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야 생활: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파일:The Ten Commandments (SAYRE 13945).jpg |섬네일 | px |모세의 인도를 따라 가나안으로 향하는 이스라엘 백성, 영화 <십계>(1923) 속 한 장면]] | [[파일:The Ten Commandments (SAYRE 13945).jpg |섬네일 | px |모세의 인도를 따라 가나안으로 향하는 이스라엘 백성, 영화 <십계>(1923) 속 한 장면]] | ||
'''광야 생활'''은 | '''광야 생활'''은 이스라엘 민족이 종살이하던 애굽(이집트)을 탈출해 약속의 땅 가나안에 들어가기까지 약 40년간 광야를 유랑했던 역사다. [[출애굽]]한 이스라엘 민족의 총인구는 20세 이상 장정의 숫자가 약 60만 명이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2장 |제목=출애굽기 12:37 |저널= |인용문= 이스라엘 자손이 라암셋에서 발행하여 숙곳에 이르니 유아 외에 보행하는 장정이 육십만 가량이요}}</ref>는 [[성경]]의 기록을 참고할 때, 최소 200만 명이었던 것으로 추산된다.<ref>{{웹 인용 |url=http://pub.chosun.com/client/article/viw.asp?cate=C03&nNewsNumb=20170223567&nidx=23568 |제목=출애굽 당시 이스라엘 자손 수는 얼마나 되었을까? |웹사이트= |저널=조선일보 |출판사= |날짜=2017. 2. 20.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성경에는 출애굽 당시 20세 이상 장정이 60만 명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학자마다 견해 차이가 있지만 총인구 최소 200만 명 추정. }}</ref> 선지자 [[모세]]는 광야 생활의 여정을 네 권의 성경([[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에 기록했다. 광야 생활의 역사 속에는 영적 가나안인 [[천국]]을 향해 나아가는 [[그리스도인]]들을 위한 교훈이 담겨 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로마서#15장 |제목=로마서 15:4 |저널= |인용문= 무엇이든지 전에 기록한 바는 우리의 교훈을 위하여 기록된 것이니 우리로 하여금 인내로 또는 성경의 안위로 소망을 가지게 함이니라}}</ref> | ||
== 역사적 배경 == | == 역사적 배경 == | ||
애굽 땅에 이주한 이스라엘 민족의 수는 세월이 흐를수록 늘어났다. 애굽 왕 바로(파라오)<ref>{{웹 인용 |url=http://www.holybible.or.kr/B_RHV/cgi/biblefinfo.php?DN=371393792&QR=%BC%D5%BF%A1&VR=0&VL=23&CN=36 |제목=이사야 | 애굽 땅에 이주한 이스라엘 민족의 수는 세월이 흐를수록 늘어났다. 애굽 왕 [[바로 (파라오)|바로(파라오)]]<ref>{{웹 인용 |url=http://www.holybible.or.kr/B_RHV/cgi/biblefinfo.php?DN=371393792&QR=%BC%D5%BF%A1&VR=0&VL=23&CN=36 |제목=이사야 36:6 |웹사이트=Holy Bible |저널=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애굽 왕 바로는 그 의뢰하는 자에게 이와 같으니라(개역한글), 이집트 왕 파라오는 자기를 믿는 모든 자들에게 그렇게 대한다(공동번역)}}</ref>는 이스라엘 민족이 반란을 일으킬까 두려워 그들을 종으로 전락시키고 노동력을 착취하는 등 학대를 일삼았다. 이에 이스라엘 백성들이 탄식하며 부르짖었는데, 그 소리가 하나님께 상달되었다.<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장 출애굽기 1:8-14].</ref> 하나님은 선지자 [[모세]]에게 이스라엘을 구원하라는 사명을 주셨다.<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장 출애굽기 3:2-10].</ref> 고역에 시달리던 이스라엘은 [[유월절]]을 지킴으로, 약 400년 만에 종살이에서 해방됐다. 유월절 다음 날에 라암셋(람세스)에서 발행한 백성들은 [[홍해]]를 건너 광야 생활을 시작했다. | ||
== 주요 사건 == | == 주요 사건 == | ||
=== 제1년 === | === 제1년 === | ||
==== 만나와 안식일 ==== | ==== 만나와 안식일 ==== | ||
광야 생활을 시작한 지 한 달 만에 애굽에서 가져온 양식이 다 떨어졌다. 백성들은 자신들을 광야로 데려와서 굶어 죽게 한다며 그들을 인도한 모세와 [[아론]]을 원망했다. 이에 | 광야 생활을 시작한 지 한 달 만에 애굽에서 가져온 양식이 다 떨어졌다. 백성들은 자신들을 광야로 데려와서 굶어 죽게 한다며 그들을 인도한 모세와 [[아론]]을 원망했다. 이에 [[하나님]]은 하늘에서 양식을 비같이 내려주셨다. 아침이 되자 이슬이 진 주위를 덮었고, 이슬이 마르자 지면에 작고 둥글며 서리 같은 것이 쌓였다. 이것이 바로 '[[만나]]'다. 하나님은 만나를 내리는 시기와 분량을 통해 백성들에게 매주 제7일 [[안식일]] 지키는 법을 교육하셨다. 백성들은 이때부터 가나안 지경에 이르기까지 약 40년 동안 만나를 먹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6장 |제목=출애굽기 16:35 |저널= |인용문= 이스라엘 자손이 사람 사는 땅에 이르기까지 사십 년 동안 만나를 먹되 곧 가나안 지경에 이르기까지 그들이 만나를 먹었더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여호수아#5장 |제목=여호수아 5:12 |저널= |인용문= 그 땅 소산을 먹은 다음 날에 만나가 그쳤으니 이스라엘 사람들이 다시는 만나를 얻지 못하였고 그해에 가나안 땅의 열매를 먹었더라}}</ref> | ||
==== 아말렉과의 전투 ==== | ==== 아말렉과의 전투 ==== | ||
이스라엘이 르비딤에 장막을 치고 거할 때, 아말렉이 이스라엘을 공격해 왔다. 모세는 | 이스라엘이 르비딤에 장막을 치고 거할 때, 아말렉이 이스라엘을 공격해 왔다. 모세는 [[여호수아 (인물)|여호수아]]에게 출전을 지시한 뒤 아론과 훌을 데리고 산꼭대기로 올라갔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7장 |제목=출애굽기 17:8-10 |저널= |인용문= 때에 아말렉이 이르러 이스라엘과 르비딤에서 싸우니라 모세가 여호수아에게 이르되 우리를 위하여 사람들을 택하여 나가서 아말렉과 싸우라 내일 내가 하나님의 지팡이를 손에 잡고 산꼭대기에 서리라}}</ref> 여호수아가 전장에 나가 싸우는 동안 모세는 팔을 들고 있었다. 하나님은 모세가 손을 들면 이스라엘이 이기고, 손을 내리면 아말렉이 이기게 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7장 |제목=출애굽기 17:10-11 |저널= |인용문= 여호수아가 모세의 말대로 행하여 아말렉과 싸우고 모세와 아론과 훌은 산꼭대기에 올라가서 모세가 손을 들면 이스라엘이 이기고 손을 내리면 아말렉이 이기더니}}</ref> 그가 지쳐서 팔을 들 수 없게 되자, 아론과 훌이 양편에서 그의 팔을 붙들어 올렸고 모세의 팔은 해가 지도록 내려오지 않았다. 그 결과, 여호수아가 아말렉과의 전쟁에서 승리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7장 |제목=출애굽기 17:11-13 |저널= |인용문= 모세의 팔이 피곤하매 그들이 돌을 가져다가 모세의 아래에 놓아 그로 그 위에 앉게 하고 아론과 훌이 하나는 이편에서, 하나는 저편에서 모세의 손을 붙들어 올렸더니 그 손이 해가 지도록 내려오지 아니한지라 여호수아가 칼날로 아말렉과 그 백성을 쳐서 파하니라}}</ref> | ||
==== 십계명 반포 ==== | ==== 십계명 반포 ==== | ||
| 17번째 줄: | 17번째 줄: | ||
