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 하나님: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File:Rembrandt Harmensz van Rijn - Return of the Prodigal Son - Google Art Project.jpg|섬네일|200px|돌아온 탕자의 비유는 아버지 하나님의 사랑을 알려준다.<br>렘브란트(Rembrandt Harmenszoon van Rijn), 〈탕자의 귀향〉, 1669]] | [[File:Rembrandt Harmensz van Rijn - Return of the Prodigal Son - Google Art Project.jpg|섬네일|200px|돌아온 탕자의 비유는 아버지 하나님의 사랑을 알려준다.<br>렘브란트(Rembrandt Harmenszoon van Rijn), 〈탕자의 귀향〉, 1669]] | ||
'''아버지 하나님'''(영어: God the Father)은 [[그리스도인]]들이 [[하나님]]을 부르는 일반적 호칭으로, 남성적 형상의 하나님을 가리킨다. 하나님을 본격적으로 아버지라고 부른 시기는 [[예수 그리스도]]가 오신 뒤부터다. 예수님이 하나님을 가리켜 | '''아버지 하나님'''(영어: God the Father)은 [[그리스도인]]들이 [[하나님]]을 부르는 일반적 호칭으로, 남성적 형상의 하나님을 가리킨다. 하나님을 본격적으로 아버지라고 부른 시기는 [[예수 그리스도]]가 오신 뒤부터다. 예수님이 하나님을 가리켜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라고 부르신 이후, 성도들도 하나님을 '아버지'라고 불렀다.<br> | ||
하나님을 [[성부 (여호와)|성부]], [[성자 (예수)|성자]], [[성령]]으로 구별할 때는 성부 [[여호와]]를 아버지 하나님이라고 한다. 그러나 성경적인 [[성삼위일체]]의 진리에 따라 성부 여호와, 성자 예수, 성령은 근본 동일한 한 분 아버지 하나님이다. | 하나님을 [[성부 (여호와)|성부]], [[성자 (예수)|성자]], [[성령]]으로 구별할 때는 성부 [[여호와]]를 아버지 하나님이라고 한다. 그러나 성경적인 [[성삼위일체]]의 진리에 따라 성부 여호와, 성자 예수, 성령은 근본 동일한 한 분 아버지 하나님이다. | ||
==하나님을 아버지라 부르는 이유== | ==하나님을 아버지라 부르는 이유== | ||
===예수님의 본=== | ===예수님의 본=== | ||
[[File:Bloch-SermonOnTheMount.jpg|섬네일|하나님이 아버지라고 가르치신 예수님.<br>카를 블로흐(Carl Bloch), 〈산상수훈〉]] | [[File:Bloch-SermonOnTheMount.jpg|섬네일|하나님이 아버지라고 가르치신 예수님.<br>카를 블로흐(Carl Bloch), 〈산상수훈〉]] | ||
하나님은, 감히 인간이 가까이 다가갈 수 없는 전능한 절대자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0장 |제목=출애굽기 20:18–19 |인용문=뭇 백성이 우뢰와 번개와 나팔 소리와 산의 연기를 본지라 그들이 볼 때에 떨며 멀리 서서 모세에게 이르되 당신이 우리에게 말씀하소서 우리가 들으리이다 하나님이 우리에게 말씀하시지 말게 하소서 우리가 죽을까 하나이다}}</ref> [[구약성경]]에서도 하나님을 아버지라 호칭하기도 하였으나<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63장|제목=이사야 63:16|인용문= 주는 우리 아버지시라 아브라함은 우리를 모르고 이스라엘은 우리를 인정치 아니할지라도 여호와여 주는 우리의 아버지시라 상고부터 주의 이름을 우리의 구속자라}}</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64장|제목=이사야 64:8|인용문= 여호와여 주는 우리 아버지시니이다 우리는 진흙이요 주는 토기장이시니 우리는 다 주의 손으로 지으신 것이라}}</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시편#89장|제목=시편 