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단강: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요단강'''(요르단강, Jordan River)은 레바논과 시리아의 국경지대에 위치한 헐몬산([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86961&cid=40942&categoryId=40065 헤르몬산])에서 발원한 여러 하천이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word_no=499338&searchKeywordTo=3 팔레스타인] 북부에서 합류하여 형성됐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09746 "요르단강"], 《두산백과 두피디아》</ref> 팔레스타인 동쪽 가장자리를 북에서 남으로 관통하여 [[갈릴리|갈릴리호]](Sea of Galilee)를 거쳐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08144&cid=40942&categoryId=32300 사해](死海)에 이른다.<ref name=":0">가스펠서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5436&cid=50762&categoryId=51387 요단강]", 《라이프성경사전》, 생명의말씀사, 2006</ref> 세계에서 수면이 가장 낮은 강으로, 총 길이 320km 중 250km가량이 해수면보다 낮게 흐른다.<ref name=":1">[https://www.britannica.com/place/Jordan-River "Jordan River,"] <i>Encyclopædia Britannica</i></ref><br> | '''요단강'''(요르단강, Jordan River)은 레바논과 시리아의 국경지대에 위치한 헐몬산([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86961&cid=40942&categoryId=40065 헤르몬산])에서 발원한 여러 하천이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word_no=499338&searchKeywordTo=3 팔레스타인] 북부에서 합류하여 형성됐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09746 "요르단강"], 《두산백과 두피디아》</ref> 팔레스타인 동쪽 가장자리를 북에서 남으로 관통하여 [[갈릴리|갈릴리호]](Sea of Galilee)를 거쳐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08144&cid=40942&categoryId=32300 사해](死海)에 이른다.<ref name=":0">가스펠서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5436&cid=50762&categoryId=51387 요단강]", 《라이프성경사전》, 생명의말씀사, 2006</ref> 세계에서 수면이 가장 낮은 강으로, 총 길이 320km 중 250km가량이 해수면보다 낮게 흐른다.<ref name=":1">[https://www.britannica.com/place/Jordan-River "Jordan River,"] <i>Encyclopædia Britannica</i></ref><br> | ||
요단강은 [[구약성경]]에는 히브리어 '야르덴(יַרְדֵּן)'<ref>[https://dict.naver.com/hbokodict/#/entry/hboko/0dbe9baca9f4468f9dc7cd10930b9300 יַרְדֵּן]. | 요단강은 [[구약성경]]에는 히브리어 '야르덴(יַרְדֵּן)'<ref>[https://dict.naver.com/hbokodict/#/entry/hboko/0dbe9baca9f4468f9dc7cd10930b9300 יַרְדֵּן]. 《네이버 고대 히브리어사전》</ref>이라는 명칭으로 기록돼 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3장|제목=창세기 13:10-11|인용문=이에 롯이 눈을 들어 요단(יַרְדֵּן) 들을 바라본즉 소알까지 온 땅에 물이 넉넉하니 ... 그러므로 롯이 요단(יַרְדֵּן) 온 들을 택하고}}</ref> 야르덴은 '내려간다'라는 뜻의 '야라드(יָרַד)'<ref>[https://dict.naver.com/hbokodict/#/entry/hboko/027d82ba7e504fefb196b0196467f117 יָרַד]. 《네이버 고대 히브리어사전》</ref>와 강의 발원 지역인 '단(דָּן)'<ref>[https://dict.naver.com/hbokodict/#/entry/hboko/e5d83307116947449fb9b397d2c0f463 דָּן]. 《네이버 고대 히브리어사전》</ref>이 합쳐진 말로,<ref>[http://www.duranno.com/bdictionary/result_vision_detail.asp?cts_id=16813 "요단강"], 《비전성경사전》, 두란노, "히브리어로 '야르덴(yarden)'이라 불리는 요단은 '흐르다'는 뜻의 히브리어 '야라드(yarad)'와 강의 수원(水源)인 '단(dan)'이 합쳐져 생겨났다."</ref> '아래로 흐르는 것', '빨리 흘러내리는 시내', '단(Dan)에서 흐른다'라는 뜻을 가졌다. [[신약성경]]에는 헬라어 '이오르다네스(Ἰορδάνης)'로 기록돼 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1장|제목=마가복음 1:5|인용문=온 유대 지방과 예루살렘 사람이 다 나아가 자기 죄를 자복하고 요단(Ἰορδάνη)강에서 그[침례 요한]에게 침례를 받더라}}</ref><ref>{{웹 인용 |url=https://dict.naver.com/grckodict/#/entry/grcko/a288599395104c818bcfc7728d7969c1 |제목=Ἰορδάνης |웹사이트= |저널=네이버 고대 그리스어사전 |날짜= |연도= |쪽= |시리즈= |isbn= }}</ref><br> | ||
