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치는 돌, 걸리는 반석: 두 판 사이의 차이

911aylin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번째 줄: 3번째 줄:
==거치는 돌, 걸리는 반석에 대한 예언==
==거치는 돌, 걸리는 반석에 대한 예언==
{{인용문5 |내용=만군의 '''여호와''' 그를 너희가 거룩하다 하고 그로 너희의 두려워하며 놀랄 자를 삼으라 그가 거룩한 피할 곳이 되시리라 그러나 이스라엘의 두 집에는 '''거치는 돌, 걸리는 반석'''이 되실 것이며 예루살렘 거민에게는 함정, 올무가 되시리니 많은 사람들이 그로 인하여 거칠 것이며 넘어질 것이며 부러질 것이며 걸릴 것이며 잡힐 것이니라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8장 이사야 8:13-15]}}
{{인용문5 |내용=만군의 '''여호와''' 그를 너희가 거룩하다 하고 그로 너희의 두려워하며 놀랄 자를 삼으라 그가 거룩한 피할 곳이 되시리라 그러나 이스라엘의 두 집에는 '''거치는 돌, 걸리는 반석'''이 되실 것이며 예루살렘 거민에게는 함정, 올무가 되시리니 많은 사람들이 그로 인하여 거칠 것이며 넘어질 것이며 부러질 것이며 걸릴 것이며 잡힐 것이니라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8장 이사야 8:13-15]}}
[[구약성경]] [[이사야|이사야서]]에는 장차 [[여호와]] 하나님이 [[이스라엘]]의 두 집에 거치는 돌, 걸리는 반석이 되실 것이라고 예언돼 있다. 이스라엘의 두 집([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07419&cid=62097&categoryId=62097 북 이스라엘],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07424&cid=62097&categoryId=62097&expCategoryId=62097 남 유다])은 하나님을 믿는다고 하는 사람들을 가리킨다.
[[구약성경]] [[이사야|이사야서]]에는 장차 [[여호와]] 하나님이 이스라엘의 두 집에 거치는 돌, 걸리는 반석이 되실 것이라고 예언돼 있다. 이스라엘의 두 집([[북 이스라엘 왕국|북 이스라엘]], [[남 유다 왕국|남 유다]])은 하나님을 믿는다고 하는 사람들을 가리킨다.<br>
 
만일 [[하나님]]이 누구나 단번에 알아볼 만한 큰 영광을 가지고 나타나신다면 사람들이 하나님 때문에 넘어지고 걸릴 일이 없다. 이 예언은 하나님이 인류의 구원을 위해 이 땅에 나타나실 때, 사람들이 쉽게 알아보지 못할 만한 모습으로 오신다는 의미다.
만일 [[하나님]]이 누구나 단번에 알아볼 만한 큰 영광을 가지고 나타나신다면 사람들이 하나님 때문에 넘어지고 걸릴 일이 없다. 이 예언은 하나님이 인류의 구원을 위해 이 땅에 나타나실 때, 사람들이 쉽게 알아보지 못할 만한 모습으로 오신다는 의미다.


11번째 줄: 10번째 줄:
성경에서 돌, 반석은 그리스도를 상징하는 표현이기도 하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베드로전서#2장 |제목=베드로전서 2:4 |저널= |인용문=사람에게는 버린 바가 되었으나 하나님께는 택하심을 입은 보배로운 산 돌이신 예수에게 나아와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0장 |제목=고린도전서 10:4 |저널= |인용문=다 같은 신령한 음료를 마셨으니 이는 저희를 따르는 신령한 반석으로부터 마셨으매 그 반석은 곧 그리스도시라 }}</ref> 그리스도는 거치는 돌, 걸리는 반석<ref name="거치는돌" />뿐만 아니라 귀하고 견고한 기초 돌,<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28장 |제목=이사야 28:16 |저널= |인용문=그러므로 주 여호와께서 가라사대 보라 내가 한 돌을 시온에 두어 기초를 삼았노니 곧 시험한 돌이요 귀하고 견고한 기초 돌이라 그것을 믿는 자는 급절하게 되지 아니하리로다 }}</ref> 모퉁이의 머릿돌<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시편#118장 |제목=시편 118:22-23 |저널= |인용문=건축자의 버린 돌이 집 모퉁이의 머릿돌이 되었나니 이는 여호와의 행하신 것이요 우리 눈에 기이한 바로다 }}</ref> 등으로 표현돼 있다.  
