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도의 율법: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 문자열을 """ 문자열로 |
편집 요약 없음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그리스도의 율법'''(The Law of Christ)은 [[예수 그리스도]]가 세우신 완전한 율법이다. 언약으로 표현할 때는 '[[새 언약]]'이라고 한다.<br> | '''그리스도의 율법'''(The Law of Christ)은 [[예수 그리스도]]가 세우신 완전한 율법이다. 언약으로 표현할 때는 '[[새 언약]]'이라고 한다.<br> | ||
예수님은 십자가 희생으로 구약의 [[모세의 율법]]을 폐하고 신약시대 율법인 그리스도의 율법을 새롭게 세우셨다. 성도들은 그리스도의 율법을 지킴으로써 죄 사함, 영생 등 하나님의 축복을 받으며 [[그리스도]]의 사랑을 깨닫게 된다. | 예수님은 십자가 희생으로 구약의 [[모세의 율법]]을 폐하고 신약시대 율법인 그리스도의 율법을 새롭게 세우셨다. 성도들은 그리스도의 율법을 지킴으로써 죄 사함, 영생 등 하나님의 축복을 받으며 [[그리스도]]의 사랑을 깨닫게 된다. | ||
| 5번째 줄: | 4번째 줄: | ||
==모세의 율법과 그리스도의 율법== | ==모세의 율법과 그리스도의 율법== | ||
===율법의 변역=== | ===율법의 변역=== | ||
[[File:Moses Receiving the Tablets of the Law by Benjamin West.JPG|섬네일|150px|하나님이 모세를 통해 세우신 구약 율법은 그리스도의 율법으로 변역되었다.<br>벤저민 웨스트(Benjamin West), 1777]] | [[File:Moses Receiving the Tablets of the Law by Benjamin West.JPG|섬네일|150px|하나님이 모세를 통해 세우신 구약 율법은 그리스도의 율법으로 변역되었다.<br>벤저민 웨스트(Benjamin West), 〈십계명 받는 모세〉, 1777]] | ||
오늘날 그리스도의 율법에 대해 아는 기독교인이 많지 않다. 대부분 모세의 율법, 한 가지만 있다고 생각하고 율법은 폐지되었기 때문에 지킬 필요가 없다고 말한다. 실상 [[성경]]에는 두 가지 율법이 있다. 모세의 율법과 그리스도의 율법이다.<br> | 오늘날 그리스도의 율법에 대해 아는 기독교인이 많지 않다. 대부분 모세의 율법, 한 가지만 있다고 생각하고 율법은 폐지되었기 때문에 지킬 필요가 없다고 말한다. 실상 [[성경]]에는 두 가지 율법이 있다. 모세의 율법과 그리스도의 율법이다.<br> | ||
그리스도의 율법이 세워지기 전까지 구약시대 | 그리스도의 율법이 세워지기 전까지 구약시대 이스라엘 백성은 모세의 율법을 지켰다. 모세의 율법은 [[여호와]] 하나님이 [[시내산]]에서 선지자 [[모세]]를 통해 세우신 율법이다. 모세의 율법으로는 사람이 의롭다 함을 얻을 수 없고<ref name=":0" /> [[영혼]]이 온전한 구원에 이르지 못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7장|제목=히브리서 7:18–19|인용문=전엣 계명이 연약하며 무익하므로 폐하고 (율법은 아무것도 온전케 못할지라)}}</ref> 인류 구원을 위해 이 세상에 오신 예수 그리스도는 모세의 율법 대신 구원에 이르게 하는 완전한 율법을 세우셨다. 이것이 그리스도의 율법이다. | ||
{{인용문5 |내용=내가 '''율법'''이나 선지자나 폐하러 온 줄로 생각지 말라 '''폐하러 온 것이 아니요 완전케 하려 함이로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5장 마태복음 5:17]}} | {{인용문5 |내용=내가 '''율법'''이나 선지자나 폐하러 온 줄로 생각지 말라 '''폐하러 온 것이 아니요 완전케 하려 함이로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5장 마태복음 5:17]}} | ||