3월 1일, 이스라엘 백성은 시내 광야에 도착하여 시내산 앞에 장막을 치고 모세가 시내산에 올랐다. 3일, 천둥과 번개가 치고 짙은 구름이 산을 덮었다. 불 속에서 시내산으로 강림하신 하나님은 모세와 모든 백성 앞에서 큰 음성으로 [[십계명]]을 반포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5장 |제목=신명기 5:22 |저널= |인용문=여호와께서 이 모든 말씀을 산 위 불 가운데, 구름 가운데, 흑암 가운데서 큰 음성으로 너희 총회에 이르신 후에 더 말씀하지 아니하시고 그것을 두 돌판에 써서 내게 주셨느니라}}</ref> 그때 모세는 우레와 같은 하나님의 음성을 제대로 알아들었지만, 백성들은 두려워 떨기만 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0장 |제목=출애굽기 20:18-19 |저널= |인용문= 뭇 백성이 우뢰와 번개와 나팔소리와 산의 연기를 본지라 그들이 볼 때에 떨며 멀리 서서 모세에게 이르되 당신이 우리에게 말씀하소서 우리가 들으리이다 하나님이 우리에게 말씀하시지 말게 하소서 우리가 죽을까 하나이다}}</ref> <br> | 3월 1일, 이스라엘 백성은 시내 광야에 도착하여 시내산 앞에 장막을 치고 모세가 시내산에 올랐다. 3일, 천둥과 번개가 치고 짙은 구름이 산을 덮었다. 불 속에서 시내산으로 강림하신 하나님은 모세와 모든 백성 앞에서 큰 음성으로 [[십계명]]을 반포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5장 |제목=신명기 5:22 |저널= |인용문=여호와께서 이 모든 말씀을 산 위 불 가운데, 구름 가운데, 흑암 가운데서 큰 음성으로 너희 총회에 이르신 후에 더 말씀하지 아니하시고 그것을 두 돌판에 써서 내게 주셨느니라}}</ref> 그때 모세는 우레와 같은 하나님의 음성을 제대로 알아들었지만, 백성들은 두려워 떨기만 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0장 |제목=출애굽기 20:18-19 |저널= |인용문= 뭇 백성이 우뢰와 번개와 나팔소리와 산의 연기를 본지라 그들이 볼 때에 떨며 멀리 서서 모세에게 이르되 당신이 우리에게 말씀하소서 우리가 들으리이다 하나님이 우리에게 말씀하시지 말게 하소서 우리가 죽을까 하나이다}}</ref> <br> | ||
하나님은 십계명을 직접 기록한 돌판을 주시려고 모세에게 다시 산에 올라오라고 하셨다. 모세는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고 나아가 40일간 산에 머물렀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4장 |제목=출애굽기 24:18 |저널= |인용문= 모세는 구름 속으로 들어가서 산 위에 올랐으며 사십일 사십야를 산에 있으니라}}</ref> 하나님은 모세에게 [[성소 (성막)|성소]](성막)를 지으라고 하시며,<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5장 |제목=출애굽기 25:8-9 |저널= |인용문= 내가 그들 중에 거할 성소를 그들을 시켜 나를 위하여 짓되 무릇 내가 네게 보이는 대로 장막의 식양과 그 기구의 식양을 따라 지을지니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8장 |제목=히브리서 8:5 |저널= |인용문= 저희가 섬기는 것은 하늘에 있는 것의 모형과 그림자라 모세가 장막을 지으려 할 때에 지시하심을 얻음과 같으니 가라사대 삼가 모든 것을 산에서 네게 보이던 본을 좇아 지으라 하셨느니라}}</ref> 성소의 구조와 크기에서 시작해 성막에 비치할 모든 기구를 계시로 보여주셨다. 말씀을 마치신 하나님은 친히 쓰신 증거판 둘을 모세에게 주셨다.<br> | 하나님은 십계명을 직접 기록한 돌판을 주시려고 모세에게 다시 산에 올라오라고 하셨다. 모세는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고 나아가 40일간 산에 머물렀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4장 |제목=출애굽기 24:18 |저널= |인용문= 모세는 구름 속으로 들어가서 산 위에 올랐으며 사십일 사십야를 산에 있으니라}}</ref> 하나님은 모세에게 [[성소 (성막)|성소]](성막)를 지으라고 하시며,<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5장 |제목=출애굽기 25:8-9 |저널= |인용문= 내가 그들 중에 거할 성소를 그들을 시켜 나를 위하여 짓되 무릇 내가 네게 보이는 대로 장막의 식양과 그 기구의 식양을 따라 지을지니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8장 |제목=히브리서 8:5 |저널= |인용문= 저희가 섬기는 것은 하늘에 있는 것의 모형과 그림자라 모세가 장막을 지으려 할 때에 지시하심을 얻음과 같으니 가라사대 삼가 모든 것을 산에서 네게 보이던 본을 좇아 지으라 하셨느니라}}</ref> 성소의 구조와 크기에서 시작해 성막에 비치할 모든 기구를 계시로 보여주셨다. 말씀을 마치신 하나님은 친히 쓰신 증거판 둘을 모세에게 주셨다.<br> | ||
모세가 오래도록 시내산에서 내려오지 않자<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9장 |제목=신명기 9:9 |저널= |인용문= 그때에 내가 돌판들 곧 여호와께서 너희와 세우신 언약의 돌판들을 받으려고 산에 올라가서 사십 주야를 산에 거하며 떡도 먹지 아니하고 물도 마시지 아니하였더니}}</ref> 백성들은 모세가 죽었다고 생각했다. 자신들을 인도할 사람이 없어졌다는 생각에 아론에게 항변했고,<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2장 |제목=출애굽기 32:1 |저널= |인용문= 백성이 모세가 산에서 내려옴이 더딤을 보고 모여 아론에게 이르러 가로되 일어나라 우리를 인도할 신을 우리를 위하여 만들라 이 모세 곧 우리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낸 사람은 어찌 되었는지 알지 못함이니라}}</ref> 원성을 들은 아론은 백성들에게서 금귀고리를 모아 그것을 녹여 송아지 형상을 만들었다. 백성들은 금송아지를 가리켜 자신들을 애굽에서 인도해 낸 신이라고 말하며 번제를 드리고 뛰놀았다. 산에서 내려오던 모세는 | 모세가 오래도록 시내산에서 내려오지 않자<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9장 |제목=신명기 9:9 |저널= |인용문= 그때에 내가 돌판들 곧 여호와께서 너희와 세우신 언약의 돌판들을 받으려고 산에 올라가서 사십 주야를 산에 거하며 떡도 먹지 아니하고 물도 마시지 아니하였더니}}</ref> 백성들은 모세가 죽었다고 생각했다. 자신들을 인도할 사람이 없어졌다는 생각에 아론에게 항변했고,<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2장 |제목=출애굽기 32:1 |저널= |인용문= 백성이 모세가 산에서 내려옴이 더딤을 보고 모여 아론에게 이르러 가로되 일어나라 우리를 인도할 신을 우리를 위하여 만들라 이 모세 곧 우리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낸 사람은 어찌 되었는지 알지 못함이니라}}</ref> 원성을 들은 아론은 백성들에게서 금귀고리를 모아 그것을 녹여 송아지 형상을 만들었다. 백성들은 금송아지를 가리켜 자신들을 애굽에서 인도해 낸 신이라고 말하며 번제를 드리고 뛰놀았다. 산에서 내려오던 모세는 [[우상]]을 숭배하는 백성들을 목격하고 분노해 십계명 돌판을 산 아래로 던져 깨뜨렸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2장 |제목=출애굽기 32:18-19 |저널= |인용문= 모세가 가로되 이는 승전가도 아니요 패하여 부르짖는 소리도 아니라 나의 듣기에는 노래하는 소리로다 하고 진에 가까이 이르러 송아지와 그 춤추는 것을 보고 대노하여 손에서 그 판들을 산 아래로 던져 깨뜨리니라}}</ref> 그러고는 송아지 형상을 부수고 그 가루를 물에 타 백성들에게 마시게 했다. 모세는 하나님을 따르고자 자신에게 나아온 [[레위인|레위 자손]]들에게 금송아지 우상을 섬긴 백성들을 죽이라는 명령을 내렸다. 이날 우상을 숭배한 3000명가량의 이스라엘 백성이 죽임을 당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2장 |제목=출애굽기 32:28 |저널= |인용문= 레위 자손이 모세의 말대로 행하매 이날에 백성 중에 삼천 명가량이 죽인 바 된지라}}</ref> <br> | ||
