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의 원어: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파일:Great Isaiah Scroll Ch53.jpg | 섬네일 | 히브리어로 기록된 이사야서(사해 사본)]] | [[파일:Great Isaiah Scroll Ch53.jpg | 섬네일 | 히브리어로 기록된 이사야서(사해 사본)]] | ||
성경의 원어는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8052 히브리어],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50240 아람어],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7368&cid=50762&categoryId=51387 헬라어] 세 가지로 볼 수 있다. [[구약성경]]은 대부분 히브리어로 기록되었고 일부분에서 아람어가 사용되었다. [[신약성경]]은 헬라어로 기록되었는데 헬라어는 당시 로마 제국에서 통용되는 언어였다. 사도들은 유대뿐 아니라 다른 나라에도 | 성경의 원어는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8052 히브리어],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50240 아람어],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7368&cid=50762&categoryId=51387 헬라어] 세 가지로 볼 수 있다. [[구약성경]]은 대부분 히브리어로 기록되었고 일부분에서 아람어가 사용되었다. [[신약성경]]은 헬라어로 기록되었는데 헬라어는 당시 로마 제국에서 통용되는 언어였다. 사도들은 유대뿐 아니라 다른 나라에도 [[복음]]을 전파하기 위해 헬라어로 성경을 기록했다. | ||
==구약성경의 원어== | ==구약성경의 원어== | ||
구약성경은 대부분 히브리어로 기록되었고 후대에 작성된 책의 극히 일부분만 [[바벨론]](신바빌로니아)과 | 구약성경은 대부분 히브리어로 기록되었고 후대에 작성된 책의 극히 일부분만 [[바벨론]](신바빌로니아)과 메대·바사(페르시아)에서 사용하던 아람어로 기록되었다([[에스라 (성경)|에스라]] 4장 8절-6장 18절, 7장 12-26절, [[예레미야 (성경)|예레미야]] 10장 11절, [[다니엘 (성경)|다니엘]] 2장 4절-7장 28절, [[창세기]] 31장 47절 일부).<ref>권성달, 〈성서 아람어의 어순에 관한 연구〉, 《성경원문연구》 제41호, 대한성서공회, 2017</ref> 아람어와 히브리어는 같은 셈족 언어로서 어형 변화는 다르지만 동일한 알파벳을 사용한다. [[바벨론 포로 (바빌론 유수)|바벨론(신바빌로니아) 포로]] 이후 유대인들은 점차 아람어를 많이 사용했다. 아람어가 바벨론과 바사(페르시아)의 공용어였기 때문이다.<br> | ||
기원전 3, 4세기에 이르러 팔레스타인 이외의 지역에서는 히브리어가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구약성경을 당시의 국제 공용어라고 할 수 있는 헬라어로 번역하는 작업이 이루어졌는데 이때 만들어진 번역본을 '70인역'이라 부른다. | 기원전 3, 4세기에 이르러 팔레스타인 이외의 지역에서는 히브리어가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구약성경을 당시의 국제 공용어라고 할 수 있는 헬라어로 번역하는 작업이 이루어졌는데 이때 만들어진 번역본을 '70인역'이라 부른다. | ||
==신약성경의 원어== | ==신약성경의 원어== | ||
신약성경은 처음부터 헬라어로 기록되었다. 헬라어는 헬라 제국 시대에 지중해 일대의 여러 나라에 전파되어 신약성경이 기록될 당시에도 로마 제국의 통용어로 널리 사용되고 있었다. 사도들이 신약성경을 기록할 때 헬라어로 기록한 이유는 로마 제국 전역에 복음을 전파하기 위해서였다. 유대인들뿐만 아니라 이방인들도 신약성경을 읽고 함께 구원받기를 바란 것이다. <br> | 신약성경은 처음부터 헬라어로 기록되었다. 헬라어는 헬라 제국 시대에 지중해 일대의 여러 나라에 전파되어 신약성경이 기록될 당시에도 로마 제국의 통용어로 널리 사용되고 있었다. 사도들이 신약성경을 기록할 때 헬라어로 기록한 이유는 로마 제국 전역에 복음을 전파하기 위해서였다. 유대인들뿐만 아니라 이방인들도 신약성경을 읽고 함께 구원받기를 바란 것이다. <br> | ||