예수님은 율법 자체를 폐지한 것이 아니라 불완전한 모세의 율법을 폐하셨을 뿐이다. 동시에 완전케 된 새 율법, 그리스도의 율법을 세우셨다. 그래서 [[히브리서]] 기자는 율법이 변역(變易, 고쳐져 바뀜)되었다고 설명했다. | 예수님은 율법 자체를 폐지한 것이 아니라 불완전한 모세의 율법을 폐하셨을 뿐이다. 동시에 완전케 된 새 율법, 그리스도의 율법을 세우셨다. 그래서 [[히브리서]] 기자는 율법이 변역(變易, 고쳐져 바뀜)되었다고 설명했다. | ||
{{인용문5 |내용= 제사 직분이 변역한즉 '''율법도 반드시 변역하리니'''|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7장 히브리서 7:12]}} | {{인용문5 |내용= 제사 직분이 변역한즉 '''율법도 반드시 변역하리니'''|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7장 히브리서 7:12]}} | ||
그리스도의 등장으로 구약시대에서 신약시대로 바뀜에 따라 제사장 직분([[제사장 반차]])이 바뀌고 율법도 바뀌었다. 모세의 율법이 그리스도의 율법으로 바뀌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가 [[유월절]]이다. 구약시대에는 모세의 율법에 따라 유월절을 어린양 희생 제물을 드려 지켰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2장|제목=출애굽기 12:5–33|인용문=너희 어린양은 흠 없고 1년 된 수컷으로 하되 양이나 염소 중에서 취하고 이달 14일까지 간직하였다가 해 질 때에 이스라엘 회중이 그 양을 잡고 ... 밤에 바로가 모세와 아론을 불러서 이르되 너희와 이스라엘 자손은 일어나 내 백성 가운데서 떠나서 너희의 말대로 가서 여호와를 섬기며 너희의 말대로 너희의 양도 소도 몰아가고 나를 위하여 축복하라 하며 애굽 사람들은 말하기를 우리가 다 죽은 자가 되도다 하고 백성을 재촉하여 그 지경에서 속히 보내려 하므로}}</ref> 신약시대에는 유월절 양의 실체로 오신 그리스도의 살과 피를 상징하는 떡과 포도주로 유월절을 지킨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5장|제목=고린도전서 5:7–8|인용문=우리의 유월절 양 곧 그리스도께서 희생이 되셨느니라 이러므로 우리가 명절을 지키되}}</ref><ref name="새 언약"/> 모세의 율법으로 지키던 유월절은, 신약시대 예수님으로 말미암아 지키는 방식이 바뀌었다. 즉 그리스도의 율법으로 변역된 것이다. | 그리스도의 등장으로 구약시대에서 신약시대로 바뀜에 따라 [[제사장]] 직분([[제사장 반차]])이 바뀌고 율법도 바뀌었다. 모세의 율법이 그리스도의 율법으로 바뀌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가 [[유월절]]이다. 구약시대에는 모세의 율법에 따라 유월절을 어린양 희생 제물을 드려 지켰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2장|제목=출애굽기 12:5–33|인용문=너희 어린양은 흠 없고 1년 된 수컷으로 하되 양이나 염소 중에서 취하고 이달 14일까지 간직하였다가 해 질 때에 이스라엘 회중이 그 양을 잡고 ... 밤에 바로가 모세와 아론을 불러서 이르되 너희와 이스라엘 자손은 일어나 내 백성 가운데서 떠나서 너희의 말대로 가서 여호와를 섬기며 너희의 말대로 너희의 양도 소도 몰아가고 나를 위하여 축복하라 하며 애굽 사람들은 말하기를 우리가 다 죽은 자가 되도다 하고 백성을 재촉하여 그 지경에서 속히 보내려 하므로}}</ref> 신약시대에는 유월절 양의 실체로 오신 그리스도의 살과 피를 상징하는 떡과 포도주로 유월절을 지킨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5장|제목=고린도전서 5:7–8|인용문=우리의 유월절 양 곧 그리스도께서 희생이 되셨느니라 이러므로 우리가 명절을 지키되}}</ref><ref name="새 언약"/> 모세의 율법으로 지키던 유월절은, 신약시대 예수님으로 말미암아 지키는 방식이 바뀌었다. 즉 그리스도의 율법으로 변역된 것이다. | ||
===신약시대의 율법=== | ===신약시대의 율법=== | ||
| 33번째 줄: | 32번째 줄: | ||
