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엘: 두 판 사이의 차이

Kite (토론 | 기여)
잔글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1번째 줄: 11번째 줄:
|장수=3장
|장수=3장
}}
}}
'''요엘(Joel)'''은 [[구약성경]] 가운데 29번째 성경으로 선지자 요엘이 기록했다. 전무후무한 메뚜기 떼의 재앙은 장차 있을 [[최후 심판|심판의 날]]을 미리 보여주는 경고이며, 죄악에서 돌이키는 자들에게 [[하나님]]께서 구원을 베푸실 것이라는 말씀으로 백성들의 회개를 촉구했다.   
'''요엘(Joel)'''은 [[구약성경]] 가운데 29번째 [[성경]]으로 선지자 요엘이 기록했다. 전무후무한 메뚜기 떼의 재앙은 장차 있을 [[최후 심판|심판의 날]]을 미리 보여주는 경고이며, 죄악에서 돌이키는 자들에게 [[하나님]]께서 구원을 베푸실 것이라는 말씀으로 백성들의 회개를 촉구했다.   


==요엘의 기록자와 기록 시기==
==요엘의 기록자와 기록 시기==
본서의 기록자는 브두엘의 아들 '요엘'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엘#1장 |제목=요엘 1:1 |저널= |인용문=여호와께서 브두엘의 아들 요엘에게 이르신 말씀이라 }}</ref> '요엘'은 '[[여호와]]는 하나님이시다'라는 뜻이다. <br>
본서의 기록자는 브두엘의 아들 '요엘'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엘#1장 |제목=요엘 1:1 |저널= |인용문=여호와께서 브두엘의 아들 요엘에게 이르신 말씀이라 }}</ref> '요엘'은 '[[여호와]]는 하나님이시다'라는 뜻이다. <br>
위에서 언급한 내용 이외에는 요엘 선지자에 대한 정보가 없어 요엘서의 기록 시기를 특정하기가 어렵다. 다만 ①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5154&cid=50762&categoryId=51387 여호사밧왕](남 유다 4대 왕)이 에돔과 동맹군을 물리친 여호사밧 골짜기에 대한 내용이 등장하므로<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엘#3장 |제목=요엘 3:2 |저널= |인용문=내가 만국을 모아 데리고 여호사밧 골짜기에 내려가서 내 백성 곧 내 기업된 이스라엘을 위하여 거기서 그들을 국문하리니}}</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엘#3장 |제목=요엘 3:12 |저널= |인용문=열국을 동하여 여호사밧 골짜기로 올라올지어다 내가 거기 앉아서 사면의 열국을 다 심판하리로다 }}</ref> 여호사밧 시대 이후일 것이며, ② 심판받을 적대국으로 블레셋, 애굽, 에돔이 등장하고<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엘#3장 |제목=요엘 3:4 |저널= |인용문=두로와 시돈과 블레셋 사방아 너희가 나와 무슨 상관이 있느냐 너희가 내게 보복하겠느냐 만일 내게 보복하면 너희의 보복하는 것을 내가 속속히 너희 머리에 돌리리니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엘#3장 |제목=요엘 3:19 |저널= |인용문=그러나 애굽은 황무지가 되겠고 에돔은 황무한 들이 되리니 이는 그들이 유다 자손에게 강포를 행하여 무죄한 피를 그 땅에서 흘렸음이니라 }}</ref> 앗수르나 바벨론에 대한 언급이 없다는 점에 비추어 본서가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5447&cid=50762&categoryId=51387 요아스왕](남 유다 8대 왕) 때 기록되었다고 추정하는 학설이 있다. 이 학설에 따르면 요엘서에 제사장에 대한 언급만 있고 왕이 등장하지 않는 부분이<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엘#1장 |제목=요엘 1:9 |저널= |인용문=소제와 전제가 여호와의 전에 끊어졌고 여호와께 수종드는 제사장은 슬퍼하도다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엘#1장 |제목=요엘 1:13 |저널= |인용문=제사장들아 너희는 굵은 베로 동이고 슬피 울지어다 단에 수종드는 자들아 너희는 곡할지어다 내 하나님께 수종드는 자들아 너희는 와서 굵은 베를 입고 밤이 맞도록 누울지어다 이는 소제와 전제를 너희 하나님의 전에 드리지 못함이로다 }}</ref> 어린 요아스를 대신해 대제사장 여호야다가 섭정했던 때임을 암시한다고 본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11장 |제목=열왕기하 11:17-21 |저널= |인용문=여호야다가 왕과 백성으로 여호와와 언약을 세워 여호와의 백성이 되게 하고 왕과 백성 사이에도 언약을 세우게 하매 ... 