89:26|인용문= 주는 나의 아버지시요 나의 하나님이시요 나의 구원의 바위시라 하리로다 }}</ref> 대부분 | 하나님은, 감히 인간이 가까이 다가갈 수 없는 전능한 절대자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0장 |제목=출애굽기 20:18–19 |인용문=뭇 백성이 우뢰와 번개와 나팔 소리와 산의 연기를 본지라 그들이 볼 때에 떨며 멀리 서서 모세에게 이르되 당신이 우리에게 말씀하소서 우리가 들으리이다 하나님이 우리에게 말씀하시지 말게 하소서 우리가 죽을까 하나이다}}</ref> [[구약성경]]에서도 하나님을 아버지라 호칭하기도 하였으나<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63장|제목=이사야 63:16|인용문= 주는 우리 아버지시라 아브라함은 우리를 모르고 이스라엘은 우리를 인정치 아니할지라도 여호와여 주는 우리의 아버지시라 상고부터 주의 이름을 우리의 구속자라}}</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64장|제목=이사야 64:8|인용문= 여호와여 주는 우리 아버지시니이다 우리는 진흙이요 주는 토기장이시니 우리는 다 주의 손으로 지으신 것이라}}</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시편#89장|제목=시편 89:26|인용문= 주는 나의 아버지시요 나의 하나님이시요 나의 구원의 바위시라 하리로다 }}</ref> 대부분 '주(主, The Lord)'라고 기록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느헤미야#1장 |제목=느헤미야 1:10 |인용문=이들은 주께서 일찍 큰 권능과 강한 손으로 구속하신 주의 종이요 주의 백성이니이다}}</ref> '주'라는 호칭대로 하나님과 이스라엘 백성의 관계는 주종 또는 왕과 백성이라는 상하 복종 관계의 인식이 강했다. 그러한 하나님을, 예수님은 '아버지'라고 부르셨다. | ||
{{인용문5 |내용= 너희는 이렇게 기도하라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6장 마태복음 6:9]}} | {{인용문5 |내용= 너희는 이렇게 기도하라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6장 마태복음 6:9]}} | ||
예수님이 하나님을 아버지라고 부른 기록은 복음서 곳곳에 기록되었다. | 예수님이 하나님을 아버지라고 부른 기록은 복음서 곳곳에 기록되었다. | ||
* | * "예수께서 대답하여 가라사대 바요나 시몬아 네가 복이 있도다 이를 네게 알게 한 이는 혈육이 아니요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시니라"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16장 마태복음 16:17]) | ||
* | * "기도할 때에 아무에게나 혐의가 있거든 용서하라 그리하여야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도 너희 허물을 사하여 주시리라"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11장 마가복음 11:25]) | ||
* | * "예수께서 가라사대 '''아버지'''여 저희를 사하여 주옵소서 자기의 하는 것을 알지 못함이니이다"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3장 누가복음 23:34]) | ||
* | * "예수께서 저희에게 이르시되 내 '''아버지'''께서 이제까지 일하시니 나도 일한다 하시매"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5장 요한복음 5:17]) | ||
* | * "'''아버지'''는 한 분뿐이시니 곧 '''하나님'''이시로다"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8장 요한복음 8:41]) | ||
