심을 인하여 여호와 앞에 지킬 것이니 이는 여호와의 밤이라 이스라엘 자손이 다 대대로 지킬 것이니라}}</ref> 예수님은 [[모세와 예수님|모세와 같은 선지자]]로 이 땅에 오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18장 |제목=신명기 18:17-18 |저널= |인용문=여호와께서 이르시되 그들의 말이 옳도다 내가 그들의 형제 중에 너와 같은 선지자 하나를 그들을 위하여 일으키고 내 말을 그 입에 두리니 내가 그에게 명하는 것을 그가 무리에게 다 고하리라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3장 |제목=사도행전 3:20-22 |저널= |인용문=또 주께서 너희를 위하여 예정하신 그리스도 곧 예수를 보내시리니 하나님이 영원 전부터 거룩한 선지자의 입을 의탁하여 말씀하신 바 만유를 회복하실 때까지는 하늘이 마땅히 그를 받아 두리라 모세가 말하되 주 하나님이 너희를 위하여 너희 형제 가운데서 나 같은 선지자 하나를 세울 것이니 너희가 무엇이든지 그 모든 말씀을 들을 것이라 }}</ref> 하나님이 모세를 통해 이루신 구속의 역사는, 예수님께서 [[새 언약 유월절]]로 인류를 죄와 사망의 종살이에서 해방시키실 것을 미리 보여준 것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8장 |제목=요한복음 8:32-34 |저널= |인용문=진리를 알지니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 저희가 대답하되 우리가 아브라함의 자손이라 남의 종이 된 적이 없거늘 어찌하여 우리가 자유케 되리라 하느냐 예수께서 대답하시되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죄를 범하는 자마다 죄의 종이라}}</ref><ref name="죄의삯">{{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로마서#6장 |제목=로마서 6:23 |저널= |인용문=죄의 삯은 사망이요 }}</ref><ref name="유월절"/> | ||
==메시아에 대한 기대와 실제== | ==메시아에 대한 기대와 실제== | ||
===유대인이 기다린 정치적 메시아=== | ===유대인이 기다린 정치적 메시아=== | ||
유대인들은 이스라엘 왕국의 분열과 멸망, 숱한 이민족의 침략과 지배를 겪으면서 절망적인 현실에서 자신들을 구제해 줄 강한 힘을 가진 메시아를 기다렸다. | |||
예수님이 태어나실 무렵 유대인들은 로마에 의해 억압받으며 무거운 세금에 시달리는 등 힘든 식민지 생활을 하고 있었다.<ref> | 예수님이 태어나실 무렵 유대인들은 로마에 의해 억압받으며 무거운 세금에 시달리는 등 힘든 식민지 생활을 하고 있었다.<ref>J. 스티븐 랭, "로마", 《바이블 키워드》, 남경태 역, 들녘, 2007, 98쪽, "유대인들은 외국인들이 세금을 거두고 자신들의 땅 한복판에 외국 군대가 주둔하는 것을 몹시 싫어했다. 그래서 로마는 여러 가지 시혜를 베푸는 방식으로 이 까다로운 민족을 다스렸다. 웅장한 건축물을 짓는다든가, 예루살렘에 물을 공급하는 수도를 건설한 것이다. 그러나 건설 사업에는 돈이 들었고, 유대인들은 징세를 반대했다. 그들은 자신들을 지배한 모든 강대국들 중 로마를 특히 증오했다. 로마가 새로 세금을 부과할 때면 예외 없이 유대인들의 반란이 일어났다. 물론 로마는 늘 그 반란을 진압했으나 그럴수록 유대인들의 증오심은 더욱 커졌다."</ref> 그래서 그들은 로마의 지배에서 자신들을 해방시키는 동시에 강력한 나라를 세워줄 다윗왕 같은 메시아가 오기를 기대했다.<br> | ||
{{인용문 |대다수 유대인들은 메시아가 로마인들을 유대 땅에서 몰아내는 정치적 해방자일 것이라고 생각했다. | J. 스티븐 랭, 《바이블 키워드》, 들녘, 2007}} | {{인용문 |대다수 유대인들은 메시아가 로마인들을 유대 땅에서 몰아내는 정치적 해방자일 것이라고 생각했다. | J. 스티븐 랭, "로마", 《바이블 키워드》, 남경태 역, 들녘, 2007}} | ||
