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수기: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7번째 줄: | 7번째 줄: | ||
|분류=율법서(모세오경) | |분류=율법서(모세오경) | ||
|기록자=모세 | |기록자=모세 | ||
|기록 연대(추정)=B.C. | |기록 연대(추정)=B.C. 15세기 | ||
|기록 장소=가나안 목전 모압평원으로 추정 | |기록 장소=가나안 목전 모압평원으로 추정 | ||
|장수=36장 | |장수=36장 | ||
}} | }} | ||
'''민수기'''(民數記, Numbers)는 [[구약성경]] 4번째 책이다. [[출애굽]]한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에 이르기까지 광야에서 겪은 역사를 기록한 책이다.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신명기]]와 더불어 '모세오경'으로 분류된다. | '''민수기'''(民數記, Numbers)는 [[구약성경]] 4번째 책이다. [[출애굽]]한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에 이르기까지 광야에서 겪은 역사를 기록한 책이다.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신명기]]와 더불어 '모세오경'으로 분류된다. | ||
==민수기의 어원 및 기록자== | ==민수기의 어원 및 기록자== | ||
민수기의 히브리 원어 제목은 '광야에서'라는 뜻을 가진 '베미드바르(בְּמִדְבַּר)'이다. 이후 헬라어로 번역하면서 [[광야 생활]]을 시작할 때와 마칠 때 두 번 인구 조사를 했던 것에 착안해 '숫자들'이란 뜻의 '아리드모이'로 정했다. 한글 | 민수기의 히브리 원어 제목은 '광야에서'라는 뜻을 가진 '베미드바르(בְּמִדְבַּר)'이다. 이후 헬라어로 번역하면서 [[광야 생활]]을 시작할 때와 마칠 때 두 번 인구 조사를 했던 것에 착안해 '숫자들'이란 뜻의 '아리드모이'로 정했다. [[한글 성경 번역본|한글 성경]]은 '백성들의 수를 센 기록'이라는 뜻의 '민수기(民數記)'로 번역했다. <br> | ||
민수기의 기록자는 [[모세]]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33장 |제목=민수기 33:2 |저널= |인용문= 모세가 여호와의 명대로 그 노정을 따라 그 진행한 것을 기록하였으니 그 진행한 대로 그 노정은 이러하니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36장 |제목=민수기 36:13 |저널= |인용문= 이는 여리고 맞은편 요단가 모압 평지에서 여호와께서 모세로 이스라엘 자손에게 명하신 명령과 규례니라}}</ref> 모세는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은 선지자이자 지도자로, 애굽에서 노예 생활 하던 이스라엘 민족을 바로(파라오)의 압제에서 해방시켰으며 가나안으로 인도하고자 헌신했다. 모세가 기록한 다섯 권의 성경(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을 '모세오경'이라고 부른다. | 민수기의 기록자는 [[모세]]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33장 |제목=민수기 33:2 |저널= |인용문= 모세가 여호와의 명대로 그 노정을 따라 그 진행한 것을 기록하였으니 그 진행한 대로 그 노정은 이러하니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36장 |제목=민수기 36:13 |저널= |인용문= 이는 여리고 맞은편 요단가 모압 평지에서 여호와께서 모세로 이스라엘 자손에게 명하신 명령과 규례니라}}</ref> 모세는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은 선지자이자 지도자로, 애굽에서 노예 생활 하던 이스라엘 민족을 [[바로 (파라오)|바로(파라오)]]의 압제에서 해방시켰으며 가나안으로 인도하고자 헌신했다. 모세가 기록한 다섯 권의 성경(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을 '모세오경'이라고 부른다. | ||
==특징== | ==특징== | ||
민수기에서 약속의 땅 가나안을 향해 나아가며 광야 생활 하는 이스라엘 백성들의 모습을 살펴봄으로, 오늘날 [[천국]]을 향해 가는 성도들이 하나님이 약속하신 축복을 받으려면 어떠한 마음가짐을 가져야 하는지 알 수 있다. <br> | 민수기에서 약속의 땅 가나안을 향해 나아가며 광야 생활 하는 이스라엘 백성들의 모습을 살펴봄으로, 오늘날 [[천국]]을 향해 가는 성도들이 하나님이 약속하신 축복을 받으려면 어떠한 마음가짐을 가져야 하는지 알 수 있다. <br> | ||
