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 단어 의미: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 문자열을 """ 문자열로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하나님'''이라는 '''단어'''의 '''의미'''는 한국 교계의 오래된 화두다.<ref>{{인용 |url= https://www.joongang.co.kr/article/4024708#home |제목=신의 진짜 이름은 무엇일까 |웹사이트= |저널=중앙일보 |출판사= |날짜=2010. 2. 14.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하나님'과 '하느님'을 혼용하기 때문이다. 개신교에서는 '하나님', 천주교와 성공회 등에서는 '하느님'이라고 부른다.<br>
'''하나님'''이라는 단어의 의미는 한국 교계의 오래된 화두다.<ref>{{인용 |url= https://www.joongang.co.kr/article/4024708#home |제목=신의 진짜 이름은 무엇일까 |웹사이트= |저널=중앙일보 |출판사= |날짜=2010. 2. 14.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하나님'과 '하느님'을 혼용하기 때문이다. 개신교에서는 '하나님', 천주교와 성공회 등에서는 '하느님'이라고 부른다.<br>
[[하나님]](또는 하느님)은 최고 절대자이며 창조신을 지칭할 때 한국 교계에서 사용하는 용어다. '하나님'은 영어 'God(신, 神)'에 해당한다. 한국 이슬람교 [https://ko.wikisource.org/wiki/%EA%B8%80%EB%A1%9C%EB%B2%8C_%EC%84%B8%EA%B3%84_%EB%8C%80%EB%B0%B1%EA%B3%BC%EC%82%AC%EC%A0%84/%EC%A2%85%EA%B5%90%C2%B7%EC%B2%A0%ED%95%99/%EC%84%B8%EA%B3%84%EC%9D%98_%EC%A2%85%EA%B5%90/%EC%9D%B4_%EC%8A%AC_%EB%9E%8C_%EA%B5%90/%EC%9D%B4%EC%8A%AC%EB%9E%8C%EA%B5%90#%EC%BD%94%EB%9E%80 코란] 해설서에도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word_no=456701&searchKeywordTo=3 알라](아랍어: الله, Allāh, 신)'를 '하나님'이라고 적는다.<br>
[[하나님]](또는 하느님)은 최고 절대자이며 창조신을 지칭할 때 한국 교계에서 사용하는 용어다. '하나님'은 영어 'God(신, 神)'에 해당한다. 한국 이슬람교 [https://ko.wikisource.org/wiki/%EA%B8%80%EB%A1%9C%EB%B2%8C_%EC%84%B8%EA%B3%84_%EB%8C%80%EB%B0%B1%EA%B3%BC%EC%82%AC%EC%A0%84/%EC%A2%85%EA%B5%90%C2%B7%EC%B2%A0%ED%95%99/%EC%84%B8%EA%B3%84%EC%9D%98_%EC%A2%85%EA%B5%90/%EC%9D%B4_%EC%8A%AC_%EB%9E%8C_%EA%B5%90/%EC%9D%B4%EC%8A%AC%EB%9E%8C%EA%B5%90#%EC%BD%94%EB%9E%80 코란] 해설서에도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word_no=456701&searchKeywordTo=3 알라](아랍어: الله, Allāh, 신)'를 '하나님'이라고 적는다.<br>
한국에서 하나님(또는 하느님)으로 번역된 히브리 원어 [[성경]]의 단어는 [[엘로힘]](אֱלֹהִים), 영어 단어는 'God' 등이다.<ref>{{웹 인용 |url=https://biblehub.com/interlinear/genesis/1-1.htm|제목=Genesis 1:1 |저널= |인용문= בְּרֵאשִׁ֖ית בָּרָ֣א אֱלֹהִ֑ים אֵ֥ת הַשָּׁמַ֖יִם וְאֵ֥ת הָאָֽרֶץ (In the beginning God created the heavens and the earth.)}}</ref> 초기 개신교에서는 상제(上帝), 천주(天主), 하느님, 하나님 등 다양한 용어를 사용했다.<br>
