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의 절기: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파일:회당에서 가르치시는 예수님. | [[파일:회당에서 가르치시는 예수님.jpg |섬네일 |신령과 진정의 예배를 본보이신 예수님]] | ||
'''하나님의 절기'''는 [[하나님]]이 당신의 백성들에게 지키라고 명하신 [[성경]]의 절기를 말한다. 주간 절기로 일곱째 날 [[안식일]]이 있고, 연간 절기로 [[유월절]], [[무교절]], [[부활절]]([[초실절]]), [[오순절]]([[칠칠절]]), [[나팔절]], [[대속죄일]], [[초막절]]이 있다. 7개의 연간 절기는 3차로 조직되어 '3차의 7개 절기'라고도 부른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23장 |제목=레위기 23장 |저널= |인용문= }}</ref><ref name=":2" /><br> | '''하나님의 절기'''는 [[하나님]]이 당신의 백성들에게 지키라고 명하신 [[성경]]의 절기를 말한다. 주간 절기로 일곱째 날 [[안식일]]이 있고, 연간 절기로 [[유월절]], [[무교절]], [[부활절]]([[초실절]]), [[오순절]]([[칠칠절]]), [[나팔절]], [[대속죄일]], [[초막절]]이 있다. 7개의 연간 절기는 3차로 조직되어 '3차의 7개 절기'라고도 부른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23장 |제목=레위기 23장 |저널= |인용문= }}</ref><ref name=":2" /><br> | ||
각각의 절기는 인류 구원을 위해 희생하신 [[그리스도]]의 사랑을 기억하고, 인류를 [[천국]]으로 인도하시는 하나님의 권능을 기념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하나님의 구원 역사를 보여주는 예언적 성격을 띠고 있기도 하다. | 각각의 절기는 인류 구원을 위해 희생하신 [[그리스도]]의 사랑을 기억하고, 인류를 [[천국]]으로 인도하시는 하나님의 권능을 기념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하나님의 구원 역사를 보여주는 예언적 성격을 띠고 있기도 하다. | ||
|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유월절=== | ===유월절=== | ||
[[파일:세족예식.jpg |섬네일 | 200px |세족예식을 행하시는 예수님]] | [[파일:세족예식.jpg |섬네일 | 200px |세족예식을 행하시는 예수님]] | ||
[[파일: | [[파일:최후의 만찬 유월절.jpg |섬네일 | 350px |제자들과 새 언약 유월절을 지키신 예수님]] | ||
*'''날짜:''' 성력 1월(니산월) 14일 저녁 | *'''날짜:''' 성력 1월(니산월) 14일 저녁 | ||
*'''유래:''' 유월절(逾越節, Passover)은 '재앙이 넘어가는 절기'라는 뜻이다. [[기원전과 기원후|기원전]] 15세기경, 애굽에서 노예 생활 하던 이스라엘 민족이 유월절을 지켜 재앙에서 보호받고 해방된 역사에서 유래했다.<ref name=":8">{{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2장 |제목=출애굽기 12장 |저널= |인용문= }}</ref> 히브리어로는 페사흐(פֶּסַח)로, '지나가다', '뛰어넘다'는 의미의 파사흐(פָּסַח)에서 파생했다. 헬라어로는 파스카(πασχα)다. | *'''유래:''' 유월절(逾越節, Passover)은 '재앙이 넘어가는 절기'라는 뜻이다. [[기원전과 기원후|기원전]] 15세기경, 애굽에서 노예 생활 하던 이스라엘 민족이 유월절을 지켜 재앙에서 보호받고 해방된 역사에서 유래했다.<ref name=":8">{{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2장 |제목=출애굽기 12장 |저널= |인용문= }}</ref> 히브리어로는 페사흐(פֶּסַח)로, '지나가다', '뛰어넘다'는 의미의 파사흐(פָּסַח)에서 파생했다. 헬라어로는 파스카(πασχα)다. | ||
| 31번째 줄: | 31번째 줄: | ||
===무교절=== | ===무교절=== | ||
[[파일: | [[파일:Crucifixion_십자가고난.jpg |섬네일 | 350px |무교절의 예언은 예수님의 십자가 고난으로 성취되었다]] | ||
*'''날짜:''' 성력 1월 15일 | *'''날짜:''' 성력 1월 15일 | ||
