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의 시간법: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섬네일 | 200px |예수님 당시 유대 나라는 '유대 시간법'을 사용했다. '''성경의 시간법'''은 시대마다 다른데, 예수...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MontreGousset001.jpg |섬네일 | 200px |예수님 당시 유대 나라는 '유대 시간법'을 사용했다.]]
[[파일:MontreGousset001.jpg |섬네일 | 200px |예수님 당시 유대 나라는 '유대 시간법'을 사용했다.]]
'''성경의 시간법'''은 시대마다 다른데, 예수님 시대에 와서는 낮 시간이 12시간으로 구별되었다. 오늘날도 낮 시간이 12시간이지만 시각을 표현하는 방법은 다르다. 신약성경에서는 아침에 해 뜰 때가 제0시다. 하지만 오늘날 통용되는 시간법에서는 한밤중인 자정이 제0시이므로 아침 해 뜰 때는 제6시경이 된다.
'''성경의 시간법'''은 시대마다 다른데, [[예수 그리스도|예수님]] 시대에 와서는 낮 시간이 12시간으로 구별되었다. 오늘날도 낮 시간이 12시간이지만 시각을 표현하는 방법은 다르다. [[신약성경]]에서는 아침에 해 뜰 때가 제0시다. 하지만 오늘날 통용되는 시간법에서는 한밤중인 자정이 제0시이므로 아침 해 뜰 때는 제6시경이 된다.
==유대 시간법==
==유대 시간법==
===낮 시간===
===낮 시간===
구약시대의 시간법은 해가 뜨고 지는 시점에 따라 낮 시간을 대략적으로 구분해 시간의 경계가 모호했다. 구약성경을 보면, 아침(보케르), 낮(욤), 정오(초호라임), 해 질 때(벤 하아르바임) 등의 용어가 사용되었다. 하지만 예수님 시대에는 해 뜰 때부터 해 질 때까지의 시간을 12등분한 시간법이 사용되었다.
구약시대의 시간법은 해가 뜨고 지는 시점에 따라 낮 시간을 대략적으로 구분해 시간의 경계가 모호했다. [[구약성경]]을 보면, 아침(보케르), 낮(욤), 정오(초호라임), 해 질 때(벤 하아르바임) 등의 용어가 사용되었다. 하지만 예수님 시대에는 해 뜰 때부터 해 질 때까지의 시간을 12등분한 시간법이 사용되었다.
{{인용문5 |내용=천국은 마치 품꾼을 얻어 포도원에 들여보내려고 '''이른 아침'''에 나간 집주인과 같으니 저가 하루 한 데나리온씩 품꾼들과 약속하고 포도원에 들여보내고 또 '''제삼시'''에 나가 보니 장터에 놀고 섰는 사람들이 또 있는지라 저희에게 이르되 너희도 포도원에 들어가라 내가 너희에게 상당하게 주리라 하니 저희가 가고 '''제육시'''와 '''제구시'''에 또 나가 그와 같이 하고 '''제십일시'''에도 나가 보니 섰는 사람들이 또 있는지라 ... 너희도 포도원에 들어가라 하니라 '''저물매''' ... 제십일시에 온 자들이 와서 한 데나리온씩을 받거늘 먼저 온 자들이 와서 더 받을 줄 알았더니 저희도 한 데나리온씩 받은지라 받은 후 집주인을 원망하여 가로되 '''나중 온 이 사람들은 한 시간만 일하였거늘''' 저희를 종일 수고와 더위를 견딘 우리와 같게 하였나이다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0장 마태복음 20:1–16]}}
{{인용문5 |내용=천국은 마치 품꾼을 얻어 포도원에 들여보내려고 '''이른 아침'''에 나간 집주인과 같으니 저가 하루 한 데나리온씩 품꾼들과 약속하고 포도원에 들여보내고 또 '''제삼시'''에 나가 보니 장터에 놀고 섰는 사람들이 또 있는지라 저희에게 이르되 너희도 포도원에 들어가라 내가 너희에게 상당하게 주리라 하니 저희가 가고 '''제육시'''와 '''제구시'''에 또 나가 그와 같이 하고 '''제십일시'''에도 나가 보니 섰는 사람들이 또 있는지라 ... 너희도 포도원에 들어가라 하니라 '''저물매''' ... 제십일시에 온 자들이 와서 한 데나리온씩을 받거늘 먼저 온 자들이 와서 더 받을 줄 알았더니 저희도 한 데나리온씩 받은지라 받은 후 집주인을 원망하여 가로되 '''나중 온 이 사람들은 한 시간만 일하였거늘''' 저희를 종일 수고와 더위를 견딘 우리와 같게 하였나이다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0장 마태복음 20:1–16]}}
포도원 품꾼들의 비유 속 주인은 이른 아침부터 해가 저물 때까지 제3시, 제6시, 제9시 등 계속해서 품꾼들을 포도원에 들여보냈다. 제11시에 마지막으로 포도원에 들어간 품꾼들은 한 시간만 일하고 날이 저물었다. 즉, 당시 유대 시간법으로 이른 아침 해 뜰 때부터 해 질 때까지의 시간이 12시간이고, 해 뜰 때가 제0시이며, 해 질 때가 제12시라는 뜻이다. 유대 시간법은 계절에 따라 조금씩 변동될 수밖에 없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계절마다 해 뜨는 시각과 해 지는 시각이 달라져 낮 시간의 길이가 변하기 때문이다.<br>
포도원 품꾼들의 비유 속 주인은 이른 아침부터 해가 저물 때까지 제3시, 제6시, 제9시 등 계속해서 품꾼들을 포도원에 들여보냈다. 제11시에 마지막으로 포도원에 들어간 품꾼들은 한 시간만 일하고 날이 저물었다. 즉, 당시 유대 시간법으로 이른 아침 해 뜰 때부터 해 질 때까지의 시간이 12시간이고, 해 뜰 때가 제0시이며, 해 질 때가 제12시라는 뜻이다. 유대 시간법은 계절에 따라 조금씩 변동될 수밖에 없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계절마다 해 뜨는 시각과 해 지는 시각이 달라져 낮 시간의 길이가 변하기 때문이다.<br>