예수님의 가르침대로 초대교회 성도들은 하나님을 영의 아버지로 받아들이고, 아버지 하나님이라고 불렀다. | 예수님의 가르침대로 초대교회 성도들은 하나님을 영의 아버지로 받아들이고, 아버지 하나님이라고 불렀다. | ||
{{인용문5 |내용= 또 우리 육체의 아버지가 우리를 징계하여도 공경하였거든 하물며 모든 '''영의 아버지'''께 더욱 복종하여 살려 하지 않겠느냐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12장 히브리서 12:9]}} | {{인용문5 |내용= 또 우리 육체의 아버지가 우리를 징계하여도 공경하였거든 하물며 모든 '''영의 아버지'''께 더욱 복종하여 살려 하지 않겠느냐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12장 히브리서 12:9]}} | ||
===아버지 하나님의 자녀=== | ===아버지 하나님의 자녀=== | ||
'아버지 하나님'은 단순히 하나님을 친근하게 부르는 표현이 아니다. 여기에는 하나님과 성도의 관계가 부모와 자녀의 관계임을 알려주는 뜻이 있다.<br> | |||
'아버지'는 가족관계에서 사용하는 호칭으로, 자녀가 자신을 낳아준 남자를 가리키는 말이다. '아버지'가 존재하는 것은 자녀가 있기 때문이다. [[하나님을 아버지라 부르는 이유]]도 이와 같다. 하나님을 올바로 믿고 아버지라고 부르는 성도들이 곧 하나님의 자녀가 된다. | |||
{{인용문5 |내용= 보라 '''아버지'''께서 어떠한 사랑을 우리에게 주사 '''하나님의 자녀'''라 일컬음을 얻게 하셨는고, ... 사랑하는 자들아 '''우리'''가 지금은 '''하나님의 자녀'''라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1서#3장 | {{인용문5 |내용= 보라 '''아버지'''께서 어떠한 사랑을 우리에게 주사 '''하나님의 자녀'''라 일컬음을 얻게 하셨는고, ... 사랑하는 자들아 '''우리'''가 지금은 '''하나님의 자녀'''라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1서#3장 요한1서 3:1–3]}} | ||
==성삼위일체, 한 분 아버지 하나님== | ==성삼위일체, 한 분 아버지 하나님== | ||
| 27번째 줄: | 26번째 줄: | ||
[[파일:성삼위일체 도식.jpg|섬네일|물의 상태변화로 이해할 수 있는 성삼위일체]] | [[파일:성삼위일체 도식.jpg|섬네일|물의 상태변화로 이해할 수 있는 성삼위일체]] | ||
<small>{{참고|성삼위일체|l1=성삼위일체|설명=더 자세한 내용은}}</small> | <small>{{참고|성삼위일체|l1=성삼위일체|설명=더 자세한 내용은}}</small> | ||
[[성경]]이 가르치는 [[성삼위일체]](聖三位一體, Trinity)는 성부 여호와, 성자 예수 그리스도, 성령 하나님이 각각 다른 분이 아니라 같은 한 분이라는 뜻이다. 신구약 성경은 성부, 성자, 성령을 한 분 아버지 하나님으로 설명한다. | |||
===성부=== | ===성부=== | ||
[[성부 (여호와)|성부]](聖父)는 한자 | [[성부 (여호와)|성부]](聖父)는 한자 '거룩할 성(聖)', '아비 부(父)'를 써서 '거룩하신 아버지'라는 뜻이다.<br> | ||
성부, 성자, 성령은 근본 같은 아버지 하나님이지만 역사하시는 시대에 따라 그 이름이 다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8장 |제목=마태복음 28:19–20 |인용문=너희는 가서 모든 족속으로 제자를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침례를 주고 내가 너희에게 분부한 모든 것을 가르쳐 지키게 하라}}</ref> 예수 그리스도가 세상에 오기 전, 성부 시대에 역사하신 하나님의 이름은 | 성부, 성자, 성령은 근본 같은 아버지 하나님이지만 역사하시는 시대에 따라 그 이름이 다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8장 |제목=마태복음 28:19–20 |인용문=너희는 가서 모든 족속으로 제자를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침례를 주고 내가 너희에게 분부한 모든 것을 가르쳐 지키게 하라}}</ref> 예수 그리스도가 세상에 오기 전, 성부 시대에 역사하신 하나님의 이름은 '[[여호와]]'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장 |제목=출애굽기 3:15 |인용문=하나님이 또 모세에게 이르시되 너는 이스라엘 자손에게 이같이 이르기를 나를 너희에게 보내신 이는 너희 조상의 하나님 곧 아브라함의 하나님, 이삭의 하나님, 야곱의 하나님 여호와라 하라 이는 나의 영원한 이름이요 대대로 기억할 나의 표호니라}}</ref> | ||