*'''유래:''' [[야곱]]이 [[요셉]]의 권유에 따라 가족을 데리고 애굽으로 이주한 후, 이스라엘 민족은 크게 번성했다. 요셉을 알지 못하는 새 바로는 이스라엘 백성의 많은 인구를 위협적으로 느끼고 그들을 노예로 부렸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장 |제목=출애굽기 1:7-14 |저널= |인용문=이스라엘 자손은 생육이 중다하고 번식하고 창성하고 심히 강대하여 온 땅에 가득하게 되었더라 요셉을 알지 못하는 새 왕이 일어나서 애굽을 다스리더니 그가 그 신민에게 이르되 이 백성 이스라엘 자손이 우리보다 많고 강하도다 자, 우리가 그들에게 대하여 지혜롭게 하자 두렵건대 그들이 더 많게 되면 전쟁이 일어날 때에 우리 대적과 합하여 우리와 싸우고 이 땅에서 갈까 하노라 하고 감독들을 그들 위에 세우고 그들에게 무거운 짐을 지워 괴롭게 하여 그들로 바로를 위하여 국고성 비돔과 라암셋을 건축하게 하니라 }}</ref> 이스라엘 백성들은 약 400년간의 고된 종살이 끝에 하나님이 보내신 선지자 모세의 인도하에 유월절을 지키고 다음 날 애굽에서 해방되었다.<ref name=":8" /><br>성력 1월 15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1719&cid=50762&categoryId=51387 라암셋]에서 출발한 이스라엘 백성들은 [[홍해]] 앞에 도착해 진을 쳤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2장 |제목=출애굽기 12:29-39 |저널= |인용문=밤중에 여호와께서 애굽 땅에서 모든 처음 난 것 곧 위에 앉은 바로의 장자로부터 옥에 갇힌 사람의 장자까지와 생축의 처음 난것을 다 치시매 ... 밤에 바로가 모세와 아론을 불러서 이르되 너희와 이스라엘 자손은 일어나 내 백성 가운데서 떠나서 너희의 말대로 가서 여호와를 섬기며 ... 애굽 사람들은 말하기를 우리가 다 죽은 자가 되도다 하고 백성을 재촉하여 그 지경에서 속히 보내려 하므로 ... 이스라엘 자손이 라암셋에서 발행하여 숙곳에 이르니 유아 외에 보행하는 장정이 육십만 가량이요 ... 그들이 가지고 나온 발교되지 못한 반죽으로 무교병을 구웠으니 이는 그들이 애굽에서 쫓겨 남으로 지체할 수 없었음이며 아무 양식도 준비하지 못하였음이었더라 }}</ref> 이때 마음이 바뀐 바로가 군대를 이끌며 이스라엘 백성들을 추격하기에 나섰다. 진퇴양난의 상황에서 백성들은 모세를 원망했다. 하나님은 모세의 지팡이를 통해 홍해를 가르시고 그 사이로 백성들을 인도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4장 |제목=출애굽기 14:19-25 |저널= |인용문=이스라엘 진 앞에 행하던 하나님의 사자가 옮겨 그 뒤로 행하매 구름 기둥도 앞에서 그 뒤로 옮겨 애굽 진과 이스라엘 진 사이에 이르러 서니 저 편은 구름과 흑암이 있고 이 편은 밤이 광명하므로 밤새도록 저 편이 이 편에 가까이 못하였더라 ... 이스라엘 자손이 바다 가운데 육지로 행하고 물은 그들의 좌우에 벽이 되니 애굽 사람들과 바로의 말들, 병거들과 그 마병들이 다 그 뒤를 쫓아 바다 가운데로 들어 오는지라 새벽에 여호와께서 불 구름기둥 가운데서 애굽 군대를 보시고 그 군대를 어지럽게 하시며 그 병거 바퀴를 벗겨서 달리기에 극난하게 하시니 }}</ref> 온 백성은 바다를 건너기까지 긴장과 공포에 휩싸였다. 하나님은 무교절(無酵節, Feast of Unleavened Bread)을 정하셔서 그들의 고난을 기억하게 하셨다. | *'''유래:''' [[야곱]]이 [[요셉]]의 권유에 따라 가족을 데리고 애굽으로 이주한 후, 이스라엘 민족은 크게 번성했다. 요셉을 알지 못하는 새 바로는 이스라엘 백성의 많은 인구를 위협적으로 느끼고 그들을 노예로 부렸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장 |제목=출애굽기 1:7-14 |저널= |인용문=이스라엘 자손은 생육이 중다하고 번식하고 창성하고 심히 강대하여 온 땅에 가득하게 되었더라 요셉을 알지 못하는 새 왕이 일어나서 애굽을 다스리더니 그가 그 신민에게 이르되 이 백성 이스라엘 자손이 우리보다 많고 강하도다 자, 우리가 그들에게 대하여 지혜롭게 하자 두렵건대 그들이 더 많게 되면 전쟁이 일어날 때에 우리 대적과 합하여 우리와 싸우고 이 땅에서 갈까 하노라 하고 감독들을 그들 위에 세우고 그들에게 무거운 짐을 지워 괴롭게 하여 그들로 바로를 위하여 국고성 비돔과 라암셋을 건축하게 하니라 }}</ref> 이스라엘 백성들은 약 400년간의 고된 종살이 끝에 하나님이 보내신 선지자 모세의 인도하에 유월절을 지키고 다음 날 애굽에서 해방되었다.<ref name=":8" /><br>성력 1월 15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1719&cid=50762&categoryId=51387 라암셋]에서 출발한 이스라엘 백성들은 [[홍해]] 앞에 도착해 진을 쳤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2장 |제목=출애굽기 12:29-39 |저널= |인용문=밤중에 여호와께서 애굽 땅에서 모든 처음 난 것 곧 위에 앉은 바로의 장자로부터 옥에 갇힌 사람의 장자까지와 생축의 처음 난것을 다 치시매 ... 