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세: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 | }} | ||
'''모세'''(Moses, 히브리어: משֶׁה)<ref>[https://dict.naver.com/hbokodict/hebrew/#/entry/hboko/5036fa6f4fe04bab83e5cd758a650a77 משֶׁה]. | '''모세'''(Moses, 히브리어: משֶׁה)<ref>[https://dict.naver.com/hbokodict/hebrew/#/entry/hboko/5036fa6f4fe04bab83e5cd758a650a77 "משֶׁה"]. 《네이버 고대 히브리어사전》</ref>는 애굽(이집트)에서 피지배층으로 억압받으며 살아가던 이스라엘 민족을 [[하나님]]이 약속한 땅 가나안으로 인도한 지도자다. 레위 지파 사람인 아므람과 요게벳의 아들로 태어나, 애굽 공주의 양자로 자랐다. 애굽의 왕자로서 안락한 삶을 포기하고 동족들과 함께 고난을 받았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11장 |제목=히브리서 11:24-26 |저널= |인용문=믿음으로 모세는 장성하여 바로의 공주의 아들이라 칭함을 거절하고 도리어 하나님의 백성과 함께 고난받기를 잠시 죄악의 낙을 누리는 것보다 더 좋아하고 그리스도를 위하여 받는 능욕을 애굽의 모든 보화보다 더 큰 재물로 여겼으니 이는 상 주심을 바라봄이라}}</ref>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pageSize=10&searchKeyword=%EB%AA%A8%EC%84%B8%EC%98%A4%EA%B2%BD 모세오경]의 기록자이며, 구약시대를 대표하는 선지자다. 80세에 소명을 받아 40년간 이스라엘 민족의 영도자로서 [[출애굽]]과 [[광야 생활|광야의 여정]]을 이끌었으며 하나님께 직접 [[십계명]]을 받았다. [[구약성경]]에 나타난 모세의 행적은 [[예수 그리스도]]의 행적을 예표한다. | ||
== 시대적 배경 == | == 시대적 배경 == | ||
가나안에 살던 [[야곱]]은 애굽의 총리가 된 [[요셉 (야곱의 아들)|요셉]]의 권유로 기근을 피해 애굽의 고센 땅으로 이주했다. 당시 애굽으로 이주한 야곱의 가족은 70명이었다. 애굽에서 가장 비옥하다고 알려진 고센 땅에서 이스라엘 자손은 번성하고 강대해졌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장 |제목=출애굽기 1:5-7 |저널= |인용문=이미 애굽에 있는 요셉까지 야곱의 혈속이 모두 칠십 인이었더라 요셉과 그의 모든 형제와 그 시대 사람은 다 죽었고 이스라엘 자손은 생육이 중다하고 번식하고 창성하고 심히 강대하여 온 땅에 가득하게 되었더라}}</ref> 야곱의 열두 아들은 이스라엘 [[열두 지파]]의 근간이 됐다. 그러나 애굽의 전(前) 총리 요셉을 알지 못하는 새 왕이 즉위하면서 상황은 달라졌다. 애굽 왕 바로( | 가나안에 살던 [[야곱]]은 애굽의 총리가 된 [[요셉 (야곱의 아들)|요셉]]의 권유로 기근을 피해 애굽의 고센 땅으로 이주했다. 당시 애굽으로 이주한 야곱의 가족은 70명이었다. 애굽에서 가장 비옥하다고 알려진 고센 땅에서 이스라엘 자손은 번성하고 강대해졌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장 |제목=출애굽기 1:5-7 |저널= |인용문=이미 애굽에 있는 요셉까지 야곱의 혈속이 모두 칠십 인이었더라 요셉과 그의 모든 형제와 그 시대 사람은 다 죽었고 이스라엘 자손은 생육이 중다하고 번식하고 창성하고 심히 강대하여 온 땅에 가득하게 되었더라}}</ref> 야곱의 열두 아들은 이스라엘 [[열두 지파]]의 근간이 됐다. 그러나 애굽의 전(前) 총리 요셉을 알지 못하는 새 왕이 즉위하면서 상황은 달라졌다. 애굽 왕 [[바로 (파라오)|바로]](파라오, Pharaoh)는 이스라엘 백성의 수가 갈수록 많아지자 정치적 위협을 느꼈다. 이에 이스라엘 백성들을 노예로 삼아 그들을 국고성(國庫城) 비돔과 라암셋을 건축하는 데 동원함으로써 세력을 약화시키려 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흙 이기기, 벽돌 굽기, 농사 등 고된 노역을 날마다 반복했다. 그러나 학대를 받을수록 인구는 더 늘어났고, 바로와 애굽인들의 근심은 깊어갔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장 |제목=출애굽기 1:8-14 |저널= }}</ref> 결국 바로는 히브리인 남자아이가 태어나면 모두 죽이라는 명령을 내렸다.<ref>"모세", 《CLP 성경사전》, 기독교문사, 1995, 407쪽, "바로는 그들을 계속 굴복시키기 위한 의도로 이스라엘의 남자 아이가 태어나면 모두 죽이라는 칙령을 내려놓고 있었다."</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장 |제목=출애굽기 1:22 |저널= |인용문=바로가 그 모든 신민에게 명하여 가로되 남자가 나거든 너희는 그를 하수에 던지고 여자여든 살리라 하였더라}}</ref> | ||
== 생애 및 주요 사건 == | == 생애 및 주요 사건 == | ||
=== 출생 및 왕궁 생활 === | === 출생 및 왕궁 생활 === | ||
