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자가: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File:Sankt Jakob-1093226.jpg|Sankt_Jakob-1093226|대체글=|섬네일|독일의 천주교회 제단에 있는 십자가]]
[[File:Nazaret Kirke Copenhagen altar.jpg|섬네일|덴마크의 교회 제단에 있는 십자가]]
'''십자가'''(十字架, cross)는 대다수 기독교회에서 [[교회]]의 상징으로 사용하고 있는 형상이다. 그러나 [[십자가 고난|그리스도의 수난]] 이후 처음 생겨난 신앙 상징물이 아니라 고대부터 이방 종교에서 숭배되어 왔다. 십자 모양의 틀은 고대 근동 지역에서 사형수를 못 박아 형을 집행하던 사형틀로도 사용되었다.<br>[[예수 그리스도]]는 인류의 죄를 대속하기 위해 약 2000년 전, [[무교절]]이자 [[안식일]] 전날인 금요일에 [[예루살렘]] 성밖 골고다 언덕에서 십자가에 못 박혀 운명했다. 초대교회 기독교인들에게 십자가는 예수 그리스도뿐 아니라 수많은 교인들을 죽게 한 사형틀이기 때문에 이를 신앙의 상징으로 사용할 가능성은 전혀 없었다. [[성경]]에도, 기독교 역사에도 초대교회가 십자가를 신앙의 상징으로 사용한 기록은 없다. 이방 종교의 상징이며 사형틀로 사용되었던 십자가는 교회가 세속화되고 진리가 변질되면서 4세기에 교회 안에 세워지기 시작한 것으로 전해진다.<ref>《Baker's 신학사전》, 신성종 역, 엠마오, 1996, 491쪽</ref>
'''십자가'''(十字架, cross)는 대다수 기독교회에서 [[교회]]의 상징으로 사용하고 있는 형상이다. 그러나 [[십자가 고난|그리스도의 수난]] 이후 처음 생겨난 신앙 상징물이 아니라 고대부터 이방 종교에서 숭배되어 왔다. 십자 모양의 틀은 고대 근동 지역에서 사형수를 못 박아 형을 집행하던 사형틀로도 사용되었다.<br>[[예수 그리스도]]는 인류의 죄를 대속하기 위해 약 2000년 전, [[무교절]]이자 [[안식일]] 전날인 금요일에 [[예루살렘]] 성밖 골고다 언덕에서 십자가에 못 박혀 운명했다. 초대교회 기독교인들에게 십자가는 예수 그리스도뿐 아니라 수많은 교인들을 죽게 한 사형틀이기 때문에 이를 신앙의 상징으로 사용할 가능성은 전혀 없었다. [[성경]]에도, 기독교 역사에도 초대교회가 십자가를 신앙의 상징으로 사용한 기록은 없다. 이방 종교의 상징이며 사형틀로 사용되었던 십자가는 교회가 세속화되고 진리가 변질되면서 4세기에 교회 안에 세워지기 시작한 것으로 전해진다.<ref name=":1">Everett F. Harrison 편, 《Baker's 신학사전》, 신성종 역, 엠마오, 1996, 491쪽</ref>
==십자가의 유래와 용도==
==십자가의 유래와 용도==
===숭배 도구===
===숭배 도구===
6번째 줄: 6번째 줄:
본래 십자가는 고대의 다양한 문명에서 널리 사용되던 숭배 도구였다. 두 개의 나무로 된 십자가 형태는 고대 [[바벨론]]의 담무스(Tammuz, 탐무즈) 숭배 사상에서 기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래 십자가는 고대의 다양한 문명에서 널리 사용되던 숭배 도구였다. 두 개의 나무로 된 십자가 형태는 고대 [[바벨론]]의 담무스(Tammuz, 탐무즈) 숭배 사상에서 기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용문 |교회가 사용한 두 개의 나무로 된 십자가의 형태는 고대 갈대아(Chaldea)에서 기원되었고 그 나라와 이집트를 포함한 인접 국가에서 담무스(Tammuz) 신의 상징으로 사용되었다.(그 이름의 머리 글자인 신비적인 타우(Tau) 모양임) |William E. Vine, ''Vine's Complete Expository Dictionary'', Thomas Nelson Publishers, 1996, p. 138}}
{{인용문 |교회가 사용한 두 개의 나무로 된 십자가의 형태는 고대 갈대아(Chaldea)에서 기원되었고 그 나라와 이집트를 포함한 인접 국가에서 담무스(Tammuz) 신의 상징으로 사용되었다.(그 이름의 머리 글자인 신비적인 타우(Tau) 모양임) |William E. Vine, ''Vine's Complete Expository Dictionary'', Thomas Nelson Publishers, 1996, p. 138}}