밤에 바로가 모세와 아론을 불러서 이르되 너희와 이스라엘 자손은 일어나 내 백성 가운데서 떠나서 너희의 말대로 가서 여호와를 섬기며 ... 애굽 사람들은 말하기를 우리가 다 죽은 자가 되도다 하고 백성을 재촉하여 그 지경에서 속히 보내려 하므로 ... 이스라엘 자손이 라암셋에서 발행하여 숙곳에 이르니 유아 외에 보행하는 장정이 육십만 가량이요 ... 그들이 가지고 나온 발교되지 못한 반죽으로 무교병을 구웠으니 이는 그들이 애굽에서 쫓겨 남으로 지체할 수 없었음이며 아무 양식도 준비하지 못하였음이었더라 }}</ref> 이때 마음이 바뀐 바로가 군대를 이끌며 이스라엘 백성들을 추격하기에 나섰다. 진퇴양난의 상황에서 백성들은 모세를 원망했다. 하나님은 모세의 지팡이를 통해 홍해를 가르시고 그 사이로 백성들을 인도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4장 |제목=출애굽기 14:19-25 |저널= |인용문=이스라엘 진 앞에 행하던 하나님의 사자가 옮겨 그 뒤로 행하매 구름 기둥도 앞에서 그 뒤로 옮겨 애굽 진과 이스라엘 진 사이에 이르러 서니 저 편은 구름과 흑암이 있고 이 편은 밤이 광명하므로 밤새도록 저 편이 이 편에 가까이 못하였더라 ... 이스라엘 자손이 바다 가운데 육지로 행하고 물은 그들의 좌우에 벽이 되니 애굽 사람들과 바로의 말들, 병거들과 그 마병들이 다 그 뒤를 쫓아 바다 가운데로 들어 오는지라 새벽에 여호와께서 불 구름기둥 가운데서 애굽 군대를 보시고 그 군대를 어지럽게 하시며 그 병거 바퀴를 벗겨서 달리기에 극난하게 하시니 }}</ref> 온 백성은 바다를 건너기까지 긴장과 공포에 휩싸였다. 하나님은 무교절(無酵節, Feast of Unleavened Bread)을 정하셔서 그들의 고난을 기억하게 하셨다. | ||
| 38번째 줄: | 38번째 줄: | ||
*'''예언 성취:''' 무교절은 예수님의 [[십자가 고난]]을 표상한다. 제자들과 마지막 유월절을 지키시고 그날 밤에 잡히신 예수님은, 그때로부터 고난을 받으시고<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53장 |제목=이사야 53:3-8 |저널= |인용문=그가 찔림은 우리의 허물을 인함이요 그가 상함은 우리의 죄악을 인함이라 그가 징계를 받음으로 우리가 평화를 누리고 그가 채찍에 맞음으로 우리가 나음을 입었도다 우리는 다 양 같아서 그릇 행하여 각기 제 길로 갔거늘 여호와께서는 우리 무리의 죄악을 그에게 담당시키셨도다 그가 곤욕을 당하여 괴로울 때에도 그 입을 열지 아니하였음이여 마치 도수장으로 끌려가는 어린양과 털 깎는 자 앞에 잠잠한 양같이 그 입을 열지 아니하였도다 그가 곤욕과 심문을 당하고 끌려갔으니 }}</ref> 다음 날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까지 장장 6시간 동안 [[십자가]]에 매달려 고통당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6장 |제목=마태복음 26-27장 |저널= |인용문= }}</ref> 이스라엘 백성이 홍해에 들어간 것은 예수님이 무덤에 들어가실 것을, 홍해에서 상륙한 것은 [[예수님의 부활]]을 표상한다. [[침례]]는 이러한 뜻을 나타내는 예식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0장 |제목=고린도전서 10:1-2 |저널= |인용문=형제들아 너희가 알지 못하기를 내가 원치 아니하노니 우리 조상들이 다 구름 아래 있고 바다 가운데로 지나며 모세에게 속하여 다 구름과 바다에서 침례를 받고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베드로전서#3장 |제목=베드로전서 3:21 |저널= |인용문=물은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하심으로 말미암아 이제 너희를 구원하는 표니 곧 침례라 육체의 더러운 것을 제하여 버림이 아니요 오직 선한 양심이 하나님을 향하여 찾아가는 것이라 }}</ref> | *'''예언 성취:''' 무교절은 예수님의 [[십자가 고난]]을 표상한다. 