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당: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파일: | [[파일:Jews in a Synagogue MET DP814730.jpg|섬네일 | 370px |〈회당의 유대인〉, 렘브란트 作, 1648]] | ||
'''회당'''(會堂, Synagogue)은 '함께 모이는 곳, 집회소'라는 뜻으로, 유대인들이 [[모세의 율법|율법]]을 가르치고 강해하던 기관이자 모임 장소다. 회당을 뜻하는 영어 '시너고그(Synagogue)'는 '모임, 집회, 회중'이라는 의미의 헬라어 '시나고게(συναγωγή)'<ref>{{웹 인용 |url=https://dict.naver.com/grckodict/ancientgreek/#/entry/grcko/8b946fc524de4384bfdd30cb63925d92 |제목=συναγωγή |웹사이트=네이버 고대 그리스어사전 |인용문= }}</ref>를 음역한 것이다. 예배 의식, 율법 교육 등 각종 집회가 이루어지던 회당은 초대교회 당시 유대인 사회의 중심지이자 신앙 공동체의 상징이었다. [[예수 그리스도|예수님]]과 사도들은 회당에서 [[예배]]를 드리며 모인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파하기도 했다.<ref name="마 4">{{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4장 |제목=마태복음 4:23 |저널= |인용문=예수께서 온 갈릴리에 두루 다니사 저희 회당에서 가르치시며 천국 복음을 전파하시며 백성 중에 모든 병과 모든 약한 것을 고치시니}}</ref><ref name="눅 4">{{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4장 |제목=누가복음 4:16–22 |저널= |인용문=예수께서 그 자라나신 곳 나사렛에 이르사 안식일에 자기 규례대로 회당에 들어가사 성경을 읽으려고 서시매}}</ref><ref name="행 18:4">{{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18장 |제목=사도행전 18:4 |저널= |인용문=안식일마다 바울이 회당에서 강론하고 유대인과 헬라인을 권면하니라 }}</ref> | |||
'''회당'''(會堂, Synagogue)은 '함께 모이는 곳, 집회소'라는 뜻으로, 유대인들이 | |||
==회당의 기원== | ==회당의 기원== | ||
회당은 기원전 6세기에 바벨론(신바빌로니아)에 의해 이스라엘이 멸망한 후 생겨난 것으로 추정된다. | 회당은 기원전 6세기에 [[바벨론]](신바빌로니아)에 의해 이스라엘이 멸망한 후 생겨난 것으로 추정된다. 예루살렘 성전이 파괴되고 유대인들이 바벨론에 포로로 끌려가거나 이방 지역으로 흩어지면서 더 이상 성전에 모여서 [[하나님]]을 섬길 수 없게 됐다. 이에 유대인들은 함께 모이기 위한 장소로 회당을 지어서 예배를 드리고 율법을 가르치며 신앙을 유지했다. [[바벨론 포로 (바빌론 유수)|바벨론 포로]] 시대에 활동한 선지자 [[에스겔]]은 [[장로]]들이 그의 집에 와서 하나님의 뜻을 물었다고 기록했는데,<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스겔#8장 |제목=에스겔 8:1 |저널= |인용문=제육년 유월 오일에 나[에스겔]는 집에 앉았고 유다 장로들은 내 앞에 앉았는데 주 여호와의 권능이 거기서 내게 임하기로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스겔#20장 |제목=에스겔 20:1 |저널= |인용문=제칠년 오월 십일에 이스라엘 장로 두어 사람이 여호와께 물으려고 와서 내[에스겔] 앞에 앉으니 }}</ref> 이는 회당의 초기 모습으로 여겨진다.<ref>"회당", 《CLP 성경사전》, 기독교문사, 2013, 1524쪽, "최초 바벨론 포로시대의 가정(겔 8:1; 20:1–3)에서 기록된 것이 분명하다. 