[[파일:Moïse sauvé des eaux - Véronèse (A 66).jpg |섬네일 | px |폴 베로네즈(Paul Véronèse), <물에서 | [[파일:Moïse sauvé des eaux - Véronèse (A 66).jpg |섬네일 | px |폴 베로네즈(Paul Véronèse), <물에서 구해지는 모세>, 1570-1580]] | ||
바로의 명령이 애굽 전역에 내려진 후 레위 지파 아므람의 아내 요게벳이 아들을 낳았다. 요게벳은 아이를 석 달 동안 숨겨서 키웠다. 아이가 크면서 더 이상 숨기기가 힘들게 되자 역청을 칠한 갈대 상자에 아이를 담아 나일강 갈대숲 사이에 두었다. 때마침 그곳에 목욕하러 온 바로의 공주가 상자를 발견했다. 공주는 아이가 히브리인인 것을 알았지만 측은히 여겨 아이를 기르기로 했다. 이를 지켜본 모세의 누나 미리암이 공주에게 아이의 젖을 먹일 유모로 어머니 요게벳을 추천했다. 공주는 요게벳에게 삯을 주고 아이를 기르게 했다. 아이를 왕궁으로 데려가 양자로 삼은 공주는 '물에서 건져냈다'는 뜻으로 모세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장|제목=출애굽기 2:1-10|언어= | 바로의 명령이 애굽 전역에 내려진 후 레위 지파 아므람의 아내 요게벳이 아들을 낳았다. 요게벳은 아이를 석 달 동안 숨겨서 키웠다. 아이가 크면서 더 이상 숨기기가 힘들게 되자 역청을 칠한 갈대 상자에 아이를 담아 나일강 갈대숲 사이에 두었다. 때마침 그곳에 목욕하러 온 바로의 공주가 상자를 발견했다. 공주는 아이가 히브리인인 것을 알았지만 측은히 여겨 아이를 기르기로 했다. 이를 지켜본 모세의 누나 미리암이 공주에게 아이의 젖을 먹일 유모로 어머니 요게벳을 추천했다. 공주는 요게벳에게 삯을 주고 아이를 기르게 했다. 아이를 왕궁으로 데려가 양자로 삼은 공주는 '물에서 건져냈다'는 뜻으로 모세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장|제목=출애굽기 2:1-10|언어=|확인날짜=}}</ref> [[스데반]]이 공회에서 한 연설에 따르면, 모세는 왕궁에서 40세가 될 때까지 애굽의 모든 학술을 익혀 지식이 탁월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7장 |제목=사도행전 7:22 |저널= |인용문=모세가 애굽 사람의 학술을 다 배워 그 말과 행사가 능하더라}}</ref> | ||
=== 목자 생활 === | === 목자 생활 === | ||
* '''미디안으로 도피''' | * '''미디안으로 도피''' | ||
모세는 40세가 되자 자신의 민족을 돌아보기로 결심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7장 |제목=사도행전 7:23 |저널= |인용문=나이 사십이 되매 그 형제 이스라엘 자손을 돌아볼 생각이 나더니}}</ref> 하루는 자신의 민족인 히브리인들이 일하는 현장에 갔다가, 어떤 애굽인이 히브리인을 때리자 이에 격분하여 그 애굽인을 죽이고 말았다. 모세는 애굽인의 시체를 모래 속에 감추었다. 다음 날 다시 밖으로 나갔는데, 이번에는 히브리인 두 사람이 싸우는 모습을 목격했다. 모세는 그들의 싸움을 중재하다가 자신이 저지른 일이 탄로 난 사실을 알게 되었다. 바로가 이 일로 모세를 찾아 죽이려 하자, 모세는 바로의 눈을 피해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2314&cid=50762&categoryId=51387 미디안] 땅으로 도피했다.<br> | 모세는 40세가 되자 자신의 민족을 돌아보기로 결심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7장 |제목=사도행전 7:23 |저널= |인용문=나이 사십이 되매 그 형제 이스라엘 자손을 돌아볼 생각이 나더니}}</ref> 하루는 자신의 민족인 히브리인들이 일하는 현장에 갔다가, 어떤 애굽인이 히브리인을 때리자 이에 격분하여 그 애굽인을 죽이고 말았다. 모세는 애굽인의 시체를 모래 속에 감추었다. 다음 날 다시 밖으로 나갔는데, 이번에는 히브리인 두 사람이 싸우는 모습을 목격했다. 모세는 그들의 싸움을 중재하다가 자신이 저지른 일이 탄로 난 사실을 알게 되었다. 바로가 이 일로 모세를 찾아 죽이려 하자, 모세는 바로의 눈을 피해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2314&cid=50762&categoryId=51387 미디안] 땅으로 도피했다.<br> | ||
모세는 우물 곁에서 곤란을 겪고 있는 미디안 제사장 이드로('르우엘'이라고도 함<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장 |제목=출애굽기 2:18 |저널= |인용문=그들이 그 아비 르우엘[이드로]에게 이를 때에 아비가 가로되 너희가 오늘은 어찌하여 이같이 속히 돌아오느냐}}</ref>)의 일곱 딸을 도와준 일로 이드로의 집에서 거주하게 되었다. 모세는 그곳에서 이드로의 딸 십보라와 결혼해<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장|제목=출애굽기 2:11-22|언어= | 모세는 우물 곁에서 곤란을 겪고 있는 미디안 제사장 이드로('르우엘'이라고도 함<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장 |제목=출애굽기 2:18 |저널= |인용문=그들이 그 아비 르우엘[이드로]에게 이를 때에 아비가 가로되 너희가 오늘은 어찌하여 이같이 속히 돌아오느냐}}</ref>)의 일곱 딸을 도와준 일로 이드로의 집에서 거주하게 되었다. 모세는 그곳에서 이드로의 딸 십보라와 결혼해<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장|제목=출애굽기 2:11-22|언어=|확인날짜=}}</ref> 두 명의 아들을 낳고 40년간 양을 치는 목자로 살았다. | ||