제자들과 마지막 유월절을 지키시고 그날 밤에 잡히신 예수님은, 그때로부터 고난을 받으시고<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53장 |제목=이사야 53:3-8 |저널= |인용문=그가 찔림은 우리의 허물을 인함이요 그가 상함은 우리의 죄악을 인함이라 그가 징계를 받음으로 우리가 평화를 누리고 그가 채찍에 맞음으로 우리가 나음을 입었도다 우리는 다 양 같아서 그릇 행하여 각기 제 길로 갔거늘 여호와께서는 우리 무리의 죄악을 그에게 담당시키셨도다 그가 곤욕을 당하여 괴로울 때에도 그 입을 열지 아니하였음이여 마치 도수장으로 끌려가는 어린양과 털 깎는 자 앞에 잠잠한 양같이 그 입을 열지 아니하였도다 그가 곤욕과 심문을 당하고 끌려갔으니 }}</ref> 다음 날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까지 장장 6시간 동안 [[십자가]]에 매달려 고통당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6장 |제목=마태복음 26-27장 |저널= |인용문= }}</ref> 이스라엘 백성이 홍해에 들어간 것은 예수님이 무덤에 들어가실 것을, 홍해에서 상륙한 것은 [[예수님의 부활]]을 표상한다. [[침례]]는 이러한 뜻을 나타내는 예식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0장 |제목=고린도전서 10:1-2 |저널= |인용문=형제들아 너희가 알지 못하기를 내가 원치 아니하노니 우리 조상들이 다 구름 아래 있고 바다 가운데로 지나며 모세에게 속하여 다 구름과 바다에서 침례를 받고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베드로전서#3장 |제목=베드로전서 3:21 |저널= |인용문=물은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하심으로 말미암아 이제 너희를 구원하는 표니 곧 침례라 육체의 더러운 것을 제하여 버림이 아니요 오직 선한 양심이 하나님을 향하여 찾아가는 것이라 }}</ref> | ||
<small>{{참고|무교절|l1=무교절|설명=더 자세한 내용은}}</small> | <small>{{참고|무교절|l1=무교절|설명=더 자세한 내용은}}</small> | ||
===초실절(부활절)=== | ===초실절(부활절)=== | ||
[[파일:The resurrection day.jpg |섬네일 | 270픽셀 |<부활하신 예수님과 막달라 마리아>, 하인리히 호프만 作]] | [[파일:The resurrection day.jpg |섬네일 | 270픽셀 |<부활하신 예수님과 막달라 마리아>, 하인리히 호프만 作]] | ||
| 48번째 줄: | 49번째 줄: | ||
===칠칠절(오순절)=== | ===칠칠절(오순절)=== | ||
[[파일: | [[파일:Prayer for the Holy Spirit-성령 간구.jpg |섬네일 | 270px |오순절을 기다리며 기도에 힘쓴 초대교회 성도들]] | ||
*'''날짜:''' 초실절(부활절)로부터 50일째 되는 날 | *'''날짜:''' 초실절(부활절)로부터 50일째 되는 날 | ||
*'''유래:''' 이스라엘 백성이 홍해를 건넌 지 40일째 되던 날, 모세는 하나님의 부르심에 따라 시내산에 올랐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9장|제목=출애굽기 19:1-7|저널=|인용문=이스라엘 자손이 애굽 땅에서 나올 때부터 제삼월 곧 그 때에 그들이 시내 광야에 이르니라 ... 모세가 하나님 앞에 올라가니 여호와께서 산에서 그를 불러 가라사대 너는 이같이 야곱 족속에게 이르고 이스라엘 자손에게 고하라 ... 모세가 와서 백성의 장로들을 불러 여호와께서 자기에게 명하신 그 모든 말씀을 그 앞에 진술하니}}</ref> 사흘 뒤 하나님이 시내산에 강림하셔서 언약을 반포하시고,<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9장|제목=출애굽기 19:16-23:33|저널=|인용문=}}</ref> 모세에게 율법과 계명을 기록한 돌판을 받으러 시내산에 다시 오르라고 하셨다. 모세는 홍해를 건넌 지 50일째 되는 날 시내산에 올라 40일간 머물며 하나님께로부터 [[십계명]] 돌판을 받았다.<ref name=":1">{{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4장|제목=출애굽기 24:12-18|저널=|인용문=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너는 산에 올라 내게로 와서 거기 있으라 너로 그들을 가르치려고 내가 율법과 계명을 친히 기록한 돌판을 네게 주리라 ... 모세는 구름 속으로 들어가서 산 위에 올랐으며 사십 일 사십 야를 산에 있으니라}}</ref> 하나님은 모세가 십계명을 받으러 시내산에 올라가던 날을 칠칠절(七七節, Feast of Weeks)로 정해 기념하게 하셨다. | *'''유래:''' 이스라엘 백성이 홍해를 건넌 지 40일째 되던 날, 모세는 하나님의 부르심에 따라 시내산에 올랐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9장|제목=출애굽기 19:1-7|저널=|인용문=이스라엘 자손이 애굽 땅에서 나올 때부터 제삼월 곧 그 때에 그들이 시내 광야에 이르니라 ... 모세가 하나님 앞에 올라가니 여호와께서 산에서 그를 불러 가라사대 너는 이같이 야곱 족속에게 이르고 이스라엘 자손에게 고하라 ... 