성경에서 돌, 반석은 그리스도를 상징하는 표현이기도 하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베드로전서#2장 |제목=베드로전서 2:4 |저널= |인용문=사람에게는 버린 바가 되었으나 하나님께는 택하심을 입은 보배로운 산 돌이신 예수에게 나아와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0장 |제목=고린도전서 10:4 |저널= |인용문=다 같은 신령한 음료를 마셨으니 이는 저희를 따르는 신령한 반석으로부터 마셨으매 그 반석은 곧 그리스도시라 }}</ref> 그리스도는 거치는 돌, 걸리는 반석<ref name="거치는돌" />뿐만 아니라 귀하고 견고한 기초 돌,<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28장 |제목=이사야 28:16 |저널= |인용문=그러므로 주 여호와께서 가라사대 보라 내가 한 돌을 시온에 두어 기초를 삼았노니 곧 시험한 돌이요 귀하고 견고한 기초 돌이라 그것을 믿는 자는 급절하게 되지 아니하리로다 }}</ref> 모퉁이의 머릿돌<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시편#118장 |제목=시편 118:22-23 |저널= |인용문=건축자의 버린 돌이 집 모퉁이의 머릿돌이 되었나니 이는 여호와의 행하신 것이요 우리 눈에 기이한 바로다 }}</ref> 등으로 표현돼 있다.  


돌은 길가, 산, 강, 바다 등 곳곳에 흔하게 존재하다 보니 가치 없게 여겨지기도 한다. 하지만 건축에서는 주춧돌, 기둥, 벽 등을 세우는 데 중요한 자재로 쓰인다.<ref>{{웹 인용 |url=http://dict.aik.or.kr/main/view.vm?word_id=8631&page=1&q=%EB%8F%8C&index=&depart_id=5&perfection=start&is_first=1 |제목=돌 |웹사이트=온라인 건축용어사전 |저널=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돌은 인류건축사에 가장 기본적 역할을 한 건축재이다. }}</ref> 마찬가지로 그리스도는 믿지 않는 자들에게는 거치는 돌, 걸리는 반석이 되시지만 믿는 자에게는 구원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기초석으로, 구원과 영생을 주시는 보배이시다.
돌은 길가, 산, 강, 바다 등 곳곳에 흔하게 존재하다 보니 가치 없게 여겨지기도 한다. 하지만 건축에서는 주춧돌, 기둥, 벽 등을 세우는 데 중요한 자재로 쓰인다. 마찬가지로 그리스도는 믿지 않는 자들에게는 거치는 돌, 걸리는 반석이 되시지만 믿는 자에게는 구원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기초석으로, 구원과 영생을 주시는 보배이시다.


===거치는 돌, 걸리는 반석이 되신 예수님===
===거치는 돌, 걸리는 반석이 되신 예수님===
구약성경의 예언에 따라 성육신하신 하나님이 바로 예수님이다. 예수님은 근본 전지전능하신 하나님이시나<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빌립보서#2장 |제목=빌립보서 2:5-8 |저널= |인용문=너희 안에 이 마음을 품으라 곧 그리스도 예수의 마음이니 그는 근본 하나님의 본체시나 하나님과 동등됨을 취할 것으로 여기지 아니하시고 오히려 자기를 비워 종의 형체를 가져 사람들과 같이 되었고 사람의 모양으로 나타나셨으매 자기를 낮추시고 죽기까지 복종하셨으니 곧 십자가에 죽으심이라 }}</ref> 보통 사람과 전혀 다를 바 없는, 오히려 흠모할 만한 것이 없는 모습으로 나타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53장 |제목=이사야 53:2 |저널= |인용문=그는 주 앞에서 자라나기를 연한 순 같고 마른땅에서 나온 줄기 같아서 고운 모양도 없고 풍채도 없은즉 우리의 보기에 흠모할 만한 아름다운 것이 없도다}}</ref> 그래서 2000년 전 [[유대인]]들은 자신의 기대와 다른 그리스도의 육신적인 면을 보고 실족하는 경우가 많았다.  
