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빔: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4번째 줄:


==어원==
==어원==
한글 성경에서 '드라빔'으로 번역된 히브리어는 'תְּרָפִים(테라핌)'<ref>[https://dict.naver.com/hbokodict/#/entry/hboko/c001d7bee0ae4c9baec596d2ed077fcc תְּרָפִים].《고대 히브리어 사전》</ref>이다.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추측이 있다. 대표적으로는 '치료하다'라는 뜻의 '라파아([https://dict.naver.com/hbokodict/#/entry/hboko/2bbf814c10084041b583c9647bdcdcc4 רָפָא])'에서 유래했다는 것과, 복과 화를 끼치는 영적 존재를 이르는 히타이트(성경상 헷 족속)어 '타르피쉬'에서 기원했다는 설이 있다.<ref>"드라빔", 《아가페 성경사전》, 아가페출판사, 2003, 349쪽, "비록 그 어원은 불확실하나, 그 용어는 힛타이트어 '타르피쉬' 곧 보호하거나 또는 해악을 끼칠 수 있고 지하계 및 사자(死者) 숭배와 관련 있을 영(spirit)과 언어적, 문화적 유사성을 갖는다."</ref>
[[한글 성경 번역본|한글 성경]]에서 '드라빔'으로 번역된 히브리어는 'תְּרָפִים(테라핌)'<ref>[https://dict.naver.com/hbokodict/#/entry/hboko/c001d7bee0ae4c9baec596d2ed077fcc "תְּרָפִים"], 《네이버 고대 히브리어사전》</ref>이다.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추측이 있다. 대표적으로는 '치료하다'라는 뜻의 '라파아(רָפָא)'<ref>[https://dict.naver.com/hbokodict/#/entry/hboko/2bbf814c10084041b583c9647bdcdcc4 "רָפָא"], 《네이버 고대 히브리어사전》</ref>에서 유래했다는 것과, 복과 화를 끼치는 영적 존재를 이르는 히타이트(성경상 헷 족속)어 '타르피쉬'에서 기원했다는 설이 있다.<ref>"드라빔", 《아가페 성경사전》, 아가페출판사, 2003, 349쪽, "비록 그 어원은 불확실하나, 그 용어는 힛타이트어 '타르피쉬' 곧 보호하거나 또는 해악을 끼칠 수 있고 지하계 및 사자(死者) 숭배와 관련 있을 영(spirit)과 언어적, 문화적 유사성을 갖는다."</ref>


==형태==
==형태==
16번째 줄: 16번째 줄:


*[[사사]] 시대 이스라엘은 영적으로 혼란스러웠고, 각 지파와 개인이 산당을 지어 제사를 지내는 경우가 많았다. 에브라임에 살던 미가<ref>이 사람은 사사 시대 인물로, [[미가|미가서]]를 기록한 선지자 [[미가#미가의 기록자|미가]]와는 다른 인물이다.</ref>는 자기 집 산당에 에봇, 드라빔 등의 우상을 세우고 제사를 드렸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사기#17장 |제목=사사기 17:1-5|저널= |인용문= }}</ref> 이때 드라빔은 조상들에게 올리는 제의(祭儀) 물품으로 추측된다.<ref>한민수, 《고대 근동과 성경의 우상》, 기독교문서선교회, 2021, 165-166쪽, "드라빔은 신격화된 조상들의 신상을 의미했다. 사사기에서 드라빔은 장례를 위한 가족 제의에 꼭 필요한 기본 물품으로 여겨진다. 이 드라빔은 다소 하급의 신들을 대표하고 있음을 암시하는데, ... 구약성경에서는 한 차례(왕하 23:24) 드라빔이 죽은 자들의 영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이는 히브리어로 '오보트'(한글 성경은 '신접한 자')와 '잇데오님'(한글 성경은 '박수')과 함께 언급된다. 드라빔이 신격화된 조상들의 신상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ref>
*[[사사]] 시대 이스라엘은 영적으로 혼란스러웠고, 각 지파와 개인이 산당을 지어 제사를 지내는 경우가 많았다. 에브라임에 살던 미가<ref>이 사람은 사사 시대 인물로, [[미가|미가서]]를 기록한 선지자 [[미가#미가의 기록자|미가]]와는 다른 인물이다.</ref>는 자기 집 산당에 에봇, 드라빔 등의 우상을 세우고 제사를 드렸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사기#17장 |제목=사사기 17:1-5|저널= |인용문= }}</ref> 이때 드라빔은 조상들에게 올리는 제의(祭儀) 물품으로 추측된다.<ref>한민수, 《고대 근동과 성경의 우상》, 기독교문서선교회, 2021, 165-166쪽, "드라빔은 신격화된 조상들의 신상을 의미했다. 사사기에서 드라빔은 장례를 위한 가족 제의에 꼭 필요한 기본 물품으로 여겨진다. 이 드라빔은 다소 하급의 신들을 대표하고 있음을 암시하는데, ... 구약성경에서는 한 차례(왕하 23:24) 드라빔이 죽은 자들의 영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이는 히브리어로 '오보트'(한글 성경은 '신접한 자')와 '잇데오님'(한글 성경은 '박수')과 함께 언급된다. 드라빔이 신격화된 조상들의 신상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ref>
*[[이스라엘#통일 왕국 시대|이스라엘]]의 첫 번째 왕 [[사울]]이 하나님의 말씀에 불순종하자 [[사무엘]]은 그를 책망하면서 '하나님의 말씀을 거역하는 것은 점치는 것과 같고 완고하게 자신의 뜻을 고집하는 것은 사신 우상(드라빔)에게 절하는 것과 같다'고 말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상#15장 |제목=사무엘상 15:17-23|저널= |인용문=사무엘이 가로되 ... 왕을 길로 보내시며 이르시기를 가서 죄인 아말렉 사람을 진멸하되 다 없어지기까지 치라 하셨거늘  ... 어찌하여 왕이 여호와의 목소리를 청종치 아니하고 탈취하기에만 급하여 여호와의 악하게 여기시는 것을 행하였나이까 ... 순종이 제사보다 낫고 듣는 것이 수양의 기름보다 나으니 이는 거역하는 것은 사술의 죄와 같고 완고한 것은 사신 우상[드라빔]에게 절하는 죄와 같음이라 }}</ref><br>이후 악신에 시달리던 사울은 사위인 [[다윗]]을 죽이려 했다. 사울의 딸 미갈은 남편인 다윗을 도망치게 하고 드라빔에 옷을 덮어 그것을 병든 다윗처럼 보이도록 위장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상#19장 |제목=사무엘상 19:13-16 |저널= |인용문=미갈이 우상을 취하여 침상에 뉘고 염소 털로 엮은 것을 그 머리에 씌우고 의복으로 그것을 덮었더니 사울이 사자들을 보내어 다윗을 잡으려 하매 미갈이 가로되 그가 병들었느니라 사울이 또 사자들을 보내어 다윗을 보라 하며 이르되 그를 침상채 내게로 가져오라 내가 그를 죽이리라 사자들이 들어가 본즉 침상에 우상이 있고 염소 털로 엮은 것이 그 머리에 있었더라}}</ref>