모세가 와서 백성의 장로들을 불러 여호와께서 자기에게 명하신 그 모든 말씀을 그 앞에 진술하니}}</ref> 사흘 뒤 하나님이 시내산에 강림하셔서 언약을 반포하시고,<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9장|제목=출애굽기 19:16-23:33|저널=|인용문=}}</ref> 모세에게 율법과 계명을 기록한 돌판을 받으러 시내산에 다시 오르라고 하셨다. 모세는 홍해를 건넌 지 50일째 되는 날 시내산에 올라 40일간 머물며 하나님께로부터 [[십계명]] 돌판을 받았다.<ref name=":1">{{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4장|제목=출애굽기 24:12-18|저널=|인용문=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너는 산에 올라 내게로 와서 거기 있으라 너로 그들을 가르치려고 내가 율법과 계명을 친히 기록한 돌판을 네게 주리라 ... 모세는 구름 속으로 들어가서 산 위에 올랐으며 사십 일 사십 야를 산에 있으니라}}</ref> 하나님은 모세가 십계명을 받으러 시내산에 올라가던 날을 칠칠절(七七節, Feast of Weeks)로 정해 기념하게 하셨다. | ||
| 55번째 줄: | 56번째 줄: | ||
*'''예언 성취:''' 모세가 홍해를 건넌 지 50일째 되는 날에 십계명을 받으러 시내산에 올라간 것은, 예수님이 부활하신 지 50일째 되는 날(오순절) 하늘 [[지성소]]에 들어가셔서 [[성령]]을 부어주실 것을 표상한다.<ref>안상홍, 《하나님의 비밀과 생명수의 샘》, 멜기세덱출판사, 2011, 18쪽</ref> "오직 성령이 너희에게 임하시면 너희가 권능을 받고 예루살렘과 온 유대와 [[사마리아]]와 땅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리라" 하신 예수님의 말씀처럼,<ref name=":02">{{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1장|제목=사도행전 1:3-9|저널=|인용문=해 받으신 후에 또한 저희에게 확실한 많은 증거로 친히 사심을 나타내사 사십 일 동안 저희에게 보이시며 하나님 나라의 일을 말씀하시니라 ... 오직 성령이 너희에게 임하시면 너희가 권능을 받고 예루살렘과 온 유대와 사마리아 땅 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리라 하시니라 이 말씀을 마치시고 저희 보는 데서 올리워 가시니 구름이 저를 가리워 보이지 않게 하더라}}</ref> 오순절 성령은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이 세계로 전파되는 기폭제가 되었다. 이후 초대교회는 급성장을 이루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2장|제목=사도행전 2:14-41|저널=|인용문=베드로가 열한 사도와 같이 서서 소리를 높여 가로되 유대인들과 예루살렘에 사는 모든 사람들아 이 일을 너희로 알게 할 것이니 내 말에 귀를 기울이라 때가 제삼시니 너희 생각과 같이 이 사람들이 취한 것이 아니라 이는 곧 선지자 요엘로 말씀하신 것이니 일렀으되 하나님이 가라사대 말세에 내가 내 영으로 모든 육체에게 부어 주리니 ... 누구든지 주의 이름을 부르는 자는 구원을 얻으리라 하였느니라 ... 그 말을 받는 사람들은 침례를 받으매 이 날에 제자의 수가 삼천이나 더하더라}}</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4장|제목=사도행전 4:1-4|저널=|인용문=사도들이 백성에게 말할 때에 제사장들과 성전 맡은 자와 사두개인들이 이르러 백성을 가르침과 예수를 들어 죽은 자 가운데서 부활하는 도 전함을 싫어하여 저희를 잡으매 날이 이미 저문 고로 이튿날까지 가두었으나 말씀을 들은 사람 중에 믿는 자가 많으니 남자의 수가 약 오천이나 되었더라}}</ref> 그러나 사도들이 세상을 떠난 후 [[교회]]는 세속화되고 부패해 진리를 저버리고 불법을 행하기 시작했다. 이에 하나님은 오순절 성령을 도로 거두어 가셨다. 이는 구약시대, 모세가 십계명을 받아 내려오다가 이스라엘 백성들이 금송아지 [[우상]]을 숭배하는 모습을 보고 십계명 돌판을 던져 깨뜨린 일의 예언 성취였다.<ref name=":6">{{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2장|제목=출애굽기 32:1-19, 27-28|저널=|인용문=백성이 모세가 산에서 내려옴이 더딤을 보고 모여 아론에게 이르러 가로되 일어나라 우리를 인도할 신을 우리를 위하여 만들라 ... 아론이 그들의 손에서 그 고리를 받아 부어서 각도로 새겨 송아지 형상을 만드니 ...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너는 내려가라 네가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낸 네 백성이 부패하였도다 ... 