가정에서 모였던 초기 그리스도교회와 같이 이 "가정 회당"은 포로시대 이후 점차로 발전되어 교유와 공중예배와 기도를 드리는 공식 회합이 되었다."</ref> 이후 유대인들이 사는 곳이라면 어디든 회당이 세워졌고, 유대인 활동의 새로운 구심점이 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13장 |제목=사도행전 13:5 |저널= |인용문=살라미에 이르러 하나님의 말씀을 유대인의 여러 회당에서 전할새 요한을 수종자로 두었더라 }}</ref><ref name=":0" /><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14장 |제목=사도행전 14:1 |저널= |인용문=이에 이고니온에서 두 사도가 함께 유대인의 회당에 들어가 말하니 유대와 헬라의 허다한 무리가 믿더라 }}</ref><ref name=":1" /> 바벨론이 멸망하고 유대인들이 [[예루살렘]]으로 돌아와 성전을 재건한 후에도 각지에 흩어져 터전을 잡은 유대인들에 의해 회당은 그대로 유지됐다. | ||
==운영== | ==운영== | ||
* '''회당장''': 회당의 책임자인 회당장은 공공 예배를 주관하고, 율법서를 낭독하거나 기도하고 설교할 사람을 지명했다. 또한 회당 건물과 가구와 성경 두루마리를 관리하는 자들을 감독했다. 성경에 언급된 회당장은 예수님의 능력을 힘입어 죽은 딸이 살아나는 | [[파일:Hurva Synagogue DSCN3363a.JPG |섬네일 | 250px |예루살렘 구(舊)시가지의 유대인 지역에 위치한 후르바 회당의 내부]] | ||
* '''회당장''': 회당의 책임자인 회당장은 공공 예배를 주관하고, 율법서를 낭독하거나 기도하고 설교할 사람을 지명했다. 또한 회당 건물과 가구와 성경 두루마리를 관리하는 자들을 감독했다. 성경에 언급된 회당장은 예수님의 능력을 힘입어 죽은 딸이 살아나는 [[예수님의 기적|기적]]을 경험한 야이로<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5장 |제목=마가복음 5:22–43 |저널= |인용문= 회당장 중 하나인 야이로라 하는 이가 와서 예수를 보고 발아래 엎드리어 많이 간구하여 가로되 내 어린 딸이 죽게 되었사오니 오셔서 그 위에 손을 얹으사 그로 구원을 얻어 살게 하소서 하거늘 ... 소녀야 내가 네게 말하노니 일어나라 하심이라 소녀가 곧 일어나서 걸으니 나이 열두 살이라 사람들이 곧 크게 놀라고 놀라거늘}}</ref>를 비롯해 고린도 지역에서 예수님을 영접한 그리스보<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18장 |제목=사도행전 18:8 |저널= |인용문=또 회당장 그리스보가 온 집으로 더불어 주를 믿으며 수다한 고린도 사람도 듣고 믿어 침례를 받더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장 |제목=고린도전서 1:14 |저널= |인용문=그리스보와 가이오 외에는 너희 중 아무에게도 내가 침례를 주지 아니한 것을 감사하노니 }}</ref>와 소스데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18장 |제목=사도행전 18:17 |저널= |인용문=모든 사람이 회당장 소스데네를 잡아 재판 자리 앞에서 때리되 갈리오가 이 일을 상관치 아니하니라 }}</ref> 등이 있다.<br> | |||
* '''수종자''': 회당에는 시중드는 사람(수종자)이 있어서 예배 때 낭독한 성경 두루마리를 나르는 일과, 율법을 위반한 자들을 징계하는 일을 담당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4장 |제목=누가복음 4:20 |저널= |인용문=책을 덮어 그 맡은 자에게 주시고 앉으시니 회당에 있는 자들이 다 주목하여 보더라 }}</ref><br> | * '''수종자''': 회당에는 시중드는 사람(수종자)이 있어서 예배 때 낭독한 성경 두루마리를 나르는 일과, 율법을 위반한 자들을 징계하는 일을 담당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4장 |제목=누가복음 4:20 |저널= |인용문=책을 덮어 그 맡은 자에게 주시고 앉으시니 회당에 있는 자들이 다 주목하여 보더라 }}</ref><br> | ||