* '''민족을 구할 사명을 받듦''' | * '''민족을 구할 사명을 받듦''' | ||
[[파일:애굽에서 노예 생활을 하는 이스라엘 백성들.jpg|섬네일|애굽에서 노예 생활을 하는 이스라엘 백성들]]세월이 흘러 애굽에는 새 왕이 즉위했지만 이스라엘 백성들은 여전히 고된 노역에 시달리고 있었다. 그들의 탄식과 부르짖는 소리를 들으신 하나님은 [[아브라함]]·[[이삭]]·[[야곱]]과 세운 언약을 기억하시고 백성들의 처지를 돌아보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장 |제목=출애굽기 2:23-25 |저널= |인용문=여러 해 후에 애굽 왕은 죽었고 이스라엘 자손은 고역으로 인하여 탄식하며 부르짖으니 그 고역으로 인하여 부르짖는 소리가 하나님께 상달한지라 하나님이 그 고통 소리를 들으시고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에게 세운 그 언약을 기억하사 이스라엘 자손을 권념하셨더라}}</ref> <br> | [[파일:애굽에서 노예 생활을 하는 이스라엘 백성들.jpg|섬네일|애굽에서 노예 생활을 하는 이스라엘 백성들]]세월이 흘러 애굽에는 새 왕이 즉위했지만 이스라엘 백성들은 여전히 고된 노역에 시달리고 있었다. 그들의 탄식과 부르짖는 소리를 들으신 하나님은 [[아브라함]]·[[이삭]]·[[야곱]]과 세운 언약을 기억하시고 백성들의 처지를 돌아보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장 |제목=출애굽기 2:23-25 |저널= |인용문=여러 해 후에 애굽 왕은 죽었고 이스라엘 자손은 고역으로 인하여 탄식하며 부르짖으니 그 고역으로 인하여 부르짖는 소리가 하나님께 상달한지라 하나님이 그 고통 소리를 들으시고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에게 세운 그 언약을 기억하사 이스라엘 자손을 권념하셨더라}}</ref> <br> | ||
어느 날 모세가 양 떼를 몰고 하나님의 산 호렙(시내산)에 이르렀을 때,<ref name="장인 이드로">{{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장 |제목=출애굽기 3:1 |저널= |인용문=모세가 그 장인 미디안 제사장 이드로의 양무리를 치더니 그 무리를 광야 서편으로 인도하여 하나님의 산 호렙에 이르매}}</ref> 불이 붙었는데도 타지 않는 | 어느 날 모세가 양 떼를 몰고 하나님의 산 호렙(시내산)에 이르렀을 때,<ref name="장인 이드로">{{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장 |제목=출애굽기 3:1 |저널= |인용문=모세가 그 장인 미디안 제사장 이드로의 양무리를 치더니 그 무리를 광야 서편으로 인도하여 하나님의 산 호렙에 이르매}}</ref> 불이 붙었는데도 타지 않는 떨기나무를 발견했다. 가까이 다가가려 하자 하나님이 모세에게 '가까이 오지 말고, 거룩한 땅이니 신발을 벗으라'고 명하셨다. 두려워하는 모세에게 하나님은 이스라엘을 애굽 땅에서 건져내 젖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으로 인도할 계획을 말씀하시고, 이 일을 그에게 맡기며 이스라엘 민족을 구원하라고 하셨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장|제목=출애굽기 3:2-10|언어=|확인날짜=}}</ref><br> | ||
모세는 자신이 그 같은 중임을 맡을 만한 사람이 아니라 생각했으나 하나님이 그와 함께해 주시겠다며 격려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장 |제목=출애굽기 3:11-12 |저널= |인용문=모세가 하나님께 고하되 내가 누구관대 바로에게 가며 이스라엘 자손을 애굽에서 인도하여 내리이까 하나님이 가라사대 내가 정녕 너와 함께 있으리라 네가 백성을 애굽에서 인도하여 낸 후에 너희가 이 산에서 하나님을 섬기리니 이것이 내가 너를 보낸 증거니라}}</ref> 모세는 백성들이 자신의 말을 믿을 만한 증거를 보여주기를 하나님께 구했다. 하나님은 일순간 모세의 지팡이가 뱀으로 변하는 기적과 손에 문둥병이 발하는 기적 등을 보여주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4장 |제목=출애굽기 4:2-7 |저널= }}</ref> 눈앞에서 하나님의 권능을 보았으면서도 모세는 재차 언변이 없다는 구실을 대며 주저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4장 |제목=출애굽기 4:10 |저널= |인용문=모세가 여호와께 고하되 주여 나는 본래 말에 능치 못한 자라 주께서 주의 종에게 명하신 후에도 그러하니 나는 입이 뻣뻣하고 혀가 둔한 자니이다}}</ref> 이에 하나님은 당신께서 사람의 입을 지은 [[창조주]]라는 사실을 일깨우며 '내가 돕겠다'고 하셨다. 모세가 다시 한번 다른 유능한 사람에게 사명을 맡길 것을 청하자 하나님이 노를 발하시며 '네 형 [[아론]]이 너를 대신하여 백성에게 말을 전할 것'이라고 했다. 그제야 모세는 사명을 받들어 장인 이드로에게 작별을 고한 후 가족을 데리고 애굽으로 향했다. 