진에 가까이 이르러 송아지와 그 춤 추는 것을 보고 대노하여 손에서 '''그 판[십계명]'''들을 산 아래로 던져 깨뜨리니라}}</ref><ref>김주철, 《내 양은 내 음성을 듣나니》, 멜기세덱출판사, 2017, 197쪽</ref> | *'''예언 성취:''' 모세가 홍해를 건넌 지 50일째 되는 날에 십계명을 받으러 시내산에 올라간 것은, 예수님이 부활하신 지 50일째 되는 날(오순절) 하늘 [[지성소]]에 들어가셔서 [[성령]]을 부어주실 것을 표상한다.<ref>안상홍, 《하나님의 비밀과 생명수의 샘》, 멜기세덱출판사, 2011, 18쪽</ref> "오직 성령이 너희에게 임하시면 너희가 권능을 받고 예루살렘과 온 유대와 [[사마리아]]와 땅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리라" 하신 예수님의 말씀처럼,<ref name=":02">{{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1장|제목=사도행전 1:3-9|저널=|인용문=해 받으신 후에 또한 저희에게 확실한 많은 증거로 친히 사심을 나타내사 사십 일 동안 저희에게 보이시며 하나님 나라의 일을 말씀하시니라 ... 오직 성령이 너희에게 임하시면 너희가 권능을 받고 예루살렘과 온 유대와 사마리아 땅 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리라 하시니라 이 말씀을 마치시고 저희 보는 데서 올리워 가시니 구름이 저를 가리워 보이지 않게 하더라}}</ref> 오순절 성령은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이 세계로 전파되는 기폭제가 되었다. 이후 초대교회는 급성장을 이루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2장|제목=사도행전 2:14-41|저널=|인용문=베드로가 열한 사도와 같이 서서 소리를 높여 가로되 유대인들과 예루살렘에 사는 모든 사람들아 이 일을 너희로 알게 할 것이니 내 말에 귀를 기울이라 때가 제삼시니 너희 생각과 같이 이 사람들이 취한 것이 아니라 이는 곧 선지자 요엘로 말씀하신 것이니 일렀으되 하나님이 가라사대 말세에 내가 내 영으로 모든 육체에게 부어 주리니 ... 누구든지 주의 이름을 부르는 자는 구원을 얻으리라 하였느니라 ... 그 말을 받는 사람들은 침례를 받으매 이 날에 제자의 수가 삼천이나 더하더라}}</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4장|제목=사도행전 4:1-4|저널=|인용문=사도들이 백성에게 말할 때에 제사장들과 성전 맡은 자와 사두개인들이 이르러 백성을 가르침과 예수를 들어 죽은 자 가운데서 부활하는 도 전함을 싫어하여 저희를 잡으매 날이 이미 저문 고로 이튿날까지 가두었으나 말씀을 들은 사람 중에 믿는 자가 많으니 남자의 수가 약 오천이나 되었더라}}</ref> 그러나 사도들이 세상을 떠난 후 [[교회]]는 세속화되고 부패해 진리를 저버리고 불법을 행하기 시작했다. 이에 하나님은 오순절 성령을 도로 거두어 가셨다. 이는 구약시대, 모세가 십계명을 받아 내려오다가 이스라엘 백성들이 금송아지 [[우상]]을 숭배하는 모습을 보고 십계명 돌판을 던져 깨뜨린 일의 예언 성취였다.<ref name=":6">{{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2장|제목=출애굽기 32:1-19, 27-28|저널=|인용문=백성이 모세가 산에서 내려옴이 더딤을 보고 모여 아론에게 이르러 가로되 일어나라 우리를 인도할 신을 우리를 위하여 만들라 ... 아론이 그들의 손에서 그 고리를 받아 부어서 각도로 새겨 송아지 형상을 만드니 ...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너는 내려가라 네가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낸 네 백성이 부패하였도다 ... 진에 가까이 이르러 송아지와 그 춤 추는 것을 보고 대노하여 손에서 '''그 판[십계명]'''들을 산 아래로 던져 깨뜨리니라}}</ref><ref>김주철, 《내 양은 내 음성을 듣나니》, 멜기세덱출판사, 2017, 197쪽</ref> | ||
<small>{{참고|칠칠절|오순절|설명=더 자세한 내용은}}</small> | <small>{{참고|칠칠절|오순절|설명=더 자세한 내용은}}</small> | ||
===나팔절=== | ===나팔절=== | ||
[[파일:Rembrandt_Harmensz._van_Rijn_079.jpg|Moses_Breaking_the_Tablets_of_the_Law|섬네일|270px|십계명 돌판을 깨뜨리는 모세. 렘브란트 作]] | [[파일:Rembrandt_Harmensz._van_Rijn_079.jpg|Moses_Breaking_the_Tablets_of_the_Law|섬네일|270px|십계명 돌판을 깨뜨리는 모세. 렘브란트 作]] | ||
