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삼위일체: 두 판 사이의 차이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성삼위일체'''(聖三位一體, Trinity)란 거룩한 삼위가 한 분이라는 성경적 진리로 [[성부 (여호와)|성부]](聖父), [[성자 (예수)|성자]](聖子), [[성령]](聖靈) [[하나님]]이 각기 다른 분이 아니라 한 분이라는 뜻이다. '삼위일체(三位一體)'라고도 한다.<br> | '''성삼위일체'''(聖三位一體, Trinity)란 거룩한 삼위가 한 분이라는 성경적 진리로 [[성부 (여호와)|성부]](聖父), [[성자 (예수)|성자]](聖子), [[성령]](聖靈) [[하나님]]이 각기 다른 분이 아니라 한 분이라는 뜻이다. '삼위일체(三位一體)'라고도 한다.<br> | ||
성삼위일체는 신구교를 막론하고 대부분 | 성삼위일체는 신구교를 막론하고 대부분 [[교회]]에서 인정하나 해석은 제각각이다. 그러나 신구약 성경은 성부, 성자, 성령을 한 분 [[아버지 하나님]]으로 설명한다. | ||
==성삼위일체 개념== | ==성삼위일체 개념== | ||
| 8번째 줄: | 8번째 줄: | ||
==성부 여호와=성자 예수== | ==성부 여호와=성자 예수== | ||
교회마다 예수님이 근본 누구인지에 대한 의견은 분분하다. 여호와와 예수는 한 분 하나님 안에 속하지만 그 안에서 별개의 위격으로 존재한다고 하는 교회도 있고, 예수님을 인간과 같은 피조물이나 천사 중의 한 분으로 여기는 교회도 있다. 여호와와 예수님에 대해 뜻과 목적이 같기 때문에 일체라고는 표현하지만 실상 여호와와 예수님은 서로 다른 분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br> | 교회마다 예수님이 근본 누구인지에 대한 의견은 분분하다. 여호와와 예수는 한 분 하나님 안에 속하지만 그 안에서 별개의 위격으로 존재한다고 하는 교회도 있고, 예수님을 인간과 같은 피조물이나 [[천사]] 중의 한 분으로 여기는 교회도 있다. 여호와와 예수님에 대해 뜻과 목적이 같기 때문에 일체라고는 표현하지만 실상 여호와와 예수님은 서로 다른 분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br> | ||
예수님이 누구인지 보여주는 가장 정확한 증거는 성경이다. | 예수님이 누구인지 보여주는 가장 정확한 증거는 성경이다. | ||
{{인용문5 |내용=너희가 성경에서 영생을 얻는 줄 생각하고 성경을 상고하거니와 '''이 성경이 곧 내[예수]게 대하여 증거하는 것이로다'''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5장 요한복음 5:39]}} | {{인용문5 |내용=너희가 성경에서 영생을 얻는 줄 생각하고 성경을 상고하거니와 '''이 성경이 곧 내[예수]게 대하여 증거하는 것이로다'''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5장 요한복음 5:39]}} | ||
예수님이 말씀하신 성경은 [[신약성경]]이 아닌 [[구약성경]]을 가리킨다. 장차 오실 [[그리스도]]에 대한 구약 선지자들의 예언서를 연구하지 않고는 예수님이 근본 누구인지 알지 못한다. 구약의 예언서를 자세히 살피면, 그 성취를 통해 예수님이 누구인지 알 수 있고 성삼위일체를 이해할 수 있다. | 예수님이 말씀하신 성경은 [[신약성경]]이 아닌 [[구약성경]]을 가리킨다. 장차 오실 [[그리스도]]에 대한 구약 선지자들의 예언서를 연구하지 않고는 예수님이 근본 누구인지 알지 못한다. 구약의 예언서를 자세히 살피면, 그 성취를 통해 예수님이 누구인지 알 수 있고 성삼위일체를 이해할 수 있다. | ||
===주의 길을 예비하는 여호와의 사자=== | ===주의 길을 예비하는 여호와의 사자=== | ||
| 27번째 줄: | 28번째 줄: | ||