이때 모세의 나이 80세였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7장 |제목=사도행전 7:23-30 |저널= |인용문=나이 사십이 되매 그 형제 이스라엘 자손을 돌아볼 생각이 나더니 ... 사십 년이 차매 천사가 시내산 광야 가시나무떨기 불꽃 가운데서 그에게 보이거늘}}</ref> | 모세는 자신이 그 같은 중임을 맡을 만한 사람이 아니라 생각했으나 하나님이 그와 함께해 주시겠다며 격려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장 |제목=출애굽기 3:11-12 |저널= |인용문=모세가 하나님께 고하되 내가 누구관대 바로에게 가며 이스라엘 자손을 애굽에서 인도하여 내리이까 하나님이 가라사대 내가 정녕 너와 함께 있으리라 네가 백성을 애굽에서 인도하여 낸 후에 너희가 이 산에서 하나님을 섬기리니 이것이 내가 너를 보낸 증거니라}}</ref> 모세는 백성들이 자신의 말을 믿을 만한 증거를 보여주기를 하나님께 구했다. 하나님은 일순간 모세의 지팡이가 뱀으로 변하는 기적과 손에 문둥병이 발하는 기적 등을 보여주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4장 |제목=출애굽기 4:2-7 |저널= }}</ref> 눈앞에서 하나님의 권능을 보았으면서도 모세는 재차 언변이 없다는 구실을 대며 주저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4장 |제목=출애굽기 4:10 |저널= |인용문=모세가 여호와께 고하되 주여 나는 본래 말에 능치 못한 자라 주께서 주의 종에게 명하신 후에도 그러하니 나는 입이 뻣뻣하고 혀가 둔한 자니이다}}</ref> 이에 하나님은 당신께서 사람의 입을 지은 [[창조주]]라는 사실을 일깨우며 '내가 돕겠다'고 하셨다. 모세가 다시 한번 다른 유능한 사람에게 사명을 맡길 것을 청하자 하나님이 노를 발하시며 '네 형 [[아론]]이 너를 대신하여 백성에게 말을 전할 것'이라고 했다. 그제야 모세는 사명을 받들어 장인 이드로에게 작별을 고한 후 가족을 데리고 애굽으로 향했다. 이때 모세의 나이 80세였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7장 |제목=사도행전 7:23-30 |저널= |인용문=나이 사십이 되매 그 형제 이스라엘 자손을 돌아볼 생각이 나더니 ... 사십 년이 차매 천사가 시내산 광야 가시나무떨기 불꽃 가운데서 그에게 보이거늘}}</ref> | ||
| 35번째 줄: | 35번째 줄: | ||
====열 가지 재앙과 유월절 권능==== | ====열 가지 재앙과 유월절 권능==== | ||
[[파일:Death of the Firstborn Alma Tadema.jpg |섬네일 | px |로렌스 알마 타데마(Lawrence Alma Tadema), <바로의 맏아들의 죽음>, 1872]] | [[파일:Death of the Firstborn Alma Tadema.jpg |섬네일 | px |로렌스 알마 타데마(Lawrence Alma Tadema), <바로의 맏아들의 죽음>, 1872]] | ||
모세와 아론은 애굽 왕 바로에게 가서, 이스라엘을 해방시키라는 하나님의 뜻을 전했으나 바로는 듣지 않고 도리어 노역을 가중시키며 이스라엘 민족을 학대했다. 하나님은 애굽 사람들과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당신의 권능을 보이기 위해 열 가지 재앙을 내리셨다.<ref>출애굽기 7:13-12:30 | 모세와 아론은 애굽 왕 바로에게 가서, 이스라엘을 해방시키라는 하나님의 뜻을 전했으나 바로는 듣지 않고 도리어 노역을 가중시키며 이스라엘 민족을 학대했다. 하나님은 애굽 사람들과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당신의 권능을 보이기 위해 열 가지 재앙을 내리셨다.<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7장 출애굽기 7:13-12:30]</ref> | ||
애굽에 내린 열 가지 재앙은 다음과 같다.<br> | 애굽에 내린 열 가지 재앙은 다음과 같다.<br> | ||
| 49번째 줄: | 49번째 줄: | ||
⑩ 열 번째 재앙: 장자를 멸하는 재앙 | ⑩ 열 번째 재앙: 장자를 멸하는 재앙 | ||
모세와 아론이 예고한 대로 아홉 가지 재앙이 내렸지만 바로는 이스라엘 백성을 내보내지 않았다. 마침내, 하나님은 애굽의 모든 | 모세와 아론이 예고한 대로 아홉 가지 재앙이 내렸지만 바로는 이스라엘 백성을 내보내지 않았다. 마침내, 하나님은 애굽의 모든 [[장자]]를 멸하는 마지막 열 번째 재앙을 내리셨다. 모세와 아론에게는 열 번째 재앙을 피하는 방법을 알려주어 이스라엘 백성들의 생명을 보존토록 하셨다. '''마지막 재앙을 면하는 방법은''' 바로 '''[[유월절]]을 지키는 것'''이었다.<br> | ||
이스라엘 백성들이 유월절을 지킨 그 밤, 애굽 땅에는 바로의 장자로부터 감옥에 갇힌 사람의 장자, 가축의 처음 난 것까지 다 죽임을 당했다. 애굽 전역에는 큰 통곡 소리가 울렸다. 그러나 하나님의 말씀대로 유월절을 지킨 이스라엘 백성들은 재앙을 면했다. 바로는 그제야 이스라엘 백성들을 놓아주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2장 |제목=출애굽기 12:29-31 |저널= }}</ref><br> | 이스라엘 백성들이 유월절을 지킨 그 밤, 애굽 땅에는 바로의 장자로부터 감옥에 갇힌 사람의 장자, 가축의 처음 난 것까지 다 죽임을 당했다. 애굽 전역에는 큰 통곡 소리가 울렸다. 그러나 하나님의 말씀대로 유월절을 지킨 이스라엘 백성들은 재앙을 면했다. 바로는 그제야 이스라엘 백성들을 놓아주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2장 |제목=출애굽기 12:29-31 |저널= }}</ref><br> | ||