유대인들은 권세와 영광을 가지고 모든 민족을 통치할 정치적 메시아를 소망했다. 이런 사상은 예수님을 따르던 제자들에게서도 찾을 수 있다. 예수님께서 | 유대인들은 권세와 영광을 가지고 모든 민족을 통치할 정치적 메시아를 소망했다. 이런 사상은 예수님을 따르던 제자들에게서도 찾을 수 있다. 예수님께서 [[예수님의 부활|부활]]하신 뒤 엠마오로 가던 두 제자에게 다른 모양으로 나타나셨을 때, 예수님인 줄 알아보지 못했던 제자들은 "우리는 이 사람(예수님)이 이스라엘을 구속할 자라고 바랐노라" 하고 말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4장 |제목=누가복음 24:21 |저널= |인용문=우리는 이 사람이 이스라엘을 구속할 자라고 바랐노라}}</ref> 예수님께서 [[예수님의 승천|승천]]하시던 날에도 "주께서 이스라엘 나라를 회복하심이 이때니이까"라고 묻는 제자도 있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1장 |제목=사도행전 1:6 |저널= |인용문=저희가 모였을 때에 예수께 묻자와 가로되 주께서 이스라엘 나라를 회복하심이 이때니이까 하니}}</ref> | ||
===인류를 죄에서 구원한 메시아, 예수님=== | ===인류를 죄에서 구원한 메시아, 예수님=== | ||
[[파일: | [[파일:Crucifixion_십자가고난.jpg |섬네일 | 250 픽셀 | 예수님은 십자가 희생으로 인류를 사망에서 해방해 주셨다.]] | ||
유대인들의 기대와 달리 메시아는 너무나 평범한 모습으로 그들 앞에 나타났다. 유대인들의 육신적인 해방이 아니라 온 인류의 영적인 해방과 구원을 위해서였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3장 |제목=요한복음 3:16 |저널= |인용문=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이는 저를 믿는 자마다 멸망치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니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6장 |제목=요한복음 6:47-54 |저널= |인용문=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믿는 자는 영생을 가졌나니 내가 곧 생명의 떡이로라 ... 나는 하늘로서 내려온 산 떡이니 사람이 이 떡을 먹으면 영생하리라 나의 줄 떡은 곧 세상의 생명을 위한 내 살이로라 ... 인자의 살을 먹지 아니하고 인자의 피를 마시지 아니하면 너희 속에 생명이 없느니라 내 살을 먹고 내 피를 마시는 자는 영생을 가졌고 마지막 날에 내가 그를 다시 살리리니}}</ref><ref name="유월절"/> 모든 사람은 죄로 인해 사망의 종이 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로마서#5장 |제목=로마서 5:12 |저널= |인용문=이러므로 한 사람으로 말미암아 죄가 세상에 들어오고 죄로 말미암아 사망이 왔나니 이와 같이 모든 사람이 죄를 지었으므로 사망이 모든 사람에게 이르렀느니라 }}</ref><ref name="죄의삯"/> 스스로의 힘으로는 죄로부터 해방될 수 없는 인류를 구원하기 위해 하나님이 친히 메시아로 오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다니엘#9장 |제목=다니엘 9:24 |저널= |인용문=허물이 마치며 죄가 끝나며 죄악이 영속되며 영원한 의가 드러나며 이상과 예언이 응하며 또 지극히 거룩한 자가 기름 부음을 받으리라}}</ref> 그리고 인류의 모든 죄를 대신 지고 [[십자가]]에 희생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장 |제목=요한복음 1:29 |저널= |인용문=이튿날 요한이 예수께서 자기에게 나아오심을 보고 가로되 보라 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나님의 어린양이로다}}</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5장 |제목=고린도전서 5:7 |저널= |인용문=너희는 누룩 없는 자인데 새 덩어리가 되기 위하여 묵은 누룩을 내어버리라 우리의 유월절 양 곧 그리스도께서 희생이 되셨느니라 }}</ref> 비록 유대 사회는 예수님을 메시아로 인정치 않고 배척했으나 예수님은 죄와 사망의 종이 되었던 인류를 해방하신 진정한 메시아였다. | 유대인들의 기대와 달리 메시아는 너무나 평범한 모습으로 그들 앞에 나타났다. 