{{인용문5 |내용=사람에게는 버린 바가 되었으나 하나님께는 택하심을 입은 보배로운 산 돌이신 '''예수'''에게 나아와 ... 경에 기록하였으되 보라 내가 택한 보배롭고 요긴한 모퉁이 돌을 시온에 두노니 저를 믿는 자는 부끄러움을 당치 아니하리라 하였으니 그러므로 믿는 너희에게는 보배이나 믿지 아니하는 자에게는 '''건축자들의 버린 그 돌이 모퉁이의 머릿돌'''이 되고 또한 '''부딪히는 돌과 거치는 반석'''이 되었다 하니라 저희가 말씀을 순종치 아니하므로 넘어지나니 이는 저희를 이렇게 정하신 것이라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베드로전서#2장 베드로전서 2:4–8]}} | {{인용문5 |내용=사람에게는 버린 바가 되었으나 하나님께는 택하심을 입은 보배로운 산 돌이신 '''예수'''에게 나아와 ... 경에 기록하였으되 보라 내가 택한 보배롭고 요긴한 모퉁이 돌을 시온에 두노니 저를 믿는 자는 부끄러움을 당치 아니하리라 하였으니 그러므로 믿는 너희에게는 보배이나 믿지 아니하는 자에게는 '''건축자들의 버린 그 돌이 모퉁이의 머릿돌'''이 되고 또한 '''부딪히는 돌과 거치는 반석'''이 되었다 하니라 저희가 말씀을 순종치 아니하므로 넘어지나니 이는 저희를 이렇게 정하신 것이라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베드로전서#2장 베드로전서 2:4–8]}} | ||
구약시대 만군의 여호와는 곧 신약시대 사람으로 오신 예수 그리스도다. | 구약시대 만군의 여호와는 곧 신약시대 사람으로 오신 예수 그리스도다. | ||
===구원자=== | ===구원자=== | ||
| 45번째 줄: | 47번째 줄: | ||
영존하시는 아버지, 곧 여호와 하나님은 장차 한 아기로 태어나 [[다윗]]의 위(位)에 앉으실 것이라고 예언되었다. | 영존하시는 아버지, 곧 여호와 하나님은 장차 한 아기로 태어나 [[다윗]]의 위(位)에 앉으실 것이라고 예언되었다. | ||
{{인용문5 |내용='''한 아기'''가 우리에게 났고 한 아들을 우리에게 주신 바 되었는데 그 어깨에는 정사를 메었고 그 이름은 기묘자라, 모사라, '''전능하신 하나님'''이라, 영존하시는 아버지라 평강의 왕이라 할 것임이라 그 정사와 평강의 더함이 무궁하며 또 '''다윗의 위'''에 앉아서 그 나라를 굳게 세우고 자금 이후 영원토록 공평과 정의로 그것을 보존하실 것이라|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9장 이사야 9:6–7]}} | {{인용문5 |내용='''한 아기'''가 우리에게 났고 한 아들을 우리에게 주신 바 되었는데 그 어깨에는 정사를 메었고 그 이름은 기묘자라, 모사라, '''전능하신 하나님'''이라, 영존하시는 아버지라 평강의 왕이라 할 것임이라 그 정사와 평강의 더함이 무궁하며 또 '''다윗의 위'''에 앉아서 그 나라를 굳게 세우고 자금 이후 영원토록 공평과 정의로 그것을 보존하실 것이라|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9장 이사야 9:6–7]}} | ||
한 아기, 한 아들로 세상에 태어난 분은 예수님이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3장|제목=마태복음 3:17|인용문=하늘로서 소리가 있어 말씀하시되 이[예수]는 내 사랑하는 아들이요}}</ref> 또 예수님은 다윗의 위(位)를 받으셨다. | 한 아기, 한 아들로 세상에 태어난 분은 예수님이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3장|제목=마태복음 3:17|인용문=하늘로서 소리가 있어 말씀하시되 이[예수]는 내 사랑하는 아들이요}}</ref> 또 예수님은 [[다윗 왕위의 예언|다윗의 위(位)]]를 받으셨다. | ||
{{인용문5 |내용=그 이름을 '''예수'''라 하라 저가 큰 자가 되고 지극히 높으신 이의 아들이라 일컬을 것이요 주 하나님께서 그 조상 '''다윗의 위'''를 저에게 주시리니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1장 누가복음 1:31–32]}} | {{인용문5 |내용=그 이름을 '''예수'''라 하라 저가 큰 자가 되고 지극히 높으신 이의 아들이라 일컬을 것이요 주 하나님께서 그 조상 '''다윗의 위'''를 저에게 주시리니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1장 누가복음 1:31–32]}} | ||