===성자=== | ===성자=== | ||
[[성자 (예수)|성자]](聖子)는 | [[성자 (예수)|성자]](聖子)는 '거룩하신 아들'이라는 뜻으로, [[하나님의 아들]]로 오신 예수 그리스도를 가리킨다. 아버지 하나님이 '예수'라는 이름으로 이 세상에 태어나신 것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9장 |제목=이사야 9:6 |저널= |인용문=이는 한 아기가 우리에게 났고 한 아들을 우리에게 주신바 되었는데 그 어깨에는 정사를 메었고 그 이름은 기묘자라, 모사라, 전능하신 하나님이라, 영존하시는 아버지라, 평강의 왕이라 할 것임이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1장 |제목=누가복음 1:31–32 |인용문=보라 네가 수태하여 아들을 낳으리니 그 이름을 예수라 하라 저가 큰 자가 되고 지극히 높으신 이의 아들이라 일컬을 것이요 주 하나님께서 그 조상 다윗의 위를 저에게 주시리니}}</ref> 예수님의 근본은 아버지 하나님이지만, 하나님의 자녀인 성도들에게 믿음의 본을 보이기 위해 육체를 입고 아들의 삶을 사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3장 |제목=요한복음 13:15 |인용문=내가 너희에게 행한 것같이 너희도 행하게 하려하여 본을 보였노라}}</ref> | ||
===성령=== | ===성령=== | ||
[[성령]](聖靈)은 하나님의 영을 이르는 말이다. 무형의 활동력이 아니라, 성도를 위해 친히 간구도 하시고 근심도 하신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로마서#8장 |제목=로마서 8:26–27 |인용문=이와 같이 성령도 우리 연약함을 도우시나니 우리가 마땅히 빌 바를 알지 못하나 오직 성령이 말할 수 없는 탄식으로 우리를 위하여 친히 간구하시느니라 마음을 감찰하시는 이가 성령의 생각을 아시나니 이는 성령이 하나님의 뜻대로 성도를 위하여 간구하심이니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베소서#4장 |제목=에베소서 4:30 |저널= |인용문=하나님의 성령을 근심하게 하지 말라 }}</ref> 성삼위일체인 근본 아버지 하나님으로서, 태초부터 지금까지 시대를 초월해 역사하셨고 2000년 전에는 예수님으로 [[육체로 오신 하나님 (성육신)|성육신]]하셨다. 또한 성령은 마지막 시대 이 세상에 다시 오시는 | [[성령]](聖靈)은 하나님의 영을 이르는 말이다. 무형의 활동력이 아니라, 성도를 위해 친히 간구도 하시고 근심도 하신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로마서#8장 |제목=로마서 8:26–27 |인용문=이와 같이 성령도 우리 연약함을 도우시나니 우리가 마땅히 빌 바를 알지 못하나 오직 성령이 말할 수 없는 탄식으로 우리를 위하여 친히 간구하시느니라 마음을 감찰하시는 이가 성령의 생각을 아시나니 이는 성령이 하나님의 뜻대로 성도를 위하여 간구하심이니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베소서#4장 |제목=에베소서 4:30 |저널= |인용문=하나님의 성령을 근심하게 하지 말라 }}</ref> 성삼위일체인 근본 아버지 하나님으로서, 태초부터 지금까지 시대를 초월해 역사하셨고 2000년 전에는 예수님으로 [[육체로 오신 하나님 (성육신)|성육신]]하셨다. 또한 성령은 마지막 시대 이 세상에 [[재림 예수님 (재림 그리스도)|다시 오시는 그리스도]]로서 인류에게 생명수 곧 구원을 주신다.<ref name=":계22">{{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22장 |제목=요한계시록 22:17 |인용문=성령과 신부가 말씀하시기를 오라 하시는도다 듣는 자도 오라 할 것이요 목마른 자도 올 것이요 또 원하는 자는 값없이 생명수를 받으라 하시더라}}</ref> | ||