고대 역사서에 따르면, [[마태복음]]과 [[히브리서]]는 유대인들을 위해 히브리어로 기록했으나 이후 헬라어로 번역되었다고 전해진다.<ref> | 고대 역사서에 따르면, [[마태복음]]과 [[히브리서]]는 유대인들을 위해 히브리어로 기록했으나 이후 헬라어로 번역되었다고 전해진다.<ref>유세비우스 팜필루스, 《유세비우스의 교회사》, 엄성옥 역, 은성, 2003, 169쪽, <q>마태는 히브리 방언으로 복음서를 기록했다. 그리고 번역할 능력이 있는 사람들은 모두 그것을 번역하였다.</q></ref><ref>유세비우스 팜필루스, 《유세비우스의 교회사》, 엄성옥 역, 은성, 2003, 289쪽, <q>그(클레멘트)는 히브리서는 바울이 히브리인들에게 히브리어로 써 보낸 것으로서, 누가가 그것을 번역하여 헬라인들 사회에서 발행했기 때문에 그 서신에서는 사도행전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문체와 어법이 발견된다고 주장했다.</q></ref> | ||
==성경의 명칭== | ==성경의 명칭== | ||
초대교회 당시 유대인들이 살펴보던 구약성경을 지칭하는 단어는 헬라어 '그라페(γραφή)'였다. 그라페는 '기록된 것'이라는 뜻이다. 신약성경에는 구약성경이 ' | 초대교회 당시 유대인들이 살펴보던 구약성경을 지칭하는 단어는 헬라어 '그라페(γραφή)'였다. 그라페는 '기록된 것'이라는 뜻이다.<ref>[https://dict.naver.com/grckodict/#/entry/grcko/6ae0bbe27aa641a0816b1a7df3776f62 "γραφή"], 《네이버 고대 그리스어사전》</ref> 신약성경에는 구약성경이 '[[모세]]와 및 모든 선지자의 글',<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4장 |제목=누가복음 24:27 |저널= |인용문= 이에 '''모세와 및 모든 선지자의 글'''로 시작하여 모든 성경에 쓴바 자기에 관한 것을 자세히 설명하시니라}}</ref> '[[모세의 율법]]과 선지자의 글과 시편',<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4장 |제목=누가복음 24:44 |저널= |인용문= 내가 너희와 함께 있을 때에 너희에게 말한 바 곧 '''모세의 율법과 선지자의 글과 시편'''에 나를 가리켜 기록된 모든 것이 이루어져야 하리라 한 말이 이것이라}}</ref> '모세의 율법과 선지자의 말'<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28장 |제목=사도행전 28:23 |저널= |인용문= 바울이 아침부터 저녁까지 강론하여 하나님 나라를 증거하고 '''모세의 율법과 선지자의 말'''을 가지고 예수의 일로 권하더라}}</ref> 등으로도 표현되어 있다. <br> | ||
오늘날 | 오늘날 [[성경]]을 의미하는 영어 '바이블(Bible)'은 '책'을 의미하는 헬라어 '비블로스(βιβλος)'에서 유래되었다. 비블로스는 원래 파피루스 식물의 속껍질을 의미하였는데, 책을 가리키는 용어로도 사용되었다. | ||
==같이 보기== | ==같이 보기== | ||
| 20번째 줄: | 20번째 줄: | ||
* [[성경의 역할]] | * [[성경의 역할]] | ||
* [[성경의 저자]] | * [[성경의 저자]] | ||
* [[성경의 주제]] | |||
* [[성경의 해석]] | * [[성경의 해석]] | ||
* [[성경의 권위와 보존]] | * [[성경의 권위와 보존]] | ||
* [[성경의 구조]] | * [[성경의 구조]] | ||
==외부 링크== | ==외부 링크== | ||
[https://ahnsahnghong.com/christ/what-is-bible/ 성경은 어떤 책인가] | * [https://ahnsahnghong.com/christ/what-is-bible/ "성경은 어떤 책인가"], 《그리스도 안상홍님 웹사이트》 | ||
==각주== | ==각주== | ||
| 33번째 줄: | 33번째 줄: | ||
{{성경 둘러보기}} | {{성경 둘러보기}} | ||
[[성경]] | [[분류:성경]] | ||
[[성경 상식]] | [[분류:성경 상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