[[하나님]]은 광야에서 이스라엘 백성과 항상 함께하시고, 모든 어려움에서 지켜주셨다. 하지만 백성들은 작은 일에도 불평불만을 일삼았고, 하나님의 말씀에 끊임없이 불순종했다. 그 결과 애굽에서 한 달이면 갈 수 있는 가나안을, 광야에서 40년을 지내고서야 들어갔다. 이러한 이스라엘 백성들의 모습은 오늘날 '하나님 백성'인 성도들이 반면교사로 삼을 만하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로마서#15장 |제목=로마서 15:4 |저널= |인용문= 무엇이든지 전에 기록한 바는 우리의 교훈을 위하여 기록된 것이니 우리로 하여금 인내로 또는 성경의 안위로 소망을 가지게 함이니라}}</ref> [[히브리서]] 기자는 광야에서 불순종하던 백성들이 하나님의 진노를 사서 끝내 가나안에 들어가지 못했던 사례를 언급하며 순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3장 |제목=히브리서 3:17-19 |저널= |인용문= 하나님이 사십 년 동안에 누구에게 노하셨느뇨 범죄하여 그 시체가 광야에 엎드러진 자에게가 아니냐 또 하나님이 누구에게 맹세하사 그의 안식에 들어오지 못하리라 하셨느뇨 곧 순종치 아니하던 자에게가 아니냐 이로 보건대 저희가 믿지 아니하므로 능히 들어가지 못한 것이라}}</ref> | |||
==주요 인물== | ==주요 인물== | ||
* '''여호수아''': 모세의 후계자. 에브라임 지파의 대표로 가나안을 정탐했고, 모세의 뒤를 이어 이스라엘 백성을 이끌고 가나안 땅으로 들어갔다. [[여호수아 (성경) | 여호수아서]]의 주인공이다. | * '''[[여호수아 (인물)|여호수아]]''': 모세의 후계자. 에브라임 지파의 대표로 가나안을 정탐했고, 모세의 뒤를 이어 이스라엘 백성을 이끌고 가나안 땅으로 들어갔다. [[여호수아 (성경) |여호수아서]]의 주인공이다. | ||
* '''갈렙''': 가나안 정탐에 참여한 유다 지파의 대표. 다른 정탐꾼 10명이 가나안 정복은 불가능하다고 악평할 때, 여호수아와 함께 하나님의 권능으로 정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갈렙]]''': 가나안 정탐에 참여한 유다 지파의 대표. 다른 정탐꾼 10명이 가나안 정복은 불가능하다고 악평할 때, 여호수아와 함께 하나님의 권능으로 정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 '''고라''': 레위 지파 고핫의 손자로, 이스할의 아들이며 모세의 사촌. | * '''고라''': 레위 지파 고핫의 손자로, 이스할의 아들이며 모세의 사촌. [[성소 (성막)|성소]]의 거룩한 기구를 관리하는 중직을 맡았으나, 자신의 직임에 감사하지 않고 백성을 선동해 반역하다가 죽임을 당했다. | ||
* '''발락''': 모압 왕. 이스라엘 백성이 요단 동편 모압 땅에 머물 때, 술사(점술가) 발람을 불러 이스라엘을 저주하려다 실패했다. 그 후 이스라엘 백성이 싯딤에 머물 때, 모압 여인들로 이스라엘 남자들을 유혹하여 | * '''발락''': 모압 왕. 이스라엘 백성이 [[요단강|요단]] 동편 모압 땅에 머물 때, 술사(점술가) 발람을 불러 이스라엘을 저주하려다 실패했다. 그 후 이스라엘 백성이 싯딤에 머물 때, 모압 여인들로 이스라엘 남자들을 유혹하여 [[우상]]의 제물을 먹게 하고 바알브올 숭배에 가담시켰다. | ||
* '''발람''': 메소포타미아에서 유명했던 술사. 이스라엘을 저주하려는 모압 왕 발락에게 고용되었으나 하나님의 뜻을 거스르지 못해 오히려 이스라엘을 축복했다. 하지만 이후 발락에게 계교를 베풀어, 이스라엘 백성을 유혹하여 음행과 우상숭배의 죄를 짓게 했다.<ref name="민31">{{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31장 |제목=민수기 31:16 |저널= |인용문= 보라 이들이 발람의 꾀를 좇아 이스라엘 자손으로 브올의 사건에 여호와 앞에 범죄케 하여 여호와의 회중에 염병이 일어나게 하였느니라}}</ref> [[신약성경]]에는 불의의 삯을 사랑한 자, 우상을 숭배하게 한 자로 기록되어 있다.<ref name="벧후2:15">{{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베드로후서#2장 |제목=베드로후서 2:15-16 |저널= |인용문= 저희가 바른길을 떠나 미혹하여 브올의 아들 발람의 길을 좇는도다 그는 불의의 삯을 사랑하다가 자기의 불법을 인하여 책망을 받되 말 못하는 나귀가 사람의 소리로 말하여 이 선지자의 미친 것을 금지하였느니라}}</ref><ref name="계2:14">{{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2장 |제목=요한계시록 2:14 |저널= |인용문= 발람이 발락을 가르쳐 이스라엘 앞에 올무를 놓아 우상의 제물을 먹게 하였고 또 행음하게 하였느니라}}</ref> | * '''발람''': 메소포타미아에서 유명했던 술사. 이스라엘을 저주하려는 모압 왕 발락에게 고용되었으나 하나님의 뜻을 거스르지 못해 오히려 이스라엘을 축복했다. 하지만 이후 발락에게 계교를 베풀어, 이스라엘 백성을 유혹하여 음행과 우상숭배의 죄를 짓게 했다.<ref name="민31">{{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31장 |제목=민수기 31:16 |저널= |인용문= 보라 이들이 발람의 꾀를 좇아 이스라엘 자손으로 브올의 사건에 여호와 앞에 범죄케 하여 여호와의 회중에 염병이 일어나게 하였느니라}}</ref> [[신약성경]]에는 불의의 삯을 사랑한 자, 우상을 숭배하게 한 자로 기록되어 있다.<ref name="벧후2:15">{{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베드로후서#2장 |제목=베드로후서 2:15-16 |저널= |인용문= 저희가 바른길을 떠나 미혹하여 브올의 아들 발람의 길을 좇는도다 그는 불의의 삯을 사랑하다가 자기의 불법을 인하여 책망을 받되 말 못하는 나귀가 사람의 소리로 말하여 이 선지자의 미친 것을 금지하였느니라}}</ref><ref name="계2:14">{{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2장 |제목=요한계시록 2:14 |저널= |인용문= 발람이 발락을 가르쳐 이스라엘 앞에 올무를 놓아 우상의 제물을 먹게 하였고 또 행음하게 하였느니라}}</ref> | ||