다음 날, 모세는 범죄한 백성들을 대표하여 하나님께 간절히 용서를 구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2장 |제목=출애굽기 32:30-32 |저널= |인용문= 이튿날 모세가 백성에게 이르되 너희가 큰 죄를 범하였도다 내가 이제 여호와께로 올라가노니 혹 너희의 죄를 속할까 하노라 하고 여호와께로 다시 나아가 여짜오되 슬프도소이다 이 백성이 자기들을 위하여 금신을 만들었사오니 큰 죄를 범하였나이다 그러나 합의하시면 이제 그들의 죄를 사하시옵소서}}</ref> 이후 백성들은 회개하는 마음으로 몸에서 단장품을 없앴고, 모세는 진 바깥 장막에서 하나님께 구했다. 그의 간절한 기도에 하나님은 돌판 둘을 처음 것과 같이 만들어 시내산으로 가져오라고 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4장 |제목=출애굽기 34:1 |저널= |인용문=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너는 돌판 둘을 처음 것과 같이 깎아 만들라 네가 깨뜨린 바 처음 판에 있던 말을 내가 그 판에 쓰리니}}</ref> 다시 시내산에 올라간 때부터 40일째 되는 날, 모세는 두 번째 받은 증거의 두 판을 들고 시내산을 내려와, 하나님이 자기에게 이르신 모든 말씀을 이스라엘 자손에게 전했다. | 다음 날, 모세는 범죄한 백성들을 대표하여 하나님께 간절히 용서를 구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2장 |제목=출애굽기 32:30-32 |저널= |인용문= 이튿날 모세가 백성에게 이르되 너희가 큰 죄를 범하였도다 내가 이제 여호와께로 올라가노니 혹 너희의 죄를 속할까 하노라 하고 여호와께로 다시 나아가 여짜오되 슬프도소이다 이 백성이 자기들을 위하여 금신을 만들었사오니 큰 죄를 범하였나이다 그러나 합의하시면 이제 그들의 죄를 사하시옵소서}}</ref> 이후 백성들은 회개하는 마음으로 몸에서 단장품을 없앴고, 모세는 진 바깥 장막에서 하나님께 구했다. 그의 간절한 기도에 하나님은 돌판 둘을 처음 것과 같이 만들어 시내산으로 가져오라고 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4장 |제목=출애굽기 34:1 |저널= |인용문=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너는 돌판 둘을 처음 것과 같이 깎아 만들라 네가 깨뜨린 바 처음 판에 있던 말을 내가 그 판에 쓰리니}}</ref> 다시 시내산에 올라간 때부터 40일째 되는 날, 모세는 두 번째 받은 증거의 두 판을 들고 시내산을 내려와, 하나님이 자기에게 이르신 모든 말씀을 이스라엘 자손에게 전했다. | ||
==== 성막 건축 ==== | ==== 성막 건축 ==== | ||
[[파일:성소(성막) 모형.jpg|섬네일|하나님께 제사 지냈던 성막의 모형]] | [[파일:성소(성막) 모형.jpg|섬네일|하나님께 제사 지냈던 성막의 모형]] | ||
모세는 하나님의 지시대로 십계명을 보관할 성막을 건축하기 시작했다. 백성들 중 원하는 자, 감동된 자, 자원하는 자가 예물을 즐거이 가져왔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5장 |제목=출애굽기 35:21-29 |저널= |인용문= 무릇 마음이 감동된 자와 무릇 자원하는 자가 와서 성막을 짓기 위하여 그 속에서 쓸 모든 것을 위하여, 거룩한 옷을 위하여 예물을 가져 여호와께 드렸으니 ... 마음에 원하는 이스라엘 자손의 남녀마다 여호와께서 모세의 손을 빙자하여 명하신 모든 것을 만들기 위하여 물품을 가져다가 여호와께 즐거이 드림이 이러하였더라}}</ref> 백성들이 아침마다 예물을 계속 가져와서 재료가 쓰고 남을 만큼 넉넉하게 되자, 모세는 예물 봉헌을 정지시켰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6장 |제목=출애굽기 36:3-7 |저널= |인용문= 백성이 아침마다 자원하는 예물을 연하여 가져오는 고로 ... 모세가 명을 내리매 그들이 진중에 공포하여 가로되 무론 남녀하고 성소에 드릴 예물을 다시 만들지 말라 하매 백성이 가져오기를 정지하니 있는 재료가 모든 일을 하기에 넉넉하여 남음이 있었더라}}</ref> 브살렐과 오홀리압을 중심으로 한 지혜로운 자들은 백성들이 가져온 예물로 성막, 뜰 둘레의 포장, | 모세는 하나님의 지시대로 십계명을 보관할 성막을 건축하기 시작했다. 백성들 중 원하는 자, 감동된 자, 자원하는 자가 예물을 즐거이 가져왔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5장 |제목=출애굽기 35:21-29 |저널= |인용문= 무릇 마음이 감동된 자와 무릇 자원하는 자가 와서 성막을 짓기 위하여 그 속에서 쓸 모든 것을 위하여, 거룩한 옷을 위하여 예물을 가져 여호와께 드렸으니 ... 마음에 원하는 이스라엘 자손의 남녀마다 여호와께서 모세의 손을 빙자하여 명하신 모든 것을 만들기 위하여 물품을 가져다가 여호와께 즐거이 드림이 이러하였더라}}</ref> 백성들이 아침마다 예물을 계속 가져와서 재료가 쓰고 남을 만큼 넉넉하게 되자, 모세는 예물 봉헌을 정지시켰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6장 |제목=출애굽기 36:3-7 |저널= |인용문= 백성이 아침마다 자원하는 예물을 연하여 가져오는 고로 ... 모세가 명을 내리매 그들이 진중에 공포하여 가로되 무론 남녀하고 성소에 드릴 예물을 다시 만들지 말라 하매 백성이 가져오기를 정지하니 있는 재료가 모든 일을 하기에 넉넉하여 남음이 있었더라}}</ref> 브살렐과 오홀리압을 중심으로 한 지혜로운 자들은 백성들이 가져온 예물로 성막, 뜰 둘레의 포장, [[언약궤]]를 포함한 모든 기구와 장식물, 에봇과 흉패 등을 하나님이 알려주신 그대로 만들었다. | ||
=== 제2년 === | === 제2년 === | ||
==== 성막 완공 ==== | ==== 성막 완공 ==== | ||
[[파일:High Priest Offering Incense on the Altar.jpg |섬네일 | px |Henry Davenport Northrop 저서 《Treasures of the Bible》 삽화. <단에서 분향하는 대제사장>. 1894.]] | [[파일:High Priest Offering Incense on the Altar.jpg |섬네일 | px |Henry Davenport Northrop 저서 《Treasures of the Bible》 삽화. <단에서 분향하는 대제사장>. 1894.]] | ||
애굽에서 나온 다음 해 1월 1일, 모세는 성막을 세우고 그 안에 기구들을 들여놓은 뒤 십계명을 | 애굽에서 나온 다음 해 1월 1일, 모세는 성막을 세우고 그 안에 기구들을 들여놓은 뒤 십계명을 언약궤 안에 넣고 뜰 문에 휘장을 드리웠다. 그러자 구름이 회막에 덮이고 하나님의 영광이 성막을 가득 채웠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성막 위에 구름이 떠오르면 앞으로 나아갔고, 구름이 머무르면 그곳에 진을 치고 다시 떠오르기까지 이동하지 않았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9장 |제목=민수기 9:17-19 |저널= |인용문= 구름이 성막에서 떠오르는 때에는 이스라엘 자손이 곧 진행하였고 구름이 머무는 곳에 이스라엘 자손이 진을 쳤으니 이스라엘 자손이 여호와의 명을 좇아 진행하였고 여호와의 명을 좇아 진을 쳤으며 구름이 성막 위에 머무는 동안에는 그들이 유진하였고 구름이 장막 위에 머무는 날이 오랠 때에는 이스라엘 자손이 여호와의 명을 지켜 진행치 아니하였으며}}</ref><br> | ||
성막 건축을 마치자 하나님이 모세를 부르셨다. 하나님은 성소에서 행하는 번제, 소제, 화목제, 속죄제, 속건제 등의 [[구약의 제사|제사]] 규례를 자세히 알려주셨다. 또한 아론과 그의 아들들의 [[제사장]] 위임식을 거행하도록 하셨다. 기름 부음을 받고 대제사장이 된 아론은 모든 백성들 앞에서 제사장으로서의 첫 직무를 시작했다. 한편 아론의 두 아들 나답과 아비후는 하나님이 명하시지 않은 다른 불을 담아 분향하다 죽임을 당하고 말았다. 하나님은 이 일을 통해 속죄소에는 제사장이라도 아무 때나 들어갈 수 없으며, 성소에 들어갈 때는 반드시 자기와 권속을 위해 속죄하고 난 뒤 지성소에 들어가 분향해야 죽음을 면할 수 있음을 알려주셨다. <br> | 성막 건축을 마치자 하나님이 모세를 부르셨다. 하나님은 성소에서 행하는 번제, 소제, 화목제, 속죄제, 속건제 등의 [[구약의 제사|제사]] 규례를 자세히 알려주셨다. 또한 아론과 그의 아들들의 [[제사장]] 위임식을 거행하도록 하셨다. 기름 부음을 받고 대제사장이 된 아론은 모든 백성들 앞에서 제사장으로서의 첫 직무를 시작했다. 한편 아론의 두 아들 나답과 아비후는 하나님이 명하시지 않은 다른 불을 담아 분향하다 죽임을 당하고 말았다. 하나님은 이 일을 통해 속죄소에는 제사장이라도 아무 때나 들어갈 수 없으며, 성소에 들어갈 때는 반드시 자기와 권속을 위해 속죄하고 난 뒤 지성소에 들어가 분향해야 죽음을 면할 수 있음을 알려주셨다. <br> | ||