*이스라엘의 첫 번째 왕 [[사울]]이 [[하나님]]의 말씀에 불순종하자 [[사무엘]]은 그를 책망하면서 '하나님의 말씀을 거역하는 것은 점치는 것과 같고 완고하게 자신의 뜻을 고집하는 것은 사신 우상(드라빔)에게 절하는 것과 같다'고 말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상#15장 |제목=사무엘상 15:17-23|저널= |인용문=사무엘이 가로되 ... 왕을 길로 보내시며 이르시기를 가서 죄인 아말렉 사람을 진멸하되 다 없어지기까지 치라 하셨거늘  ... 어찌하여 왕이 여호와의 목소리를 청종치 아니하고 탈취하기에만 급하여 여호와의 악하게 여기시는 것을 행하였나이까 ... 순종이 제사보다 낫고 듣는 것이 수양의 기름보다 나으니 이는 거역하는 것은 사술의 죄와 같고 완고한 것은 사신 우상[드라빔]에게 절하는 죄와 같음이라 }}</ref><br>이후 악신에 시달리던 사울은 사위인 [[다윗]]을 죽이려 했다. 사울의 딸 미갈은 남편인 다윗을 도망치게 하고 드라빔에 옷을 덮어 그것을 병든 다윗처럼 보이도록 위장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상#19장 |제목=사무엘상 19:13-16 |저널= |인용문=미갈이 우상을 취하여 침상에 뉘고 염소 털로 엮은 것을 그 머리에 씌우고 의복으로 그것을 덮었더니 사울이 사자들을 보내어 다윗을 잡으려 하매 미갈이 가로되 그가 병들었느니라 사울이 또 사자들을 보내어 다윗을 보라 하며 이르되 그를 침상채 내게로 가져오라 내가 그를 죽이리라 사자들이 들어가 본즉 침상에 우상이 있고 염소 털로 엮은 것이 그 머리에 있었더라}}</ref>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 드라빔은 점술의 도구로 사용됐다. [[스가랴#스가랴 기록자|스가랴]]는 드라빔으로 점을 치는 복술자들이 허탄한 소리를 한다고 말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스가랴#10장|제목=스가랴 10:2|저널= |인용문=대저 드라빔들은 허탄한 것을 말하며 복술자는 진실치 않은 것을 보고 거짓 꿈을 말한즉 그 위로함이 헛되므로 백성이 양같이 유리하며 목자가 없으므로 곤고를 당하나니}}</ref> [[에스겔#기록자 에스겔|에스겔]]이 본 이상에서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은 드라빔에게 점궤를 묻는 등 점을 쳐 [[예루살렘]] 침공을 위한 경로를 얻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스겔#21장 |제목=에스겔 21:21-22 |저널= |인용문=바벨론 왕이 갈랫길 곧 두 길 머리에 서서 점을 치되 살들을 흔들어 우상[드라빔]에게 묻고 희생의 간을 살펴서 오른손에 예루살렘으로 갈 점괘를 얻었으므로 공성퇴를 베풀며 입을 벌리고 살륙하며 소리를 높여 외치며 성문을 향하여 공성퇴를 베풀고 토성을 쌓고 운제를 세우게 되었나니}}</ref>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 드라빔은 점술의 도구로 사용됐다. [[스가랴#스가랴 기록자|스가랴]]는 드라빔으로 점을 치는 복술자들이 허탄한 소리를 한다고 말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스가랴#10장|제목=스가랴 10:2|저널= |인용문=대저 드라빔들은 허탄한 것을 말하며 복술자는 진실치 않은 것을 보고 거짓 꿈을 말한즉 그 위로함이 헛되므로 백성이 양같이 유리하며 목자가 없으므로 곤고를 당하나니}}</ref> [[에스겔#기록자 에스겔|에스겔]]이 본 이상에서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은 드라빔에게 점궤를 묻는 등 점을 쳐 [[예루살렘]] 침공을 위한 경로를 얻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스겔#21장 |제목=에스겔 21:21-22 |저널= |인용문=바벨론 왕이 갈랫길 곧 두 길 머리에 서서 점을 치되 살들을 흔들어 우상[드라빔]에게 묻고 희생의 간을 살펴서 오른손에 예루살렘으로 갈 점괘를 얻었으므로 공성퇴를 베풀며 입을 벌리고 살륙하며 소리를 높여 외치며 성문을 향하여 공성퇴를 베풀고 토성을 쌓고 운제를 세우게 되었나니}}</ref>
* [[남 유다 왕국]]의 제16대 왕 [[요시야]]는 율법책에 기록된 계명과 언약을 준행할 것을 선포하며 온 이스라엘 땅에서 대대적인 우상 타파에 나섰다. 그는 드라빔을 포함한 아세라, 아스다롯, 몰록 등 각종 이방 신들의 신상과 제단을 부수고, 이방 신을 섬기는 제사장들을 폐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23장 |제목=열왕기하 23:1-24|저널= |인용문= }}</ref>
* [[남 유다 왕국]]의 제16대 왕 [[요시야]]는 율법책에 기록된 [[하나님의 계명|계명]]과 [[하나님의 언약|언약]]을 준행할 것을 선포하며 온 이스라엘 땅에서 대대적인 우상 타파에 나섰다. 그는 드라빔을 포함한 [[바알과 아세라|아세라]], 아스다롯, 몰록 등 각종 이방 신들의 신상과 제단을 부수고, 이방 신을 섬기는 제사장들을 폐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23장 |제목=열왕기하 23:1-24|저널= |인용문= }}</ref>


==같이 보기==  
==같이 보기==  
*[[우상]]
*[[우상]]
*[[주상 (오벨리스크)]]


==각주==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