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 어머니: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5번째 줄: 5번째 줄:
육신이 태어난 고향이 있듯 영혼도 태어난 본향<ref>{{인용 |url= |제목=본향(本響) |웹사이트= |저널=CLP 성경사전 |출판사=기독교문사 |날짜= |연도=2013 |저자= |쪽=550 |시리즈= |isbn= |인용문=고향의 다른 표현(민 22:5; 왕상 22:36; 잠 27:8; 렘 42:12). 히브리서에서는 인류의 진정한 고향, 더 좋은 하나님의 도성이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헬라어 '파트리스'는 πατήρ(파테르: 아버지)에서 온 말이다.}}</ref>이 있다. 영혼의 본향은 하늘나라다. 육신은 이 땅에서 났다가 이 땅에서 없어지지만, 영혼은 [[하나님]]께로 와서 하나님께로 간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전도서#12장 |제목=전도서 12:7 |저널= |인용문= 흙은 여전히 땅으로 돌아가고 신은 그 주신 하나님께로 돌아가기 전에 기억하라}}</ref> 영혼과 육신의 탄생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영혼은 지상에 내려와 육체를 입기 전에 하늘에서 지음을 받았다. [[구약성경]]의 저자인 [[솔로몬]]과 욥의 기록을 보면 그들의 영혼이 지구가 창조되기도 전에 이미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잠언#8장 |제목=잠언 8:22-30 |저널= |인용문= 여호와께서 그 조화의 시작 곧 태초에 일하시기 전에 나[솔로몬]를 가지셨으며 만세 전부터, 상고부터, 땅이 생기기 전부터 내가 세움을 입었나니 아직 바다가 생기지 아니하였고 큰 샘들이 있기 전에 내가 이미 났으며 산이 세우심을 입기 전에, 언덕이 생기기 전에 내가 이미 났으니 하나님이 아직 땅도, 들도, 세상 진토의 근원도 짓지 아니하셨을 때에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욥기#38장 |제목=욥기 38:1-7 |저널= |인용문= 내[하나님]가 땅의 기초를 놓을 때에 네[욥]가 어디 있었느냐 네가 깨달아 알았거든 말할지니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욥기#38장 |제목=욥기 38:21 |저널= |인용문= 네[욥]가 아마 알리라 네가 그 때에 났었나니 너의 년수가 많음이니라}}</ref> 솔로몬과 욥뿐 아니라 이 땅에 태어난 사람이라면 누구나 다 같은 입장이다. 이 세상은 영혼이 육신을 입고 길면 100년 정도 머무르다 떠나는 임시 거처와 같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시편#90장 |제목=시편 90:10 |저널= |인용문= 우리의 년수가 칠십이요 강건하면 팔십이라도 그 년수의 자랑은 수고와 슬픔뿐이요 신속히 가니 우리가 날아가나이다}}</ref> [[다윗]]과 [[야곱]]은 이 땅에서의 삶을 외국인 또는 나그네와 같은 신세로 표현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47장 |제목=창세기 47:8-9 |저널= |인용문= 바로가 야곱에게 묻되 네 연세가 얼마뇨 야곱이 바로에게 고하되 내 나그네 길의 세월이 일백삼십 년이니이다}}</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시편#119장 |제목=시편 119:54 |저널= |인용문= 나의 나그네 된 집에서 주의 율례가 나의 노래가 되었나이다}}</ref>
육신이 태어난 고향이 있듯 영혼도 태어난 본향<ref>{{인용 |url= |제목=본향(本響) |웹사이트= |저널=CLP 성경사전 |출판사=기독교문사 |날짜= |연도=2013 |저자= |쪽=550 |시리즈= |isbn= |인용문=고향의 다른 표현(민 22:5; 왕상 22:36; 잠 27:8; 렘 42:12). 히브리서에서는 인류의 진정한 고향, 더 좋은 하나님의 도성이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헬라어 '파트리스'는 πατήρ(파테르: 아버지)에서 온 말이다.}}</ref>이 있다. 영혼의 본향은 하늘나라다. 육신은 이 땅에서 났다가 이 땅에서 없어지지만, 영혼은 [[하나님]]께로 와서 하나님께로 간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전도서#12장 |제목=전도서 12:7 |저널= |인용문= 흙은 여전히 땅으로 돌아가고 신은 그 주신 하나님께로 돌아가기 전에 기억하라}}</ref> 영혼과 육신의 탄생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영혼은 지상에 내려와 육체를 입기 전에 하늘에서 지음을 받았다. [[구약성경]]의 저자인 [[솔로몬]]과 욥의 기록을 보면 그들의 영혼이 지구가 창조되기도 전에 이미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잠언#8장 |제목=잠언 8:22-30 |저널= |인용문= 여호와께서 그 조화의 시작 곧 태초에 일하시기 전에 