고대 이집트의 신전과 왕들의 비석에도 십자가가 그려져 있다. 이집트 룩소르에 위치한 고대 이집트 신왕국 시대(B.C. 1570-B.C. 1070)의 역대 왕릉 유적지인 '왕가의 계곡(Valley of the Kings)'에서는 고리가 달려 있는 십자가 '앵크(Ankh)'를 그린 벽화를 심심찮게 발견할 수 있다.<ref>[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Looking_out_from_Ramses_V_VI_tomb_in_Valley_of_Kings_on_West_Bank_of_Luxor_Egypt.jpg "람세스 5, 6세의 무덤"], ''Wikimedia Commons''</ref><ref>[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KV17,_the_tomb_of_Pharaoh_Seti_I_of_the_Nineteenth_Dynasty,_Valley_of_the_Kings,_Egypt_(49845804653).jpg "세티 1세의 무덤"], ''Wikimedia Commons''</ref> 페니키아의 베리투스(현재 레바논의 베이루트)에서 통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주화 뒷면에는 페니키아인들이 숭배했던 여신 아스타르테(Astarte, 성경의 아스다롯)가 십자가를 들고 있는 모습이 새겨져 있다.<ref>[http://www258.pair.com/denarius/cgi-bin/erfind.pl?sstring=rp1736 Coins of Gallienus and Family]</ref> 아시리아의 유적에서도 신아시리아제국의 왕 아슈르나시르팔 2세(Ashurnasirpal II, 재위: B.C. 883-B.C. 859)가 목에 십자가를 걸고 있는 모습이 새겨진 석비가 발견되었다.<ref>[https://www.britishmuseum.org/collection/object/W_1851-0902-32 "아슈르나시르팔 2세의 석비"], ''The British Museum''</ref> 이처럼 십자가 숭배는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에 희생하기 훨씬 이전에 발생한, 고대 국가들의 종교적 습속이었다.
고대 이집트의 신전과 왕들의 비석에도 십자가가 그려져 있다. 이집트 룩소르에 위치한 고대 이집트 신왕국 시대(B.C. 1570-B.C. 1070)의 역대 왕릉 유적지인 '왕가의 계곡(Valley of the Kings)'에서는 고리가 달려 있는 십자가 '앵크(Ankh)'를 그린 벽화를 심심찮게 발견할 수 있다.<ref>Tim Adams,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Looking_out_from_Ramses_V_VI_tomb_in_Valley_of_Kings_on_West_Bank_of_Luxor_Egypt.jpg "람세스 5, 6세의 무덤"], ''Wikimedia Commons''</ref><ref>Carole Raddato,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KV17,_the_tomb_of_Pharaoh_Seti_I_of_the_Nineteenth_Dynasty,_Valley_of_the_Kings,_Egypt_(49845804653).jpg "세티 1세의 무덤"], ''Wikimedia Commons''</ref> 페니키아의 베리투스(현재 레바논의 베이루트)에서 통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주화 뒷면에는 페니키아인들이 숭배했던 여신 아스타르테(Astarte, 성경의 아스다롯)가 십자가를 들고 있는 모습이 새겨져 있다.<ref>"Coins of Gallienus and Family," [http://www258.pair.com/denarius/cgi-bin/erfind.pl?sstring=rp1736, http://www258.pair.com/denarius/cgi-bin/erfind.pl?sstring=rp1736,] Accessed on Dec. 19. 2022</ref> 아시리아의 유적에서도 신아시리아제국의 왕 아슈르나시르팔 2세(Ashurnasirpal II, 재위: B.C. 883-B.C. 859)가 목에 십자가를 걸고 있는 모습이 새겨진 석비가 발견되었다.<ref>[https://www.britishmuseum.org/collection/object/W_1851-0902-32 "stela(아슈르나시르팔 2세의 석비),"] ''The British Museum''</ref> 이처럼 십자가 숭배는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에 희생하기 훨씬 이전에 발생한, 고대 국가들의 종교적 습속이었다.