하나님은 재앙에서 구원받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유월절을 영원한 규례로 대대에 지킬 것을 명하셨다. | 하나님은 재앙에서 구원받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유월절을 영원한 규례로 대대에 지킬 것을 명하셨다. | ||
| 64번째 줄: | 64번째 줄: | ||
====아말렉과 전투==== | ====아말렉과 전투==== | ||
[[파일:VictoryOLord.JPG |섬네일 | 250px |모세가 손을 들어 이스라엘이 아말렉과의 전투에서 승리했다. 존 에버렛 밀레이(John Everett Millais), <승리의 하나님>, 1871. ]] | [[파일:VictoryOLord.JPG |섬네일 | 250px |모세가 손을 들어 이스라엘이 아말렉과의 전투에서 승리했다. 존 에버렛 밀레이(John Everett Millais), <승리의 하나님>, 1871. ]] | ||
이스라엘 백성들이 신 광야를 거쳐 르비딤에 있을 때,<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7장 |제목=출애굽기 17:1 |저널= |인용문=이스라엘 자손의 온 회중이 여호와의 명령대로 신 광야에서 떠나 그 노정대로 행하여 르비딤에 장막을 쳤으나}}</ref>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4611&cid=50762&categoryId=51387 아말렉] 족속이 이스라엘을 공격했다. 모세는 [[여호수아 (인물)|여호수아]]에게 군대를 이끌고 싸우게 하고 자신은 아론과 | 이스라엘 백성들이 신 광야를 거쳐 르비딤에 있을 때,<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7장 |제목=출애굽기 17:1 |저널= |인용문=이스라엘 자손의 온 회중이 여호와의 명령대로 신 광야에서 떠나 그 노정대로 행하여 르비딤에 장막을 쳤으나}}</ref>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4611&cid=50762&categoryId=51387 아말렉] 족속이 이스라엘을 공격했다. 모세는 [[여호수아 (인물)|여호수아]]에게 군대를 이끌고 싸우게 하고 자신은 아론과 훌을 데리고 산꼭대기에 올라갔다. 모세가 손을 들면 이스라엘이 이기고 손을 내리면 아말렉이 이겼다. 모세가 힘들어하자 아론과 훌이 좌우편에서 그의 팔을 붙들어 올려서 해가 지도록 내려오지 않게 했다. 결국 여호수아의 군대는 전쟁에서 승리했다.<br> | ||
전쟁이 끝난 후, 모세는 단을 쌓고 하나님께 감사를 드리고 그곳을 '여호와 닛시'라고 불렀다. 이는 '여호와는 나의 깃발'이라는 뜻이다.<ref name="아말렉 전투">{{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EA%B0%9C%EC%97%AD%ED%95%9C%EA%B8%80%ED%8C%90/%EC%B6%9C%EC%95%A0%EA%B5%BD%EA%B8%B0#17%EC%9E%A5|제목=출애굽기 17:8-16|언어= | 전쟁이 끝난 후, 모세는 단을 쌓고 하나님께 감사를 드리고 그곳을 '[[여호와]] 닛시'라고 불렀다. 이는 '여호와는 나의 깃발'이라는 뜻이다.<ref name="아말렉 전투">{{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EA%B0%9C%EC%97%AD%ED%95%9C%EA%B8%80%ED%8C%90/%EC%B6%9C%EC%95%A0%EA%B5%BD%EA%B8%B0#17%EC%9E%A5|제목=출애굽기 17:8-16|언어=|확인날짜=}}</ref> | ||
====첫 번째 십계명을 받음==== | ====첫 번째 십계명을 받음==== | ||
| 76번째 줄: | 76번째 줄: | ||
====금송아지 우상 숭배 사건==== | ====금송아지 우상 숭배 사건==== | ||
[[파일:금송아지 우상 숭배2.jpg|섬네일|금송아지 우상을 숭배하는 이스라엘 백성들]][[파일:Mosesonmountsinai.jpg |섬네일 | px |다니엘 다볼테라(Daniele da Volterra), <시내산의 모세>, 1545-1555]]모세가 40일 동안 시내산에서 내려오지 않자 백성들은 아론에게 찾아가 모세의 생사가 불분명하니 자신들을 인도할 신을 만들어달라고 요청했다. 아론은 백성들이 가져온 금귀고리를 녹여 송아지 형상을 만들었다. 백성들은 그 금송아지를 자신들을 애굽에서 인도한 신이라 부르며 그 앞에 제단을 쌓아 제사를 하고 앉아서 먹고 마시고 뛰놀았다. 또 임의대로 '내일이 여호와의 절일'이라고 공포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2장 |제목=출애굽기 32:1-6 |저널= }}</ref><br> | [[파일:금송아지 우상 숭배2.jpg|섬네일|금송아지 우상을 숭배하는 이스라엘 백성들]][[파일:Mosesonmountsinai.jpg |섬네일 | px |다니엘 다볼테라(Daniele da Volterra), <시내산의 모세>, 1545-1555]]모세가 40일 동안 시내산에서 내려오지 않자 백성들은 아론에게 찾아가 모세의 생사가 불분명하니 자신들을 인도할 신을 만들어달라고 요청했다. 아론은 백성들이 가져온 금귀고리를 녹여 송아지 형상을 만들었다. 백성들은 그 금송아지를 자신들을 애굽에서 인도한 신이라 부르며 그 앞에 제단을 쌓아 제사를 하고 앉아서 먹고 마시고 뛰놀았다. 또 임의대로 '내일이 여호와의 절일'이라고 공포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2장 |제목=출애굽기 32:1-6 |저널= }}</ref><br> | ||