나[솔로몬]를 가지셨으며 만세 전부터, 상고부터, 땅이 생기기 전부터 내가 세움을 입었나니 아직 바다가 생기지 아니하였고 큰 샘들이 있기 전에 내가 이미 났으며 산이 세우심을 입기 전에, 언덕이 생기기 전에 내가 이미 났으니 하나님이 아직 땅도, 들도, 세상 진토의 근원도 짓지 아니하셨을 때에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욥기#38장 |제목=욥기 38:1-7 |저널= |인용문= 내[하나님]가 땅의 기초를 놓을 때에 네[욥]가 어디 있었느냐 네가 깨달아 알았거든 말할지니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욥기#38장 |제목=욥기 38:21 |저널= |인용문= 네[욥]가 아마 알리라 네가 그 때에 났었나니 너의 년수가 많음이니라}}</ref> 솔로몬과 욥뿐 아니라 이 땅에 태어난 사람이라면 누구나 다 같은 입장이다. 이 세상은 영혼이 육신을 입고 길면 100년 정도 머무르다 떠나는 임시 거처와 같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시편#90장 |제목=시편 90:10 |저널= |인용문= 우리의 년수가 칠십이요 강건하면 팔십이라도 그 년수의 자랑은 수고와 슬픔뿐이요 신속히 가니 우리가 날아가나이다}}</ref> [[다윗]]과 [[야곱]]은 이 땅에서의 삶을 외국인 또는 나그네와 같은 신세로 표현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47장 |제목=창세기 47:8-9 |저널= |인용문= 바로가 야곱에게 묻되 네 연세가 얼마뇨 야곱이 바로에게 고하되 내 나그네 길의 세월이 일백삼십 년이니이다}}</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시편#119장 |제목=시편 119:54 |저널= |인용문= 나의 나그네 된 집에서 주의 율례가 나의 노래가 되었나이다}}</ref>
{{인용문5 |내용= 이 사람들은 다 믿음을 따라 죽었으며 약속을 받지 못하였으되 그것들을 멀리서 보고 환영하며 또 땅에서는 '''외국인'''과 '''나그네'''로라 증거하였으니 이같이 말하는 자들은 '''본향''' 찾는 것을 나타냄이라 저희가 나온 바 본향을 생각하였더면 돌아갈 기회가 있었으려니와 저희가 이제는 더 나은 본향을 사모하니 곧 '''하늘'''에 있는 것이라 그러므로 하나님이 저희 하나님이라 일컬음 받으심을 부끄러워 아니하시고 저희를 위하여 한 성을 예비하셨느니라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11장 히브리서 11:13-16]}}
{{인용문5 |내용= 이 사람들은 다 믿음을 따라 죽었으며 약속을 받지 못하였으되 그것들을 멀리서 보고 환영하며 또 땅에서는 '''외국인'''과 '''나그네'''로라 증거하였으니 이같이 말하는 자들은 '''본향''' 찾는 것을 나타냄이라 저희가 나온 바 본향을 생각하였더면 돌아갈 기회가 있었으려니와 저희가 이제는 더 나은 본향을 사모하니 곧 '''하늘'''에 있는 것이라 그러므로 하나님이 저희 하나님이라 일컬음 받으심을 부끄러워 아니하시고 저희를 위하여 한 성을 예비하셨느니라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11장 히브리서 11:13-16]}}
'믿음은 바라는 것들의 실상이요 보지 못하는 것들의 증거니'라는 서두로 믿음에 대한 실례를 소개하는 [[히브리서]] 11장에는 영혼의 본향이 언급되어 있다. 동물에게 귀소본능(歸巢本能, Back-homing Instinct)<ref>{{웹 인용 |url=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08903 |제목=귀소본능 |웹사이트= |저널=doopedia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동물이 자신의 서식장소나 산란, 육아를 하던 곳에서 멀리 떨어져있는 경우, 다시 그 곳으로 되돌아 오는 성질로 귀소성, 회귀성이라고도 한다. }}</ref>이 있듯 사람에게는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이 있다(향수, Homesickness,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076742&cid=41810&categoryId=41812 노스탤지어]). 성경은 하나님께 믿음이 있다고 인정받은 이들의 행위를 열거하며, 믿음의 선진들은 영혼의 고향 곧 하늘나라를 생각하고 동경했다고 말한다.
'믿음은 바라는 것들의 실상이요 보지 못하는 것들의 증거니'라는 서두로 믿음에 대한 실례를 소개하는 [[히브리서]] 11장에는 영혼의 본향이 언급되어 있다. 동물에게 귀소본능(歸巢本能, Back-homing Instinct)이 있듯 사람에게는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이 있다(향수, Homesickness,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076742&cid=41810&categoryId=41812 노스탤지어]). 성경은 하나님께 믿음이 있다고 인정받은 이들의 행위를 열거하며, 믿음의 선진들은 영혼의 고향 곧 하늘나라를 생각하고 동경했다고 말한다.