===처형 도구===
===처형 도구===
십자가는 기원전 6세기경부터 기원후 4세기까지 고대 서양에서 죄인을 못 박아 처형하던 형틀이다.<ref>"십자가",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예전에, 서양에서 죄인을 못 박아 죽이던 십자가의 형틀."</ref><ref>"십자가", 《국어대사전》, 민중서림, 2018, 2344쪽, "옛날에 서양에서 죽일 죄인을 달아 놓고 못을 박아 죽이던 '十' 자 모양의 형구."</ref><ref>"십자가", 《한국가톨릭대사전》 제8권, 한국교회사연구소, 1993, 5577쪽, "십자가는 예수의 십자가 위의 죽음 전에는 사형을 위한 잔인한 도구였다. 기원전 6세기경부터 4세기까지 십자가형은 사형의 한 방법으로 페르시아의 셀레오쿠스 왕주, 카르타고와 로마 제국 내에서 사용되었다."</ref> 십자가형을 최초로 창안한 민족은 페니키아의 카르타고<ref>"십자가형", 《종교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소, 1998, "고대 지중해 세계에 보이는 책형구 ... 십자가를 중죄인의 책형구로 이용한 것은 페니키아인이 최초일 것이다."</ref><ref>"십자가형", 《교회사대사전》 제2권, 기독지혜사, 1994, 371쪽, "고대 세계에서 사용한 사형 방법 ... 페니키아인들이 창안해낸 뒤 다른 여러 민족들이 받아들인 듯하다."</ref> 또는 페르시아<ref name=":0">J. 스티븐 랭, "십자가와 예수의 처형", 《바이블 키워드》, 남경태 역, 들녘, 2014</ref>로 추정되며, 타 민족에게 영향을 주어 고대 바벨론(바빌로니아), 이집트, 아시리아 등지에서도 사용됐다. 알렉산드로스대왕은 [[메대 바사 (페르시아)|페르시아]]에서 십자가형을 배워 그리스에 전파했고, 로마인들은 2차 포에니 전쟁에서 승리한 이후 카르타고의 페니키아인에게 배워 [[로마 제국]]에서 사용했다.<ref>"십자가형", 《성서대백과사전》 제4권, 기독지혜사, 1979, 753쪽</ref> 이후 로마 제국에서 십자가형은 죄인을 가장 잔인하고 가혹하게 죽음에 이르게 하는 사형 방법으로 사용되었다.<ref>《고등학교 종교(기독교)》, 한국기독교학교연맹, 1993, 16쪽</ref> <br>
십자가는 기원전 6세기경부터 기원후 4세기까지 고대 서양에서 죄인을 못 박아 처형하던 형틀이다.<ref>[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pageSize=10&searchKeyword=%EC%8B%AD%EC%9E%90%EA%B0%80 "십자가"],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예전에, 서양에서 죄인을 못 박아 죽이던 십자가의 형틀."</ref><ref>이희승 편, "십자가", 《국어대사전》, 민중서림, 2018, 2344쪽, "옛날에 서양에서 죽일 죄인을 달아 놓고 못을 박아 죽이던 '十' 자 모양의 형구."</ref><ref>"십자가", 《한국가톨릭대사전》 제8권, 한국교회사연구소, 1993, 5577쪽, "십자가는 예수의 십자가 위의 죽음 전에는 사형을 위한 잔인한 도구였다. 기원전 6세기경부터 4세기까지 십자가형은 사형의 한 방법으로 페르시아의 셀레오쿠스 왕주, 카르타고와 로마 제국 내에서 사용되었다."</ref> 십자가형을 최초로 창안한 민족은 페니키아의 카르타고<ref>"십자가형", 《종교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소, 1998, "고대 지중해 세계에 보이는 책형구 ... 십자가를 중죄인의 책형구로 이용한 것은 페니키아인이 최초일 것이다."</ref><ref>"십자가형", 《교회사대사전》 제2권, 기독지혜사, 1994, 371쪽, "고대 세계에서 사용한 사형 방법 ... 페니키아인들이 창안해낸 뒤 다른 여러 민족들이 받아들인 듯하다."</ref> 또는 페르시아<ref name=":0">J. 스티븐 랭, "십자가와 예수의 처형", 《바이블 키워드》, 남경태 역, 들녘, 2014</ref>로 추정되며, 타 민족에게 영향을 주어 고대 바벨론(바빌로니아), 이집트, 아시리아 등지에서도 사용됐다. 알렉산드로스대왕은 [[메대 바사 (페르시아)|페르시아]]에서 십자가형을 배워 그리스에 전파했고, 로마인들은 2차 포에니 전쟁에서 승리한 이후 카르타고의 페니키아인에게 배워 [[로마 제국]]에서 사용했다.<ref>"십자가형", 《성서대백과사전》 제4권, 기독지혜사, 1979, 753쪽</ref> 이후 로마 제국에서 십자가형은 죄인을 가장 잔인하고 가혹하게 죽음에 이르게 하는 사형 방법으로 사용되었다.<ref>《고등학교 종교(기독교)》, 한국기독교학교연맹, 1993, 16쪽</ref> <br>
십자가형은 사형수를 십자가에 못 박거나 결박하여 처형하는데, 로마는 주로 극악한 범죄자나 반역자, 노예 등을 처벌하는 데 사용했다.<ref>"십자가형", 《CLP 성경사전》, 기독교문사, 2003, 800쪽, "이 처형 방식은 대중들로부터 모욕을 주고 서서히 육체적인 고통을 가하는 잔인한 방식 ... 본래 페니키아와 페르시아에서 시행하던 것으로, 로마에 유입되면서 노예들과 외국인들에게만 사용되었다."</ref><ref>가스펠서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4472&cid=50762&categoryId=51387 "십자가"], 《라이프성경사전》, 생명의말씀사, 2006, “십자가형은 로마에 도입되어 극악한 범죄자나 로마 황제의 권위에 도전한 반역자에게만 가해졌다.”</ref> 십자가형은 가장 잔인하고 수치스러운 형벌 중 하나였다. 로마의 법률가 율리우스 파울루스가 편찬한 형법에는 로마시대 가장 잔인한 형태의 형벌 종류로 세 가지를 꼽고 있는데, 그 첫째가 십자가형이다.<ref>Mitchell B. Merback, ''The Thief, the Cross and the Wheel'', Reaktion Books, 2001, p. 202</ref><ref>둘째는 화형, 셋째는 교수형이다. 교수형 대신 짐승에게 찢기는 형벌도 거론되어 있다.</ref> 로마의 정치가였던 키케로는 십자가형을 '가장 잔인하고 혐오스러운 형벌(that most cruel and disgusting penalty)'이라고 표현했고, 유대 역사가 요세푸스는 '가장 비참한 죽음(the most wretched of deaths)의 형틀'이라고 표현했다.<br>