::"너희는 누룩 없는 자인데 새 덩어리가 되기 위하여 묵은 누룩을 내어버리라 우리의 유월절 양 곧 그리스도께서 희생이 되셨느니라 이러므로 우리가 '''명절[유월절]'''을 지키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5장 고린도전서 5장 7–8절])<br> | ::"너희는 누룩 없는 자인데 새 덩어리가 되기 위하여 묵은 누룩을 내어버리라 우리의 유월절 양 곧 그리스도께서 희생이 되셨느니라 이러므로 우리가 '''명절[유월절]'''을 지키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5장 고린도전서 5장 7–8절])<br> | ||
사도들이 지킨 규례들은 모세의 율법을 따라 지킨 것이 아니라 예수님의 본을 따라 지킨 그리스도의 율법이다. 구약의 | 사도들이 지킨 규례들은 모세의 율법을 따라 지킨 것이 아니라 예수님의 본을 따라 지킨 그리스도의 율법이다. 구약의 [[할례]]는 신약의 침례로, 짐승으로 제사하던 [[옛 언약]]의 안식일과 절기는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하는 새 언약의 안식일과 절기로 바뀌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골로새서#2장 |제목=골로새서 2:11-12 |저널= |인용문=또 그 안에서 너희가 손으로 하지 아니한 할례를 받았으니 곧 육적 몸을 벗는 것이요 그리스도의 할례니라 너희가 침례로 그리스도와 함께 장사한 바 되고 또 죽은 자들 가운데서 그를 일으키신 하나님의 역사를 믿음으로 말미암아 그 안에서 함께 일으키심을 받았느니라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4장 |제목=요한복음 4:23-24 |저널= |인용문=아버지께 참으로 예배하는 자들은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할 때가 오나니 곧 이 때라 아버지께서는 이렇게 자기에게 예배하는 자들을 찾으시느니라 하나님은 영이시니 예배하는 자가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할지니라 }}</ref> 신약시대 성도는 예수님과 사도들의 본을 따라 새 언약의 침례, 안식일, 오순절, 초막절, 유월절 등 그리스도의 율법을 지켜야 한다. | ||
==그리스도의 율법의 특징== | ==그리스도의 율법의 특징== | ||
===시온에서 나온 율법=== | ===시온에서 나온 율법=== | ||
[[File:Michelangelo, profeti, Isaiah 01.jpg|섬네일|200px|선지자 이사야는 시온에서 율법이 나온다고 예언했다. <br>미켈란젤로(Michelangelo Buonarroti), 1509]] | [[File:Michelangelo, profeti, Isaiah 01.jpg|섬네일|200px|선지자 이사야는 시온에서 율법이 나온다고 예언했다. <br>미켈란젤로(Michelangelo Buonarroti), 〈이사야〉, 1509]] | ||
그리스도의 율법이 세워질 것에 대해 구약시대 선지자 [[이사야]]는 [[시온]]산에서 새 율법이 나올 것이라고 예언했다. | 그리스도의 율법이 세워질 것에 대해 구약시대 선지자 [[이사야]]는 [[시온]]산에서 새 율법이 나올 것이라고 예언했다. | ||
{{인용문5 |내용='''말일'''에 여호와의 전의 산이 모든 산 꼭대기에 굳게 설 것이요 모든 작은 산 위에 뛰어나리니 '''만방'''(異邦, 공동번역: '''모든 민족''')이 그리로 모여들 것이라 '''많은 백성'''이 가며 이르기를 오라 우리가 여호와의 산에 오르며 야곱의 하나님의 전에 이르자 그가 그 도로 우리에게 가르치실 것이라 우리가 그 길로 행하리라 하리니 이는 '''율법이 시온에서부터 나올 것이요''' 여호와의 말씀이 예루살렘에서부터 나올 것임이니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2장 이사야 2:2–3]}} | {{인용문5 |내용='''말일'''에 여호와의 전의 산이 모든 산 꼭대기에 굳게 설 것이요 모든 작은 산 위에 뛰어나리니 '''만방'''(異邦, 공동번역: '''모든 민족''')이 그리로 모여들 것이라 '''많은 백성'''이 가며 이르기를 오라 우리가 여호와의 산에 오르며 야곱의 하나님의 전에 이르자 그가 그 도로 우리에게 가르치실 것이라 우리가 그 길로 행하리라 하리니 이는 '''율법이 시온에서부터 나올 것이요''' 여호와의 말씀이 예루살렘에서부터 나올 것임이니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2장 이사야 2:2–3]}} | ||