==민수기의 내용 구성== | ==민수기의 내용 구성==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 500px;" | ||
|-style="color: white; background: #0F4C82" | |-style="color: white; background: #0F4C82" | ||
| '''장''' || '''내용''' || '''구분''' | | '''장''' || '''내용''' || '''구분''' | ||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 ||
| 1-4장 || 첫 번째 인구 조사 || rowspan="2" | 행군 준비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1장 1-4장] || 첫 번째 인구 조사 || rowspan="2" | 행군 준비 | ||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 ||
| 5-8장 || 제도 정비 1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5장 5-8장] || 제도 정비 1 | ||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 ||
| 9-10장 || 두 번째 유월절과 진행 || rowspan="10" | 광야 생활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9장 9-10장] || 두 번째 유월절과 진행 || rowspan="10" | 광야 생활 | ||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 ||
|11-12장 || 이스라엘의 원망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11장 11-12장] || 이스라엘의 원망 | ||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 ||
| 13-14장 || 가나안 정탐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13장 13-14장] || 가나안 정탐 | ||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 ||
| 15장 || 제사 규례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15장 15장] || 제사 규례 | ||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 ||
| 16-17장 || 고라의 반역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16장 16-17장] || 고라의 반역 | ||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 ||
| 18장 || 제사장과 레위인의 직무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18장 18장] || 제사장과 레위인의 직무 | ||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 ||
| 19장 || 정결함의 규례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19장 19장] || 정결함의 규례 | ||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 ||
| 20장 || 신 광야 여정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20장 20장] || 신 광야 여정 | ||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 ||
| 21장 || 놋뱀 사건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21장 21장] || 놋뱀 사건 | ||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 ||
| 22-25장 || 발람의 죄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22장 22-25장] || 발람의 죄 | ||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 ||
| 26장 || 두 번째 인구 조사 || rowspan="3" | 가나안 정복 준비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26장 26장] || 두 번째 인구 조사 || rowspan="3" | 가나안 정복 준비 | ||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 ||
| 27-30장 || 제도 정비 2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27장 27-30장] || 제도 정비 2 | ||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 ||
