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성경: 두 판 사이의 차이

Tester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File:Great Isaiah Scroll Ch53.jpg|섬네일|구약성경 이사야서(사해 사본)]]
[[File:Great Isaiah Scroll Ch53.jpg|섬네일|구약성경 이사야서(사해 사본)<br>(출처: [http://dss.collections.imj.org.il/isaiah 이스라엘 박물관])]]
'''구약성경'''(舊約聖經, Old Testament)은 [[예수 그리스도]] 탄생 전에 기록된 경전으로 이스라엘 민족의 역사와 구원에 관한 하나님의 계획, [[메시아]]에 대한 예언 등이 적혀 있다. 총 39권이며 율법서, 역사서, 시가서, 예언서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구약성경은 1000여 년의 시간에 걸쳐 기록되었는데 마지막 책인 [[말라기]]는 기원전 400년경에 작성되었다.  
'''구약성경'''(舊約聖經, Old Testament)은 [[예수 그리스도]] 탄생 전에 기록된 경전으로 이스라엘 민족의 역사와 구원에 관한 하나님의 계획, [[메시아]]에 대한 예언 등이 적혀 있다. 총 39권이며 율법서, 역사서, 시가서, 예언서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구약성경은 1000여 년의 시간에 걸쳐 기록되었는데 마지막 책인 [[말라기]]는 기원전 400년경에 작성되었다.  


7번째 줄: 7번째 줄:


==기록 언어==
==기록 언어==
구약성경은 대부분 히브리어로 기록되었다. 바벨론(신바빌로니아) 포로 이후 유대인들은 바벨론과 바사(페르시아)에서 사용하던 아람어를 점차 많이 사용했다. 그래서 후대에 작성된 책의 일부분은 아람어로 기록되었다(에스라 4장 8절-6장 18절, 7장 12-26절, 예레미야 10장 11절, 다니엘 2장 4절-7장 28절, 창세기 31장 47절 일부).<ref>{{인용 |url=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research.html?dbGubun=SD&category=Research&m201_id=10062580 |제목=성서 아람어의 어순에 관한 연구 |웹사이트=기초학문자료센터 |저널= |출판사=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날짜=2015년 |연도= |저자=권성달 |쪽= |시리즈= |isbn= |인용문=구약 성서에서 아람어로 기록된 본문은 스 4:8-6:18; 7:12-26; 단 2:4-7:28; 렘 10:11과 창 31:47의 일부분이며 신약 성서에 부분적으로 기록되어 있다. 창 31:47의 아람어는 문장이 아니라 고유명사이므로 연구 대상에서 제외시켰다. }}</ref> <br>
구약성경은 대부분 히브리어로 기록되었다. 바벨론(신바빌로니아) 포로 이후 유대인들은 바벨론과 바사(페르시아)에서 사용하던 아람어를 점차 많이 사용했다. 그래서 후대에 작성된 책의 일부분은 아람어로 기록되었다(에스라 4장 8절-6장 18절, 7장 12-26절, 예레미야 10장 11절, 다니엘 2장 4절-7장 28절, 창세기 31장 47절 일부).<ref>권성달, 〈성서 아람어의 어순에 관한 연구〉, 《성경원문연구》 제41호, 대한성서공회, 2017</ref><br>
기원전 3, 4세기에 이르러 팔레스타인 이외의 지역에서는 히브리어가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지중해 연안 국가에 흩어져 사는, 히브리어를 모르는 유대인들을 위해 유대인 학자 70여 명이 당시의 국제 공용어인 헬라어로 구약성경을 번역했다. 이때 만들어진 번역본을 '70인역'이라 부르는데 가장 오래된 구약성경 번역본이다. 신약성경에서 인용한 구약성경 본문도 대부분 70인역에서 가져온 것이고, 오늘날 구약성경의 책 명칭도 70인역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기원전 3, 4세기에 이르러 팔레스타인 이외의 지역에서는 히브리어가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지중해 연안 국가에 흩어져 사는, 히브리어를 모르는 유대인들을 위해 유대인 학자 70여 명이 당시의 국제 공용어인 헬라어로 구약성경을 번역했다. 이때 만들어진 번역본을 '70인역'이라 부르는데 가장 오래된 구약성경 번역본이다. 신약성경에서 인용한 구약성경 본문도 대부분 70인역에서 가져온 것이고, 오늘날 구약성경의 책 명칭도 70인역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16번째 줄: 16번째 줄:
|-style="background: white"
|-style="background: white"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 || [[모세]] || B.C. 1500년경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 || [[모세]] || B.C. 1500년경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여호수아 (성경) |여호수아]] || [[여호수아 (인물) |여호수아]] || B.C. 1450-1400년경
|[[여호수아 (성경) |여호수아]] || [[여호수아 (인물) |여호수아]]||B.C. 1450-1400년경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사사기]] || 사무엘 || B.C. 1000년경
|[[사사기]]||사무엘
|-style="background: white"
|B.C. 1000년경
|[[룻기]] || 미상 || B.C. 1000년경
|- style="background: white"
|-style="background: white"
|[[룻기]]||미상
|[[사무엘상]][[사무엘하 | 하]] || 미상 || B.C. 900년경
|B.C. 1000년경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열왕기상]][[열왕기하 | 하]] || 미상 || B.C. 600년경
|[[사무엘상]]·[[사무엘하 | 하]]||미상||B.C. 900년경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역대상]][[역대하 | 하]] || 에스라 || B.C. 450년경
|[[열왕기상]]·[[열왕기하 | 하]]||미상||B.C. 600년경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에스라 (성경) | 에스라]] || 에스라 || B.C. 440년경
|[[역대상]]·[[역대하 | 하]]||에스라||B.C. 450년경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느헤미야 (성경)]] || 느헤미야 또는 에스라 || B.C. 420년경
|[[에스라 (성경) | 에스라]]||에스라||B.C. 440년경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에스더]] || 모르드개 || B.C. 464-436년경
|[[느헤미야 (성경)]]||느헤미야 또는 에스라||B.C. 420년경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욥기]] || 욥(추정) || B.C. 2000-1500년경
|[[에스더]]||모르드개||B.C. 464-436년경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시편]] || [[다윗]] 외 다수 || B.C. 1500-400년경
|[[욥기]]||욥(추정)||B.C. 2000-1500년경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잠언]], [[전도서]], [[아가]] || [[솔로몬]] 외 || B.C. 1000-700년경
|[[시편]]||[[다윗]] 외 다수||B.C. 1500-400년경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이사야]] || 이사야 || B.C. 730-680년경
|[[잠언]], [[전도서]], [[아가]]||[[솔로몬]] 외||B.C. 1000-700년경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예레미야 (성경) | 예레미야]], [[예레미야 애가]] || [[예레미야 (선지자) | 예레미야]] || B.C. 620-580년경
|[[이사야]]||이사야||B.C. 730-680년경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에스겔 | 에스겔]] || 에스겔 || B.C. 593-570년경
|[[예레미야 (성경) | 예레미야]], [[예레미야 애가]]||예레미야|| B.C. 620-580년경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다니엘 (성경) | 다니엘]] || [[다니엘 (선지자) | 다니엘]] || B.C. 530년경
|[[에스겔 | 에스겔]]|| 에스겔|| B.C. 593-570년경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호세아]] || 호세아 || B.C. 750년경
|[[다니엘 (성경) | 다니엘]]|| 다니엘||B.C. 530년경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요엘]] || 요엘 || B.C. 8세기경
|[[호세아]]||호세아
|-style="background: white"
|B.C. 750년경
|[[아모스]] || 아모스 || B.C. 760년경
|- style="background: white"
|-style="background: white"
|[[요엘]]||요엘||B.C. 8세기경
|[[오바댜]] || 오바댜 || B.C. 580년경
|- style="background: white"
|-style="background: white"
|[[아모스]]||아모스
|[[요나]] || 요나 || B.C. 760년경
|B.C. 760년경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미가]] || 미가 || B.C. 700년 전후
|[[오바댜]]||오바댜
|-style="background: white"
|B.C. 580년경
|[[나훔]] || 나훔 || B.C. 7세기경
|- style="background: white"
|-style="background: white"
|[[요나]]||요나||B.C. 760년경
|[[하박국]] || 하박국 || B.C. 7세기경
|- style="background: white"
|-style="background: white"
|[[미가]]||미가||B.C. 700년 전후
|[[스바냐]] || 스바냐 || B.C. 630년경
|- style="background: white"
|-style="background: white"
|[[나훔]]||나훔||B.C. 7세기경
|[[학개]] || 학개 || B.C. 520년경
|- style="background: white"
|-style="background: white"
|[[하박국]]||하박국
|[[스가랴]] || 스가랴 || B.C. 520-518년경
|B.C. 7세기경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말라기]] || 말라기 || B.C. 430년경
|[[스바냐]]||스바냐
|B.C. 630년경
|- style="background: white"
|[[학개]]||학개||B.C. 520년경
|- style="background: white"
|[[스가랴]]||스가랴
|B.C. 520-518년경
|- style="background: white"
|[[말라기]]||말라기
|B.C. 430년경
|}
|}