다윗의 위에 앉아 이 땅에 아기로 태어난 예수님이 바로 여호와 하나님으로, 성삼위일체 중 성부 여호와와 성자 예수님은 한 분임을 알 수 있다. | 다윗의 위에 앉아 이 땅에 아기로 태어난 예수님이 바로 여호와 하나님으로, 성삼위일체 중 성부 여호와와 성자 예수님은 한 분임을 알 수 있다. | ||
| 55번째 줄: | 57번째 줄: | ||
===알파와 오메가=== | ===알파와 오메가=== | ||
성부와 성자 모두 알파와 | 성부와 성자 모두 [[알파와 오메가]]이다.</br> | ||
{{인용문5 |내용= 주 '''하나님[여호와]'''이 가라사대 나는 '''알파와 오메가'''라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1장 요한계시록 1:8]}}{{인용문5 |내용= '''나[예수]'''는 '''알파와 오메가'''요 처음과 나중이요 시작과 끝이라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22장 요한계시록 22:13]}} | {{인용문5 |내용= 주 '''하나님[여호와]'''이 가라사대 나는 '''알파와 오메가'''라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1장 요한계시록 1:8]}}{{인용문5 |내용= '''나[예수]'''는 '''알파와 오메가'''요 처음과 나중이요 시작과 끝이라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22장 요한계시록 22:13]}} | ||
'알파와 오메가'는 헬라어 알파벳 첫 글자(Α)와 끝 글자(Ω)다. 성경에서 처음과 나중, 시작과 끝을 의미한다. 만일 성부 여호와와 성자 예수님이 다른 분이라면 아버지가 아들보다 먼저 존재해야 하므로 아들은 알파, 즉 시작이 될 수 없다. 그러나 성경에서 성부와 성자 모두 알파이다. 그러므로 성삼위일체의 진리에 따라 성부와 성자는 근본 같은 분이다. | |||
===만왕의 왕, 만주의 주=== | ===만왕의 왕, 만주의 주=== | ||
| 88번째 줄: | 90번째 줄: | ||
중보(中保)란 두 사람 사이의 관계를 돕는 일 또는 그런 일을 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성경에서는 죄로 인해 멀어진 인간과 하나님의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돕는 일 또는 그런 일을 하는 사람을 뜻한다. 신약시대에는 오직 예수 그리스도 한 분만이 하나님과 사람 사이의 중보자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디모데전서#2장 |제목=디모데전서 2:5 |저널= |인용문=하나님은 한 분이시요 또 하나님과 사람 사이에 중보도 한 분이시니 곧 사람이신 그리스도 예수라 }}</ref> | 중보(中保)란 두 사람 사이의 관계를 돕는 일 또는 그런 일을 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성경에서는 죄로 인해 멀어진 인간과 하나님의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돕는 일 또는 그런 일을 하는 사람을 뜻한다. 신약시대에는 오직 예수 그리스도 한 분만이 하나님과 사람 사이의 중보자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디모데전서#2장 |제목=디모데전서 2:5 |저널= |인용문=하나님은 한 분이시요 또 하나님과 사람 사이에 중보도 한 분이시니 곧 사람이신 그리스도 예수라 }}</ref> | ||
{{인용문5 |내용='''그[예수]'''는 '''새 언약의 중보'''니 이는 첫 언약 때에 범한 죄를 속하려고 죽으사 부르심을 입은 자로 하여금 영원한 기업의 약속을 얻게 하려 하심이니라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9장 히브리서 9:15]}} | {{인용문5 |내용='''그[예수]'''는 '''새 언약의 중보'''니 이는 첫 언약 때에 범한 죄를 속하려고 죽으사 부르심을 입은 자로 하여금 영원한 기업의 약속을 얻게 하려 하심이니라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9장 히브리서 9:15]}} | ||