| 31-36장 || 가나안 땅의 분배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31장 31-36장] || 가나안 땅의 분배 | ||
|} | |} | ||
===행군 준비[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1장 (1-8장)]=== | ===행군 준비[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1장 (1-8장)]=== | ||
'''첫 번째 인구 조사(1-4장)''' <br> | '''첫 번째 인구 조사(1-4장)''' <br> | ||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명에 따라 가나안을 정복하기 위해 싸움에 나갈 수 있는 20세 이상 남자들의 수를 지파별로 조사했다. 그 수는 도합 60만이 넘었다. [[열두 지파]]는 |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명에 따라 가나안을 정복하기 위해 싸움에 나갈 수 있는 20세 이상 남자들의 수를 지파별로 조사했다. 그 수는 도합 60만이 넘었다. [[열두 지파]]는 [[성소 (성막)|성막]]을 중앙에 두고, 동서남북 각각 세 지파씩 나란히 진(군사들의 대열)을 쳤다. <br> | ||
성막에 관한 직무를 담당한 레위 지파는 특별히 구별되어 따로 계수했으며, 성막을 둘러싸고 진의 중앙에 섰다. 레위 지파 중 | 성막에 관한 직무를 담당한 레위 지파는 특별히 구별되어 따로 계수했으며, 성막을 둘러싸고 진의 중앙에 섰다. 레위 지파 중 [[아론]]과 그 자손들은 제사장직을 수행하고, 나머지 [[레위인]]들은 [[제사장]]을 도와 성막에서 일했다. <br> | ||
'''제도 정비 1(5-8장)''' <br> | '''제도 정비 1(5-8장)''' <br> | ||
진행에 앞서 하나님은 부정에 관한 규례, 죄에 대한 처벌 규례 등 여러 법규를 제정하셨으며, | 진행에 앞서 하나님은 부정에 관한 규례, 죄에 대한 처벌 규례 등 여러 법규를 제정하셨으며, [[나실인]]의 법, 예물에 대한 규례 등도 제정해 주셨다. | ||
===광야 생활[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9장 (9-25장)]=== | ===광야 생활[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9장 (9-25장)]=== | ||
| 110번째 줄: | 109번째 줄: | ||
'''발람의 죄'''(22-25장) <br> | '''발람의 죄'''(22-25장) <br> | ||
이스라엘은 여러 민족을 차례로 정복하고 모압 땅에 이르렀다. 이스라엘은 40년간 광야를 전전하는 동안 하나님의 지도와 인도를 받아 주변국에 명성을 떨칠 만한 군대로 변모했다. 이스라엘이 두려웠던 모압 왕 발락은, 유명한 술사 발람에게 많은 재물을 주며 이스라엘을 저주하게 했다. 발람은 하나님이 막으시므로 이스라엘을 저주하지 못하고 오히려 이스라엘을 축복했다. 그러나 발락에게 우상숭배와 음행으로 이스라엘을 미혹하라고 일렀다.<ref name="민31"/><ref name="계2:14"/><br> | 이스라엘은 여러 민족을 차례로 정복하고 모압 땅에 이르렀다. 이스라엘은 40년간 광야를 전전하는 동안 하나님의 지도와 인도를 받아 주변국에 명성을 떨칠 만한 군대로 변모했다. 이스라엘이 두려웠던 모압 왕 발락은, 유명한 술사 발람에게 많은 재물을 주며 이스라엘을 저주하게 했다. 발람은 하나님이 막으시므로 이스라엘을 저주하지 못하고 오히려 이스라엘을 축복했다. 그러나 발락에게 우상숭배와 음행으로 이스라엘을 미혹하라고 일렀다.<ref name="민31"/><ref name="계2:14"/><br> | ||
발람의 올무에 걸린 백성들은 모압에서 바알 신의 제사에 참여해 온갖 죄를 저질렀다. 이 일로 이스라엘 진에는 염병이 돌아 사람들이 죽어나갔다. 아론의 손자 | 발람의 올무에 걸린 백성들은 모압에서 바알 신의 제사에 참여해 온갖 죄를 저질렀다. 이 일로 이스라엘 진에는 염병이 돌아 사람들이 죽어나갔다. 아론의 손자 [[비느하스 (엘르아살의 아들)|비느하스]]가 의분을 내어, 음행한 남녀를 현장에서 멸하고서야 염병이 그쳤다. <br> | ||
===가나안 정복 준비[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26장 (26-36장)]=== | ===가나안 정복 준비[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26장 (26-36장)]=== | ||
| 117번째 줄: | 116번째 줄: | ||
'''제도 정비 2'''(27-30장) <br> | '''제도 정비 2'''(27-30장) <br> | ||
하나님은 모세의 후계자로 여호수아를 세우시고, 제사와 [[안식일]] 및 정한 | 하나님은 모세의 후계자로 여호수아를 세우시고, 제사와 [[안식일]] 및 정한 [[하나님의 절기|절기]]에 대한 제물 규례를 알려주셨다. <br> | ||
'''가나안 땅 분배'''(31-36장) <br> | '''가나안 땅 분배'''(31-36장) <br> | ||
| 130번째 줄: | 129번째 줄: | ||
[[분류:성경]] | [[분류:성경]] | ||
[[분류:구약성경]] | [[분류:구약성경]] | ||
[[분류:성경 상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