이에 진노하신 하나님은 모세에게 백성들이 부패하여 [[우상]]을 숭배하였으니 그들 모두를 진멸하겠다고 말씀하셨다. 모세가 뜻을 돌이켜달라고 간청하자 하나님은 그 간절함을 보시고 재앙을 내리지 않으셨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EA%B0%9C%EC%97%AD%ED%95%9C%EA%B8%80%ED%8C%90/%EC%B6%9C%EC%95%A0%EA%B5%BD%EA%B8%B0#32%EC%9E%A5|제목=출애굽기 32:7-14|언어= | 이에 진노하신 하나님은 모세에게 백성들이 부패하여 [[우상]]을 숭배하였으니 그들 모두를 진멸하겠다고 말씀하셨다. 모세가 뜻을 돌이켜달라고 간청하자 하나님은 그 간절함을 보시고 재앙을 내리지 않으셨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EA%B0%9C%EC%97%AD%ED%95%9C%EA%B8%80%ED%8C%90/%EC%B6%9C%EC%95%A0%EA%B5%BD%EA%B8%B0#32%EC%9E%A5|제목=출애굽기 32:7-14|언어=|확인날짜=}}</ref><br> | ||
모세는 시내산에서 내려오다가 백성들이 금송아지 형상의 우상을 숭배하는 광경을 보았다. 분노한 모세는 손에 들고 있던 돌판을 산 아래로 던져 깨트렸다. 모세가 하나님의 편에 선 자와 그렇지 아니한 자들을 구분하여 서게 하자 레위 지파 사람들이 하나님의 편에 섰다. 모세는 레위 지파에게 금송아지 우상을 숭배한 자들을 처단케 했다. 그날 백성 중에 3000명이 죽임을 당했다.<ref name="놋뱀사건">{{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EA%B0%9C%EC%97%AD%ED%95%9C%EA%B8%80%ED%8C%90/%EC%B6%9C%EC%95%A0%EA%B5%BD%EA%B8%B0#32%EC%9E%A5|제목=출애굽기 32:15-28|언어= | 모세는 시내산에서 내려오다가 백성들이 금송아지 형상의 우상을 숭배하는 광경을 보았다. 분노한 모세는 손에 들고 있던 돌판을 산 아래로 던져 깨트렸다. 모세가 하나님의 편에 선 자와 그렇지 아니한 자들을 구분하여 서게 하자 레위 지파 사람들이 하나님의 편에 섰다. 모세는 레위 지파에게 금송아지 우상을 숭배한 자들을 처단케 했다. 그날 백성 중에 3000명이 죽임을 당했다.<ref name="놋뱀사건">{{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EA%B0%9C%EC%97%AD%ED%95%9C%EA%B8%80%ED%8C%90/%EC%B6%9C%EC%95%A0%EA%B5%BD%EA%B8%B0#32%EC%9E%A5|제목=출애굽기 32:15-28|언어=|확인날짜=}}</ref> | ||
====두 번째 십계명을 받음==== | ====두 번째 십계명을 받음==== | ||
모세는 하나님께 나아가 이스라엘 백성들의 죄를 회개하고 용서를 구했다. 만약 죄를 사하지 않으신다면 하나님이 기록하신 (생명)책에서 자신의 이름을 지워달라고 했다. 하나님은 "누구든지 내게 범죄하면 그는 내가 내 책에서 지워버리리라" 하고 말씀하셨다.<ref name="모세 용서">{{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2장 |제목=출애굽기 32:30-33 |저널= }}</ref><br> | 모세는 하나님께 나아가 이스라엘 백성들의 죄를 회개하고 용서를 구했다. 만약 죄를 사하지 않으신다면 하나님이 기록하신 (생명)책에서 자신의 이름을 지워달라고 했다. 하나님은 "누구든지 내게 범죄하면 그는 내가 내 책에서 지워버리리라" 하고 말씀하셨다.<ref name="모세 용서">{{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2장 |제목=출애굽기 32:30-33 |저널= }}</ref><br> | ||
하나님은 모세에게 백성들의 | 하나님은 모세에게 백성들의 단장품을 제하도록 하신 후,<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3장 |제목=출애굽기 33:5-6 |저널= |인용문=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기를 이스라엘 자손에게 이르라 너희는 목이 곧은 백성인즉 내가 순식간이라도 너희 중에 행하면 너희를 진멸하리니 너희 단장품을 제하라 그리하면 내가 너희에게 어떻게 할 일을 알겠노라 하셨음이라 이스라엘 자손이 호렙 산에서부터 그 단장품을 제하니라}}</ref> 돌판 둘을 처음 것과 같이 깎아 만들어 시내산으로 올라오라고 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4장 |제목=출애굽기 34:1 |저널= |인용문=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너는 돌판 둘을 처음 것과 같이 깎아 만들라 네가 깨뜨린 바 처음 판에 있던 말을 내가 그 판에 쓰리니}}</ref> 모세가 그대로 하자 하나님이 시내산에 강림하셨다. 