* '''회당 내부''': 강대상이 있는 강단, 성경 보관함, 회중석, 등불과 나팔, 회당장석 등이 있었다. | * '''회당 내부''': 강대상이 있는 강단, [[성경]] 보관함, 회중석, 등불과 나팔, 회당장석 등이 있었다. | ||
* '''회중석''': 남녀 구별이 있었고, 지도급 인사들이 앞자리에 앉았다. | * '''회중석''': 남녀 구별이 있었고, 지도급 인사들이 앞자리에 앉았다. | ||
==회당의 기능== | ==회당의 기능== | ||
[[파일:Synagogue at Gamla.jpg |섬네일 | 300px |기원후 1세기 감라 회당 유적]] | [[파일:Synagogue at Gamla.jpg |섬네일 | 300px |기원후 1세기 감라 회당 유적]] | ||
*'''예배''': 회당은 주로 예배 의식을 거행하는 장소로 쓰였다. 회당 예배는 기도, 성경 낭독, 설교 등으로 이루어졌다. 회당장의 요청에 따라 예배에 참석한 자 중에서 자격이 있는 사람이면 누구든지 설교할 수 있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13장 |제목=사도행전 13:15 |저널= |인용문=율법과 선지자의 글을 읽은 후에 회당장들이 사람을 보내어 물어 가로되 형제들아 만일 백성을 권할 말이 있거든 말하라 하니 }}</ref> 유대인들은 [[유월절]], [[오순절]] 같은 큰 명절에는 예루살렘 성전에 올라가더라도<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장 |제목=누가복음 2:41 |저널= |인용문=그 부모가 해마다 유월절을 당하면 예루살렘으로 가더니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1장 |제목=요한복음 11:55 |저널= |인용문=유대인의 유월절이 가까우매 많은 사람이 자기를 성결케 하기 위하여 유월절 전에 시골서 예루살렘으로 올라갔더니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2장 |제목=사도행전 2:5 |저널= |인용문=그때에 경건한 유대인이 천하 각국으로부터 와서 예루살렘에 우거하더니}}</ref> 평시에는 회당을 중심으로 [[안식일]]을 지켰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1장 |제목=마가복음 1:21 |저널= |인용문=저희가 가버나움에 들어가니라 예수께서 곧 안식일에 회당에 들어가 가르치시매 }}</ref> 예수님과 사도 | *'''예배''': 회당은 주로 예배 의식을 거행하는 장소로 쓰였다. 회당 예배는 기도, 성경 낭독, 설교 등으로 이루어졌다. 회당장의 요청에 따라 예배에 참석한 자 중에서 자격이 있는 사람이면 누구든지 설교할 수 있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13장 |제목=사도행전 13:15 |저널= |인용문=율법과 선지자의 글을 읽은 후에 회당장들이 사람을 보내어 물어 가로되 형제들아 만일 백성을 권할 말이 있거든 말하라 하니 }}</ref> 유대인들은 [[유월절]], [[오순절]] 같은 큰 명절에는 예루살렘 성전에 올라가더라도<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장 |제목=누가복음 2:41 |저널= |인용문=그 부모가 해마다 유월절을 당하면 예루살렘으로 가더니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1장 |제목=요한복음 11:55 |저널= |인용문=유대인의 유월절이 가까우매 많은 사람이 자기를 성결케 하기 위하여 유월절 전에 시골서 예루살렘으로 올라갔더니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2장 |제목=사도행전 2:5 |저널= |인용문=그때에 경건한 유대인이 천하 각국으로부터 와서 예루살렘에 우거하더니}}</ref> 평시에는 회당을 중심으로 [[안식일]]을 지켰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1장 |제목=마가복음 1:21 |저널= |인용문=저희가 가버나움에 들어가니라 예수께서 곧 안식일에 회당에 들어가 가르치시매 }}</ref> 예수님과 [[바울|사도 바울]]도 회당에서 안식일 예배를 드렸다.<ref name="마 4"/><ref name="눅 4"/><ref name="행 18:4"/> | ||