또한 정한 짐승과 부정한 짐승을 구별해 정한 짐승만을 먹는 [[성경의 음식법|음식 관련 율법]]을 알려주셨으며, 불순종에 대한 벌, 여러 가지 죄에 대한 경고, 제사장이 지켜야 할 규례, 제물에 관한 규례, 안식년과 희년의 규례, [[십일조]]의 규례, 재산에 관한 법, 서원의 법 등 이스라엘 백성이 지켜야 할 규례와 법도를 자세하게 말씀해 주셨다. 그러면서 연간 절기인 [[유월절]], [[무교절]], [[초실절]], [[칠칠절]], [[나팔절]], [[대속죄일|속죄일]], [[초막절]]을 세워주시고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공포하여 지키게 하라고 하셨다. 하나님은 백성들이 규례와 계명을 순종하면 그들로 번성하고 창대케 하실 것이라 약속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26장 |제목=레위기 26:3-12 |저널= |인용문= 너희가 나의 규례와 계명을 준행하면 내가 너희 비를 그 시후에 주리니 땅은 그 산물을 내고 밭의 수목은 열매를 맺을지라 ... 나는 너희 중에 행하여 너희 하나님이 되고 너희는 나의 백성이 될 것이니라}}</ref> | 또한 정한 짐승과 부정한 짐승을 구별해 정한 짐승만을 먹는 [[성경의 음식법|음식 관련 율법]]을 알려주셨으며, 불순종에 대한 벌, 여러 가지 죄에 대한 경고, 제사장이 지켜야 할 규례, 제물에 관한 규례, 안식년과 희년의 규례, [[십일조]]의 규례, 재산에 관한 법, 서원의 법 등 이스라엘 백성이 지켜야 할 규례와 법도를 자세하게 말씀해 주셨다. 그러면서 연간 절기인 [[유월절]], [[무교절]], [[초실절]], [[칠칠절]], [[나팔절]], [[대속죄일|속죄일]], [[초막절]]을 세워주시고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공포하여 지키게 하라고 하셨다. 하나님은 백성들이 규례와 계명을 순종하면 그들로 번성하고 창대케 하실 것이라 약속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26장 |제목=레위기 26:3-12 |저널= |인용문= 너희가 나의 규례와 계명을 준행하면 내가 너희 비를 그 시후에 주리니 땅은 그 산물을 내고 밭의 수목은 열매를 맺을지라 ... 나는 너희 중에 행하여 너희 하나님이 되고 너희는 나의 백성이 될 것이니라}}</ref> | ||
| 36번째 줄: | 36번째 줄: | ||
==== 가나안 정탐 ==== | ==== 가나안 정탐 ==== | ||
[[파일:Tissot The Grapes of Canaan.jpg |섬네일 | px |제임스 티소(James Tissot), <가나안의 포도>. 가나안을 탐지한 정탐꾼들이 포도를 어깨에 메고 돌아왔다.]] | [[파일:Tissot The Grapes of Canaan.jpg |섬네일 | px |제임스 티소(James Tissot), <가나안의 포도>. 가나안을 탐지한 정탐꾼들이 포도를 어깨에 메고 돌아왔다.]] | ||
하나님은 가데스 바네아에 도착한 백성들에게 각 지파에서 대표 한 사람씩 12명을 뽑아 가나안 땅을 정탐하도록 지시하셨다. 40일 동안 가나안을 탐지하고 돌아온 정탐꾼들은 | 하나님은 가데스 바네아에 도착한 백성들에게 각 지파에서 대표 한 사람씩 12명을 뽑아 가나안 땅을 정탐하도록 지시하셨다. 40일 동안 가나안을 탐지하고 돌아온 정탐꾼들은 [[포도나무|포도]]와 석류, [[무화과나무|무화과]]를 보이며 과연 젖과 꿀이 흐르는 아름다운 땅이라고 보고했다.<br> | ||
그러나 그들 중 10명의 정탐꾼들은 '그 땅에 사는 민족은 강하고 장대하다'며 '메뚜기 같이 작고 왜소한 우리는 결코 그들을 이기지 못할 것'이라고 악평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13장 |제목=민수기 13:31-33 |저널= |인용문= 우리는 능히 올라가서 그 백성을 치지 못하리라 그들은 우리보다 강하니라 하고 이스라엘 자손 앞에서 그 탐지한 땅을 악평하여 가로되 우리가 두루 다니며 탐지한 땅은 그 거민을 삼키는 땅이요 거기서 본 모든 백성은 신장이 장대한 자들이며 거기서 또 네피림 후손 아낙 자손 대장부들을 보았나니 우리는 스스로 보기에도 메뚜기 같으니 그들의 보기에도 그와 같았을 것이니라}}</ref> 이 말을 들은 이스라엘 백성들은 낙심하여 소리를 높여 아우성을 치고, 밤새도록 통곡하며 모세와 아론을 원망했다. 그러면서 새로운 지도자를 세워 애굽으로 돌아가자 말했다. <br> | 그러나 그들 중 10명의 정탐꾼들은 '그 땅에 사는 민족은 강하고 장대하다'며 '메뚜기 같이 작고 왜소한 우리는 결코 그들을 이기지 못할 것'이라고 악평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13장 |제목=민수기 13:31-33 |저널= |인용문= 우리는 능히 올라가서 그 백성을 치지 못하리라 그들은 우리보다 강하니라 하고 이스라엘 자손 앞에서 그 탐지한 땅을 악평하여 가로되 우리가 두루 다니며 탐지한 땅은 그 거민을 삼키는 땅이요 거기서 본 모든 백성은 신장이 장대한 자들이며 거기서 또 네피림 후손 아낙 자손 대장부들을 보았나니 우리는 스스로 보기에도 메뚜기 같으니 그들의 보기에도 그와 같았을 것이니라}}</ref> 이 말을 들은 이스라엘 백성들은 낙심하여 소리를 높여 아우성을 치고, 밤새도록 통곡하며 모세와 아론을 원망했다. 그러면서 새로운 지도자를 세워 애굽으로 돌아가자 말했다. <br> | ||
가나안에 거하는 민족에 대한 이야기로 백성들이 술렁대자, 그 땅을 탐지했던 여호수아와 | 가나안에 거하는 민족에 대한 이야기로 백성들이 술렁대자, 그 땅을 탐지했던 여호수아와 [[갈렙]]이 옷을 찢으며 '하나님이 우리를 기뻐하시면 우리에게 그 땅을 주실 것이다. 그들은 우리의 밥이다'라고 외쳤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14장 |제목=민수기 14:8-9 |저널= |인용문= 여호와께서 우리를 기뻐하시면 우리를 그 땅으로 인도하여 들이시고 그 땅을 우리에게 주시리라 이는 과연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니라 오직 여호와를 거역하지 말라 또 그 땅 백성을 두려워하지 말라 '''그들은 우리 밥이라''' 그들의 보호자는 그들에게서 떠났고 여호와는 우리와 함께 하시느니라 그들을 두려워 말라}}</ref> 그러나 두려움에 휩싸인 백성들은 두 사람의 말을 듣지 않고 오히려 돌을 들어 치려고 했다.<br> | ||
그때 하나님의 영광이 이스라엘 장막 앞에 나타났다. 약속을 믿지 못하고 원망하는 백성들에게 크게 실망하신 하나님은 그들을 책망하시며, 여호수아와 갈렙을 제외한 20세 이상의 모든 사람은 가나안에 들어가지 못할 것이라고 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14장 |제목=민수기 14:24 |저널= |인용문= 오직 내 종 갈렙은 그 마음이 그들과 달라서 나를 온전히 좇았은즉 그의 갔던 땅으로 내가 그를 인도하여 들이리니 그 자손이 그 땅을 차지하리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14장 |제목=민수기 14:29-30 |저널= |인용문= 너희 시체가 이 광야에 엎드러질 것이라 너희 이십세 이상으로 계수함을 받은 자 곧 나를 원망한 자의 전부가 여분네의 아들 갈렙과 눈의 아들 여호수아 외에는 내가 맹세하여 너희로 거하게 하리라 한 땅에 결단코 들어가지 못하리라}}</ref> 이로 인해 이스라엘 백성들은 정탐꾼들이 가나안을 탐지한 40일을 연수로 환산한 40년만큼 광야에서 떠돌게 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14장 |제목=민수기 14:32-34 |저널= |인용문= 너희 시체는 이 광야에 엎드러질 것이요 너희 자녀들은 너희의 패역한 죄를 지고 너희의 시체가 광야에서 소멸되기까지 사십 년을 광야에서 유리하는 자가 되리라 너희가 그 땅을 탐지한 날수 사십 일의 하루를 일 년으로 환산하여 그 사십 년간 너희가 너희의 죄악을 질지니 너희가 나의 싫어 버림을 알리라 하셨다 하라}}</ref> | 그때 하나님의 영광이 이스라엘 장막 앞에 나타났다. 