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실절: 두 판 사이의 차이
Behappy7942 (토론 | 기여) |
편집 요약 없음 |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초실절의 유래== | ==초실절의 유래== | ||
기원전 1500년경, 유월절을 지킨 이스라엘 백성들은 약 400년 만에 애굽(이집트)에서 | 기원전 1500년경, 유월절을 지킨 이스라엘 백성들은 약 400년 만에 [[출애굽|애굽(이집트)에서 해방]]받았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2장 |제목=출애굽기 12:40-41 |저널= |인용문=이스라엘 자손이 애굽에 거주한지 사백삼십 년이라 사백삼십 년이 마치는 그날에 여호와의 군대가 다 애굽 땅에서 나왔은즉 }}</ref> 백성들은 애굽의 북쪽 국경지대인 라암셋(Rameses)을 떠나 광야의 숙곳(Succoth), 에담(Etham), 비하히롯(Pi-hahiroth)을 거쳐 이동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2장 |제목=출애굽기 12:37 |저널= |인용문=이스라엘 자손이 라암셋에서 발행하여 숙곳에 이르니 유아 외에 보행하는 장정이 육십만가량이요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3장 |제목=출애굽기 13:20 |저널= |인용문=그들이 숙곳에서 발행하여 광야 끝 에담에 장막을 치니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4장 |제목=출애굽기 14:1-2 |저널= |인용문=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일러 가라사대 이스라엘 자손을 명하여 돌쳐서 바다와 믹돌 사이의 비하히롯 앞 곧 바알스본 맞은편 바닷가에 장막을 치게 하라 }}</ref> 이때 마음이 변한 [[바로 (파라오)|바로(파라오)]]가 군대를 이끌고 이스라엘을 바짝 뒤쫓았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4장 |제목=출애굽기 14:9 |저널= |인용문=애굽 사람들과 바로의 말들, 병거들과 그 마병과 그 군대가 그들의 뒤를 따라 바알스본 맞은편 비하히롯 곁 해변 그 장막 친 데 미치니라 }}</ref><br> | ||
[[홍해]]에 가로막힌 이스라엘 백성들은 애굽 군대의 추격으로 긴장과 공포의 순간을 맞이했으나, | [[홍해]]에 가로막힌 이스라엘 백성들은 애굽 군대의 추격으로 긴장과 공포의 순간을 맞이했으나, [[하나님]]의 도우심으로 홍해를 건너 성력 1월 22일 새벽에 모두 무사히 상륙했다. 이날은 오늘날 요일 제도로 일요일에 해당한다. 반면 이스라엘을 추격하던 애굽 군대는 바다가 합수되면서 홍해에 수장(水葬)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4장 |제목=출애굽기 14:10-29 |저널= |인용문=바로가 가까워 올 때에 이스라엘 자손이 눈을 들어 본즉 애굽 사람들이 자기 뒤에 미친지라 이스라엘 자손이 심히 두려워하여 여호와께 부르짖고 ... 물이 다시 흘러 병거들과 기병들을 덮되 그들의 뒤를 쫓아 바다에 들어간 바로의 군대를 다 덮고 하나도 남기지 아니하였더라 그러나 이스라엘 자손은 바다 가운데 육지로 행하였고 물이 좌우에 벽이 되었었더라 }}</ref> 하나님은 이러한 권능의 역사를 백성들이 대대로 기억하게 하기 위해, 홍해를 건너 상륙한 날을 초실절로 정하시고 해마다 기념하게 하셨다. | ||
==초실절의 의식== | ==초실절의 의식== | ||
초실절은 한자로 풀이하면 | 초실절은 한자로 풀이하면 '처음 초(初)', '열매 실(實)'자로, 처음 익은 곡식단을 하나님께 드리는 [[구약의 제사]]다. 백성들은 처음 거둔 이삭 한 단을 [[제사장]]에게 가져갔고, 제사장은 안식일 다음 날에 그것을 흔들어 하나님께 특별한 예물로 바쳤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23장 |제목=레위기 23:10-11 |저널= |인용문=이스라엘 자손에게 고하여 이르라 너희는 내가 너희에게 주는 땅에 들어가서 너희의 곡물을 거둘 때에 위선 너희의 곡물의 첫 이삭 한 단을 제사장에게로 가져갈 것이요 제사장은 너희를 위하여 그 단을 여호와 앞에 열납되도록 흔들되 안식일 이튿날에 흔들 것이며 }}</ref><br> | ||