10번째 줄: 10번째 줄:
<small>{{참고|성경의 날짜 규정}}</small>
<small>{{참고|성경의 날짜 규정}}</small>
===밤 시간===
===밤 시간===
밤 시간은 낮과 달리 '경(更)'을 사용했다. [[구약성경]]의 '경'은, '경계, 파수'라는 뜻의 히브리어 '아쉬무라'<ref>{{웹 인용 |url=https://dict.naver.com/hbokodict/#/entry/hboko/4caf2cecfa744dd494bdc1c1dbdfa0ea |제목=אַשְׁמֹרֶת |저널=고대 히브리어사전 |인용문= }}</ref><ref>{{웹 인용 |url=https://biblehub.com/hebrew/821.htm |제목=ashmoreth or ashmurah |웹사이트=Bible Hub |인용문= }}</ref>의 번역이다. 구약시대에는 밤을 지키는 파수병들의 근무 교대 시간에 맞춰 해 질 때부터 해 뜰 때까지의 시간을 삼등분해 1경(초경),<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애가#2장 |제목=예레미야애가 2:19 |인용문=밤 초경에 일어나 부르짖을지어다}}</ref> 2경,<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사기#7장 |제목=사사기 7:19 |인용문=기드온과 그들을 좇은 일백명이 이경 초에 진 가에 이른즉}}</ref> 3경으로 구분했다.<br>
밤 시간은 낮과 달리 '경(更)'을 사용했다. 구약성경의 '경'은, '경계, 파수'라는 뜻의 히브리어 '아쉬무라'<ref>{{웹 인용 |url=https://dict.naver.com/hbokodict/#/entry/hboko/4caf2cecfa744dd494bdc1c1dbdfa0ea |제목=אַשְׁמֹרֶת |저널=네이버 고대 히브리어사전 |인용문= }}</ref><ref>[https://biblehub.com/hebrew/821.htm "ashmoreth or ashmurah,"] <i>Bible Hub</i></ref>의 번역이다. 구약시대에는 밤을 지키는 파수병들의 근무 교대 시간에 맞춰 해 질 때부터 해 뜰 때까지의 시간을 삼등분해 1경(초경),<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애가#2장 |제목=예레미야애가 2:19 |인용문=밤 초경에 일어나 부르짖을지어다}}</ref> 2경,<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사기#7장 |제목=사사기 7:19 |인용문=기드온과 그들을 좇은 일백명이 이경 초에 진 가에 이른즉}}</ref> 3경으로 구분했다.<br>
신약성경의 '경'은, '파수, 경계, 파수병'이라는 뜻의 헬라어 '휠라케'<ref>{{인용 |url=https://dict.naver.com/grckodict/#/entry/grcko/56a1fd05c347406194a0000f456b47b8 |제목=φυλακή |웹사이트= |저널=고대 그리스어사전 |인용문= }}</ref><ref>{{인용 |url=https://biblehub.com/greek/5438.htm |제목=phulaké |웹사이트=Bible Hub |인용문= }}</ref>의 번역이다. 로마제국의 지배를 받던 예수님 시대에는 밤 시간을 로마 파수꾼들의 야간 교대 시간에 맞춰 사등분해 1경, 2경, 3경, 4경으로 나눴다.
신약성경의 '경'은, '파수, 경계, 파수병'이라는 뜻의 헬라어 '휠라케'<ref>{{인용 |url=https://dict.naver.com/grckodict/#/entry/grcko/56a1fd05c347406194a0000f456b47b8 |제목=φυλακή |웹사이트= |저널=네이버 고대 그리스어사전 |인용문= }}</ref><ref>[https://biblehub.com/greek/5438.htm "phulaké,"] <i>Bible Hub</i></ref>의 번역이다. 로마제국의 지배를 받던 예수님 시대에는 밤 시간을 로마 파수꾼들의 야간 교대 시간에 맞춰 사등분해 1경, 2경, 3경, 4경으로 나눴다.
{{인용문5 |내용=주인이 혹 '''이경'''에나 혹 '''삼경'''에 이르러서도 종들의 이같이 하는 것을 보면 그 종들은 복이 있으리로다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12장 누가복음 12:38]}}{{인용문5 |내용=밤 '''사경'''에 예수께서 바다 위로 걸어서 제자들에게 오시니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14장 마태복음 14:25]}}
{{인용문5 |내용=주인이 혹 '''이경'''에나 혹 '''삼경'''에 이르러서도 종들의 이같이 하는 것을 보면 그 종들은 복이 있으리로다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12장 누가복음 12:38]}}{{인용문5 |내용=밤 '''사경'''에 예수께서 바다 위로 걸어서 제자들에게 오시니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14장 마태복음 1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