십자가형은 사형수를 십자가에 못 박거나 결박하여 처형하는데, 로마는 주로 극악한 범죄자나 반역자, 노예 등을 처벌하는 데 사용했다.<ref>"십자가형", 《CLP 성경사전》, 기독교문사, 2003, 800쪽, "이 처형 방식은 대중들로부터 모욕을 주고 서서히 육체적인 고통을 가하는 잔인한 방식 ... 본래 페니키아와 페르시아에서 시행하던 것으로, 로마에 유입되면서 노예들과 외국인들에게만 사용되었다."</ref><ref>가스펠서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4472&cid=50762&categoryId=51387 "십자가"], 《라이프성경사전》, 생명의말씀사, 2006, “십자가형은 로마에 도입되어 극악한 범죄자나 로마 황제의 권위에 도전한 반역자에게만 가해졌다.”</ref> 십자가형은 가장 잔인하고 수치스러운 형벌 중 하나였다. 로마의 법률가 율리우스 파울루스가 편찬한 형법에는 로마시대 가장 잔인한 형태의 형벌 종류로 세 가지를 꼽고 있는데, 그 첫째가 십자가형이다.<ref>Mitchell B. Merback, ''The Thief, the Cross and the Wheel'', Reaktion Books, 2001, p. 202</ref><ref>둘째는 화형, 셋째는 교수형이다. 교수형 대신 짐승에게 찢기는 형벌도 거론되어 있다.</ref> 로마의 정치가였던 키케로는 십자가형을 '가장 잔인하고 혐오스러운 형벌(that most cruel and disgusting penalty)'이라고 표현했고, 유대 역사가 요세푸스는 '가장 비참한 죽음(the most wretched of deaths)의 형틀'이라고 표현했다.<br>
십자가형의 집행 방식은 다양한데 일반적으로 형을 선고받은 죄수는 채찍질을 당한 후에 십자가 틀에 손목과 발이 못 박힌 채 땅에 수직으로 세워져 고통을 당하게 된다. 학자들에 따르면 십자가형은 육체적으로 극심하고 치명적인 고통을 유발시킨다. 십자가에 못 박혀 수직으로 매달리면 근육에 충격이 가해져 횡경막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혈액 순환 장애와 장기 부전, 질식과 쇼크 등이 유발돼 사망에 이르게 된다.<ref>[https://www.britannica.com/topic/crucifixion-capital-punishment "Crucifixion"], ''Encyclopaedia Britannica''</ref><ref>“The Medical Evidence,” ''The case for Chrsist'', Zondervan, pp. 255-256</ref>
십자가형의 집행 방식은 다양한데 일반적으로 형을 선고받은 죄수는 채찍질을 당한 후에 십자가 틀에 손목과 발이 못 박힌 채 땅에 수직으로 세워져 고통을 당하게 된다. 학자들에 따르면 십자가형은 육체적으로 극심하고 치명적인 고통을 유발시킨다. 십자가에 못 박혀 수직으로 매달리면 근육에 충격이 가해져 횡격막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혈액 순환 장애와 장기 부전, 질식과 쇼크 등이 유발돼 사망에 이르게 된다.<ref>[https://www.britannica.com/topic/crucifixion-capital-punishment "Crucifixion,"] ''Encyclopaedia Britannica''</ref><ref>Lee Strobel, “The Medical Evidence,” ''The case for Christ'', Zondervan, pp. 255-256</ref>


== 십자가의 종류==
== 십자가의 종류==
[[파일:가톨릭백과사전 십자가의 종류.jpg|섬네일 | 250px|오른쪽 |''The Catholic Encyclopedia''(가톨릭 백과사전), 제4권, The Encyclopedia Press, Inc., 1913, p. 538]]
[[파일:가톨릭백과사전 십자가의 종류.jpg|섬네일 | 250px|오른쪽 |십자가 종류<ref><i>The Catholic Encyclopedia</i>, Vol. 4, The Encyclopedia Press, Inc., 1913, p. 538</ref>]]
십자가는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졌다. 고대 이집트에서 사용되던 앵크 십자가, 켈트족의 태양신 숭배 의식에서 유래된 켈트 십자가, 서방 교회에서 흔히 사용되던 라틴 십자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 나치의 휘장으로 사용된 만(卍) 자 모양의 갈고리 십자가 등 갖가지 십자가들이 존재한다. 가톨릭 교회의 경우, 여러 형태의 십자가를 갖고 있다.《가톨릭 백과사전》에는 한 페이지에 걸쳐서 40가지의 십자가가 소개되어 있다. 이교의 영향 없이 오직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을 상징하기 위한 목적에서 만들어진 것이라고 한다면 교회에 존재하는 십자가 형태는 한 가지라야 이치에 맞을 것이다. 교회 안에 십자가의 형태가 수십 개 존재한다는 것은 그만큼 많은 이교의 영향으로 각종 십자가가 만들어진 것이라고 해석할 수밖에 없다.  
