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산나: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호산나의 어원== | ==호산나의 어원== | ||
헬라어 '호산나(ὡσαννά)'<ref>{{웹 인용 |url=https://dict.naver.com/grckodict/#/entry/grcko/a64036cd3df14129911ecf5230cb6e0c |제목=ὡσαννά |저널=고대 | 헬라어 '호산나(ὡσαννά)'<ref>{{웹 인용 |url=https://dict.naver.com/grckodict/#/entry/grcko/a64036cd3df14129911ecf5230cb6e0c |제목=ὡσαννά |저널=네이버 고대 그리스어사전}}</ref>는 [[시편]]에 기록된 히브리어 '호쉬아–나(הושיעה־נא)'<ref>{{웹 인용 |url= https://dict.naver.com/hbokodict/#/entry/hboko/d3c62275bd1f4713bdca4f4a48dd072d |제목=יָשַׁע |저널=네이버 고대 히브리어사전}}</ref><ref>{{웹 인용 |url= https://dict.naver.com/hbokodict/#/entry/hboko/e6557dbfa0294255a12b3529c9b88b1e |제목=נָא |저널=네이버 고대 히브리어사전}}</ref> | ||
에서 나온 말이다. 아람어로는 '호샤나(הושענא)'이다. 예수님 당시 유대인들이 [[성경]]을 읽을 때가 아닌 일상생활에서는 아람어를 사용한 사실을 감안할 때,<ref>J. 스티븐 랭, "아람어(Aramaic)", 《바이블 키워드》, 남경태 역, 들녘, 2007, 301쪽, "아람어는 예수와 제자들이 사용한 언어로, 당시 유대인들의 공용어였다. 원래 고대 시리아의 언어였는데, 점차 여러 지역에 퍼져 예수의 시대에는 히브리어를 제치고 대다수 유대인들이 사용하게 되었다. 두 언어는 닮은 점이 많다."</ref> 헬라어로 기록된 신약성경 속의 '호산나'는 아람어 '호샤나'의 음역으로 추정된다. | 에서 나온 말이다. 아람어로는 '호샤나(הושענא)'이다. 예수님 당시 유대인들이 [[성경]]을 읽을 때가 아닌 일상생활에서는 아람어를 사용한 사실을 감안할 때,<ref>J. 스티븐 랭, "아람어(Aramaic)", 《바이블 키워드》, 남경태 역, 들녘, 2007, 301쪽, "아람어는 예수와 제자들이 사용한 언어로, 당시 유대인들의 공용어였다. 원래 고대 시리아의 언어였는데, 점차 여러 지역에 퍼져 예수의 시대에는 히브리어를 제치고 대다수 유대인들이 사용하게 되었다. 두 언어는 닮은 점이 많다."</ref> 헬라어로 기록된 신약성경 속의 '호산나'는 아람어 '호샤나'의 음역으로 추정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