유대인들의 육신적인 해방이 아니라 온 인류의 영적인 해방과 구원을 위해서였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3장 |제목=요한복음 3:16 |저널= |인용문=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이는 저를 믿는 자마다 멸망치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니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6장 |제목=요한복음 6:47-54 |저널= |인용문=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믿는 자는 영생을 가졌나니 내가 곧 생명의 떡이로라 ... 나는 하늘로서 내려온 산 떡이니 사람이 이 떡을 먹으면 영생하리라 나의 줄 떡은 곧 세상의 생명을 위한 내 살이로라 ... 인자의 살을 먹지 아니하고 인자의 피를 마시지 아니하면 너희 속에 생명이 없느니라 내 살을 먹고 내 피를 마시는 자는 영생을 가졌고 마지막 날에 내가 그를 다시 살리리니}}</ref><ref name="유월절"/> 모든 사람은 죄로 인해 사망의 종이 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로마서#5장 |제목=로마서 5:12 |저널= |인용문=이러므로 한 사람으로 말미암아 죄가 세상에 들어오고 죄로 말미암아 사망이 왔나니 이와 같이 모든 사람이 죄를 지었으므로 사망이 모든 사람에게 이르렀느니라 }}</ref><ref name="죄의삯"/> 스스로의 힘으로는 죄로부터 해방될 수 없는 인류를 구원하기 위해 하나님이 친히 메시아로 오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다니엘#9장 |제목=다니엘 9:24 |저널= |인용문=허물이 마치며 죄가 끝나며 죄악이 영속되며 영원한 의가 드러나며 이상과 예언이 응하며 또 지극히 거룩한 자가 기름 부음을 받으리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1장 |제목=마태복음 1:21 |저널= |인용문=이름을 예수라 하라 이는 그가 자기 백성을 저희 죄에서 구원할 자이심이라 하니라}}</ref> 그리고 인류의 모든 죄를 대신 지고 [[십자가]]에 희생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장 |제목=요한복음 1:29 |저널= |인용문=이튿날 요한이 예수께서 자기에게 나아오심을 보고 가로되 보라 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나님의 어린양이로다}}</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5장 |제목=고린도전서 5:7 |저널= |인용문=너희는 누룩 없는 자인데 새 덩어리가 되기 위하여 묵은 누룩을 내어버리라 우리의 유월절 양 곧 그리스도께서 희생이 되셨느니라 }}</ref> 비록 유대 사회는 예수님을 메시아로 인정치 않고 배척했으나 예수님은 죄와 사망의 종이 되었던 인류를 해방하신 진정한 메시아였다. | ||
{{인용문5 |내용=아들을 낳으리니 이름을 '''예수'''라 하라 이는 그가 자기 백성을 저희 죄에서 구원할 자이심이라 하니라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1장 마태복음 1:21]}} | {{인용문5 |내용=아들을 낳으리니 이름을 '''예수'''라 하라 이는 그가 자기 백성을 저희 죄에서 구원할 자이심이라 하니라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1장 마태복음 1:2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