약속을 믿지 못하고 원망하는 백성들에게 크게 실망하신 하나님은 그들을 책망하시며, 여호수아와 갈렙을 제외한 20세 이상의 모든 사람은 가나안에 들어가지 못할 것이라고 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14장 |제목=민수기 14:24 |저널= |인용문= 오직 내 종 갈렙은 그 마음이 그들과 달라서 나를 온전히 좇았은즉 그의 갔던 땅으로 내가 그를 인도하여 들이리니 그 자손이 그 땅을 차지하리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14장 |제목=민수기 14:29-30 |저널= |인용문= 너희 시체가 이 광야에 엎드러질 것이라 너희 이십세 이상으로 계수함을 받은 자 곧 나를 원망한 자의 전부가 여분네의 아들 갈렙과 눈의 아들 여호수아 외에는 내가 맹세하여 너희로 거하게 하리라 한 땅에 결단코 들어가지 못하리라}}</ref> 이로 인해 이스라엘 백성들은 정탐꾼들이 가나안을 탐지한 40일을 연수로 환산한 40년만큼 광야에서 떠돌게 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14장 |제목=민수기 14:32-34 |저널= |인용문= 너희 시체는 이 광야에 엎드러질 것이요 너희 자녀들은 너희의 패역한 죄를 지고 너희의 시체가 광야에서 소멸되기까지 사십 년을 광야에서 유리하는 자가 되리라 너희가 그 땅을 탐지한 날수 사십 일의 하루를 일 년으로 환산하여 그 사십 년간 너희가 너희의 죄악을 질지니 너희가 나의 싫어 버림을 알리라 하셨다 하라}}</ref> | ||
| 46번째 줄: | 46번째 줄: | ||
==== 모세와 아론의 실수 ==== | ==== 모세와 아론의 실수 ==== | ||
이스라엘 자손이 가데스에 거할 때 마실 물과 식량이 없자 모세와 아론에게 몰려와 왜 광야로 자신들을 인도했느냐고 따졌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20장 |제목=민수기 20:2-5 |저널= |인용문= 회중이 물이 없으므로 모여서 모세와 아론을 공박하니라 ... 너희가 어찌하여 우리를 애굽에서 나오게 하여 이 악한 곳으로 인도하였느냐 이곳에는 파종할 곳이 없고 무화과도 없고 포도도 없고 석류도 없고 마실 물도 없도다}}</ref> 하나님은 모세와 아론에게 지팡이로 반석을 쳐 물을 내라고 말씀하셨다. 그런데 모세와 아론은 백성들을 불러 모은 뒤 "패역한 너희여 들으라. '''우리가 너희를 위하여''' 이 반석에서 '''물을 내랴'''" 하고 말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20장 |제목=민수기 20:10-11 |저널= |인용문= 모세와 아론이 총회를 그 반석 앞에 모으고 모세가 그들에게 이르되 패역한 너희여 들으라 우리가 너희를 위하여 이 반석에서 물을 내랴 하고 그 손을 들어 그 지팡이로 반석을 두번 치매 물이 많이 솟아나오므로 회중과 그들의 짐승이 마시니라}}</ref> 하나님의 영광을 나타내지 않고 자신들이 물을 주는 것처럼 말하는 실수를 범한 것이다. 이에 하나님은 모세와 아론이 가나안 땅에 들어가지 못할 것이라고 말씀하셨다.<ref name="모세 가나안">{{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20장 |제목=민수기 20:12 |저널= |인용문= 여호와께서 모세와 아론에게 이르시되 너희가 나를 믿지 아니하고 이스라엘 자손의 목전에 나의 거룩함을 나타내지 아니한 고로 너희는 이 총회를 내가 그들에게 준 땅으로 인도하여 들이지 못하리라 하시니라}}</ref> 이곳은 이스라엘 자손이 하나님과 다투었다는 의미로 '므리바( | 이스라엘 자손이 가데스에 거할 때 마실 물과 식량이 없자 모세와 아론에게 몰려와 왜 광야로 자신들을 인도했느냐고 따졌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20장 |제목=민수기 20:2-5 |저널= |인용문= 회중이 물이 없으므로 모여서 모세와 아론을 공박하니라 ... 너희가 어찌하여 우리를 애굽에서 나오게 하여 이 악한 곳으로 인도하였느냐 이곳에는 파종할 곳이 없고 무화과도 없고 포도도 없고 석류도 없고 마실 물도 없도다}}</ref> 하나님은 모세와 아론에게 지팡이로 반석을 쳐 물을 내라고 말씀하셨다. 그런데 모세와 아론은 백성들을 불러 모은 뒤 "패역한 너희여 들으라. '''우리가 너희를 위하여''' 이 반석에서 '''물을 내랴'''" 하고 말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20장 |제목=민수기 20:10-11 |저널= |인용문= 모세와 아론이 총회를 그 반석 앞에 모으고 모세가 그들에게 이르되 패역한 너희여 들으라 우리가 너희를 위하여 이 반석에서 물을 내랴 하고 그 손을 들어 그 지팡이로 반석을 두번 치매 물이 많이 솟아나오므로 회중과 그들의 짐승이 마시니라}}</ref> 하나님의 영광을 나타내지 않고 자신들이 물을 주는 것처럼 말하는 실수를 범한 것이다. 이에 하나님은 모세와 아론이 가나안 땅에 들어가지 못할 것이라고 말씀하셨다.<ref name="모세 가나안">{{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20장 |제목=민수기 20:12 |저널= |인용문= 여호와께서 모세와 아론에게 이르시되 너희가 나를 믿지 아니하고 이스라엘 자손의 목전에 나의 거룩함을 나타내지 아니한 고로 너희는 이 총회를 내가 그들에게 준 땅으로 인도하여 들이지 못하리라 하시니라}}</ref> 이곳은 이스라엘 자손이 하나님과 다투었다는 의미로 '므리바(מְרִיבָה)'<ref>{{웹 인용 |url=https://dict.naver.com/hbokodict/hebrew/#/entry/hboko/306c49d9e2bc425dbc62baff4860b06b |제목=מְרִיבָה |웹사이트=네이버 고대 히브리어사전 |인용문= }}</ref>라고 불리게 되었다. | ||
==== 불뱀 사건 ==== | ==== 불뱀 사건 ==== | ||
[[파일:Francesco Campora - Moisés e a serpente de bronze.jpg|섬네일|프란체스코 캄포라(Francesco Campora), <모세와 놋뱀> ]] | [[파일:Francesco Campora - Moisés e a serpente de bronze.jpg|섬네일|프란체스코 캄포라(Francesco Campora), <모세와 놋뱀> ]] | ||
모세는 에돔 땅 변경의 호르산으로 가기 위해 에돔 왕에게 사자를 보내어 그 땅을 통행하게 해달라고 요청했다. 하지만 에돔 왕은 모세의 요청을 거절했다. 그 결과 에돔 땅을 우회하여 홍해 길 쪽으로 멀리 돌아가게 되자, 마음이 상한 백성들은 하나님을 원망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21장 |제목=민수기 21:4-5 |저널= |인용문= 백성이 호르산에서 진행하여 홍해 길로 좇아 에돔 땅을 둘러 행하려 하였다가 길로 인하여 백성의 마음이 상하니라 백성이 하나님과 모세를 향하여 원망하되 어찌하여 우리를 애굽에서 인도하여 올려서 이 광야에서 죽게 하는고 이곳에는 식물도 없고 물도 없도다 우리 마음이 이 박한 식물을 싫어하노라 하매}}</ref> 하나님은 원망하는 백성들에게 불뱀을 보내 그들을 물게 하셨고, 많은 백성이 죽어나가기 시작했다. 그러자 백성들은 모세를 찾아와 자신들이 죄를 지었다고 자복하며 뱀들이 물러가게 하나님께 기도해 달라고 간청했다. 모세의 기도에 하나님은 백성들이 살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셨다. 모세는 하나님의 말씀대로 놋뱀을 만들어 장대 위에 매달았다. 뱀에게 물린 자마다 놋뱀을 쳐다보니 살아났다.<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21장 민수기 21:6-9]. "여호와께서 불뱀들을 백성 중에 보내어 백성을 물게 하시므로 이스라엘 백성 중에 죽은 자가 많은지라 백성이 모세에게 이르러 가로되 우리가 여호와와 당신을 향하여 원망하므로 범죄하였사오니 여호와께 기도하여 이 뱀들을 우리에게서 떠나게 하소서 모세가 백성을 위하여 기도하매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불뱀을 만들어 장대 위에 달라 물린 자마다 그것을 보면 살리라 모세가 놋뱀을 만들어 장대 위에 다니 뱀에게 물린 자마다 놋뱀을 쳐다본즉 살더라"</ref><br> | 모세는 에돔 땅 변경의 호르산으로 가기 위해 에돔 왕에게 사자를 보내어 그 땅을 통행하게 해달라고 요청했다. 