한국에서 하나님(또는 하느님)으로 번역된 히브리 원어 [[성경]]의 단어는 [[엘로힘]](אֱלֹהִים), 영어 단어는 'God' 등이다.<ref>{{웹 인용 |url=https://biblehub.com/interlinear/genesis/1-1.htm|제목=Genesis 1:1 |저널= |인용문= בְּרֵאשִׁ֖ית בָּרָ֣א אֱלֹהִ֑ים אֵ֥ת הַשָּׁמַ֖יִם וְאֵ֥ת הָאָֽרֶץ (In the beginning God created the heavens and the earth.)}}</ref> 초기 개신교에서는 상제(上帝), 천주(天主), 하느님, 하나님 등 다양한 용어를 사용했다.<br>
7번째 줄: 7번째 줄:
[[파일:예수성교누복음전서(1882).jpg|섬네일|200px|'하느님'으로 표기한 1882년 누가복음전서 (출처: 문화재청)]]
[[파일:예수성교누복음전서(1882).jpg|섬네일|200px|'하느님'으로 표기한 1882년 누가복음전서 (출처: 문화재청)]]
[[파일:예수성교전서(1887).jpg|섬네일|200px|'하나님'으로 표기한 1887년 성경전서 (출처: 문화재청)]]
[[파일:예수성교전서(1887).jpg|섬네일|200px|'하나님'으로 표기한 1887년 성경전서 (출처: 문화재청)]]
하나님 단어 의미는 조선(대한제국 이전 국호)에 기독교가 들어오는 과정에서 알 수 있다. 조선에서 기독교의 유일신을 한국어로 옮기기 위해 처음 사용한 호칭은 '하느님'이다. 선교사 존 로스가 한글을 배워 중국 심양에서 번역한 최초의 한국어 성경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1_1&ccbaCpno=4411106680000 예수셩교 누가복음젼셔(예수聖敎 누가福音傳書)]》(1882)에 '하느님'이 처음 등장한다.<ref>{{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EA%B8%80%EB%A1%9C%EB%B2%8C_%EC%84%B8%EA%B3%84_%EB%8C%80%EB%B0%B1%EA%B3%BC%EC%82%AC%EC%A0%84/%EC%A2%85%EA%B5%90%C2%B7%EC%B2%A0%ED%95%99/%ED%95%9C%EA%B5%AD%EC%9D%98_%EC%A2%85%EA%B5%90/%ED%95%9C%EA%B5%AD%EC%9D%98_%EA%B7%B8%EB%A6%AC%EC%8A%A4%EB%8F%84%EA%B5%90/%ED%95%9C%EA%B5%AD%EA%B7%B8%EB%A6%AC%EC%8A%A4%EB%8F%84%EA%B5%90%EC%9D%98_%EC%A0%84%EB%9E%98%EC%99%80_%ED%8F%AC%EA%B5%90#%ED%94%84%EB%A1%9C%ED%85%8C%EC%8A%A4%ED%83%84%ED%8A%B8|제목=프로테스탄트|웹사이트=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저널= |인용문=스코틀랜드인으로 만주 뉴좡(牛莊)에서 활약하던 존 로스(John Ross)나 존 매킨타이어(John Mcintyre)도 고려문(高麗門) 부근에서 한국 청년들을 개종시킨 일이 있었으나 역시 계속적인 것은 못되었다. 그러나 이 스코틀랜드 선교사와 함께 지내다가 세례를 받게 된 서상륜(徐相崙)을 통해서 한국 교회의 첫발이 내디뎌졌다. 그는 1878년 로스 목사에게서 세례를 받고 1882년에는 <예수셩교 누가복음 젼셔>와 <예수셩교 요안니복음 젼셔>를 번역·간행하였으며, 마침내 1887년에 <예수교셩교 젼셔>(신약성서)를 완전 번역·간행했다.}}</ref> 그 어원은 평안도 방언 '하ᄂᆞᆯ'과 '님'의 합성어 '하ᄂᆞ님'으로, 로스는 선교 보고서에 "'하늘(heaven)'과 '님(prince)'의 합성어인 '하느님'이 가장 적합한 번역어일 것”이라고 적었다.<ref>{{인용|url=http://news.imaeil.com/page/view/2008102506460103113#axzz3EPBcRbbC|제목=천주교 '야훼' 표현 금한 이유는? |웹사이트= |저널=매일신문 |출판사= |날짜=2008. 10. 25.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천주교와 개신교는 절대자에 대해서도 '하느님'과 '하나님'으로 달리 칭한다. 그러나 조선에 기독교가 들어오면서 기독교의 유일신을 옮기기 위해 사용한 호칭은 하느님이었다. 최초로 한국어로 번역된 성경 '예수성교 누가복음전서'에 이 용어가 처음 등장한다. 이 번역에 참여한 선교사 존 로스는 선교 보고서에서 "'하늘(heaven)'과 '님(prince)'의 합성어인 '하느님'이 가장 적합한 번역어일 것"으로 적었다.}}</ref><br>