구약성경의 예언에 따라 성육신하신 하나님이 바로 예수님이다. 예수님은 근본 전지전능하신 하나님이시나<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빌립보서#2장 |제목=빌립보서 2:5-8 |저널= |인용문=너희 안에 이 마음을 품으라 곧 그리스도 예수의 마음이니 그는 근본 하나님의 본체시나 하나님과 동등됨을 취할 것으로 여기지 아니하시고 오히려 자기를 비워 종의 형체를 가져 사람들과 같이 되었고 사람의 모양으로 나타나셨으매 자기를 낮추시고 죽기까지 복종하셨으니 곧 십자가에 죽으심이라 }}</ref> 보통 사람과 전혀 다를 바 없는, 오히려 흠모할 만한 것이 없는 모습으로 나타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53장 |제목=이사야 53:2 |저널= |인용문=그는 주 앞에서 자라나기를 연한 순 같고 마른땅에서 나온 줄기 같아서 고운 모양도 없고 풍채도 없은즉 우리의 보기에 흠모할 만한 아름다운 것이 없도다}}</ref> 그래서 2000년 전 유대인들은 자신의 기대와 다른 그리스도의 육신적인 면을 보고 실족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들에게 예수님은 동네 사람 [[요셉 (예수님의 부친)|요셉]]과 [[마리아 (예수님의 모친)|마리아]]의 아들인 빈천한 목수였다.<ref name="목수아들">{{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6장 |제목=요한복음 6:41-42 |저널= |인용문=자기가 하늘로서 내려온 떡이라 하시므로 유대인들이 예수께 대하여 수군거려 가로되 이는 요셉의 아들 예수가 아니냐 그 부모를 우리가 아는데 제가 지금 어찌하여 하늘로서 내려왔다 하느냐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6장 |제목=마가복음 6:3 |저널= |인용문=이 사람이 마리아의 아들 목수가 아니냐 야고보와 요셉과 유다와 시몬의 형제가 아니냐 그 누이들이 우리와 함께 여기 있지 아니하냐 하고 예수를 배척한지라}}</ref> 그들은 이방의 [[갈릴리]]가 큰 빛을 보았다는 이사야의 예언이 있는데도<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9장 |제목=이사야 9:1-2 |저널= |인용문=전에 고통하던 자에게는 흑암이 없으리로다 옛적에는 여호와께서 스불론 땅과 납달리 땅으로 멸시를 당케 하셨더니 후에는 해변 길과 요단 저편 이방의 갈릴리를 영화롭게 하셨느니라 흑암에 행하던 백성이 큰 빛을 보고 사망의 그늘진 땅에 거하던 자에게 빛이 비취도다}}</ref> "그리스도가 어찌 갈릴리에서 나오겠느냐" 하며 예수님을 비방했다.<ref name="갈릴리">{{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7장 |제목=요한복음 7:40-43 |저널= |인용문=이 말씀을 들은 무리 중에서 혹은 이가 참으로 그 선지자라 하며 혹은 그리스도라 하며 어떤 이들은 그리스도가 어찌 갈릴리에서 나오겠느냐 성경에 이르기를 그리스도는 다윗의 씨로 또 다윗의 살던 촌 베들레헴에서 나오리라 하지 아니하였느냐 하며 예수를 인하여 무리 중에서 쟁론이 되니 }}</ref> 예수님이 식사 때 손을 씻지 않는 것을 이상히 여겼고,<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11장 |제목=누가복음 11:37-38 |저널= |인용문=예수께서 말씀하실 때에 한 바리새인이 자기와 함께 점심 잡수시기를 청하므로 들어가 앉으셨더니 잡수시기 전에 손 씻지 아니하심을 이 바리새인이 보고 이상히 여기는지라 }}</ref> 예수님이 음식을 드시면 '먹기를 탐하는 자'라며 매도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11장 |제목=마태복음 11:19 |저널= |인용문=인자는 와서 먹고 마시매 말하기를 보라 먹기를 탐하고 포도주를 즐기는 사람이요}}</ref> 예수님이 [[성전]]에서 가르치실 때는 배우지 못한 사람이 글을 읽고 논한다며 