| 72번째 줄: | 74번째 줄: | ||
===초막절=== | ===초막절=== | ||
[[파일: | [[파일:초막절-the_Feast_of_Tabernacles.jpg |섬네일 | 270px |즐거이 초막절을 지키는 이스라엘 백성들]] | ||
*'''날짜:''' 성력 7월 15-22일 | *'''날짜:''' 성력 7월 15-22일 | ||
*'''유래:''' 모세는 두 번째 십계명을 받아 내려온 뒤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십계명을 보관할 성막 건축할 일과 성막 지을 재료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4장|제목=출애굽기 34:4-35|저널=|인용문=여호와께서는 언약의 말씀 곧 십계를 그 판들에 기록하셨더라 … 모세가 그 증거의 두 판을 자기 손에 들고 시내산에서 내려오니 … 여호와께서 시내산에서 자기에게 이르신 말씀을 다 그들에게 명하고}}</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5장|제목=출애굽기 35:4-19|저널=|인용문=모세가 이스라엘 자손의 온 회중에게 고하여 가로되 여호와의 명하신 일이 이러하니라 … 너희의 소유 중에서 너희는 여호와께 드릴 것을 취하되 무릇 마음에 원하는 자는 그것을 가져다가 여호와께 드릴지니 곧 금과 은과 놋과 청색 자색 홍색실과}}</ref> 백성들은 자원하는 마음으로 성막 재료를 봉헌했고, 그달 15일부터 7일간 금, 은, 포목, 목재 등 다양한 재료가 풍성히 모였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5장|제목=출애굽기 35:29-36:7|저널=|인용문=마음에 원하는 이스라엘 자손의 남녀마다 여호와께서 모세의 손을 빙자하여 명하신 모든 것을 만들기 위하여 물품을 가져다가 여호와께 즐거이 드림이 이러하였더라 … 백성이 아침마다 자원하는 예물을 연하여 가져오는 고로 … 모세가 명을 내리매 그들이 진중에 공포하여 가로되 무론 남녀하고 성소에 드릴 예물을 다시 만들지 말라 하매 백성들이 가져오기를 정지하니 있는 재료가 모든 일을 하기에 넉넉하여 남음이 있었더라}}</ref>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성막 재료 모은 일을 기념하기 위해 초막절(草幕節, Feast of Tabernacles)을 정하셨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29장|제목=민수기 29:11-38|저널=|인용문=칠월 십오일에는 너희가 성회로 모일 것이요 아무 노동도 하지 말 것이며 칠 일 동안 여호와 앞에 절기를 지킬 것이라}}</ref><ref name=":3">{{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16장|제목=신명기 16:13-15|저널=|인용문=너희 타작 마당과 포도주 틀의 소출을 수장한 후에 칠 일 동안 초막절을 지킬 것이요 절기를 지킬 때에는 너와 네 자녀와 노비와 네 성중에 거하는 레위인과 객과 고아와 과부가 함께 연락하되 …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 모든 물산과 네 손을 댄 모든 일에 복 주실 것을 인하여 너는 온전히 즐거워할지니라}}</ref> 농작물을 거두어 저장하는 시기에 지키는 절기라는 의미로 '수장절(收藏節, Feast of Ingathering)'이라고도 한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3장|제목=출애굽기 23:16|저널=|인용문=수장절을 지키라 이는 네가 수고하여 이룬 것을 연종에 밭에서부터 거두어 저장함이니라}}</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4장|제목=출애굽기 34:22|저널=|인용문=칠칠절 곧 맥추의 초실절을 지키고 가을에는 수장절을 지키라}}</ref> | *'''유래:''' 모세는 두 번째 십계명을 받아 내려온 뒤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십계명을 보관할 성막 건축할 일과 성막 지을 재료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4장|제목=출애굽기 34:4-35|저널=|인용문=여호와께서는 언약의 말씀 곧 십계를 그 판들에 기록하셨더라 … 모세가 그 증거의 두 판을 자기 손에 들고 시내산에서 내려오니 … 여호와께서 시내산에서 자기에게 이르신 말씀을 다 그들에게 명하고}}</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5장|제목=출애굽기 35:4-19|저널=|인용문=모세가 이스라엘 자손의 온 회중에게 고하여 가로되 여호와의 