구약시대에는 이스라엘 민족만 | 구약시대에는 이스라엘 민족만 [[하나님]]의 백성으로 인정받았다. 만국 사람들과 수많은 민족이 하나님께로 와서 가르침 받는다는 말씀은 신약시대에 관한 예언이다. 또한 구약시대 모세의 율법은 시내산에서 반포되었다. 시온에서 율법이 나온다고 했으므로 신약시대 성도들이 지켜야 할 율법이 분명 존재한다는 말씀이다.<br> | ||
시온은 원래 예루살렘에 있는 언덕 또는 그 위의 성을 가리키는 지명이지만, 새 율법이 나오는 시온은 [[영적 시온]]으로서 새 언약 절기를 지키는 교회를 의미한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33장|제목=이사야 33:20–22|인용문=우리의 절기 지키는 시온성을 보라 ... 대저 여호와는 우리 재판장이시요 여호와는 우리에게 율법을 세우신 자시요 여호와는 우리의 왕이시니 우리를 구원하실 것임이니라}}</ref> | 시온은 원래 예루살렘에 있는 언덕 또는 그 위의 성을 가리키는 지명이지만, 새 율법이 나오는 시온은 [[영적 시온]]으로서 새 언약 절기를 지키는 교회를 의미한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33장|제목=이사야 33:20–22|인용문=우리의 절기 지키는 시온성을 보라 ... 대저 여호와는 우리 재판장이시요 여호와는 우리에게 율법을 세우신 자시요 여호와는 우리의 왕이시니 우리를 구원하실 것임이니라}}</ref> | ||
===예수 그리스도가 세운 새 언약=== | ===예수 그리스도가 세운 새 언약=== | ||
[[파일: | [[파일:최후의 만찬 유월절.jpg|섬네일| 유월절 성만찬 자리에서 새 언약을 세우신 예수 그리스도]] | ||
[[예레미야 (선지자)|예레미야]]는 장차 하나님이 직접 세우실 '새 언약'을 가리켜 '하나님의 법'이라고 예언했다. | [[예레미야 (선지자)|예레미야]]는 장차 하나님이 직접 세우실 '새 언약'을 가리켜 '하나님의 법'이라고 예언했다. | ||
{{인용문5 |내용=나 '''여호와'''가 말하노라 보라 날이 이르리니 내가 이스라엘 집과 유다 집에 '''새 언약을 세우리라''' ... 나 여호와가 말하노라 그러나 그날 후에 내가 이스라엘 집에 세울 언약은 이러하니 곧 내가 '''나의 법'''을 그들의 속에 두며 그 마음에 기록하여 나는 그들의 하나님이 되고 그들은 내 백성이 될 것이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31장 예레미야 31:31–33]}} | {{인용문5 |내용=나 '''여호와'''가 말하노라 보라 날이 이르리니 내가 이스라엘 집과 유다 집에 '''새 언약을 세우리라''' ... 나 여호와가 말하노라 그러나 그날 후에 내가 이스라엘 집에 세울 언약은 이러하니 곧 내가 '''나의 법'''을 그들의 속에 두며 그 마음에 기록하여 나는 그들의 하나님이 되고 그들은 내 백성이 될 것이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31장 예레미야 31:31–33]}} | ||
| 55번째 줄: | 54번째 줄: | ||
그리스도의 율법, 새 언약 안에는 하나님의 특별한 은혜가 담겨 있다. 모세의 율법이나 세상의 일반 법은 지키지 않으면 그에 따른 형벌을 받는다. 한마디로 죄인을 정죄하는 법이다. 하지만 새 언약은 죄인을 용서하는 법이다. 속죄 제물이 되신 그리스도의 희생을 힘입어 죄인의 지난 죄와 허물을 사해주는, 아주 특별한 법이라 할 수 있다. | 그리스도의 율법, 새 언약 안에는 하나님의 특별한 은혜가 담겨 있다. 모세의 율법이나 세상의 일반 법은 지키지 않으면 그에 따른 형벌을 받는다. 한마디로 죄인을 정죄하는 법이다. 하지만 새 언약은 죄인을 용서하는 법이다. 속죄 제물이 되신 그리스도의 희생을 힘입어 죄인의 지난 죄와 허물을 사해주는, 아주 특별한 법이라 할 수 있다. | ||