하나님은 백성들과 언약을 세우겠다고 하시며 "다른 신에게 절하지 말고 신상을 만들지 말며 일곱째 날 [[안식일]]을 지키고 해마다 [[무교절]]과 [[칠칠절]]과 [[초막절|수장절]]을 지키라"라고 명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4장 |제목=출애굽기 34:18-22 |저널= |인용문=너는 무교절을 지키되 내가 네게 명한 대로 아빕월 그 기한에 칠 일 동안 무교병을 먹으라 이는 네가 아빕월에 애굽에서 나왔음이니라 ... 칠칠절 곧 맥추의 초실절을 지키고 가을에는 수장절을 지키라}}</ref> 모세는 떡도 먹지 않고 물도 마시지 않고 40일을 하나님과 함께 그곳에 있었다. 하나님은 전에 처음 판에 쓰셨던 언약의 말씀, 곧 십계명을 돌판에 기록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4장 |제목=출애굽기 34:27-28 |저널= |인용문=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너는 이 말들을 기록하라 내가 이 말들의 뜻대로 너와 이스라엘과 언약을 세웠음이니라 하시니라 모세가 여호와와 함께 사십일 사십야를 거기 있으면서 떡도 먹지 아니하였고 물도 마시지 아니하였으며 여호와께서는 언약의 말씀 곧 십계를 그 판들에 기록하셨더라}}</ref> 모세는 성력 7월 10일에 두 번째 십계명을 받아가지고 내려왔고 이날은 [[대속죄일]]의 유래가 되었다. | ||
====고라당의 반역==== | ====고라당의 반역==== | ||
| 86번째 줄: | 86번째 줄: | ||
레위 지파에 속한 고라, 르우벤 지파에 속한 다단, 아비람, 온이 [[제사장]] 직분을 탐내어 당을 짓고 족장 250명과 더불어 모세와 아론을 반역했다. 모세가 분수에 넘친 그들의 행위를 꾸짖었지만 소용없었다. <br> | 레위 지파에 속한 고라, 르우벤 지파에 속한 다단, 아비람, 온이 [[제사장]] 직분을 탐내어 당을 짓고 족장 250명과 더불어 모세와 아론을 반역했다. 모세가 분수에 넘친 그들의 행위를 꾸짖었지만 소용없었다. <br> | ||
고라 일당이 온 백성을 모아 모세와 아론을 대적하려 할 때 하나님의 영광이 나타났다. 하나님은 모세와 아론에게 그들을 순식간에 진멸하겠다며 고라 일당의 장막에서 물러서라 하셨고, 백성들이 물러서자 땅이 갈라져 고라와 그 일당은 물론, 그들의 가족과 그들에게 속했던 사람과 물건까지 모두 집어삼켰다. 250명의 족장들은 하나님이 내리신 불로 소멸됐다.<br> | 고라 일당이 온 백성을 모아 모세와 아론을 대적하려 할 때 하나님의 영광이 나타났다. 하나님은 모세와 아론에게 그들을 순식간에 진멸하겠다며 고라 일당의 장막에서 물러서라 하셨고, 백성들이 물러서자 땅이 갈라져 고라와 그 일당은 물론, 그들의 가족과 그들에게 속했던 사람과 물건까지 모두 집어삼켰다. 250명의 족장들은 하나님이 내리신 불로 소멸됐다.<br> | ||
다음 날 이스라엘 백성들이 몰려와 백성들을 죽게 했다며 모세와 아론을 원망하자, 진노하신 하나님이 백성들에게 염병을 내렸다. 이 재앙으로 1만 4700명이 죽임을 당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EA%B0%9C%EC%97%AD%ED%95%9C%EA%B8%80%ED%8C%90/%EB%AF%BC%EC%88%98%EA%B8%B0#16%EC%9E%A5|제목=민수기 16장|언어= | 다음 날 이스라엘 백성들이 몰려와 백성들을 죽게 했다며 모세와 아론을 원망하자, 진노하신 하나님이 백성들에게 염병을 내렸다. 이 재앙으로 1만 4700명이 죽임을 당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EA%B0%9C%EC%97%AD%ED%95%9C%EA%B8%80%ED%8C%90/%EB%AF%BC%EC%88%98%EA%B8%B0#16%EC%9E%A5|제목=민수기 16장|언어=|확인날짜=}}</ref> | ||
====모세의 실수==== | ====모세의 실수==== | ||
[[파일:Poussin, Nicolas - Moses Striking Water from the Rock - 1649.jpg |섬네일 | px |니콜라 푸생(Nicolas Poussin), <반석을 치는 모세>, 1649]] | [[파일:Poussin, Nicolas - Moses Striking Water from the Rock - 1649.jpg |섬네일 | px |니콜라 푸생(Nicolas Poussin), <반석을 치는 모세>, 1649]] | ||
| 105번째 줄: | 105번째 줄: | ||
====모세의 죽음==== | ====모세의 죽음==== | ||
모세는 느보산에서 죽어 장사되었다. 그때 모세의 나이는 120세였다. 그는 죽을 때까지 눈이 흐리지 않았고 기력도 쇠하지 않았다. 모세는 하나님과 대면한 유일한 선지자로, 그 같은 선지자는 이스라엘에 다시 나오지 않았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모세의 죽음을 슬퍼하며 30일 동안 애곡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34장 |제목=신명기 34:7-10 |저널= |인용문=모세의 죽을 때 나이 | 모세는 느보산에서 죽어 장사되었다. 그때 모세의 나이는 120세였다. 그는 죽을 때까지 눈이 흐리지 않았고 기력도 쇠하지 않았다. 모세는 하나님과 대면한 유일한 선지자로, 그 같은 선지자는 이스라엘에 다시 나오지 않았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모세의 죽음을 슬퍼하며 30일 동안 애곡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34장 |제목=신명기 34:7-10 |저널= |인용문=모세의 죽을 때 나이 일백 이십세나 그 눈이 흐리지 아니하였고 기력이 쇠하지 아니하였더라 이스라엘 자손이 모압 평지에서 애곡하는 기한이 맟도록 모세를 위하여 삼십일을 애곡하니라 ... 그 후에는 이스라엘에 모세와 같은 선지자가 일어나지 못하였나니 모세는 여호와께서 대면하여 아시던 자요}}</ref> | ||