구약시대 | 구약시대 제사장들과 달리 예수님은 항상 살아 있는 영원한 제사장으로서 성도를 위해 간구하신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7장 |제목=히브리서 7:24–25 |저널= |인용문=예수는 영원히 계시므로 그 제사 직분도 갈리지 아니하나니 그러므로 자기를 힘입어 하나님께 나아가는 자들을 온전히 구원하실 수 있으니 이는 그가 항상 살아서 저희를 위하여 간구하심이니라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53장 |제목=이사야 53:12 |저널= |인용문=그가 많은 사람의 죄를 지며 범죄자를 위하여 기도하였느니라 하시니라 }}</ref> 이는 유일한 중보자, 예수님만이 수행할 수 있는 역할이다.<br> | ||
[[로마서]]에서는 오직 성령이 성도를 위해 기도한다고 한 동시에 예수님이 성도를 위해 기도하신다고 했다. | [[로마서]]에서는 오직 성령이 성도를 위해 기도한다고 한 동시에 예수님이 성도를 위해 기도하신다고 했다. | ||
{{인용문5 |내용= 성령도 우리 연약함을 도우시나니 우리가 마땅히 빌 바를 알지 못하나 오직 '''성령'''이 말할 수 없는 탄식으로 우리를 위하여 친히 간구하시느니라 마음을 감찰하시는 이가 성령의 생각을 아시나니 이는 성령이 하나님의 뜻대로 '''성도를 위하여 간구하심'''이니라 ... 그리스도 '''예수'''시니 그는 하나님 우편에 계신 자요 '''우리를 위하여 간구하시는 자'''시니라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로마서#8장 로마서 8:26–27, 34]}} | {{인용문5 |내용= 성령도 우리 연약함을 도우시나니 우리가 마땅히 빌 바를 알지 못하나 오직 '''성령'''이 말할 수 없는 탄식으로 우리를 위하여 친히 간구하시느니라 마음을 감찰하시는 이가 성령의 생각을 아시나니 이는 성령이 하나님의 뜻대로 '''성도를 위하여 간구하심'''이니라 ... 그리스도 '''예수'''시니 그는 하나님 우편에 계신 자요 '''우리를 위하여 간구하시는 자'''시니라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로마서#8장 로마서 8:26–27, 34]}} | ||
| 94번째 줄: | 96번째 줄: | ||
===보혜사=== | ===보혜사=== | ||
예수님은 인류의 죄를 대신할 속죄 제물로서 희생하셨다. [[사도 요한]]은 인류를 위해 희생하신 예수님을, 하나님 앞에서 성도의 죄를 변호하는 '대언자'라고 표현했다. | 예수님은 인류의 죄를 대신할 속죄 제물로서 희생하셨다. 사도 [[요한 (사도)|요한]]은 인류를 위해 희생하신 예수님을, 하나님 앞에서 성도의 죄를 변호하는 '대언자'라고 표현했다. | ||
{{인용문5 |내용=만일 누가 죄를 범하면 아버지 앞에서 우리에게 '''대언자(παρακλητος, 파라클레토스)'''가 있으니 곧 의로우신 '''예수 그리스도'''시라 저는 우리 죄를 위한 화목 제물이니 우리만 위할 뿐 아니요 온 세상의 죄를 위하심이라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일서#2장 요한일서 2:1–2]}} | {{인용문5 |내용=만일 누가 죄를 범하면 아버지 앞에서 우리에게 '''대언자(παρακλητος, 파라클레토스)'''가 있으니 곧 의로우신 '''예수 그리스도'''시라 저는 우리 죄를 위한 화목 제물이니 우리만 위할 뿐 아니요 온 세상의 죄를 위하심이라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일서#2장 요한일서 2:1–2]}} | ||