==아버지 하나님과 어머니 하나님== | ==아버지 하나님과 어머니 하나님== | ||
<small>{{참고|아버지 하나님과 어머니 하나님|설명=더 자세한 내용은}}</small> | <small>{{참고|아버지 하나님과 어머니 하나님|설명=더 자세한 내용은}}</small> | ||
'아버지 하나님'이라는 호칭은 '[[어머니 하나님]]'의 존재를 암시한다. 일반적인 가족의 개념에서 아버지가 있다는 것은 아버지를 부르는 자녀가 있다는 것이고, 자녀가 있다는 것은 그 자녀를 낳은 어머니가 있음을 의미한다. 아버지 하나님이 계시고 성도들이 하나님의 자녀라면, 어머니 하나님도 존재한다. | |||
{{인용문5 |내용= 오직 '''위에 있는 예루살렘'''은 자유자니 곧 '''우리 어머니'''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갈라디아서#4장 갈라디아서 4:26]}} | {{인용문5 |내용= 오직 '''위에 있는 예루살렘'''은 자유자니 곧 '''우리 어머니'''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갈라디아서#4장 갈라디아서 4:26]}} | ||
'위'는 하늘을, '우리'는 구원받을 성도를 의미한다. 하늘에 우리 아버지가 계시듯<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6장 |제목=마태복음 6:9 |인용문=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ref> 하늘에는 우리 어머니가 계신다. 곧 하나님은 [[아버지 하나님과 어머니 하나님]]으로서 역사하신다.<br> | |||
아버지 하나님과 어머니 하나님은 [[요한계시록]]에서 생명수를 주시는 [[성령과 신부]]로 예언되었다.<ref name=":계22" /> [[생명수]]란 | 아버지 하나님과 어머니 하나님은 [[요한계시록]]에서 생명수를 주시는 [[성령과 신부]]로 예언되었다.<ref name=":계22" /> [[생명수]]란 [[영혼]]의 생명에 필요한 하나님의 말씀을 의미한다. 생명수를 줄 수 있는 분은 하나님뿐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17장 |제목=예레미야 17:13 |인용문=생수의 근원이신 여호와를 버림이니이다}}</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21장 |제목=요한계시록 21:5–7 |인용문=보좌에 앉으신 이가 가라사대 보라 내가 만물을 새롭게 하노라 ... 나는 알파와 오메가요 처음과 나중이라 내가 생명수 샘물로 목마른 자에게 값없이 주리니 ... 나는 저의 하나님이 되고 그는 내 아들이 되리라}}</ref> 성령은 아버지 하나님, 하늘 [[예루살렘]]으로 묘사된 신부는 어머니 하나님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21장 |제목=요한계시록 21:9–10 |인용문=일곱 대접을 가지고 마지막 일곱 재앙을 담은 일곱 천사 중 하나가 나아와서 내게 말하여 가로되 이리 오라 내가 신부 곧 어린양의 아내를 네게 보이리라 하고 성령으로 나를 데리고 크고 높은 산으로 올라가 하나님께로부터 하늘에서 내려오는 거룩한 성 예루살렘을 보이니}}</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갈라디아서#4장 |제목=갈라디아서 4:26 |인용문= 오직 위에 있는 예루살렘은 자유자니 곧 우리 어머니라 }}</ref> | ||
마지막 시대 아버지 하나님은 어머니 하나님과 함께 이 세상에 오셔서 인류를 구원하신다. | 마지막 시대 아버지 하나님은 어머니 하나님과 함께 이 세상에 오셔서 인류를 구원하신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