*'''율법 교육''': 회당은 유대 사회 내 일반인을 위한 율법 교육 장소로 쓰였다. 교육은 율법을 잘 알고 역량을 가졌다고 생각되는 해석자들에 의해 이루어졌는데, [[바리새인]]과 [[서기관]]들이 주로 그 역할을 담당했다. 유대인들이 회당을 중심으로 신앙생활을 하게 되자, 자연스럽게 성전에서 [[구약의 제사|제사]]를 주관하는 | *'''율법 교육''': 회당은 유대 사회 내 일반인을 위한 율법 교육 장소로 쓰였다. 교육은 율법을 잘 알고 역량을 가졌다고 생각되는 해석자들에 의해 이루어졌는데, [[바리새인]]과 [[서기관]]들이 주로 그 역할을 담당했다. 유대인들이 회당을 중심으로 신앙생활을 하게 되자, 자연스럽게 성전에서 [[구약의 제사|제사]]를 주관하는 [[제사장]]과 [[레위인]]의 영향력은 줄어들고 회당에서 율법을 가르치는 서기관의 영향력이 커지게 되었다. | ||
*'''법정''': 유대인 공동체의 구심점이었던 회당은 사법적 기능을 하는 장소로도 사용되었다. 회당에서는 사람을 체포하여 끌고 와서 재판을 하기도 했으며<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12장 |제목=누가복음 12:11 |저널= |인용문=사람이 너희를 회당과 정사 잡은 이와 권세 있는 이 앞에 끌고 가거든 어떻게 무엇으로 대답하며 무엇으로 말할 것을 염려치 말라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9장 |제목=사도행전 9:2 |저널= |인용문=다메섹 여러 회당에 갈 공문을 청하니 이는 만일 그 도를 좇는 사람을 만나면 무론남녀하고 결박하여 예루살렘으로 잡아 오려 함이라 }}</ref> 채찍질이나 파문 같은 징계를 내리기도 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10장 |제목=마태복음 10:17 |저널= |인용문=사람들을 삼가라 저희가 너희를 공회에 넘겨주겠고 저희 회당에서 채찍질하리라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3장 |제목=마태복음 23:34 |저널= |인용문=그러므로 내가 너희에게 선지자들과 지혜 있는 자들과 서기관들을 보내매 너희가 그중에서 더러는 죽이고 십자가에 못 박고 그중에 더러는 너희 회당에서 채찍질하고 이 동네에서 저 동네로 구박하리라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22장 |제목=사도행전 22:19 |저널= |인용문=내가 말하기를 주여 내가 주 믿는 사람들을 가두고 또 각 회당에서 때리고 }}</ref> | *'''법정''': 유대인 공동체의 구심점이었던 회당은 사법적 기능을 하는 장소로도 사용되었다. 회당에서는 사람을 체포하여 끌고 와서 재판을 하기도 했으며<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12장 |제목=누가복음 12:11 |저널= |인용문=사람이 너희를 회당과 정사 잡은 이와 권세 있는 이 앞에 끌고 가거든 어떻게 무엇으로 대답하며 무엇으로 말할 것을 염려치 말라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9장 |제목=사도행전 9:2 |저널= |인용문=다메섹 여러 회당에 갈 공문을 청하니 이는 만일 그 도를 좇는 사람을 만나면 무론남녀하고 결박하여 예루살렘으로 잡아 오려 함이라 }}</ref> 채찍질이나 파문 같은 징계를 내리기도 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10장 |제목=마태복음 