==구성==
==구성==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style="color: white; background: #0F4C82"
|- style="color: white; background: #0F4C82"
| '''구분''' || '''목록'''
|'''구분'''||'''목록'''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율법서(5권) ||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
|율법서(5권)||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역사서(12권) || 여호수아, 사사기, 룻기, 사무엘상, 사무엘하, 열왕기상, 열왕기하, 역대상, 역대하, 에스라, 느헤미야, 에스더
|역사서(12권)|| 여호수아, 사사기, 룻기, 사무엘상, 사무엘하, 열왕기상, 열왕기하, 역대상, 역대하, 에스라, 느헤미야, 에스더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시가서(5권) || 욥기, 시편, 잠언, 전도서, 아가
|시가서(5권)||욥기, 시편, 잠언, 전도서, 아가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예언서(17권) || 이사야, 예레미야, 예레미야 애가, 에스겔, 다니엘, 호세아, 요엘, 아모스, 오바댜, 요나, 미가, 나훔, 하박국, 스바냐, 학개, 스가랴, 말라기
|예언서(17권)|| 이사야, 예레미야, 예레미야 애가, 에스겔, 다니엘, 호세아, 요엘, 아모스, 오바댜, 요나, 미가, 나훔, 하박국, 스바냐, 학개, 스가랴, 말라기
|}
|}
===율법서===
=== 율법서===
기록자가 [[모세]]로 추정되어 '''모세오경'''이라고도 한다. 인류의 기원과 이스라엘 민족의 탄생('''창세기'''), 이스라엘의 애굽(이집트) 탈출과 [[가나안]] 땅을 향한 여정('''출애굽기, 민수기, 신명기''' 일부) 등의 역사를 담고 있다. 제사법이나 신앙생활에 대한 규범뿐 아니라 도덕적 규범('''레위기''', '''신명기''')도 기록되어 있다.
기록자가 [[모세]]로 추정되어 '''모세오경'''이라고도 한다. 인류의 기원과 이스라엘 민족의 탄생('''창세기'''), 이스라엘의 애굽(이집트) 탈출과 [[가나안]] 땅을 향한 여정('''출애굽기, 민수기, 신명기''' 일부) 등의 역사를 담고 있다. 제사법이나 신앙생활에 대한 규범뿐 아니라 도덕적 규범('''레위기''', '''신명기''')도 기록되어 있다.


===역사서===
=== 역사서===
이스라엘이 가나안에 입성한 때부터 바벨론 포로에서 다시 귀환할 때까지의 역사를 다뤘다. '''여호수아'''와 '''사사기'''는 가나안 정복과 정착, '''사무엘상∙하'''는 사울왕과 다윗왕, '''열왕기상∙하'''는 솔로몬왕과 분열 왕국 시대를 배경으로 했다. '''역대상∙하'''는 열왕기서와 시대는 비슷하지만 남 유다 왕국의 역사에만 초점을 맞췄다. '''에스라'''와 '''느헤미야'''는 바벨론 포로에서 돌아와 진행한 성전 건축 및 종교 개혁에 관한 이야기다. <br>
이스라엘이 가나안에 입성한 때부터 바벨론 포로에서 다시 귀환할 때까지의 역사를 다뤘다. '''여호수아'''와 '''사사기'''는 가나안 정복과 정착, '''사무엘상·하'''는 사울왕과 다윗왕, '''열왕기상·하'''는 솔로몬왕과 분열 왕국 시대를 배경으로 했다. '''역대상·하'''는 열왕기서와 시대는 비슷하지만 남 유다 왕국의 역사에만 초점을 맞췄다. '''에스라'''와 '''느헤미야'''는 바벨론 포로에서 돌아와 진행한 성전 건축 및 종교 개혁에 관한 이야기다. <br>
여성 인물에 대해 다룬 책은 '''룻기'''와 '''에스더'''인데, 룻기는 모압 여인이지만 예수님의 계보에 이름을 올린 룻을, 에스더서는 유다 민족을 위기에서 구해낸 유대인 출신 바사 왕후 에스더를 주인공으로 했다.
여성 인물에 대해 다룬 책은 '''룻기'''와 '''에스더'''인데, 룻기는 모압 여인이지만 예수님의 계보에 이름을 올린 룻을, 에스더서는 유다 민족을 위기에서 구해낸 유대인 출신 바사 왕후 에스더를 주인공으로 했다.