하지만 에돔 왕은 모세의 요청을 거절했다. 그 결과 에돔 땅을 우회하여 [[홍해]] 길 쪽으로 멀리 돌아가게 되자, 마음이 상한 백성들은 하나님을 원망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21장 |제목=민수기 21:4-5 |저널= |인용문= 백성이 호르산에서 진행하여 홍해 길로 좇아 에돔 땅을 둘러 행하려 하였다가 길로 인하여 백성의 마음이 상하니라 백성이 하나님과 모세를 향하여 원망하되 어찌하여 우리를 애굽에서 인도하여 올려서 이 광야에서 죽게 하는고 이곳에는 식물도 없고 물도 없도다 우리 마음이 이 박한 식물을 싫어하노라 하매}}</ref> 하나님은 원망하는 백성들에게 불뱀을 보내 그들을 물게 하셨고, 많은 백성이 죽어나가기 시작했다. 그러자 백성들은 모세를 찾아와 자신들이 죄를 지었다고 자복하며 뱀들이 물러가게 하나님께 기도해 달라고 간청했다. 모세의 기도에 하나님은 백성들이 살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셨다. 모세는 하나님의 말씀대로 놋뱀을 만들어 장대 위에 매달았다. 뱀에게 물린 자마다 놋뱀을 쳐다보니 살아났다.<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21장 민수기 21:6-9]. "여호와께서 불뱀들을 백성 중에 보내어 백성을 물게 하시므로 이스라엘 백성 중에 죽은 자가 많은지라 백성이 모세에게 이르러 가로되 우리가 여호와와 당신을 향하여 원망하므로 범죄하였사오니 여호와께 기도하여 이 뱀들을 우리에게서 떠나게 하소서 모세가 백성을 위하여 기도하매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불뱀을 만들어 장대 위에 달라 물린 자마다 그것을 보면 살리라 모세가 놋뱀을 만들어 장대 위에 다니 뱀에게 물린 자마다 놋뱀을 쳐다본즉 살더라"</ref><br> | ||
불뱀 사건 이후, 모세는 아모리인의 땅을 통과하기 위해 아모리 왕 시혼에게 사자를 보냈다. 시혼은 이스라엘의 요청을 거절하며 군사를 이끌고 나와 이스라엘을 공격했다. 이에 이스라엘은 그들과 맞서 싸웠고, 아모리인의 땅을 정복했다. 바산 왕의 땅까지 점령한 이스라엘은 요단 동편의 땅을 차지하게 됐다. 이 땅들은 나중에 르우벤 지파, 갓 지파, 므낫세 반 지파의 기업이 되었다. | 불뱀 사건 이후, 모세는 아모리인의 땅을 통과하기 위해 아모리 왕 시혼에게 사자를 보냈다. 시혼은 이스라엘의 요청을 거절하며 군사를 이끌고 나와 이스라엘을 공격했다. 이에 이스라엘은 그들과 맞서 싸웠고, 아모리인의 땅을 정복했다. 바산 왕의 땅까지 점령한 이스라엘은 요단 동편의 땅을 차지하게 됐다. 이 땅들은 나중에 르우벤 지파, 갓 지파, 므낫세 반 지파의 기업이 되었다. | ||
| 61번째 줄: | 61번째 줄: | ||
=== 가나안 입성 === | === 가나안 입성 === | ||
==== 요단강을 건넘 ==== | ==== 요단강을 건넘 ==== | ||
[[파일:Benjamin West - Joshua passing the River Jordan with the Ark of the Covenant - Google Art Project.jpg |섬네일 | px |벤저민 웨스트(Benjamin West), <언약궤와 더불어 요단강을 건너는 여호수아>]] | [[파일:Benjamin West - Joshua passing the River Jordan with the Ark of the Covenant - Google Art Project.jpg |섬네일 | px |벤저민 웨스트(Benjamin West), <언약궤와 더불어 요단강을 건너는 여호수아>, 1800.]] | ||
여호수아와 이스라엘 백성들은 가나안에 들어가기 위해 [[요단강]]을 건너야 했다. 백성들이 요단을 건너려던 때는 곡식을 거두는 시기로, 강물이 둑을 넘을 정도로 범람하고 있었다. 하나님은 언약궤를 멘 제사장들의 발이 물에 잠기면 흐르는 물이 끊어져 쌓일 것이라고 말씀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여호수아#3장 |제목=여호수아 3:13 |저널= |인용문= 온 땅의 주 여호와의 궤를 멘 제사장들의 발바닥이 요단 물을 밟고 멈추면 요단 물 곧 위에서부터 흘러내리던 물이 끊어지고 쌓여 서리라}}</ref> 이스라엘 백성들은 요동치 않고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여 그대로 행했다. 그러자 강물이 끊어져 그 위로 쌓이고 마른 땅으로 건너게 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여호수아#3장 |제목=여호수아 3:15-17 |저널= |인용문= (요단이 모맥 거두는 시기에는 항상 언덕에 넘치더라) 궤를 멘 자들이 요단에 이르며 궤를 멘 제사장들의 발이 물가에 잠기자 곧 위에서부터 흘러내리던 물이 그쳐서 심히 멀리 사르단에 가까운 아담 읍 변방에 일어나 쌓이고 아라바의 바다 염해로 향하여 흘러가는 물은 온전히 끊어지매 백성이 여리고 앞으로 바로 건널새 여호와의 언약궤를 멘 제사장들은 요단 가운데 마른 땅에 굳게 섰고 온 이스라엘 백성은 마른 땅으로 행하여 요단을 건너니라}}</ref> 모든 백성이 강을 건너고 언약궤를 멘 제사장들이 강에서 올라오자, 동시에 강물이 제자리로 돌아와 이전처럼 강둑에 넘쳐흘렀다. 1월 10일에 요단을 건넌 이스라엘 백성들은 여리고 동편 길갈에 진을 치고, 요단강에서 가져온 12개의 돌을 그곳에 세웠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여호수아#4장 |제목=여호수아 4:19-20 |저널= |인용문= 정월 십 일에 백성이 요단에서 올라와서 여리고 동편 지경 길갈에 진 치매 여호수아가 그 요단에서 가져온 열두 돌을 길갈에 세우고}}</ref> | 여호수아와 이스라엘 백성들은 가나안에 들어가기 위해 [[요단강]]을 건너야 했다. 백성들이 요단을 건너려던 때는 곡식을 거두는 시기로, 강물이 둑을 넘을 정도로 범람하고 있었다. 하나님은 언약궤를 멘 제사장들의 발이 물에 잠기면 흐르는 물이 끊어져 쌓일 것이라고 말씀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여호수아#3장 |제목=여호수아 3:13 |저널= |인용문= 온 땅의 주 여호와의 궤를 멘 제사장들의 발바닥이 요단 물을 밟고 멈추면 요단 물 곧 위에서부터 흘러내리던 물이 끊어지고 쌓여 서리라}}</ref> 이스라엘 백성들은 요동치 않고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여 그대로 행했다. 그러자 강물이 끊어져 그 위로 쌓이고 마른 땅으로 건너게 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여호수아#3장 |제목=여호수아 3:15-17 |저널= |인용문= (요단이 모맥 거두는 시기에는 항상 언덕에 넘치더라) 궤를 멘 자들이 요단에 이르며 궤를 멘 제사장들의 발이 물가에 잠기자 곧 위에서부터 흘러내리던 물이 그쳐서 심히 멀리 사르단에 가까운 아담 읍 변방에 일어나 쌓이고 아라바의 바다 염해로 향하여 흘러가는 물은 온전히 끊어지매 백성이 여리고 앞으로 바로 건널새 여호와의 언약궤를 멘 제사장들은 요단 가운데 마른 땅에 굳게 섰고 온 이스라엘 백성은 마른 땅으로 행하여 요단을 건너니라}}</ref> 모든 백성이 강을 건너고 언약궤를 멘 제사장들이 강에서 올라오자, 동시에 강물이 제자리로 돌아와 이전처럼 강둑에 넘쳐흘렀다. 1월 10일에 요단을 건넌 이스라엘 백성들은 [[여리고]] 동편 길갈에 진을 치고, 요단강에서 가져온 12개의 돌을 그곳에 세웠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여호수아#4장 |제목=여호수아 4:19-20 |저널= |인용문= 정월 십 일에 백성이 요단에서 올라와서 여리고 동편 지경 길갈에 진 치매 여호수아가 그 요단에서 가져온 열두 돌을 길갈에 세우고}}</ref> | ||
==== 세 번째 유월절 ==== | ==== 세 번째 유월절 ==== | ||
| 150번째 줄: | 150번째 줄: | ||