10:17 |저널= |인용문=사람들을 삼가라 저희가 너희를 공회에 넘겨주겠고 저희 회당에서 채찍질하리라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3장 |제목=마태복음 23:34 |저널= |인용문=그러므로 내가 너희에게 선지자들과 지혜 있는 자들과 서기관들을 보내매 너희가 그중에서 더러는 죽이고 십자가에 못 박고 그중에 더러는 너희 회당에서 채찍질하고 이 동네에서 저 동네로 구박하리라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22장 |제목=사도행전 22:19 |저널= |인용문=내가 말하기를 주여 내가 주 믿는 사람들을 가두고 또 각 회당에서 때리고 }}</ref> | ||
*'''복음 전파''': 예수님은 나사렛, 가버나움 등 이스라엘 각지에 있는 유대인의 회당에서 자주 말씀을 가르치며 | *'''복음 전파''': 예수님은 [[나사렛]], [[가버나움]] 등 이스라엘 각지에 있는 유대인의 회당에서 자주 말씀을 가르치며 [[복음]]을 전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13장 |제목=마태복음 13:53–54 |저널= |인용문=예수께서 이 모든 비유를 마치신 후에 거기를 떠나서 고향으로 돌아가사 저희 회당에서 가르치시니 저희가 놀라 가로되 이 사람의 이 지혜와 이런 능력이 어디서 났느뇨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4장 |제목=누가복음 4:44 |저널= |인용문=갈릴리 여러 회당에서 전도하시더라 }}</ref> 당신이 곧 하늘에서 내려온 산 떡이니 당신의 살과 피를 먹고 마시는 사람이 영생을 얻을 것이라고 설교하신 장소도 가버나움 회당이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6장 |제목=요한복음 6:54–59 |저널= |인용문=이것은 하늘로서 내려온 떡이니 조상들이 먹고도 죽은 그것과 같지 아니하여 이 떡을 먹는 자는 영원히 살리라 이 말씀은 예수께서 가버나움 회당에서 가르치실 때에 하셨느니라}}</ref> 사도들에게도 회당은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전도 장소였다. 일례로 사도 바울은 비시디아 안디옥, 데살로니가, 고린도에 있던 회당에서 안식일 예배를 드리고 전도했다.<ref name="행 18:4"/><ref name=":0">{{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13장 |제목=사도행전 13:14–44 |저널= |인용문=저희는 버가로부터 지나 비시디아 안디옥에 이르러 안식일에 회당에 들어가 앉으니라 ... 바울이 일어나 손짓하며 말하되 이스라엘 사람들과 및 하나님을 경외하는 사람들아 들으라 ... 저희가 나갈새 사람들이 청하되 다음 안식일에도 이 말씀을 하라 하더라 폐회한 후에 유대인과 유대교에 입교한 경건한 사람들이 많이 바울과 바나바를 좇으니 두 사도가 더불어 말하고 항상 하나님의 은혜 가운데 있으라 권하니라 그다음 안식일에는 온 성이 거의 다 하나님 말씀을 듣고자 하여 모이니}}</ref><ref name=":1">{{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17장 |제목=사도행전 17:1–2 |저널= |인용문=저희가 암비볼리와 아볼로니아로 다녀가 데살로니가에 이르니 거기 유대인의 회당이 있는지라 바울이 자기의 규례대로 저희에게로 들어가서 세 안식일에 성경을 가지고 강론하며 }}</ref> | ||
==같이 보기== | ==같이 보기== | ||
*[[공회 (산헤드린)]] | * [[공회 (산헤드린)]] | ||
*[[교회]] | * [[교회]] | ||
*[[예배]] | * [[예배]] | ||
*[[ | * [[안식일]] | ||
*[[바리새인]] | * [[바리새인]] | ||
*[[서기관]] | * [[서기관]] | ||
==각주== | ==각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