십자가는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졌다. 고대 이집트에서 사용되던 앵크 십자가, 켈트족의 태양신 숭배 의식에서 유래된 켈트 십자가, 서방 교회에서 흔히 사용되던 라틴 십자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 나치의 휘장으로 사용된 만(卍) 자 모양의 갈고리 십자가 등 갖가지 십자가들이 존재한다. 가톨릭 교회의 경우, 여러 형태의 십자가를 갖고 있다.《가톨릭 백과사전》에는 한 페이지에 걸쳐서 40가지의 십자가가 소개되어 있다. 이교의 영향 없이 오직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을 상징하기 위한 목적에서 만들어진 것이라고 한다면 교회에 존재하는 십자가 형태는 한 가지라야 이치에 맞을 것이다. 교회 안에 십자가의 형태가 수십 개 존재한다는 것은 그만큼 많은 이교의 영향으로 각종 십자가가 만들어진 것이라고 해석할 수밖에 없다.  


==기독교에 유입된 십자가==
==기독교에 유입된 십자가==
===역사===
===역사===
기독교가 십자가를 기독교의 상징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로마 제국의 [[콘스탄티누스 1세]](재위: 306-337) 때다.<ref name="십자가">《Baker's 신학사전》, 신성종 역, 엠마오, 1996, 491쪽</ref> 이는 예수님 이후 콘스탄티누스 시대까지 거의 300년 동안 교회가 십자가를 세운 적이 없다는 방증이다. 로마인들 사이에서 십자가형은 가장 악명 높은 범죄자에게만 집행되는 처형 도구라는 혐오감이 일반적인 감정이었다.<ref>"Crucufix," ''The Encyclopedia Americana'', Vol 8, The Encyclopedia Americana Corp., 1922, p. 240</ref> 초대교회 기독교인들에게도 십자가는 말만 들어도 몸서리치는 것이었기 때문에 미화시킬 위험성은 전혀 없었다.<ref name="십자가" /> 로마 제국이 초대교회를 박해하면서 기독교인들을 처형하는 데 사용한 형구 중 하나가 십자가였기 때문이다. 사도 [[베드로]]도 십자가에 거꾸로 매달려 순교한 것으로 전해진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21장|제목=요한복음 21:18-19|인용문=내가 진실로 진실로 네게 이르노니 ... 늙어서는 네 팔을 벌리리니 ... 이 말씀을 하심은 베드로가 어떠한 죽음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릴 것을 가리키심이러라}}</ref><ref>피터 퍼타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799448&cid=43082&categoryId=43082 "베드로가 십자가에 거꾸로 못박히다"], 《죽기 전에 꼭 알아야 할 세계 역사 1001 Days》, 박누리·김희진 역, 마로니에북스, 2009</ref> 십자가 형벌이 폐지된 것은 콘스탄티누스 시대였다.<ref>홍익희, 《세 종교 이야기》, 행성B, 2017</ref>
기독교가 십자가를 기독교의 상징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로마 제국의 [[콘스탄티누스 1세]](재위: 306-337) 때다.<ref name=":1" /> 이는 예수님 이후 콘스탄티누스 시대까지 거의 300년 동안 교회가 십자가를 세운 적이 없다는 방증이다. 로마인들 사이에서 십자가형은 가장 악명 높은 범죄자에게만 집행되는 처형 도구라는 혐오감이 일반적인 감정이었다.<ref>"Crucufix," ''The Encyclopedia Americana'', Vol 8, The Encyclopedia Americana Corp., 1922, p. 240</ref> 초대교회 기독교인들에게도 십자가는 말만 들어도 몸서리치는 것이었기 때문에 미화시킬 위험성은 전혀 없었다.<ref name=":1" /> 로마 제국이 초대교회를 박해하면서 기독교인들을 처형하는 데 사용한 형구 중 하나가 십자가였기 때문이다. 사도 [[베드로]]도 십자가에 거꾸로 매달려 순교한 것으로 전해진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21장|제목=요한복음 21:18-19|인용문=내가 진실로 진실로 네게 이르노니 ... 늙어서는 네 팔을 벌리리니 ... 이 말씀을 하심은 베드로가 어떠한 죽음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릴 것을 가리키심이러라}}</ref><ref>피터 퍼타도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799448&cid=43082&categoryId=43082 "베드로가 십자가에 거꾸로 못박히다"], 《죽기 전에 꼭 알아야 할 세계 역사 1001 Days》, 박누리 외 역, 마로니에북스, 2009</ref> 십자가 형벌이 폐지된 것은 콘스탄티누스 시대였다.<ref>홍익희, 《세 종교 이야기》, 행성B, 2017</ref>