{{인용문5 |내용=나 여호와가 말하노라 보라 날이 이르리니 내가 이스라엘 집과 유다 집에 '''새 언약'''을 세우리라 ... 나 여호와가 말하노라 그러나 그날 후에 내가 이스라엘 집에 세울 언약은 이러하니 곧 내가 나의 법을 그들의 속에 두며 그 마음에 기록하여 나는 그들의 하나님이 되고 그들은 내 백성이 될 것이라 그들이 다시는 각기 이웃과 형제를 가리켜 이르기를 너는 여호와를 알라 하지 아니하리니 이는 작은 자로부터 큰 자까지 다 나를 앎이니라 '''내가 그들의 죄악을 사하고 다시는 그 죄를 기억지 아니하리라 여호와의 말이니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31장 예레미야 31:31–34]}} | {{인용문5 |내용=나 여호와가 말하노라 보라 날이 이르리니 내가 이스라엘 집과 유다 집에 '''새 언약'''을 세우리라 ... 나 여호와가 말하노라 그러나 그날 후에 내가 이스라엘 집에 세울 언약은 이러하니 곧 내가 나의 법을 그들의 속에 두며 그 마음에 기록하여 나는 그들의 하나님이 되고 그들은 내 백성이 될 것이라 그들이 다시는 각기 이웃과 형제를 가리켜 이르기를 너는 여호와를 알라 하지 아니하리니 이는 작은 자로부터 큰 자까지 다 나를 앎이니라 '''내가 그들의 죄악을 사하고 다시는 그 죄를 기억지 아니하리라 여호와의 말이니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31장 예레미야 31:31–34]}} | ||
사람은 누구나 부족한 점이 있고 허물이 있기 때문에 구약 율법을 완전하게 지켜도 그 행위로는 의롭다 함을 받을 사람이 없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갈라디아서#2장|제목=갈라디아서 2:16|인용문=사람이 의롭게 되는 것은 율법의 행위에서 난 것이 아니요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는 줄 아는 고로 우리도 그리스도 예수를 믿나니 이는 우리가 율법의 행위에서 아니고 그리스도를 믿음으로서 의롭다 함을 얻으려 함이라 율법의 행위로서는 의롭다 함을 얻을 육체가 없느니라}}</ref> 구약 율법으로는 모두 죄인으로 드러날 뿐이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로마서#3장|제목=로마서 3:20–23|인용문=그러므로 율법의 행위로 그의 앞에 의롭다 하심을 얻을 육체가 없나니 율법으로는 죄를 깨달음이니라 ... 모든 사람이 죄를 범하였으매 하나님의 영광에 이르지 못하더니}}</ref> 또한 인류는 이 세상에 태어나기 전에 이미 하늘에서 죽을 죄를 지은 죄인들이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9장|제목=마태복음 9:13|인용문=너희는 가서 내가 긍휼을 원하고 제사를 원치 아니하노라 하신 뜻이 무엇인지 배우라 내가 의인을 부르러 온 것이 아니요 죄인을 부르러 왔노라 하시니라}}</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로마서#6장|제목=로마서 6:23|인용문=죄의 삯은 사망이요}}</ref> 그래서 하나님은 | 사람은 누구나 부족한 점이 있고 허물이 있기 때문에 구약 율법을 완전하게 지켜도 그 행위로는 의롭다 함을 받을 사람이 없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갈라디아서#2장|제목=갈라디아서 2:16|인용문=사람이 의롭게 되는 것은 율법의 행위에서 난 것이 아니요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는 줄 아는 고로 우리도 그리스도 예수를 믿나니 이는 우리가 율법의 행위에서 아니고 그리스도를 믿음으로서 의롭다 함을 얻으려 함이라 율법의 행위로서는 의롭다 함을 얻을 육체가 없느니라}}</ref> 구약 율법으로는 모두 죄인으로 드러날 뿐이다.<ref name=":0">{{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로마서#3장|제목=로마서 3:20–23|인용문=그러므로 율법의 행위로 그의 앞에 의롭다 하심을 얻을 육체가 없나니 율법으로는 죄를 깨달음이니라 ... 