명하신 일이 이러하니라 … 너희의 소유 중에서 너희는 여호와께 드릴 것을 취하되 무릇 마음에 원하는 자는 그것을 가져다가 여호와께 드릴지니 곧 금과 은과 놋과 청색 자색 홍색실과}}</ref> 백성들은 자원하는 마음으로 성막 재료를 봉헌했고, 그달 15일부터 7일간 금, 은, 포목, 목재 등 다양한 재료가 풍성히 모였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5장|제목=출애굽기 35:29-36:7|저널=|인용문=마음에 원하는 이스라엘 자손의 남녀마다 여호와께서 모세의 손을 빙자하여 명하신 모든 것을 만들기 위하여 물품을 가져다가 여호와께 즐거이 드림이 이러하였더라 … 백성이 아침마다 자원하는 예물을 연하여 가져오는 고로 … 모세가 명을 내리매 그들이 진중에 공포하여 가로되 무론 남녀하고 성소에 드릴 예물을 다시 만들지 말라 하매 백성들이 가져오기를 정지하니 있는 재료가 모든 일을 하기에 넉넉하여 남음이 있었더라}}</ref>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성막 재료 모은 일을 기념하기 위해 초막절(草幕節, Feast of Tabernacles)을 정하셨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29장|제목=민수기 29:11-38|저널=|인용문=칠월 십오일에는 너희가 성회로 모일 것이요 아무 노동도 하지 말 것이며 칠 일 동안 여호와 앞에 절기를 지킬 것이라}}</ref><ref name=":3">{{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16장|제목=신명기 16:13-15|저널=|인용문=너희 타작 마당과 포도주 틀의 소출을 수장한 후에 칠 일 동안 초막절을 지킬 것이요 절기를 지킬 때에는 너와 네 자녀와 노비와 네 성중에 거하는 레위인과 객과 고아와 과부가 함께 연락하되 …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 모든 물산과 네 손을 댄 모든 일에 복 주실 것을 인하여 너는 온전히 즐거워할지니라}}</ref> 농작물을 거두어 저장하는 시기에 지키는 절기라는 의미로 '수장절(收藏節, Feast of Ingathering)'이라고도 한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3장|제목=출애굽기 23:16|저널=|인용문=수장절을 지키라 이는 네가 수고하여 이룬 것을 연종에 밭에서부터 거두어 저장함이니라}}</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4장|제목=출애굽기 34:22|저널=|인용문=칠칠절 곧 맥추의 초실절을 지키고 가을에는 수장절을 지키라}}</ref> | ||
| 90번째 줄: | 92번째 줄: | ||
| style="text-align:center;" |무교절||날짜: 성력 1월 15일<br>유래: 출애굽한 이스라엘 백성이 홍해를 건너기까지의 고난<br>의식: 무교병을 먹음(구약). 금식(신약)<br>예언 성취: 그리스도의 십자가 고난 | | style="text-align:center;" |무교절||날짜: 성력 1월 15일<br>유래: 출애굽한 이스라엘 백성이 홍해를 건너기까지의 고난<br>의식: 무교병을 먹음(구약). 금식(신약)<br>예언 성취: 그리스도의 십자가 고난 | ||
|- | |- | ||
| style="text-align:center;" | 초실절(부활절)||날짜: 무교절 후 첫 안식일 이튿날(일요일)<br>유래: 이스라엘 백성이 홍해를 건너 상륙한 날<br>의식: 처음 익은 이삭 한 단을 요제의 제물로 드림<br>예언 성취: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 | | style="text-align:center;" | 초실절(부활절)||날짜: 무교절 후 첫 안식일 이튿날(일요일)<br>유래: 이스라엘 백성이 홍해를 건너 상륙한 날<br>의식: 처음 익은 이삭 한 단을 요제의 제물로 드림(구약). 떡을 뗌(신약)<br>예언 성취: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 | ||
|- | |- | ||
| style="text-align:center;" | 칠칠절(오순절)||날짜: 초실절로부터 50일째 되는 날<br>유래: 모세가 첫 번째 십계명을 받으러 올라가던 날<br>의식: 하나님께 새 소제를 드림<br>예언 성취: 예수님이 부활 후 50일째에 성령을 부어주심 | | style="text-align:center;" | 칠칠절(오순절)||날짜: 초실절로부터 50일째 되는 날<br>유래: 모세가 첫 번째 십계명을 받으러 올라가던 날<br>의식: 하나님께 새 소제를 드림<br>예언 성취: 예수님이 부활 후 50일째에 성령을 부어주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