비방했으며,<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7장 |제목=요한복음 7:14-15 |저널= |인용문=이미 명절의 중간이 되어 예수께서 성전에 올라가사 가르치시니 유대인들이 기이히 여겨 가로되 이 사람은 배우지 아니하였거늘 어떻게 글을 아느냐 하니 }}</ref> 멸시받던 세리와 창기들과 함께하실 때는 죄인의 친구라 하며 비방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11장 |제목=마태복음 11:19 |저널= |인용문=인자는 와서 먹고 마시매 말하기를 보라 … 세리와 죄인의 친구로다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7장 |제목=누가복음 7:39 |저널= |인용문=예수를 청한 바리새인이 이것을 보고 마음에 이르되 이 사람이 만일 선지자더면 자기를 만지는 이 여자가 누구며 어떠한 자 곧 죄인인 줄을 알았으리라 하거늘 }}</ref> 학식 있고 유력한 사람들이 예수님을 믿지 않는다는 점도 훼방거리였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7장 |제목=요한복음 7:47-49 |저널= |인용문=바리새인들이 대답하되 너희도 미혹되었느냐 당국자들이나 바리새인 중에 그를 믿는 이가 있느냐 율법을 알지 못하는 이 무리는 저주를 받은 자로다}}</ref><br>사도 [[베드로]]는 이처럼 그리스도의 육신적인 면만을 바라보는 사람은 넘어지도록 하나님이 '정하신 것'이라며, 이사야 8장의 예언이 [[예수 그리스도|예수님]]에 의해 성취되었다고 말했다. 하나님이 영광을 가리고 육체로 오셔서 구원의 기초석 역할을 하시지만 이스라엘 백성에게 거치는 돌과 걸리는 반석, 함정과 올무가 된다는 예언이 그대로 이루어진 것이다.{{인용문5 |내용=사람에게는 버린 바가 되었으나 하나님께는 택하심을 입은 '''보배로운 산 돌'''이신 '''예수'''에게 나아와 경에 기록하였으되 보라 내가 택한 보배롭고 요긴한 '''모퉁이 돌'''을 시온에 두노니 저를 믿는 자는 부끄러움을 당치 아니하리라 하였으니 그러므로 믿는 너희에게는 보배이나 믿지 아니하는 자에게는 건축자들의 버린 그 돌이 모퉁이의 머릿돌이 되고 또한 '''부딪히는 돌과 거치는 반석'''이 되었다 하니라 저희가 말씀을 순종치 아니하므로 '''넘어지나니 이는 저희를 이렇게 정하신 것'''이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베드로전서#2장 베드로전서 2:4-8]}}
그들에게 예수님은 동네 사람 [[요셉 (예수님의 부친)|요셉]]과 [[마리아 (예수님의 모친)|마리아]]의 아들인 빈천한 목수였다.<ref name="목수아들">{{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6장 |제목=요한복음 6:41-42 |저널= |인용문=자기가 하늘로서 내려온 떡이라 하시므로 유대인들이 예수께 대하여 수군거려 가로되 이는 요셉의 아들 예수가 아니냐 그 부모를 우리가 아는데 제가 지금 어찌하여 하늘로서 내려왔다 하느냐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6장 |제목=마가복음 6:3 |저널= |인용문=이 사람이 마리아의 아들 목수가 아니냐 야고보와 요셉과 유다와 시몬의 형제가 아니냐 그 누이들이 우리와 함께 여기 있지 아니하냐 하고 예수를 배척한지라}}</ref> 그들은 이방의 [[갈릴리]]가 큰 빛을 보았다는 이사야의 예언이 있는데도<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9장 |제목=이사야 9:1-2 |저널= |인용문=전에 고통하던 자에게는 흑암이 없으리로다 옛적에는 여호와께서 스불론 땅과 납달리 땅으로 멸시를 당케 하셨더니 후에는 해변 길과 요단 저편 이방의 갈릴리를 영화롭게 하셨느니라 흑암에 행하던 백성이 큰 빛을 보고 사망의 그늘진 땅에 거하던 자에게 빛이 비취도다}}</ref> "그리스도가 어찌 갈릴리에서 나오겠느냐" 하며 예수님을 비방했다.