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보라: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틀:성경인물 |그림= 섬네일|가운데|275px|귀스타브 도레(Gustave Doré), 〈야엘을 칭송하는 드보라〉, 1866 |제목=... |
편집 요약 없음 |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주요 행적=가나안 군대 격파 | |주요 행적=가나안 군대 격파 | ||
}} | }} | ||
'''드보라'''(Deborah, 히브리어: דְּבוֹרָה)는 [[구약성경]] [[사사기]]에 네 번째로 등장하는 [[사사]]로, [[성경]]에 기록된 12명의 사사 중 유일한 여성 사사다. 그녀는 이스라엘을 억압하던 [[가나안]]의 군대를 격파하고 민족을 구원했다. | |||
'''드보라'''(Deborah, 히브리어: דְּבוֹרָה)는 [[구약성경]] [[사사기]]에 네 번째로 등장하는 [[사사]]로, [[성경]]에 기록된 12명의 사사 중 유일한 여성 사사다. 그녀는 | |||
==시대적 배경== | ==시대적 배경== | ||
| 23번째 줄: | 22번째 줄: | ||
[[File:Giordano, Luca - The Defeat of Sisera - c. 1692.jpg|섬네일|300px|루카 조르다노(Luca Giordano), 〈시스라의 패배〉]] | [[File:Giordano, Luca - The Defeat of Sisera - c. 1692.jpg|섬네일|300px|루카 조르다노(Luca Giordano), 〈시스라의 패배〉]] | ||
가나안 왕 야빈은 이스라엘을 20년 동안 심하게 학대했다. 드보라는 납달리 지파 바락을 불러 납달리, 스불론 자손들과 다볼산으로 가서 가나안 군대장관 시스라와 싸우라고 지시했다. 바락은 드보라가 함께 가지 않으면 출전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드보라는 자신이 함께 가겠지만 '바락은 이 전투로 영광을 얻지 못하고, 시스라는 여인의 손에 죽을 것'이라는 하나님의 뜻을 전했다.<br> | 가나안 왕 야빈은 이스라엘을 20년 동안 심하게 학대했다. 드보라는 납달리 지파 바락을 불러 납달리, 스불론 자손들과 다볼산으로 가서 가나안 군대장관 시스라와 싸우라고 지시했다. 바락은 드보라가 함께 가지 않으면 출전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드보라는 자신이 함께 가겠지만 '바락은 이 전투로 영광을 얻지 못하고, 시스라는 여인의 손에 죽을 것'이라는 하나님의 뜻을 전했다.<br> | ||
이스라엘 군의 움직임을 눈치챈 시스라는 다볼산 인근 기손강 유역에 군대를 주둔시켰다. 가나안 군은 철병거와 많은 군사를 거느리고 있었지만, 이스라엘 군은 납달리, 스불론 두 지파에서 모은 군사 1만 명이 전부였다. 드보라는 바락에게 ' | 이스라엘 군의 움직임을 눈치챈 시스라는 다볼산 인근 기손강 유역에 군대를 주둔시켰다. 가나안 군은 철병거와 많은 군사를 거느리고 있었지만, 이스라엘 군은 납달리, 스불론 두 지파에서 모은 군사 1만 명이 전부였다. 드보라는 바락에게 '[[하나님]]이 네 앞에 행하시고, 시스라를 네 손에 붙이셨다'며 출전을 명했다. 바락은 군대를 이끌고 다볼산에서 내려와 하나님의 도우심으로 가나안 군을 격파했다. 이스라엘은 퇴각하는 가나안 군사들을 뒤쫓아 섬멸해 대승을 거뒀다.<br> | ||
가까스로 전쟁터를 빠져나온 시스라는 야빈과 우호 관계에 있었던 헤벨의 장막으로 피신했다. 헤벨의 아내 야엘은 시스라를 환대하며 숨겨주었지만, 그가 잠들자 망치와 말뚝으로 그를 죽였다. 이후 이스라엘은 기세를 몰아 가나안 왕을 굴복시키고 압제에서 벗어났다([https://ko.wikisource.org/wiki/%EA%B0%9C%EC%97%AD%ED%95%9C%EA%B8%80%ED%8C%90/%EC%82%AC%EC%82%AC%EA%B8%B0#4%EC%9E%A5 사사기 4장]). | 가까스로 전쟁터를 빠져나온 시스라는 야빈과 우호 관계에 있었던 헤벨의 장막으로 피신했다. 헤벨의 아내 야엘은 시스라를 환대하며 숨겨주었지만, 그가 잠들자 망치와 말뚝으로 그를 죽였다. 이후 이스라엘은 기세를 몰아 가나안 왕을 굴복시키고 압제에서 벗어났다([https://ko.wikisource.org/wiki/%EA%B0%9C%EC%97%AD%ED%95%9C%EA%B8%80%ED%8C%90/%EC%82%AC%EC%82%AC%EA%B8%B0#4%EC%9E%A5 사사기 4장]). | ||