| <center>에드레이</center> || 바산 왕 옥의 영토를 정복함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21장 민 21:33-35]<br>[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3장 신 3:1-12] | | <center>에드레이</center> || 바산 왕 옥의 영토를 정복함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21장 민 21:33-35]<br>[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3장 신 3:1-12] | ||
|- | |- | ||
| <center>아라바 광야</center> || 모세가 하나님께 받은 | | <center>아라바 광야</center> || 모세가 하나님께 받은 [[모세의 율법|율법]]을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설명함(11월 1일<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1장 |제목=신명기 1:3-4 |저널= |인용문= 제사십년 십일월 그달 초일일에 모세가 이스라엘 자손에게 여호와께서 그들을 위하여 자기에게 주신 명령을 다 고하였으니 때는 모세가 헤스본에 거하는 아모리 왕 시혼을 쳐 죽이고 에드레이에서 아스다롯에 거하는 바산 왕 옥을 쳐 죽인 후라}}</ref>)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1장 신 1:1-28:68] | ||
|- | |- | ||
| rowspan="7" | <center>모압 평지<br>(싯딤)</center> || 모압 왕 발락이 미디안 술사 발람에게 이스라엘을 저주하라고 명했지만 오히려 이스라엘을 축복함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22장 민 22:1-24:25] | | rowspan="7" | <center>모압 평지<br>(싯딤)</center> || 모압 왕 발락이 미디안 술사 발람에게 이스라엘을 저주하라고 명했지만 오히려 이스라엘을 축복함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22장 민 22:1-24:25] | ||
| 180번째 줄: | 180번째 줄: | ||
== 광야 생활 경로 == | == 광야 생활 경로 == | ||
성경 속 광야 시대의 여러 지명은 오늘날 대부분 위치가 불명확하다. 아래는 광야 생활의 경로를 개괄적으로 나타낸 지도다. | 성경 속 광야 시대의 여러 지명은 오늘날 대부분 위치가 불명확하다. 아래는 광야 생활의 경로를 개괄적으로 나타낸 지도다. | ||
{{그림|Historical hand-atlas, illustrated, containing large scale copper plate maps of each state and territory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provinces of Canada, together with a complete reference map LOC map56000501-16.jpg|정렬=가운데|타이틀='''출애굽 광야 생활 경로(추측)''' H.H. Hardesty (Firm), <i>Historical hand atlas, illustrated, general & local</i>, H.H. Hardesty & Co., 1881.}} | |||
== 광야 생활 인구조사 == | == 광야 생활 인구조사 == | ||
이스라엘 백성들은 광야에서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총 2회 인구조사를 했다. '''1차 인구조사'''는 애굽에서 나온 후 제2년 2월 1일에 시내 광야에서 진행했다. 20세 이상 싸움에 나갈 만한 장정의 수를 세어 보니 60만 3550명이었다.<ref name=":0">{{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1장 |제목=민수기 1:45-46 |저널= |인용문= 이같이 이스라엘 자손의 그 종족을 따라 이십 세 이상으로 싸움에 나갈 만한 자가 이스라엘 중에서 다 계수함을 입었으니 계수함을 입은 자의 총계가 육십만 삼천오백오십 명이었더라}}</ref> 이때 레위 지파는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성막을 담당하는 봉사를 맡았으므로 장정 숫자에서 제외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1장 |제목=민수기 1:49-50 |저널= |인용문= 레위 지파만은 너는 계수치 말며 그들을 이스라엘 자손 계수 중에 넣지 말고 그들로 증거막과 그 모든 기구와 그 모든 부속품을 관리하게 하라 그들은 그 장막과 그 모든 기구를 운반하며 거기서 봉사하며 장막 사면에 진을 칠지며}}</ref><br> | 이스라엘 백성들은 광야에서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총 2회 인구조사를 했다. '''1차 인구조사'''는 애굽에서 나온 후 제2년 2월 1일에 시내 광야에서 진행했다. 20세 이상 싸움에 나갈 만한 장정의 수를 세어 보니 60만 3550명이었다.<ref name=":0">{{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1장 |제목=민수기 1:45-46 |저널= |인용문= 이같이 이스라엘 자손의 그 종족을 따라 이십 세 이상으로 싸움에 나갈 만한 자가 이스라엘 중에서 다 계수함을 입었으니 계수함을 입은 자의 총계가 육십만 삼천오백오십 명이었더라}}</ref> 이때 레위 지파는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성막을 담당하는 봉사를 맡았으므로 장정 숫자에서 제외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1장 |제목=민수기 1:49-50 |저널= |인용문= 레위 지파만은 너는 계수치 말며 그들을 이스라엘 자손 계수 중에 넣지 말고 그들로 증거막과 그 모든 기구와 그 모든 부속품을 관리하게 하라 그들은 그 장막과 그 모든 기구를 운반하며 거기서 봉사하며 장막 사면에 진을 칠지며}}</ref><br> | ||
하나님은 가나안에 들어가기 직전 요단강 동편 모압 평지에서 '''2차 인구조사'''를 명하셨다. 약 40년 만에 | 하나님은 가나안에 들어가기 직전 요단강 동편 모압 평지에서 '''2차 인구조사'''를 명하셨다. 약 40년 만에 [[레위인]]을 제외하고 20세 이상의 장정 수를 세어보니 60만 1730명으로, 1차 조사 때와 비교해 큰 차이가 없었다.<ref name=":1">{{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26장 |제목=민수기 26:51 |저널= |인용문= 이스라엘 자손의 계수함을 입은 자가 육십만 일천칠백삼십 명이었더라}}</ref> 1차 인구조사 때 시내 광야에서 계수된 이스라엘 자손은 하나님의 말씀대로 모두 광야에서 죽고, 오직 하나님께 온전히 순종한 갈렙과 여호수아 그리고 백성들을 인도한 모세만 남아 있었다. 하나님은 인구조사 결과를 토대로 가나안 땅을 나눠주어 기업을 삼게 하라고 하셨다.<br> | ||
야곱이 모든 식솔을 이끌고 애굽으로 이주할 때 그들의 숫자는 70명에 불과했다. 그러나 애굽에서 큰 민족을 이루게 해주신다는 하나님의 약속을 힘입어, 출애굽 당시에는 20세 이상의 장정의 수만 60만 명에 이르렀다.<ref name=":0" /> 그런데 광야에서 40년을 지내고 가나안 땅에 들어가기 전에 조사했을 때는 숫자가 조금도 늘지 않고 그대로 60만 명에 그치고 말았다.<ref name=":1"/> 하나님의 축복으로 놀랍게 번성하던 이스라엘 백성들의 성장은 광야에서 많은 사람이 시험에 빠져 죽으며 멈춰버렸다. | 야곱이 모든 식솔을 이끌고 애굽으로 이주할 때 그들의 숫자는 70명에 불과했다. 그러나 애굽에서 큰 민족을 이루게 해주신다는 하나님의 약속을 힘입어, [[출애굽]] 당시에는 20세 이상의 장정의 수만 60만 명에 이르렀다.<ref name=":0" /> 그런데 광야에서 40년을 지내고 가나안 땅에 들어가기 전에 조사했을 때는 숫자가 조금도 늘지 않고 그대로 60만 명에 그치고 말았다.<ref name=":1"/> 하나님의 축복으로 놀랍게 번성하던 이스라엘 백성들의 성장은 광야에서 많은 사람이 시험에 빠져 죽으며 멈춰버렸다. | ||
== 광야 생활의 교훈 == | == 광야 생활의 교훈 == | ||
| 192번째 줄: | 192번째 줄: | ||
=== 불순종과 멸망 === | === 불순종과 멸망 === | ||