== 모세의 생애 요약표 == | == 모세의 생애 요약표 == | ||
| 130번째 줄: | 130번째 줄: | ||
|- | |- | ||
| [[File:하나님이 친수로 쓰신 십계명.jpg|150px]] | | [[File:하나님이 친수로 쓰신 십계명.jpg|150px]] | ||
|・시내산에서 십계명 받음<br>・성막을 짓고 제사장과 | |・시내산에서 십계명 받음<br>・성막을 짓고 제사장과 [[레위인]]을 세움<br>・여호수아를 후계자로 임명<br>・느보산에서 죽음(120세) |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1장 출 31:18]<br>[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27장 민 27:18-20]<br>[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34장 신 34:7-10]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1장 출 31:18]<br>[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27장 민 27:18-20]<br>[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34장 신 34:7-10] | ||
|- | |- | ||
| 136번째 줄: | 136번째 줄: | ||
== 신약성경 속 모세 == | == 신약성경 속 모세 == | ||
구약과 신약은 그림자와 실체의 관계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8장 |제목=히브리서 8:5-6 |저널= |인용문=저희가 섬기는 것은 하늘에 있는 것의 모형과 그림자라 모세가 장막을 지으려 할 때에 지시하심을 얻음과 같으니 가라사대 삼가 모든 것을 산에서 네게 보이던 본을 좇아 지으라 하셨느니라 그러나 이제 그가 더 아름다운 직분을 얻으셨으니 이는 더 좋은 약속으로 세우신 더 좋은 언약의 중보시라}}</ref> 구약시대에 등장한 모세는 신약시대에 등장하신 [[예수 그리스도]]를 표상하는 인물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18장 |제목=신명기 18:17-18 |저널= |인용문=여호와께서 이르시되 그들의 말이 옳도다 내가 그들의 형제 중에 너와 같은 선지자 하나를 그들을 위하여 일으키고 내 말을 그 입에 두리니 내가 그에게 명하는 것을 그가 무리에게 다 고하리라}}</ref> 그래서 | 구약과 신약은 그림자와 실체의 관계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8장 |제목=히브리서 8:5-6 |저널= |인용문=저희가 섬기는 것은 하늘에 있는 것의 모형과 그림자라 모세가 장막을 지으려 할 때에 지시하심을 얻음과 같으니 가라사대 삼가 모든 것을 산에서 네게 보이던 본을 좇아 지으라 하셨느니라 그러나 이제 그가 더 아름다운 직분을 얻으셨으니 이는 더 좋은 약속으로 세우신 더 좋은 언약의 중보시라}}</ref> 구약시대에 등장한 모세는 신약시대에 등장하신 [[예수 그리스도]]를 표상하는 인물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18장 |제목=신명기 18:17-18 |저널= |인용문=여호와께서 내게 이르시되 그들의 말이 옳도다 내가 그들의 형제 중에 너와 같은 선지자 하나를 그들을 위하여 일으키고 내 말을 그 입에 두리니 내가 그에게 명하는 것을 그가 무리에게 다 고하리라}}</ref> 그래서 [[성경]]은 예수님을 모세와 같은 선지자라고 예언했다.{{인용문5 |내용= 또 주께서 너희를 위하여 예정하신 '''그리스도 곧 예수'''를 보내시리니 ... '''모세'''가 말하되 주 하나님이 너희를 위하여 너희 형제 가운데서 '''나 같은 선지자''' 하나를 세울 것이니 너희가 무엇이든지 그 모든 말씀을 들을 것이라 ... 사무엘 때부터 옴으로 말한 모든 선지자도 '''이때'''를 가리켜 말하였느니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3장 사도행전 3:20–24]}} | ||
이로 볼 때 모세의 행적은 예수님의 행적에 대한 예표이다. 실제 [[모세와 예수님]]의 생애와 행적을 비교하면 출생부터 시작해 동일한 양상을 다수 발견할 수 있다. | 이로 볼 때 모세의 행적은 예수님의 행적에 대한 예표이다. 실제 [[모세와 예수님]]의 생애와 행적을 비교하면 출생부터 시작해 동일한 양상을 다수 발견할 수 있다. | ||
<small>{{참고|모세와 예수님|l1=모세와 예수님|설명=더 자세한 내용은}}</small> | <small>{{참고|모세와 예수님|l1=모세와 예수님|설명=더 자세한 내용은}}</small>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