103번째 줄: 112번째 줄:


==구약성경의 보존==
==구약성경의 보존==
[[파일:Dead Sea Scrolls Before Unraveled.jpg |섬네일 |사해 사본의 발견 당시 모습. 두루마리 형태로 보존되어 있었으며, 재질은 양피지였다]]
[[파일:Dead Sea Scrolls Before Unraveled.jpg |섬네일 |사해 사본의 발견 당시 모습. 두루마리 형태로 보존되어 있었으며, 재질은 양피지였다<br>(출처: Habermann, Abraham Meir 저서 [https://archive.org/details/scrollsfromdeser00habeuoft/page/n21/mode/2up 《The scrolls from the Judean Desert》], 23쪽)]]
히브리어 성경의 원본은 존재하지 않지만 필사본을 통해서 원전 그대로 보존되어 내려왔다. 세월이 흘러 원본이 낡아지면 양피지나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27637 파피루스] 등에 원본을 보고 다시 기록한 것이 필사본인데 사본이라고도 한다. 필사하는 과정에서 성경이 변질되지 않았을까 염려하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유대인들이 성경 사본을 만드는 과정을 살펴보면 사본의 정확성을 짐작할 수 있다. <br>
히브리어 성경의 원본은 존재하지 않지만 필사본을 통해서 원전 그대로 보존되어 내려왔다. 세월이 흘러 원본이 낡아지면 '''양피지'''나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27637 파피루스] 등에 원본을 보고 다시 기록한 것이 필사본인데 사본이라고도 한다. 필사하는 과정에서 성경이 변질되지 않았을까 염려하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유대인들이 성경 사본을 만드는 과정을 살펴보면 사본의 정확성을 짐작할 수 있다. <br>
이스라엘에서 성경을 전문적으로 필사하는 사람은 [[서기관]]이었다. 성경 사본을 만들 때 사용할 수 있는 양피지, 잉크의 색상, 복장 등이 정해져 있었으며 글자의 형태와 간격 등에 관한 규정도 엄격했다고 전해진다. 또한 서기관은 암기가 아닌 반드시 정본을 보고 소리내어 읽으면서 필사하도록 해서 기록의 오류를 방지했다. 또한 한 글자도 빠뜨리지 않기 위해 글자의 수가 정확한지 일일이 세어보았다. 다른 서기관은 그것을 재차 검토하여 원본을 철저하게 유지했다. <br>
이스라엘에서 성경을 전문적으로 필사하는 사람은 [[서기관]]이었다. 성경 사본을 만들 때 사용할 수 있는 양피지, 잉크의 색상, 복장 등이 정해져 있었으며 글자의 형태와 간격 등에 관한 규정도 엄격했다고 전해진다. 또한 서기관은 암기가 아닌 반드시 정본을 보고 소리내어 읽으면서 필사하도록 해서 기록의 오류를 방지했다. 또한 한 글자도 빠뜨리지 않기 위해 글자의 수가 정확한지 일일이 세어보았다. 다른 서기관은 그것을 재차 검토하여 원본을 철저하게 유지했다. <br>
성경 사본의 정확성은 시대가 다른 사본들의 대조 결과를 통해서도 이미 밝혀졌다. 1947년에 사해 근처의 쿰란 동굴에서 기원전 100년경에 기록된 두루마리 성경이 발견되었다. 이를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46227 사해 사본] 또는 쿰란 사본이라고 한다. 당시 가장 오래된 사본이었던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9648 마소라] 사본은 900년경에 기록된 것이었다. 학자들이 약 1000년이라는 시간 간격이 있는 두 사본을 비교한 결과 거의 차이가 없을 정도로 동일했다.<ref>{{인용 |url= |제목=최신 성서핸드북 |웹사이트= |저널= |출판사=기독교문사 |날짜=2006 |연도= |저자=헨리 H. 할레이 |쪽=336~337 |시리즈= |isbn= |인용문=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히브리어 구약성서는 900년경에 만들어진 것이다. 이것은 히브리 구약성서의 마소라 원본을 기초로 하였다. ... 이 원본에서 복사된 현재의 우리 성서는 맨 처음의 원본과 본질적으로 같을 것이라고 히브리 학자들은 말하고 있다. 1947년 ... 아랍의 베두인이 잃은 염소를 찾아 헤매다가 ... 동굴에서 두루마리가 담긴 깨진 항아리를 많이 발견하였다. 베두인들은 그 두루마리를 꺼내서 예루살렘에 있는 수리아 정교 마가 수도원에 가져갔다. 그들은 미국의 동양학회에 그것을 보냈다. <br> 이 두루마리 중 하나는 2,000년 전에 쓰여진 이사야서로 확인되었다. 이것은 지금까지 알려졌던 히브리어 구약성서보다 1,000년이 앞선 것이다. 얼마나 놀라운 발견인가! <br> 이 두루마리는 ... 고대 히브리어로 기록되어 있는데 B.C. 2세기의 것으로 증명되었다. ... 이것은 본질적으로 우리의 성서에 있는 이사야서와 같다. 하나님의 놀라운 섭리로 보존된 2,000년 전의 음성은 우리 성서의 권위를 확인해준다. W. F. 알브라이트는 이것을 "현대의 가장 위대한 원본 발견"이라고 말했다.}}</ref> <br>