하나님 단어 의미는 조선(대한제국 이전 국호)에 기독교가 들어오는 과정에서 알 수 있다. 조선에서 기독교의 유일신을 한국어로 옮기기 위해 처음 사용한 호칭은 '하느님'이다. 선교사 존 로스가 한글을 배워 중국 심양에서 번역한 최초의 한국어 성경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1_1&ccbaCpno=4411106680000 예수셩교 누가복음젼셔(예수聖敎 누가福音傳書)]》(1882)에 '하느님'이 처음 등장한다.<ref>{{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EA%B8%80%EB%A1%9C%EB%B2%8C_%EC%84%B8%EA%B3%84_%EB%8C%80%EB%B0%B1%EA%B3%BC%EC%82%AC%EC%A0%84/%EC%A2%85%EA%B5%90%C2%B7%EC%B2%A0%ED%95%99/%ED%95%9C%EA%B5%AD%EC%9D%98_%EC%A2%85%EA%B5%90/%ED%95%9C%EA%B5%AD%EC%9D%98_%EA%B7%B8%EB%A6%AC%EC%8A%A4%EB%8F%84%EA%B5%90/%ED%95%9C%EA%B5%AD%EA%B7%B8%EB%A6%AC%EC%8A%A4%EB%8F%84%EA%B5%90%EC%9D%98_%EC%A0%84%EB%9E%98%EC%99%80_%ED%8F%AC%EA%B5%90#%ED%94%84%EB%A1%9C%ED%85%8C%EC%8A%A4%ED%83%84%ED%8A%B8|제목=프로테스탄트|웹사이트=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저널= |인용문=스코틀랜드인으로 만주 뉴좡(牛莊)에서 활약하던 존 로스(John Ross)나 존 매킨타이어(John Mcintyre)도 고려문(高麗門) 부근에서 한국 청년들을 개종시킨 일이 있었으나 역시 계속적인 것은 못되었다. 그러나 이 스코틀랜드 선교사와 함께 지내다가 세례를 받게 된 서상륜(徐相崙)을 통해서 한국 교회의 첫발이 내디뎌졌다. 그는 1878년 로스 목사에게서 세례를 받고 1882년에는 <예수셩교 누가복음 젼셔>와 <예수셩교 요안니복음 젼셔>를 번역·간행하였으며, 마침내 1887년에 <예수교셩교 젼셔>(신약성서)를 완전 번역·간행했다.}}</ref> 그 어원은 평안도 방언 '하ᄂᆞᆯ'과 '님'의 합성어 '하ᄂᆞ님'으로, 로스는 선교 보고서에 "'하늘(heaven)'과 '님(prince)'의 합성어인 '하느님'이 가장 적합한 번역어일 것"이라고 적었다.<ref>{{인용|url=http://news.imaeil.com/page/view/2008102506460103113#axzz3EPBcRbbC|제목=천주교 '야훼' 표현 금한 이유는? |웹사이트= |저널=매일신문 |출판사= |날짜=2008. 10. 25.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천주교와 개신교는 절대자에 대해서도 '하느님'과 '하나님'으로 달리 칭한다. 그러나 조선에 기독교가 들어오면서 기독교의 유일신을 옮기기 위해 사용한 호칭은 하느님이었다. 최초로 한국어로 번역된 성경 '예수성교 누가복음전서'에 이 용어가 처음 등장한다. 이 번역에 참여한 선교사 존 로스는 선교 보고서에서 "'하늘(heaven)'과 '님(prince)'의 합성어인 '하느님'이 가장 적합한 번역어일 것"으로 적었다.}}</ref><br>