{{인용문 |그밖에 콘스탄틴의 업적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br>(1) 고래의 풍속을 개혁하였다. 즉 십자가의 형벌을 폐지하고 |이종기, 《교회사》, 세종문화사, 2000, 95쪽 }}
{{인용문 |그밖에 콘스탄틴의 업적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br>(1) 고래의 풍속을 개혁하였다. 즉 십자가의 형벌을 폐지하고 |이종기, 《교회사》, 세종문화사, 2000, 95쪽 }}
로마 제국의 기독교 박해는 313년 콘스탄티누스 1세가 [[밀라노 칙령]]을 반포한 후 기독교를 공인함으로써 종식되었다. 콘스탄티누스 1세는 기독교 우대정책을 펼치는 한편 기독교를 상징하는 주화 30여 종을 발행하기도 했는데, 십자가를 새긴 주화가 주조되었다. 황제의 지지 속에 교세를 확장한 로마 교회(지금의 로마 가톨릭교회)는 기독교로 개종한 이교도들의 종교적 관습을 받아들였다.<ref>라이온사 편,《교회사 핸드북》, 송광택 역, 생명의말씀사, 1991, 131쪽, "기독교회는 많은 이방 사상과 상징을 받아들였다." </ref> 그중 하나가 십자가 숭배 사상이었다. 로마 가톨릭교회는 '성녀'라 불린 콘스탄티누스 1세의 모친 헬레나(Helena)가 십자가 발현을 주장하고, 320년에서 345년 사이에는 예수님께서 못 박히셨던 십자가를 발견했다는 명분으로 예루살렘에 이를 안치할 십자가성당과 부활성당을 건축했다. 이어 헌당 축일을 제정하고 십자가를 공경의 대상으로 인정하기 시작했다.<ref name="가톨릭 십자가">[https://maria.catholic.or.kr/dictionary/term/term_view.asp?ctxtIdNum=2173&keyword=%EC%8B%AD%EC%9E%90%EA%B0%80&gubun=01 십자가], 《가톨릭대사전》</ref> 교회 내부에 십자가를 부착하기 시작한 것은 431년경이고, 568년경에는 교회 첨탑에 십자가가 세워졌다.<ref>Joseph Haydn, ''Haydn's Dictionary of Dates'',  Dover Publications, 1969, p. 382</ref>
로마 제국의 기독교 박해는 313년 콘스탄티누스 1세가 [[밀라노 칙령]]을 반포한 후 기독교를 공인함으로써 종식되었다. 콘스탄티누스 1세는 기독교 우대정책을 펼치는 한편 기독교를 상징하는 주화 30여 종을 발행하기도 했는데, 십자가를 새긴 주화가 주조되었다. 황제의 지지 속에 교세를 확장한 로마 교회(지금의 로마 가톨릭교회)는 기독교로 개종한 이교도들의 종교적 관습을 받아들였다.<ref>라이온사 편,《교회사 핸드북》, 송광택 역, 생명의말씀사, 1991, 131쪽, "기독교회는 많은 이방 사상과 상징을 받아들였다." </ref> 그중 하나가 십자가 숭배 사상이었다. 로마 가톨릭교회는 '성녀'라 불린 콘스탄티누스 1세의 모친 헬레나(Helena)가 십자가 발현을 주장하고, 320년에서 345년 사이에는 예수님께서 못 박히셨던 십자가를 발견했다는 명분으로 예루살렘에 이를 안치할 십자가성당과 부활성당을 건축했다. 이어 헌당 축일을 제정하고 십자가를 공경의 대상으로 인정하기 시작했다.<ref name="가톨릭 십자가">[https://maria.catholic.or.kr/dictionary/term/term_view.asp?ctxtIdNum=2173&keyword=%EC%8B%AD%EC%9E%90%EA%B0%80&gubun=01 "십자가"], 《가톨릭대사전》</ref> 교회 내부에 십자가를 부착하기 시작한 것은 431년경이고, 568년경에는 교회 첨탑에 십자가가 세워졌다.<ref>Joseph Haydn, ''Haydn's Dictionary of Dates'',  Dover Publications, 1969, p. 382</ref>{{인용문|교회와 사무실 속에 십자가가 도입된 것은 431년경이었고, 뾰족탑[첨탑] 위에 세워진 것은 568년경이었다.|Joseph Haydn et al., ''Haydn's Dictionary of Dates'', E. Moxon and Co., 1866, p. 220}}
[[파일:교회에_십자가를_도입한_연도_사전.jpg|섬네일 |150px|왼쪽|]]{{인용문|교회와 사무실 속에 십자가가 도입된 것은 431년경이었고, 뾰족탑[첨탑] 위에 세워진 것은 568년경이었다.|Joseph Haydn et al., ''Haydn's Dictionary of Dates'', E. Moxon and Co., 1866, p. 220}}