이스라엘 백성들은 출애굽 당시만 해도 하나님이 예비하신 가나안에 들어가서 복락을 누리리라는 믿음으로 가득 차 있었다. 그러나 광야 생활이 점점 길어지고 지루해지자 처음 가졌던 확고한 신앙 정신은 차츰 퇴색해 갔다. 백성들은 작은 문제만 발생해도 하나님을 의지하기보다 '하나님이 우리를 잊어버린 것 같다', '하나님은 도대체 어디에 계시는가' 하며 원망과 불평의 말을 먼저 내게 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s://www.bskorea.or.kr/bible/korbibReadpage.php?version=COG&book=psa&chap=78&sec=40&cVersion=&fontSize=15px&fontWeight=normal#focus |제목=시편 78:40-42 |저널= 공동번역|인용문= 저들이 사막에서 얼마나 그에게 반역하였던가? 광야에서 얼마나 그의 마음을 아프게 해 드렸던가? 하느님을 거듭거듭 시험하고 이스라엘의 거룩하신 분을 괴롭혔으며, 자기들을 원수의 손에서 구해 주시던 그 날, 그 힘을 그들은 까맣게 잊어 버렸다.}}</ref> 시험에 굴복한 자들은 하나님을 잊어버리고 원망했으며, 음행과 | 이스라엘 백성들은 출애굽 당시만 해도 하나님이 예비하신 가나안에 들어가서 복락을 누리리라는 믿음으로 가득 차 있었다. 그러나 광야 생활이 점점 길어지고 지루해지자 처음 가졌던 확고한 신앙 정신은 차츰 퇴색해 갔다. 백성들은 작은 문제만 발생해도 하나님을 의지하기보다 '하나님이 우리를 잊어버린 것 같다', '하나님은 도대체 어디에 계시는가' 하며 원망과 불평의 말을 먼저 내게 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s://www.bskorea.or.kr/bible/korbibReadpage.php?version=COG&book=psa&chap=78&sec=40&cVersion=&fontSize=15px&fontWeight=normal#focus |제목=시편 78:40-42 |저널= 공동번역|인용문= 저들이 사막에서 얼마나 그에게 반역하였던가? 광야에서 얼마나 그의 마음을 아프게 해 드렸던가? 하느님을 거듭거듭 시험하고 이스라엘의 거룩하신 분을 괴롭혔으며, 자기들을 원수의 손에서 구해 주시던 그 날, 그 힘을 그들은 까맣게 잊어 버렸다.}}</ref> 시험에 굴복한 자들은 하나님을 잊어버리고 원망했으며, 음행과 우상 숭배를 행함으로 광야에서 멸망했다. 이러한 역사는 단순히 지나간 역사가 아니라 신약시대 성도들의 거울과 경계로 기록되었다. | ||
{{인용문5|내용=그러나 저희의 다수를 하나님이 기뻐하지 아니하신 고로 저희가 '''광야'''에서 멸망을 받았느니라 그런 일은 우리의 거울이 되어 우리로 하여금 저희가 악을 즐겨한 것 같이 즐겨하는 자가 되지 않게 하려 함이니 ... 저희에게 당한 이런 일이 '''거울이 되고 또한 말세를 만난 우리의 경계로 기록'''하였느니라 그런즉 선 줄로 생각하는 자는 넘어질까 조심하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0장 고린도전서 10:5-12]}} | {{인용문5|내용=그러나 저희의 다수를 하나님이 기뻐하지 아니하신 고로 저희가 '''광야'''에서 멸망을 받았느니라 그런 일은 우리의 거울이 되어 우리로 하여금 저희가 악을 즐겨한 것 같이 즐겨하는 자가 되지 않게 하려 함이니 ... 저희에게 당한 이런 일이 '''거울이 되고 또한 말세를 만난 우리의 경계로 기록'''하였느니라 그런즉 선 줄로 생각하는 자는 넘어질까 조심하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0장 고린도전서 10:5-12]}} | ||
=== 순종과 가나안 === | === 순종과 가나안 === | ||
다수의 백성과 달리 하나님의 약속에 대한 확고한 믿음을 가졌던 여호수아와 갈렙은 광야 생활을 거쳐 약속의 땅 가나안에 들어갔다. 여호수아와 갈렙은 사랑의 하나님이 자신들을 도와주시고, 보호해 주시고, 이끌어주신다는 사실을 잊지 않았다. 그 결과 시험과 연단의 과정에서 넘어지지 않았고 축복을 받을 수 있었다. 믿음의 광야를 걷고 있는 신약시대 성도들에게 예비된 영적 가나안, 곧 천국 또한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며 하나님과 동행하는 자들만이 갈 수 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3장 |제목=히브리서 3:17-19 |저널= |인용문= 하나님이 사십년 동안에 누구에게 노하셨느뇨 범죄하여 그 시체가 광야에 엎드러진 자에게가 아니냐 또 하나님이 누구에게 맹세하사 그의 안식에 들어오지 못하리라 하셨느뇨 곧 순종치 아니하던 자에게가 아니냐 이로 보건대 저희가 믿지 아니하므로 능히 들어가지 못한 것이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14장 |제목=요한계시록 14:4-5 |저널= |인용문= 어린양이 어디로 인도하든지 따라가는 자며 사람 가운데서 구속을 받아 처음 익은 열매로 하나님과 어린양에게 속한 자들이니 그 입에 거짓말이 없고 흠이 없는 자들이더라}}</ref> | 다수의 백성과 달리 하나님의 약속에 대한 확고한 믿음을 가졌던 여호수아와 갈렙은 광야 생활을 거쳐 약속의 땅 가나안에 들어갔다. 여호수아와 갈렙은 사랑의 하나님이 자신들을 도와주시고, 보호해 주시고, 이끌어주신다는 사실을 잊지 않았다. 그 결과 시험과 연단의 과정에서 넘어지지 않았고 축복을 받을 수 있었다. 믿음의 광야를 걷고 있는 신약시대 성도들에게 예비된 영적 가나안, 곧 [[천국]] 또한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며 하나님과 동행하는 자들만이 갈 수 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3장 |제목=히브리서 3:17-19 |저널= |인용문= 하나님이 사십년 동안에 누구에게 노하셨느뇨 범죄하여 그 시체가 광야에 엎드러진 자에게가 아니냐 또 하나님이 누구에게 맹세하사 그의 안식에 들어오지 못하리라 하셨느뇨 곧 순종치 아니하던 자에게가 아니냐 이로 보건대 저희가 믿지 아니하므로 능히 들어가지 못한 것이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14장 |제목=요한계시록 14:4-5 |저널= |인용문= 어린양이 어디로 인도하든지 따라가는 자며 사람 가운데서 구속을 받아 처음 익은 열매로 하나님과 어린양에게 속한 자들이니 그 입에 거짓말이 없고 흠이 없는 자들이더라}}</ref> | ||
{{인용문5 |내용= 만일 여호수아가 저희에게 안식을 주었더면 그 후에 다른 날을 말씀하지 아니하셨으리라 그런즉 안식할 때가 하나님의 백성에게 남아 있도다 이미 그의 안식에 들어간 자는 하나님이 자기 일을 쉬심과 같이 자기 일을 쉬느니라 그러므로 우리가 저 '''안식에 들어가기를 힘쓸지니''' 이는 누구든지 저 '''순종'''치 아니하는 본에 빠지지 않게 하려 함이라|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4장 히브리서 4:8-11]}} | {{인용문5 |내용= 만일 여호수아가 저희에게 안식을 주었더면 그 후에 다른 날을 말씀하지 아니하셨으리라 그런즉 안식할 때가 하나님의 백성에게 남아 있도다 이미 그의 안식에 들어간 자는 하나님이 자기 일을 쉬심과 같이 자기 일을 쉬느니라 그러므로 우리가 저 '''안식에 들어가기를 힘쓸지니''' 이는 누구든지 저 '''순종'''치 아니하는 본에 빠지지 않게 하려 함이라|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4장 히브리서 4:8-11]}} | ||
== 관련 영상 == | == 관련 영상 == | ||
* 설교: '''천국 길과 광야 길''' | * 영상 설교: '''천국 길과 광야 길''' | ||
<youtube>UcK6Zq8eM40</youtube> | <youtube>UcK6Zq8eM40</youtube> | ||
* 설교: '''믿음으로 가는 천국 길''' | * 영상 설교: '''믿음으로 가는 천국 길''' | ||
<youtube>dkWDm9TRnPo</youtube> | <youtube>dkWDm9TRnPo</youtube> | ||
== 각주 == | == 각주 == | ||
<references /> | <references /> | ||
{{이스라엘 둘러보기}} | {{이스라엘 둘러보기}} | ||
[[분류: 성경 상식]] | [[분류: 성경 상식]] | ||
[[분류: 성경 용어]] | [[분류: 성경 용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