== 드보라의 노래 == | == 드보라의 노래 == | ||
드보라와 바락은 가나안 군대를 격퇴한 후 노래를 지어 이스라엘을 승리로 이끄신 하나님을 찬양했다. 노래는 사사기 5장 전체에 걸쳐 기록됐다. 구약성경에서도 특히 오래된 시가(詩歌) 중 하나다.<ref>가스펠서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1617&cid=50762&categoryId=51387 "드보라"], 《라이프성경사전》, 생명의말씀사, 2006, "삿 5장에 나오는 '드보라의 노래'는 구약에서 가장 오래된 노래 중 하나로 꼽히는데, 당시 가나안과 근동의 역사와 종교, 문학(시 형식)을 연구하는 데도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ref><ref>"드보라", 《성경대사전》, 성서연구원, 2000, 391쪽, "드보라의 노래 The Song of Deborah 이스라엘의 여선지자, 대사사인 드보라에 의해 기록된 전승가. 이스라엘의 어머니의 노래라고도 한다(삿 5:7). 구약 성서 중의 최고시(最古詩)의 하나이고, 히브리시의 대표적인 것일 뿐더러, 세계의 문학사 중에 불후(不朽)의 빛을 발하고 있다."</ref> | 드보라와 바락은 가나안 군대를 격퇴한 후 노래를 지어 이스라엘을 승리로 이끄신 하나님을 찬양했다. 노래는 사사기 5장 전체에 걸쳐 기록됐다. 구약성경에서도 특히 오래된 시가(詩歌) 중 하나다.<ref>가스펠서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1617&cid=50762&categoryId=51387 "드보라"], 《라이프성경사전》, 생명의말씀사, 2006, "삿 5장에 나오는 '드보라의 노래'는 구약에서 가장 오래된 노래 중 하나로 꼽히는데, 당시 가나안과 근동의 역사와 종교, 문학(시 형식)을 연구하는 데도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ref><ref>이성호, "드보라", 《성경대사전》, 성서연구원, 2000, 391쪽, "드보라의 노래 The Song of Deborah 이스라엘의 여선지자, 대사사인 드보라에 의해 기록된 전승가. 이스라엘의 어머니의 노래라고도 한다(삿 5:7). 구약 성서 중의 최고시(最古詩)의 하나이고, 히브리시의 대표적인 것일 뿐더러, 세계의 문학사 중에 불후(不朽)의 빛을 발하고 있다."</ref> | ||
* '''범람한 기손강''' | * '''범람한 기손강''' | ||
{{인용문5 |내용=열왕이 와서 싸울 때에 가나안 열왕이 므깃도 물가 다아낙에서 싸웠으나 돈을 탈취하지 못하였도다 별들이 하늘에서부터 싸우되 그 다니는 길에서 시스라와 싸웠도다 '''기손강은 그 무리를 표류시켰으니 이 기손강은 옛 강이라''' 내 영혼아 네가 힘 있는 자를 밟았도다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사기#5장 사사기 5:19-21]}} | {{인용문5 |내용=열왕이 와서 싸울 때에 가나안 열왕이 므깃도 물가 다아낙에서 싸웠으나 돈을 탈취하지 못하였도다 별들이 하늘에서부터 싸우되 그 다니는 길에서 시스라와 싸웠도다 '''기손강은 그 무리를 표류시켰으니 이 기손강은 옛 강이라''' 내 영혼아 네가 힘 있는 자를 밟았도다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사기#5장 사사기 5:19-21]}} | ||