이후 692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71652&cid=50762&categoryId=51340 트룰라눔(Trullanum) 교회회의]를 통해 십자가 숭배를 강화하고, 787년 제2차 [[니케아 공의회 (니케아 종교회의)|니케아 공의회]]에서 공식 채택한 후 오늘날까지 각종 십자가를 만들어 숭배하고 있다.<ref name="가톨릭 십자가" />
이후 692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71652&cid=50762&categoryId=51340 트룰라눔(Trullanum) 교회회의]를 통해 십자가 숭배를 강화하고, 787년 제2차 [[니케아 공의회 (니케아 종교회의)|니케아 공의회]]에서 공식 채택한 후 오늘날까지 각종 십자가를 만들어 숭배하고 있다.<ref name="가톨릭 십자가" />


45번째 줄: 44번째 줄:
== 십자가 숭배는 우상 숭배==
== 십자가 숭배는 우상 숭배==
===성경의 가르침===
===성경의 가르침===
[[하나님]]이 명하신 [[십계명]]의 제2계명에는 [[우상]]은 물론 어떤 형상이든 만들지 말고 이를 섬기지 말라고 명시되어 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0장|제목=출애굽기 20:4-6|인용문=너를 위하여 새긴 우상을 만들지 말고 또 위로 하늘에 있는 것이나 아래로 땅에 있는 것이나 땅 아래 물속에 있는 것의 아무 형상이든지 만들지 말며}}</ref> 성경에 십자가 형상만큼은 예외적으로 만들어도 괜찮다는 기록은 없다. 따라서 십자가 형상을 어느 정도로 숭배하고 의지하는지를 떠나서, 하나님을 섬기기 위해 십자가 형상을 만들어 세우는 것 자체가 이미 우상을 만들지 말라는 계명을 거역하는 행위이다. 하나님께서는 당신을 비겨서 형상을 만들지 말라고 당부하셨다. 하나님에 대한 신앙적 행위에 있어 물질을 이용해 어떤 것도 만들거나 섬겨서는 안 된다.
[[하나님]]이 명하신 [[십계명]]의 제2계명에는 [[우상]]은 물론 어떤 형상이든 만들지 말고 이를 섬기지 말라고 명시되어 있다. 성경에 십자가 형상만큼은 예외적으로 만들어도 괜찮다는 기록은 없다. 따라서 십자가 형상을 어느 정도로 숭배하고 의지하는지를 떠나서, 하나님을 섬기기 위해 십자가 형상을 만들어 세우는 것 자체가 이미 우상을 만들지 말라는 계명을 거역하는 행위이다. 하나님께서는 당신을 비겨서 형상을 만들지 말라고 당부하셨다. 하나님에 대한 신앙적 행위에 있어 물질을 이용해 어떤 것도 만들거나 섬겨서는 안 된다.
{{인용문5 |내용= 너희는 나를 비겨서 은으로 신상이나 금으로 신상을 너희를 위하여 만들지 말고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0장 출애굽기 20:23]}}{{인용문5 |내용= 너를 위하여 새긴 우상을 만들지 말고 또 위로 하늘에 있는 것이나 아래로 땅에 있는 것이나 땅 아래 물 속에 있는 것의 아무 형상이든지 '''만들지 말며''' 그것들에게 절하지 말며 그것들을 '''섬기지 말라'''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0장 출애굽기 20:4-5]}}
{{인용문5 |내용= 너희는 나를 비겨서 은으로 신상이나 금으로 신상을 너희를 위하여 만들지 말고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0장 출애굽기 20:23]}}{{인용문5 |내용= 너를 위하여 새긴 우상을 만들지 말고 또 위로 하늘에 있는 것이나 아래로 땅에 있는 것이나 땅 아래 물 속에 있는 것의 아무 형상이든지 '''만들지 말며''' 그것들에게 절하지 말며 그것들을 '''섬기지 말라'''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0장 출애굽기 20:4-5]}}
성경은 금, 은, 나무, 돌 등으로 만든 우상을 의지하거나 숭배하는 일을 금지한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26장|제목=레위기 26:1|인용문=너희는 자기를 위하여 우상을 만들지 말지니 목상이나 주상을 세우지 말며 너희 땅에 조각한 석상을 세우고 그에게 경배하지 말라}}</ref> 나무 등으로 만들어진 십자가도 성경이 지목하는 우상에 해당한다. 성경은 이러한 물질로 만든 우상이 사람에게 화를 주거나 복을 주지 못하며<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10장|제목=예레미야 10:3-5|인용문=열방의 규례는 헛된 것이라 그 위하는 것은 삼림에서 벤 나무요 공장의 손이 도끼로 만든 것이라 ... 그것이 화를 주거나 복을 주지 못하나니 너희는 두려워 말라 하셨느니라}}</ref> 도리어 우상을 만들고 숭배하는 자가 저주를 받을 것이라고 경고한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27장|제목=신명기 27:15|인용문=장색의 손으로 조각하였거나 부어 만든 우상은 여호와께 가증하니 그것을 만들어 은밀히 세우는 자는 저주를 받을 것이라 할 것이요}}</ref>