== 하늘 어머니와 하늘 가족 ==
== 하늘 어머니와 하늘 가족 ==
고향은 지리적인 의미와 아울러 정서적인 의미를 지니는데, 주된 정서는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794278&cid=46635&categoryId=46635 가족](家族, Families)에서 비롯된다.<ref>이은숙,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researchPaper.html?actionUrl=search%2FchildListExpressionInner&selectedGroup=&collsGroup=&m201_id=&indexForSearch=&executeQuery=&listPerPage=4&searchDiv=SYS&dataTypeCd=&currentGroup=&selectedColls=&sortType=&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9c6b4c90119ec1a481f19f6&m310_arti_id=&local_id=&category=ResearchPaper 〈한국인의 고향관 : 그 지리학적 요인과 정서(ethos)의 관계〉], 《대한지리학회지》 제35호, 대한지리학회, 2000, 401-426쪽</ref> 가족은 아버지와 어머니, 자녀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성경은 지상의 가족 구성원처럼 하늘에도 가족 구성원이 있음을 알려주고 있다. 지상 [[성소 (성막)|성소]]는 하늘 성소의 모형과 그림자인 것처럼<ref name="모형과 그림자">{{ 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8장 |제목=히브리서 8:5 |저널= |인용문= 저희가 섬기는 것은 하늘에 있는 것의 모형과 그림자라}}</ref> 이 땅의 가족 제도는 하늘나라의 가족제도를 이해할 수 있는 모형과 그림자다.
고향은 지리적인 의미와 아울러 정서적인 의미를 지니는데, 주된 정서는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794278&cid=46635&categoryId=46635 가족](家族, Families)에서 비롯된다.<ref>이은숙, 〈한국인의 고향관 : 그 지리학적 요인과 정서(ethos)의 관계〉, 《대한지리학회지》 제35호, 대한지리학회, 2000, 401-426쪽</ref> 가족은 아버지와 어머니, 자녀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성경은 지상의 가족 구성원처럼 하늘에도 가족 구성원이 있음을 알려주고 있다. 지상 [[성소 (성막)|성소]]는 하늘 성소의 모형과 그림자인 것처럼<ref name="모형과 그림자">{{ 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8장 |제목=히브리서 8:5 |저널= |인용문= 저희가 섬기는 것은 하늘에 있는 것의 모형과 그림자라}}</ref> 이 땅의 가족 제도는 하늘나라의 가족제도를 이해할 수 있는 모형과 그림자다.


===하늘 아버지===  
===하늘 아버지===  
32번째 줄: 32번째 줄:


== 영원한 생명의 하늘 어머니 ==
== 영원한 생명의 하늘 어머니 ==
[[파일:Mother with children kissing baby.jpg |섬네일 | 200px |어머니는 생명을 탄생시키는 존재다.]]
[[파일:Mother Kissing Baby.jpg |섬네일 | 200px |어머니는 생명을 탄생시키는 존재다.]]
'어머니'는 자기를 낳아 준 여자를 이르는 말이다. 어머니라는 단어에는 생명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한 생명이 태어나기 위해서는 아버지의 역할도 필요하지만 어머니의 역할이 결정적이다. 어머니 복중(腹中)에서 눈과 코가 생기고, 입과 귀, 팔다리가 생긴다. 사람만 아니라 하늘과 바다, 들판을 누비며 살아가는 각종 동물, 심지어 식물도 모체로부터 생명이 부여된다. 어머니에 의해 생명이 탄생하는 데는 하나님의 깊은 뜻이 내재해 있다.  
'어머니'는 자기를 낳아 준 여자를 이르는 말이다. 어머니라는 단어에는 생명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한 생명이 태어나기 위해서는 아버지의 역할도 필요하지만 어머니의 역할이 결정적이다. 어머니 복중(腹中)에서 눈과 코가 생기고, 입과 귀, 팔다리가 생긴다. 사람만 아니라 하늘과 바다, 들판을 누비며 살아가는 각종 동물, 심지어 식물도 모체로부터 생명이 부여된다. 어머니에 의해 생명이 탄생하는 데는 하나님의 깊은 뜻이 내재해 있다.  
{{인용문5 |내용= 우리 주 하나님이여 영광과 존귀와 능력을 받으시는 것이 합당하오니 주께서 만물을 지으신지라 '''만물이 주의 뜻대로''' 있었고 또 지으심을 받았나이다 하더라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4장 요한계시록 4:11]}}{{인용문5 |내용= 창세로부터 그의 보이지 아니하는 것들 곧 그의 영원하신 능력과 신성이 그 '''만드신 만물에 분명히 보여 알게 되나니''' 그러므로 저희가 핑계치 못할지니라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로마서#1장 로마서 1:20]}}
{{인용문5 |내용= 우리 주 하나님이여 영광과 존귀와 능력을 받으시는 것이 합당하오니 주께서 만물을 지으신지라 '''만물이 주의 뜻대로''' 있었고 또 지으심을 받았나이다 하더라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4장 요한계시록 4:11]}}{{인용문5 |내용= 창세로부터 그의 보이지 아니하는 것들 곧 그의 영원하신 능력과 신성이 그 '''만드신 만물에 분명히 보여 알게 되나니''' 그러므로 저희가 핑계치 못할지니라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로마서#1장 로마서 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