이 밖에도 일 년 된 흠 없는 숫양을 [[구약의 제사 #번제|번제]]로 드리고, 감람유에 반죽한 고운 밀가루 4.4L를 [[구약의 제사 #소제|소제]]로 드렸다. 또 포도주 약 1L를 제단에 부어 [[구약의 제사 #전제|전제]]로 바쳤다. 백성들은 초실절의 의식을 행한 후에야 햇곡식을 먹을 수 있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23장 |제목=레위기 23:12-14 |저널= |인용문=너희가 그 단을 흔드는 날에 일년 되고 흠 없는 수양을 번제로 여호와께 드리고 그 소제로는 기름 섞은 고운 가루 에바 십분 이를 여호와께 드려 화제를 삼아 향기로운 냄새가 되게 하고 전제로는 포도주 힌 사분 일을 쓸 것이며 너희는 너희 하나님께 예물을 가져오는 그 날까지 떡이든지 볶은 곡식이든지 생 이삭이든지 먹지 말지니 이는 너희가 그 거하는 각처에서 대대로 지킬 영원한 규례니라 }}</ref> | 이 밖에도 일 년 된 흠 없는 숫양을 [[구약의 제사 #번제|번제]]로 드리고, 감람유에 반죽한 고운 밀가루 4.4L를 [[구약의 제사 #소제|소제]]로 드렸다. 또 포도주 약 1L를 제단에 부어 [[구약의 제사 #전제|전제]]로 바쳤다. 백성들은 초실절의 의식을 행한 후에야 햇곡식을 먹을 수 있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23장 |제목=레위기 23:12-14 |저널= |인용문=너희가 그 단을 흔드는 날에 일년 되고 흠 없는 수양을 번제로 여호와께 드리고 그 소제로는 기름 섞은 고운 가루 에바 십분 이를 여호와께 드려 화제를 삼아 향기로운 냄새가 되게 하고 전제로는 포도주 힌 사분 일을 쓸 것이며 너희는 너희 하나님께 예물을 가져오는 그 날까지 떡이든지 볶은 곡식이든지 생 이삭이든지 먹지 말지니 이는 너희가 그 거하는 각처에서 대대로 지킬 영원한 규례니라 }}</ref> | ||
|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참고|부활절|l1=부활절|설명=더 자세한 내용은}}구약의 초실절 제물은 신약의 [[예수 그리스도]]를 표상한다. | {{참고|부활절|l1=부활절|설명=더 자세한 내용은}}구약의 초실절 제물은 신약의 [[예수 그리스도]]를 표상한다. | ||
{{인용문5|내용=그러나 이제 그리스도께서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 잠자는 자들의 첫 열매가 되셨도다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5장 고린도전서 15:20] }} | {{인용문5|내용=그러나 이제 그리스도께서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 잠자는 자들의 첫 열매가 되셨도다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5장 고린도전서 15:20] }} | ||
예수 | 예수 [[그리스도]]는 [[부활]]하심으로 '잠자는 자들의 첫 열매[初實]'가 되셨다. 구약의 절기로 본다면 초실절의 제물이 되신 것이다. 따라서 안식일 이튿날에 초실절의 제물을 드렸듯, 예언상 [[예수님의 부활]]도 반드시 안식일 이튿날에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예수님은 안식 후 첫날(일요일)에 부활하심으로써 첫 열매로 하나님께 드려지는 초실절의 예언을 이루셨다. | ||
{{인용문5 |내용=예수께서 '''안식 후 첫날''' 이른 아침에 살아나신 후 전에 일곱 귀신을 쫓아내어 주신 막달라 마리아에게 먼저 보이시니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16장 마가복음 16:9]}}{{인용문5 |내용='''일요일''' 이른 아침, 예수께서는 부활하신 뒤 막달라 여자 마리아에게 처음으로 나타나셨는데 |출처=[https://www.bskorea.or.kr/bible/korbibReadpage.php?version=COG&book=mrk&chap=16&sec=1&cVersion=&fontSize=15px&fontWeight=normal 《공동번역》 마가복음 16:9]}} | {{인용문5 |내용=예수께서 '''안식 후 첫날''' 이른 아침에 살아나신 후 전에 일곱 귀신을 쫓아내어 주신 막달라 마리아에게 먼저 보이시니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16장 마가복음 16:9]}}{{인용문5 |내용='''일요일''' 이른 아침, 예수께서는 부활하신 뒤 막달라 여자 마리아에게 처음으로 나타나셨는데 |출처=[https://www.bskorea.or.kr/bible/korbibReadpage.php?version=COG&book=mrk&chap=16&sec=1&cVersion=&fontSize=15px&fontWeight=normal 《공동번역》 마가복음 16:9]}} | ||
예수님의 부활을 기념하는 [[부활절]]은 이러한 예언 성취에 따라 유월절과 무교절 후 첫 안식일 다음 날인 일요일에 기념하는 것이 성경적이다. | 예수님의 부활을 기념하는 [[부활절]]은 이러한 예언 성취에 따라 유월절과 무교절 후 첫 안식일 다음 날인 일요일에 기념하는 것이 성경적이다. | ||
| 34번째 줄: | 34번째 줄: | ||
* [[초막절]] | * [[초막절]] | ||
* [[하나님의 절기]] | * [[하나님의 절기]] | ||
==관련 영상== | |||
*'''설교: 초실절과 부활 소망''' | |||
<youtube>eokefjv61_I</youtube> | |||
==각주== | ==각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