성경은 금, 은, 나무, 돌 등으로 만든 우상을 의지하거나 숭배하는 일을 금지한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26장|제목=레위기 26:1|인용문=너희는 자기를 위하여 우상을 만들지 말지니 목상이나 주상을 세우지 말며 너희 땅에 조각한 석상을 세우고 그에게 경배하지 말라}}</ref> 나무 등으로 만들어진 십자가도 성경이 지목하는 우상에 해당한다. 성경은 이러한 물질로 만든 우상이 사람에게 화를 주거나 복을 주지 못하며<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10장|제목=예레미야 10:3-5|인용문=열방의 규례는 헛된 것이라 그 위하는 것은 삼림에서 벤 나무요 공장의 손이 도끼로 만든 것이라 ... 그것이 화를 주거나 복을 주지 못하나니 너희는 두려워 말라 하셨느니라}}</ref> 도리어 우상을 만들고 숭배하는 자가 저주를 받을 것이라고 경고한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27장|제목=신명기 27:15|인용문=장색의 손으로 조각하였거나 부어 만든 우상은 여호와께 가증하니 그것을 만들어 은밀히 세우는 자는 저주를 받을 것이라 할 것이요}}</ref>
58번째 줄: 57번째 줄:
성경은 인류의 구원이 십자가 형상이 아닌, 예수님의 희생의 보혈로 이뤄졌음을 알려준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베소서#1장|제목=에베소서 1:7|인용문=우리가 그리스도 안에서 그의 은혜의 풍성함을 따라 그의 피로 말미암아 구속 곧 죄 사함을 받았으니}}</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베드로전서#1장|제목=베드로전서 1:18-19|인용문=너희가 알거니와 너희 조상의 유전한 망령된 행실에서 구속된 것은 은이나 금 같이 없어질 것으로 한 것이 아니요 오직 흠 없고 점 없는 어린 양 같은 그리스도의 보배로운 피로 한 것이니라}}</ref> 예수님께서 당신의 보혈로 세우신 [[새 언약]]의 핵심이 [[유월절]]이다. 그래서 [[그리스도]]의 십자가 외에 자랑할 것이 없다고 한 사도 [[바울]]도 새 언약의 유월절로 그리스도의 희생을 기념하고 전파했다. 예수님의 십자가 희생을 자랑하고 전하는 것은 십자가 형상이 아니라 [[새 언약 유월절|새 언약의 유월절]]을 지키고 전하는 데 있다.  
성경은 인류의 구원이 십자가 형상이 아닌, 예수님의 희생의 보혈로 이뤄졌음을 알려준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베소서#1장|제목=에베소서 1:7|인용문=우리가 그리스도 안에서 그의 은혜의 풍성함을 따라 그의 피로 말미암아 구속 곧 죄 사함을 받았으니}}</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베드로전서#1장|제목=베드로전서 1:18-19|인용문=너희가 알거니와 너희 조상의 유전한 망령된 행실에서 구속된 것은 은이나 금 같이 없어질 것으로 한 것이 아니요 오직 흠 없고 점 없는 어린 양 같은 그리스도의 보배로운 피로 한 것이니라}}</ref> 예수님께서 당신의 보혈로 세우신 [[새 언약]]의 핵심이 [[유월절]]이다. 그래서 [[그리스도]]의 십자가 외에 자랑할 것이 없다고 한 사도 [[바울]]도 새 언약의 유월절로 그리스도의 희생을 기념하고 전파했다. 예수님의 십자가 희생을 자랑하고 전하는 것은 십자가 형상이 아니라 [[새 언약 유월절|새 언약의 유월절]]을 지키고 전하는 데 있다.  
{{인용문5 |내용= 내가 너희에게 전한 것은 주께 받은 것이니 곧 주 예수께서 잡히시던 밤(유월절)에 떡을 가지사 축사하시고 ... 이 잔은 내 피로 세운 새 언약이니 이것을 행하여 마실 때마다 나를 기념하라 하셨으니 너희가 이 떡을 먹으며 이 잔을 마실 때마다 '''주의 죽으심'''을 오실 때까지 전하는 것이니라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1장 고린도전서 11:23-26]}}
{{인용문5 |내용= 내가 너희에게 전한 것은 주께 받은 것이니 곧 주 예수께서 잡히시던 밤(유월절)에 떡을 가지사 축사하시고 ... 이 잔은 내 피로 세운 새 언약이니 이것을 행하여 마실 때마다 나를 기념하라 하셨으니 너희가 이 떡을 먹으며 이 잔을 마실 때마다 '''주의 죽으심'''을 오실 때까지 전하는 것이니라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1장 고린도전서 11:23-26]}}
==같이 보기==
==같이 보기==
*[[새 언약]]
*[[새 언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