<ref name="갈릴리">{{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7장 |제목=요한복음 7:40-43 |저널= |인용문=이 말씀을 들은 무리 중에서 혹은 이가 참으로 그 선지자라 하며 혹은 그리스도라 하며 어떤 이들은 그리스도가 어찌 갈릴리에서 나오겠느냐 성경에 이르기를 그리스도는 다윗의 씨로 또 다윗의 살던 촌 베들레헴에서 나오리라 하지 아니하였느냐 하며 예수를 인하여 무리 중에서 쟁론이 되니 }}</ref> 예수님이 식사 때 손을 씻지 않는 것을 이상히 여겼고,<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11장 |제목=누가복음 11:37-38 |저널= |인용문=예수께서 말씀하실 때에 한 바리새인이 자기와 함께 점심 잡수시기를 청하므로 들어가 앉으셨더니 잡수시기 전에 손 씻지 아니하심을 이 바리새인이 보고 이상히 여기는지라 }}</ref> 예수님이 음식을 드시면 '먹기를 탐하는 자'라며 매도했다.<ref name=":0">{{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11장 |제목=마태복음 11:19 |저널= |인용문=인자는 와서 먹고 마시매 말하기를 보라 먹기를 탐하고 포도주를 즐기는 사람이요 세리와 죄인의 친구로다 하니}}</ref> 예수님이 [[성전]]에서 가르치실 때는 배우지 못한 사람이 글을 읽고 논한다며 비방했으며,<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7장 |제목=요한복음 7:14-15 |저널= |인용문=이미 명절의 중간이 되어 예수께서 성전에 올라가사 가르치시니 유대인들이 기이히 여겨 가로되 이 사람은 배우지 아니하였거늘 어떻게 글을 아느냐 하니 }}</ref> 멸시받던 세리와 창기들과 함께하실 때는 죄인의 친구라 하며 비방했다.<ref name=":0" /><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7장 |제목=누가복음 7:39 |저널= |인용문=예수를 청한 바리새인이 이것을 보고 마음에 이르되 이 사람이 만일 선지자더면 자기를 만지는 이 여자가 누구며 어떠한 자 곧 죄인인 줄을 알았으리라 하거늘 }}</ref> 학식 있고 유력한 사람들이 예수님을 믿지 않는다는 점도 훼방거리였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7장 |제목=요한복음 7:47-49 |저널= |인용문=바리새인들이 대답하되 너희도 미혹되었느냐 당국자들이나 바리새인 중에 그를 믿는 이가 있느냐 율법을 알지 못하는 이 무리는 저주를 받은 자로다}}</ref><br>사도 베드로는 이처럼 그리스도의 육신적인 면만을 바라보는 사람은 넘어지도록 하나님이 '정하신 것'이라며, 이사야 8장의 예언이 [[예수 그리스도|예수님]]에 의해 성취되었다고 말했다. 하나님이 영광을 가리고 육체로 오셔서 구원의 기초석 역할을 하시지만 이스라엘 백성에게 거치는 돌과 걸리는 반석, 함정과 올무가 된다는 예언이 그대로 이루어진 것이다.{{인용문5 |내용=사람에게는 버린 바가 되었으나 하나님께는 택하심을 입은 '''보배로운 산 돌'''이신 '''예수'''에게 나아와 ... 경에 기록하였으되 보라 내가 택한 보배롭고 요긴한 '''모퉁이 돌'''을 시온에 두노니 저를 믿는 자는 부끄러움을 당치 아니하리라 하였으니 그러므로 믿는 너희에게는 보배이나 믿지 아니하는 자에게는 건축자들의 버린 그 돌이 모퉁이의 머릿돌이 되고 또한 '''부딪히는 돌과 거치는 반석'''이 되었다 하니라 저희가 말씀을 순종치 아니하므로 '''넘어지나니 이는 저희를 이렇게 정하신 것'''이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베드로전서#2장 베드로전서 2:4-8]}}
<small>{{참고|예수님의 모습과 생활 환경|l1=예수님의 모습과 생활 환경|설명=더 자세한 내용은}}</small>
<small>{{참고|예수님의 모습과 생활 환경|l1=예수님의 모습과 생활 환경|설명=더 자세한 내용은}}</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