모든 사람이 죄를 범하였으매 하나님의 영광에 이르지 못하더니}}</ref> 또한 인류는 이 세상에 태어나기 전에 이미 하늘에서 죽을 죄를 지은 죄인들이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9장|제목=마태복음 9:13|인용문=너희는 가서 내가 긍휼을 원하고 제사를 원치 아니하노라 하신 뜻이 무엇인지 배우라 내가 의인을 부르러 온 것이 아니요 죄인을 부르러 왔노라 하시니라}}</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로마서#6장|제목=로마서 6:23|인용문=죄의 삯은 사망이요}}</ref> 그래서 하나님은 새 언약의 율법을 지키는 자로 하여금 당신의 피를 통해 과거의 모든 죄를 용서받고 생명을 얻게 하셨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베소서#1장|제목=에베소서 1:7|인용문=우리가 그리스도 안에서 그의 은혜의 풍성함을 따라 그의 피로 말미암아 구속 곧 죄 사함을 받았으니 }}</ref> 새 언약 안에 있는 성도들은 자신의 의로운 행위가 아니라 하나님의 은혜로 값없이 죄와 사망에서 구원을 받는 것이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베소서#2장|제목=에베소서 2:8|인용문=너희가 그 은혜를 인하여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얻었나니 이것이 너희에게서 난 것이 아니요 하나님의 선물이라}}</ref> 이런 점에서 그리스도의 율법 곧 새 언약은 죽을 죄인을 살리는 법, '생명의 [[성령]]의 법'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로마서#8장 |제목=로마서 8:1-2 |저널= |인용문=그러므로 이제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자에게는 결코 정죄함이 없나니 이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생명의 성령의 법이 죄와 사망의 법에서 너를 해방하였음이라 }}</ref> | ||
===사랑의 율법=== | ===사랑의 율법=== | ||
[[File:Jesus and Angel by Ary Scheffer.jpg | [[File:Jesus and Angel by Ary Scheffer.jpg|섬네일|150px|그리스도의 율법은 인류 구원을 위해 희생하신 하나님의 사랑을 깨닫게 한다.<br> | ||
아리 세페르(Ary Scheffer), | 아리 세페르(Ary Scheffer), 〈예수님과 천사〉, 1859]] | ||
"사랑은 율법의 완성"이라고 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로마서#13장|제목=로마서 13:10|인용문=사랑은 이웃에게 악을 행치 아니하나니 그러므로 사랑은 율법의 완성이니라}}</ref> 이 말씀은 그리스도의 율법을 지키는 성도들이 궁극적으로 가져야 할 정신을 설명한다. 그리스도의 율법 속에 인류를 구원하기 위해 희생하신 하나님의 사랑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br> | "사랑은 율법의 완성"이라고 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로마서#13장|제목=로마서 13:10|인용문=사랑은 이웃에게 악을 행치 아니하나니 그러므로 사랑은 율법의 완성이니라}}</ref> 이 말씀은 그리스도의 율법을 지키는 성도들이 궁극적으로 가져야 할 정신을 설명한다. 그리스도의 율법 속에 인류를 구원하기 위해 희생하신 하나님의 사랑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br> | ||