:: | ::[[한글 성경 번역본|《새번역성경》]]에서는 사사기 5장 21절을 "기손 강물이 그들을 휩쓸어 갔고, 옛 강 기손의 물결이 그들을 휩쓸어 갔다"라고 번역한다.<ref>{{웹 인용 |url=https://www.bskorea.or.kr/bible/korbibReadpage.php?version=SAENEW&book=jdg&chap=5&sec=1&cVersion=&fontSize=15px&fontWeight=normal|제목=사사기 5:21 |저널=새번역성경 |인용문= }}</ref> 학자들은 기손강 인근의 지형이 이스라엘의 승리에 도움을 줬을 것으로 추측한다. 전투가 벌어진 기손강 유역 다아낙은 여러 개의 '와디(Wadi)'가 모여 있는 곳이었다. 와디는 사막 등 건조 지역에서 볼 수 있는 간헐하천이다. 평시에는 마른 골짜기지만 폭우가 오면 물이 급격히 범람해 유수(流水)가 생긴다.<ref>{{웹 인용 |url=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40577|제목="와디" |웹사이트=두산백과 두피디아 |저널=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이를 들어 학자들은 전투 중 갑작스레 내린 폭우로 강이 범람해 메마른 와디가 늪지대로 변했고, 가나안의 철병거가 진흙에 빠져 무용지물이 되면서 이스라엘이 승기를 잡았다고 추정한다.<ref>"기손", 《새성경 사전》, 기독교문서선교회, 1996, 242쪽, "이 강에 대한 가장 잘 알려진 언급은 시스라가 지휘하던 수리아인들에 대한, 바락의 지휘하에 있던 이스라엘의 승리와 관련해서이다(삿 4-5장; 시 83:9). 병거들로 완전히 무장한 시스라의 군대들은 들판에 배치되었고, 반면 이스라엘은 강의 남서쪽 산들로부터 공격을 감행했다. 이스라엘의 성공은 범람한 강에 의해 주변 들판을 시스라의 병거들이 움직이기엔 너무 질퍽하게 되어, 병거들이 진흙에 빠져 쓸모 없이 되었기 때문이다."</ref><ref>"기손", 《아가페성경사전》, 아가페출판사, 2003, 208쪽, "여러 개의 와디가 합쳐서 강을 이루고 있는 지점은 므깃도와 다아낙 부근이다. 이곳은 드보라가 바락과 함께 시스라의 군대를 치기 위하여 시스라의 병거와 군사들을 이끌어낸 장소였다(삿 4:7; 5:19). 20-21절에서 추정해 볼 때, 그들은 갑자기 밀어닥친 홍수로 인하여 대패하였음이 틀림없다. 가나안 족속들의 철병거는 진흙에 잠기고 시스라는 도보로 도망하였다가 살해되었다(4:15-17; 참조. 시83:9)."</ref> | ||
* '''하나님을 돕지 않은 메로스''' | * '''하나님을 돕지 않은 메로스''' | ||
| 43번째 줄: | 42번째 줄: | ||
==교훈== | ==교훈== | ||
드보라의 승리는 사람의 능력이 아닌 하나님을 의지해 얻은 결과였다. 당시 가나안 왕의 군대에는 강력한 철병거 부대가 있었다.<ref>[https://www.sciencetimes.co.kr/news/%ED%8F%AD%EC%9A%B0%EC%97%90-%EB%AC%B4%EB%84%88%EC%A7%84-%EC%B2%A0%EB%B3%91%EA%B1%B0/ "폭우에 무너진 철병거"], 《The Science Times》, 2011. 4. 20.</ref> 반면 이스라엘 군대는 급하게 조직되어 군세나 전투력 면에서 열세했지만 하나님의 도우심을 믿고 담대히 나아가 승리했다.<br> | 드보라의 승리는 사람의 능력이 아닌 하나님을 의지해 얻은 결과였다. 당시 가나안 왕의 군대에는 강력한 철병거 부대가 있었다.<ref>[https://www.sciencetimes.co.kr/news/%ED%8F%AD%EC%9A%B0%EC%97%90-%EB%AC%B4%EB%84%88%EC%A7%84-%EC%B2%A0%EB%B3%91%EA%B1%B0/ "폭우에 무너진 철병거"], 《The Science Times》, 2011. 4. 20.</ref> 반면 이스라엘 군대는 급하게 조직되어 군세나 전투력 면에서 열세했지만 하나님의 도우심을 믿고 담대히 나아가 승리했다.<br> | ||
성경은 하나님 안에서 모든 것을 할 수 있으며,<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빌립보서#4장 |제목=빌립보서 4:13 |저널= |인용문=내게 능력 주시는 자 안에서 내가 모든 것을 할 수 있느니라 }}</ref> 하나님을 의지했을 때 | 성경은 하나님 안에서 모든 것을 할 수 있으며,<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빌립보서#4장 |제목=빌립보서 4:13 |저널= |인용문=내게 능력 주시는 자 안에서 내가 모든 것을 할 수 있느니라 }}</ref> 하나님을 의지했을 때 [[성령]]의 크나큰 역사가 일어난다고 교훈한다. | ||
==같이 보기== | ==같이 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