'대언자'의 헬라어 원어는 '파라클레토스(παρακλητος)'로 누군가의 곁에 서서 변호하도록 부름을 입은 사람을 의미한다. 한글개역성경 [[요한1서]] 2장 1절 난하주에는 '[[보혜사]]'로 해석되었다. 근본 죄인들인 인류의 보혜사[파라클레토스]는 온 세상의 죄를 위해 친히 화목 제물이 되신 예수님뿐이다. 그런데 예수님을 우리의 대언자[파라클레토스]라고 했던 요한은 우리의 보혜사[파라클레토스]가 성령이라 하신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요한복음]]에 기록했다. | '대언자'의 헬라어 원어는 '파라클레토스(παρακλητος)'로 누군가의 곁에 서서 변호하도록 부름을 입은 사람을 의미한다. 한글개역성경 [[요한1서]] 2장 1절 난하주에는 '[[보혜사]]'로 해석되었다. 근본 죄인들인 인류의 보혜사[파라클레토스]는 온 세상의 죄를 위해 친히 화목 제물이 되신 예수님뿐이다. 그런데 예수님을 우리의 대언자[파라클레토스]라고 했던 요한은 우리의 보혜사[파라클레토스]가 성령이라 하신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요한복음]]에 기록했다. | ||
| 104번째 줄: | 106번째 줄: | ||
또 다른 보혜사는 성령을 뜻한다. 성령은 영원토록 성도와 함께하며 성도 속에 거하신다.<br> | 또 다른 보혜사는 성령을 뜻한다. 성령은 영원토록 성도와 함께하며 성도 속에 거하신다.<br> | ||
[[마태복음]] 28장과 요한복음 6장에서는 세상 끝 날까지 성도와 항상 함께하고, 성도 안에 거하시는 분이 예수님이라고 나온다. | [[마태복음]] 28장과 요한복음 6장에서는 세상 끝 날까지 성도와 항상 함께하고, 성도 안에 거하시는 분이 예수님이라고 나온다. | ||
* "볼지어다 <ins>내[예수]</ins>가 세상 끝 날까지 너희와 <ins>항상 함께 있으리라</ins> 하시니라"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8장 마태복음 28장 20절] | * "볼지어다 <ins>내[예수]</ins>가 세상 끝 날까지 너희와 <ins>항상 함께 있으리라</ins> 하시니라"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8장 마태복음 28장 20절]) | ||
* "<ins>내[예수]</ins> 살을 먹고 내 피를 마시는 자는 <ins>내 안에 거하고 나도 그 안에 거하나니</ins>"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6장 요한복음 6장 56절] | * "<ins>내[예수]</ins> 살을 먹고 내 피를 마시는 자는 <ins>내 안에 거하고 나도 그 안에 거하나니</ins>"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6장 요한복음 6장 56절]) | ||
성도들과 영원히 함께하시는 예수님이 곧 성령이라는 말씀이다. 성삼위일체의 진리에 따라 성자 예수님과 성령은 한 분이다. | 성도들과 영원히 함께하시는 예수님이 곧 성령이라는 말씀이다. 성삼위일체의 진리에 따라 성자 예수님과 성령은 한 분이다. | ||
| 123번째 줄: | 125번째 줄: | ||
==관련 영상== | ==관련 영상== | ||
* 세 분이 한 분? 성삼위일체의 비밀을 풀다 | * '''세 분이 한 분? 성삼위일체의 비밀을 풀다''' | ||
<youtube>6_xQUOPxwew | <youtube>6_xQUOPxwew</youtube> | ||
*설교: 성삼위일체 | *설교: '''성삼위일체''' | ||
<youtube>BMuZ0bJDIBo</youtube> | <youtube>BMuZ0bJDIBo</youtube> | ||
| 137번째 줄: | 140번째 줄: | ||
* [[니케아 공의회]] | * [[니케아 공의회]] | ||
== | ==참조== | ||
* [https://ahnsahnghong.com/christ/ 그리스도 | * [https://ahnsahnghong.com/christ/ 그리스도 안상홍님 웹사이트] | ||
* [https:// | * [https://www.youtube.com/c/ChurchofGodTUBE Church of God TUBE] | ||
==각주== | ==각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