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다서: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1번째 줄: 11번째 줄:
|장수=1장
|장수=1장
}}
}}
'''유다서'''(Jude)는 [[신약성경]]의 26번째 책이다. 기록자는 예수님의 동생 유다로, 이단을 경고·책망하며 성도들의 믿음을 고취시키기 위해 작성한 서신이다.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77746&cid=50762&categoryId=51366 일반서신]으로 분류된다.
'''유다서'''(Jude)는 [[신약성경]]의 26번째 책이다. 기록자는 예수님의 동생 유다로, 이단을 경고·책망하며 성도들의 믿음을 고취시키기 위해 작성한 서신이다.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77746&cid=50762&categoryId=51366 일반서신]으로 분류된다.


==기록자==
==기록자==
신약에는 ‘유다’라는 인물이 세 사람 나온다. ‘다대오(마음이 크고 넓음)’로 불린 사도 유다, 예수님을 배반한 가룟 유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10장 |제목=마태복음 10:2-4 |저널= |인용문=열두 사도의 이름은 이러하니 베드로라 하는 시몬을 비롯하여 그의 형제 안드레와 세베대의 아들 야고보와 그의 형제 요한, 빌립과 바돌로매, 도마와 세리 마태,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와 '''다대오''', 가나안인 시몬과 및 '''가룟 유다''' 곧 예수를 판 자라 }}</ref> [[예수 그리스도 | 예수님]]과 야고보의 동생 유다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13장 |제목=마태복음 13:53-55 |저널= |인용문=예수께서 이 모든 비유를 마치신 후에 거기를 떠나서 고향으로 돌아가사 저희 회당에서 가르치시니 저희가 놀라 가로되 ... 이는 그 목수의 아들이 아니냐 그 모친은 마리아, 그 형제들은 야고보, 요셉, 시몬, 유다라 하지 않느냐 }}</ref> 유다서는 예수님의 동생 유다가 기록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유다서#1장 |제목=유다서 1:1 |저널= |인용문=예수 그리스도의 종이요 야고보의 형제인 유다는 부르심을 입은 자 곧 하나님 아버지 안에서 사랑을 얻고 예수 그리스도를 위하여 지키심을 입은 자들에게 편지하노라 }}</ref>
신약에는 '유다'라는 인물이 세 사람 나온다. '다대오(마음이 크고 넓음)'로 불린 사도 유다, 예수님을 배반한 가룟 유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10장 |제목=마태복음 10:2-4 |저널= |인용문=열두 사도의 이름은 이러하니 베드로라 하는 시몬을 비롯하여 그의 형제 안드레와 세베대의 아들 야고보와 그의 형제 요한, 빌립과 바돌로매, 도마와 세리 마태,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와 '''다대오''', 가나안인 시몬과 및 '''가룟 유다''' 곧 예수를 판 자라 }}</ref> [[예수 그리스도 | 예수님]]과 야고보의 동생 유다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13장 |제목=마태복음 13:53-55 |저널= |인용문=예수께서 이 모든 비유를 마치신 후에 거기를 떠나서 고향으로 돌아가사 저희 회당에서 가르치시니 저희가 놀라 가로되 ... 이는 그 목수의 아들이 아니냐 그 모친은 마리아, 그 형제들은 야고보, 요셉, 시몬, 유다라 하지 않느냐 }}</ref> 유다서는 예수님의 동생 유다가 기록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유다서#1장 |제목=유다서 1:1 |저널= |인용문=예수 그리스도의 종이요 야고보의 형제인 유다는 부르심을 입은 자 곧 하나님 아버지 안에서 사랑을 얻고 예수 그리스도를 위하여 지키심을 입은 자들에게 편지하노라 }}</ref>


==작성 배경==
==작성 배경==
예수님 승천 이후 세월이 흐르면서 교회 안에 예수님의 [[육체로 오신 하나님(성육신) | 성육신]]과 신성을 부인하고 도덕적인 삶을 폄하하며 성도들을 미혹하는 자들이 생겨났다. 그래서 유다는 이단을 물리치고 성도들의 믿음을 지키기 위해 편지(유다서)를 적었다. 후에 [[사도 요한]]도 유다와 같은 목적으로 요한1서, 요한2서를 기록했다.
[[예수님의 승천|예수님 승천]] 이후 세월이 흐르면서 [[교회]] 안에 예수님의 [[육체로 오신 하나님 (성육신) |성육신]]과 신성을 부인하고 도덕적인 삶을 폄하하며 성도들을 미혹하는 자들이 생겨났다. 그래서 유다는 이단을 물리치고 성도들의 믿음을 지키기 위해 편지(유다서)를 적었다. 후에 사도 요한도 유다와 같은 목적으로 [[요한1서]], [[요한2서]]를 기록했다.


==내용 구성==
==유다서의 내용 구성==
불평과 아첨을 하며 진리를 훼방하는 자들은 불의의 제사를 올린 가인, 재물에 눈이 멀어 이스라엘을 우상숭배에 빠뜨린 발람, 모세에게 반역한 고라처럼 심판받을 것이라고 엄중히 경고한다[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유다서#1장 (1-16절)].<br>
불평과 아첨을 하며 진리를 훼방하는 자들은 불의의 제사를 올린 [[가인과 아벨|가인]], 재물에 눈이 멀어 이스라엘을 우상숭배에 빠뜨린 발람, [[모세]]에게 반역한 고라처럼 심판받을 것이라고 엄중히 경고한다[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유다서#1장 (1-16절)].<br>
성도들에게는 믿음 위에 굳게 서서 힘써 싸우길 당부한다[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유다서#1장 (17-25절)].
성도들에게는 믿음 위에 굳게 서서 힘써 싸우길 당부한다[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유다서#1장 (17-25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