이듬해 1883년본 성경에는 "두사람이 하나님의 압페셔 올은쟈라”라는 문구가 있다. '하느님'과 '하나님'을 혼용해서 사용한 것이다. 당시 아래아(ㆍ)<ref>{{웹 인용 |url=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Result.do?pageSize=10&searchKeyword=%EC%95%84%EB%9E%98%EC%95%84 |제목=아래아 |웹사이트=표준국어대사전 |저널=|출판사=국립국어원 |인용문=한글 옛 자모 'ㆍ'의 이름.}}</ref> 표기법이 통일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즉 '하ᄂᆞ님'에서 '아래아(ㆍ)'를 'ㅏ' 또는 'ㅡ'로 표기해서 발생한 문제였다. 1887년 출간된《[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ulPageNo=1&region=&searchCondition=&searchCondition2=&ccbaKdcd=79&ccbaAsno=06690000&ccbaCtcd=11&ccbaCpno=4411106690000&ccbaCndt=&s_kdcd=&s_ctcd=&ccbaCncl=1&stCcbaAsdt=&endCcbaAsdt=&header=view&returnUrl=&pageNo=1_1_1_1&p=multiSch&sortType=&sortOrd=&sngl_=N 예수셩교젼셔(예수聖敎全書)]》에는 아래아(ㆍ) 발음을 생략해 '하나님'으로 표기했다.<ref>{{인용|url=https://www.nongmin.com/opinion/OPP/SWE/MAL/336516/view |제목=하느님과 하나님 |웹사이트= |저널=농민신문 |출판사= |날짜=2021. 4. 14.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만주에서 조선 선교를 준비하던 존 로스 목사는 평안도 사람인 백홍준·이응찬 등의 도움을 받아 성경을 번역했다. 그런데 평안도 사람들은 하늘을 '하ᄂᆞᆯ'이라고 부르던 때라 자연스럽게 '하ᄂᆞᆯ님 → 하ᄂᆞ님'으로 적었다. 다만 존 로스 목사가 1887년 <예수셩교전서>를 출간할 때는 아래아 발음을 생략해 '하나님'으로 표기한 것이다.}}</ref>
이듬해 1883년본 성경에는 "두사람이 하나님의 압페셔 올은쟈라"라는 문구가 있다. '하느님'과 '하나님'을 혼용해서 사용한 것이다. 당시 아래아(ㆍ)<ref>{{웹 인용 |url=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Result.do?pageSize=10&searchKeyword=%EC%95%84%EB%9E%98%EC%95%84 |제목=아래아 |웹사이트=표준국어대사전 |저널=|출판사=국립국어원 |인용문=한글 옛 자모 'ㆍ'의 이름.}}</ref> 표기법이 통일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즉 '하ᄂᆞ님'에서 '아래아(ㆍ)'를 'ㅏ' 또는 'ㅡ'로 표기해서 발생한 문제였다. 1887년 출간된《[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ulPageNo=1&region=&searchCondition=&searchCondition2=&ccbaKdcd=79&ccbaAsno=06690000&ccbaCtcd=11&ccbaCpno=4411106690000&ccbaCndt=&s_kdcd=&s_ctcd=&ccbaCncl=1&stCcbaAsdt=&endCcbaAsdt=&header=view&returnUrl=&pageNo=1_1_1_1&p=multiSch&sortType=&sortOrd=&sngl_=N 예수셩교젼셔(예수聖敎全書)]》에는 아래아(ㆍ) 발음을 생략해 '하나님'으로 표기했다.<ref>{{인용|url=https://www.nongmin.com/opinion/OPP/SWE/MAL/336516/view |제목=하느님과 하나님 |웹사이트= |저널=농민신문 |출판사= |날짜=2021. 4. 14.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만주에서 조선 선교를 준비하던 존 로스 목사는 평안도 사람인 백홍준·이응찬 등의 도움을 받아 성경을 번역했다. 그런데 평안도 사람들은 하늘을 '하ᄂᆞᆯ'이라고 부르던 때라 자연스럽게 '하ᄂᆞᆯ님 → 하ᄂᆞ님'으로 적었다. 다만 존 로스 목사가 1887년 <예수셩교전서>를 출간할 때는 아래아 발음을 생략해 '하나님'으로 표기한 것이다.}}</ref>


==하나님과 하느님의 단어 차이==
==하나님과 하느님의 단어 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