저가 왕의 보좌에 앉으니 온 국민이 즐거워하고 성중이 평온하더라 ... 요아스가 위에 나아갈 때에 나이 칠 세였더라 }}</ref><ref>{{웹 인용 |url=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7733&ref=y&cid=50762&categoryId=51387 |제목=이스라엘 왕들의 연대표 |웹사이트=라이프성경사전 |저널=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위에서 언급한 내용 이외에는 요엘 선지자에 대한 정보가 없어 요엘서의 기록 시기를 특정하기가 어렵다. 다만 ① [[여호사밧|여호사밧왕]]([[남 유다 왕국|남 유다]] 4대 왕)이 에돔과 동맹군을 물리친 여호사밧 골짜기에 대한 내용이 등장하므로<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엘#3장 |제목=요엘 3:2 |저널= |인용문=내가 만국을 모아 데리고 여호사밧 골짜기에 내려가서 내 백성 곧 내 기업된 이스라엘을 위하여 거기서 그들을 국문하리니}}</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엘#3장 |제목=요엘 3:12 |저널= |인용문=열국을 동하여 여호사밧 골짜기로 올라올지어다 내가 거기 앉아서 사면의 열국을 다 심판하리로다 }}</ref> 여호사밧 시대 이후일 것이며, ② 심판받을 적대국으로 블레셋, 애굽, 에돔이 등장하고<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엘#3장 |제목=요엘 3:4 |저널= |인용문=두로와 시돈과 블레셋 사방아 너희가 나와 무슨 상관이 있느냐 너희가 내게 보복하겠느냐 만일 내게 보복하면 너희의 보복하는 것을 내가 속속히 너희 머리에 돌리리니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엘#3장 |제목=요엘 3:19 |저널= |인용문=그러나 애굽은 황무지가 되겠고 에돔은 황무한 들이 되리니 이는 그들이 유다 자손에게 강포를 행하여 무죄한 피를 그 땅에서 흘렸음이니라 }}</ref> 앗수르나 [[바벨론]]에 대한 언급이 없다는 점에 비추어 본서가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5447&cid=50762&categoryId=51387 요아스왕](남 유다 8대 왕) 때 기록되었다고 추정하는 학설이 있다. 이 학설에 따르면 요엘서에 [[제사장]]에 대한 언급만 있고 왕이 등장하지 않는 부분이<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엘#1장 |제목=요엘 1:9 |저널= |인용문=소제와 전제가 여호와의 전에 끊어졌고 여호와께 수종드는 제사장은 슬퍼하도다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엘#1장 |제목=요엘 1:13 |저널= |인용문=제사장들아 너희는 굵은 베로 동이고 슬피 울지어다 단에 수종드는 자들아 너희는 곡할지어다 내 하나님께 수종드는 자들아 너희는 와서 굵은 베를 입고 밤이 맞도록 누울지어다 이는 소제와 전제를 너희 하나님의 전에 드리지 못함이로다 }}</ref> 어린 요아스를 대신해 대제사장 여호야다가 섭정했던 때임을 암시한다고 본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11장 |제목=열왕기하 11:17-21 |저널= |인용문=여호야다가 왕과 백성으로 여호와와 언약을 세워 여호와의 백성이 되게 하고 왕과 백성 사이에도 언약을 세우게 하매 ... 저가 왕의 보좌에 앉으니 온 국민이 즐거워하고 성중이 평온하더라 ... 요아스가 위에 나아갈 때에 나이 칠 세였더라 }}</ref><ref>가스펠서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7733&ref=y&cid=50762&categoryId=51387 "이스라엘 왕들의 연대표"], 《라이프성경사전》, 생명의말씀사, 2006</ref>


==요엘의 내용 구성==
==요엘의 내용 구성==
원본 주소 "https://watv.kr/요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