구약시대에는 모세의 율법에 따라 절기에 짐승의 희생 제물을 하나님께 드렸다. 그러나 짐승의 희생으로는 백성들이 하나님의 사랑을 깨닫기 어려웠다. 그리스도는 사람의 모습으로 이 세상에 와서 절기마다 희생되는 모든 제물의 실체가 되셨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9장|제목=히브리서 9:11–12|인용문=그리스도께서 장래 좋은 일의 대제사장으로 오사 손으로 짓지 아니한 곧 이 창조에 속하지 아니한 더 크고 온전한 장막으로 말미암아 염소와 송아지의 피로 아니하고 오직 자기 피로 영원한 속죄를 이루사 단번에 성소에 들어가셨느니라}}</ref> | 구약시대에는 모세의 율법에 따라 절기에 짐승의 희생 제물을 하나님께 드렸다. 그러나 짐승의 희생으로는 백성들이 하나님의 사랑을 깨닫기 어려웠다. 그리스도는 사람의 모습으로 이 세상에 와서 절기마다 희생되는 모든 제물의 실체가 되셨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9장|제목=히브리서 9:11–12|인용문=그리스도께서 장래 좋은 일의 대제사장으로 오사 손으로 짓지 아니한 곧 이 창조에 속하지 아니한 더 크고 온전한 장막으로 말미암아 염소와 송아지의 피로 아니하고 오직 자기 피로 영원한 속죄를 이루사 단번에 성소에 들어가셨느니라}}</ref> [[육체로 오신 하나님 (성육신)|사람으로 오신 하나님]]은 피조물인 사람을 섬기는 겸손의 삶을 살며 끝내 모두의 죄 사함을 위한 대속물이 되어 [[십자가]]에서 희생하셨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0장|제목=마태복음 20:28|인용문=인자가 온 것은 섬김을 받으려 함이 아니라 도리어 섬기려 하고 자기 목숨을 많은 사람의 대속물로 주려 함이니라}}</ref> 이러한 하나님의 사랑을 깨닫게 하는 것이 그리스도의 율법, 새 언약의 절기다. 특히 새 언약 유월절에 먹고 마시는 떡과 포도주는 십자가에서 찢긴 예수님의 살과 십자가에서 흘린 예수님의 피를 뜻한다.<ref name="죄사함"/> 신약시대 성도들은 새 언약 유월절을 지킬 때마다 십자가에 못 박혀 피 흘리는 고통을 겪으신 하나님의 희생과 사랑을 온전히 깨닫게 되는 것이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1장|제목=고린도전서 11:23–26|인용문=내가 너희에게 전한 것은 주께 받은 것이니 곧 주 예수께서 잡히시던 밤에 떡을 가지사 축사하시고 떼어 가라사대 이것은 너희를 위하는 내 몸이니 이것을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하시고 식후에 또한 이와 같이 잔을 가지시고 가라사대 이 잔은 내 피로 세운 새 언약이니 이것을 행하여 마실 때마다 나를 기념하라 하셨으니 너희가 이 떡을 먹으며 이 잔을 마실 때마다 주의 죽으심을 오실 때까지 전하는 것이니라}}</ref> 또한 하나님의 사랑을 마음에 새기게 되면, 하나님의 희생으로 구원받은 이웃을 내 몸처럼 사랑하게 된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로마서#10장|제목=로마서 10:16–17|인용문=우리가 축복하는 바 축복의 잔은 그리스도의 피에 참예함이 아니며 우리가 떼는 떡은 그리스도의 몸에 참예함이 아니냐 떡이 하나요 많은 우리가 한 몸이니 이는 우리가 다 한 떡에 참예함이라}}</ref> <br> | ||
그리스도의 율법은 성도들을 [[사랑의 하나님]]을 닮은 [[천국]] 사람으로 변화시키는 사랑의 율법이다. 그리스도의 율법을 지킴으로 온전한 사랑에 이르고 율법을 완성할 수 있다. | 그리스도의 율법은 성도들을 [[사랑의 하나님]]을 닮은 [[천국]] 사람으로 변화시키는 사랑의 율법이다. 그리스도의 율법을 지킴으로 온전한 사랑에 이르고 율법을 완성할 수 있다. | ||
==같이 보기== | ==같이 보기== | ||
| 75번째 줄: | 70번째 줄: | ||
==외부 링크== | ==외부 링크== | ||
* [https://ahnsahnghong.com/ 그리스도 안상홍님] | * [https://ahnsahnghong.com/ 그리스도 안상홍님 홈페이지] | ||
* [https://watv.org/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 * [https://watv.org/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홈페이지] | ||
==관련 영상== | |||
* 영상 설교: '''완전한 하나님의 법''' | |||
<youtube>bLgYpi4ZV_M</youtube> | |||
==각주== | ==각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