성경 사본의 정확성은 시대가 다른 사본들의 대조 결과를 통해서도 이미 밝혀졌다. 1947년에 사해 근처의 쿰란 동굴에서 기원전 100년경에 기록된 두루마리 성경이 발견되었다. 이를 사해 사본 또는 쿰란 사본이라고 한다. 당시 가장 오래된 사본이었던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9648 마소라] 사본은 900년경에 기록된 것이었다. 학자들이 약 1000년이라는 시간 간격이 있는 두 사본을 비교한 결과 거의 차이가 없을 정도로 동일했다.<ref>헨리 H. 할레이, 《최신 성서핸드북》, 박양조 역, 기독교문사, 2006, 336-337쪽,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히브리어 구약성서는 900년경에 만들어진 것이다. 이것은 히브리 구약성서의 마소라 원본을 기초로 하였다. ... 이 두루마리 중 하나는 2,000년 전에 쓰여진 이사야서로 확인되었다. ... 고대 히브리어로 기록되어 있는데 B.C. 2세기의 것으로 증명되었다. ... 이것은 본질적으로 우리의 성서에 있는 이사야서와 같다."</ref><br>
이는 필사본 작업이 매우 정교하게 이루어졌다는 것과, 성경이 오랜 세월 동안 사본으로 전해져 왔을지라도 내용이 변질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는 필사본 작업이 매우 정교하게 이루어졌다는 것과, 성경이 오랜 세월 동안 사본으로 전해져 왔을지라도 내용이 변질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인용문 |'''아피온 반박문 제1권''' <br> 어쨌든 유대인들이 이 책들을 대하는 태도는 그토록 많은 세월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그 누구도 이 책에 무엇을 첨가하거나 삭제하는 일이 없었음은 물론 조그만 변화도 가하지 않았다는 사실에서 역력히 알 수 있습니다. <br> 유대인은 나면서부터 이 책들을 신성한 교리들이 담긴 책으로 인정할 뿐 아니라 그 안에 항상 거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이 책들을 위해 기꺼이 자기의 목숨을 바칠 자세까지 갖추고 있습니다. 율법과 율법이 담긴 기록들을 모독하는 말을 단 한마디도 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경기장에서 온갖 고문을 당하다가 죽어간 유대인 포로들이 한둘이 아님은 결코 새삼스러운 일이 아닙니다. |{{인용 |url= |제목=요세푸스 제4권 |웹사이트= |저널= |출판사=생명의 말씀사 |날짜= |연도=2017 |저자=요세푸스 |쪽=85 |시리즈= |isbn= |인용문= }} }}
{{인용문 |'''아피온 반박문 제1권''' <br> 어쨌든 유대인들이 이 책들을 대하는 태도는 그토록 많은 세월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그 누구도 이 책에 무엇을 첨가하거나 삭제하는 일이 없었음은 물론 조그만 변화도 가하지 않았다는 사실에서 역력히 알 수 있습니다. <br> 유대인은 나면서부터 이 책들을 신성한 교리들이 담긴 책으로 인정할 뿐 아니라 그 안에 항상 거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이 책들을 위해 기꺼이 자기의 목숨을 바칠 자세까지 갖추고 있습니다. 율법과 율법이 담긴 기록들을 모독하는 말을 단 한마디도 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경기장에서 온갖 고문을 당하다가 죽어간 유대인 포로들이 한둘이 아님은 결코 새삼스러운 일이 아닙니다. |요세푸스, 《요세푸스 4: 자서전과 아피온 반박문》, 김지찬 역, 생명의말씀사, 2017, 85쪽}}


==같이 보기==
==같이 보기==
[[성경]] <br>
*[[성경]]
[[신약성경]]
*[[신약성경]]


==각주==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