요단강은 [[성경]]에서 중요한 장소로 등장한다. 구약시대 [[여호수아 (인물)|여호수아]]와 이스라엘 백성들은 요단강을 건너 약속의 땅 가나안에 들어갔다. 아람의 군대장관 나아만이 [[엘리사]]의 말대로 요단강에서 몸을 씻음으로 그의 나병이 치유되기도 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5장|제목=열왕기하 5:1-27 |인용문=아람 왕의 군대장관 나아만은 ... 큰 용사나 문둥병자더라 ... 엘리사가 사자를 저에게 보내어 가로되 너는 가서 요단강에 몸을 일곱번 씻으라 ... 나아만이 이에 내려가서 하나님의 사람의 말씀대로 요단강에 일곱번 몸을 잠그니 그 살이 여전하여 어린아이의 살 같아서 깨끗하게 되었더라 }}</ref> 신약시대 [[예수 그리스도|예수님]]은 [[침례 요한 (세례 요한)|침례 요한]]에게 요단강에서 [[침례 (세례)|침례]]를 받고 [[천국 복음]]을 전파하셨다. | 요단강은 [[성경]]에서 중요한 장소로 등장한다. 구약시대 [[여호수아 (인물)|여호수아]]와 이스라엘 백성들은 요단강을 건너 약속의 땅 가나안에 들어갔다. 아람의 군대장관 나아만이 [[엘리사]]의 말대로 요단강에서 몸을 씻음으로 그의 나병이 치유되기도 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5장|제목=열왕기하 5:1-27 |인용문=아람 왕의 군대장관 나아만은 ... 큰 용사나 문둥병자더라 ... 엘리사가 사자를 저에게 보내어 가로되 너는 가서 요단강에 몸을 일곱번 씻으라 ... 나아만이 이에 내려가서 하나님의 사람의 말씀대로 요단강에 일곱번 몸을 잠그니 그 살이 여전하여 어린아이의 살 같아서 깨끗하게 되었더라 }}</ref> 신약시대 [[예수 그리스도|예수님]]은 [[침례 요한 (세례 요한)|침례 요한]]에게 요단강에서 [[침례 (세례)|침례]]를 받고 [[천국 복음]]을 전파하셨다. | ||
| 22번째 줄: | 22번째 줄: | ||
요단강에는 겨울과 여름이 공존한다. 주요 발원지인 북쪽 '''헐몬산'''은 레바논과 시리아의 국경인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pageSize=10&searchKeyword=%EC%95%88%ED%8B%B0%EB%A0%88%EB%B0%94%EB%85%BC%EC%82%B0%EB%A7%A5 안티레바논산맥]의 최고봉으로, 해발고도는 2814m이며 산세가 험하다. 산 정상이 만년설로 뒤덮여 '회색머리 산', '눈의 산(Mountain of Snow)'이라는 별칭이 있다. 여기에서 녹아내리는 물이 요단강의 수원(水原)이다.<br> | 요단강에는 겨울과 여름이 공존한다. 주요 발원지인 북쪽 '''헐몬산'''은 레바논과 시리아의 국경인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pageSize=10&searchKeyword=%EC%95%88%ED%8B%B0%EB%A0%88%EB%B0%94%EB%85%BC%EC%82%B0%EB%A7%A5 안티레바논산맥]의 최고봉으로, 해발고도는 2814m이며 산세가 험하다. 산 정상이 만년설로 뒤덮여 '회색머리 산', '눈의 산(Mountain of Snow)'이라는 별칭이 있다. 여기에서 녹아내리는 물이 요단강의 수원(水原)이다.<br> | ||
헐몬산에서 발원한 여러 하천은 남쪽에 위치한 훌라호에서 요단강으로 합류한다. 훌라호는 습지와 얕은 호수로 이루어진 늪지대이다.<ref>[https://www.britannica.com/place/Hula-Valley "Hula Valley,"] <i>Encyclopædia Britannica</i></ref> 여름은 고온·건조하고 겨울은 온난·다습한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word_no=316073&searchKeywordTo=3 지중해성기후]에 속하지만, 산맥에 둘러싸여 있어서 계절별 및 일별 기온차가 크다.<br> | 헐몬산에서 발원한 여러 하천은 남쪽에 위치한 훌라호에서 요단강으로 합류한다. 훌라호는 습지와 얕은 호수로 이루어진 늪지대이다.<ref>[https://www.britannica.com/place/Hula-Valley "Hula Valley,"] <i>Encyclopædia Britannica</i></ref> 여름은 고온·건조하고 겨울은 온난·다습한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word_no=316073&searchKeywordTo=3 지중해성기후]에 속하지만, 산맥에 둘러싸여 있어서 계절별 및 일별 기온차가 크다.<br> | ||
요단강은 훌라호에서 남쪽으로 흘러나와, 중간 기착점인 갈릴리호 북쪽으로 유입된다. '''갈릴리호'''는 훌라호 남쪽 16km 지점에 위치하고, 수면이 해수면보다 약 212m 낮다.<ref>[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word_no=387675&searchKeywordTo=3 "갈릴리호(Galilee湖)"],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요르단강의 중류에 있는 호수. 대지구대에 있기 때문에 호면(湖面)이 해면보다 212미터 낮다."</ref> 갈릴리호에서 사해까지 구간인 하부 요단강 유역은 연중 기후가 온화하다. '하부 요단강'은 '요르단 계곡' | 요단강은 훌라호에서 남쪽으로 흘러나와, 중간 기착점인 갈릴리호 북쪽으로 유입된다. '''갈릴리호'''는 훌라호 남쪽 16km 지점에 위치하고, 수면이 해수면보다 약 212m 낮다.<ref>[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word_no=387675&searchKeywordTo=3 "갈릴리호(Galilee湖)"],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요르단강의 중류에 있는 호수. 대지구대에 있기 때문에 호면(湖面)이 해면보다 212미터 낮다."</ref> 갈릴리호에서 사해까지 구간인 하부 요단강 유역은 연중 기후가 온화하다. '하부 요단강'은 '요르단 계곡'<ref>요르단 계곡은 총길이 약 120km, 평균 너비 9.6km, 최대 너비 24km로 골짜기가 좁고 깊다.</ref>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구간으로, 갈릴리호와 사해의 수면 낙폭 차이(200m 이상) 때문에 경사가 급해 작은 폭포와 급류 등이 많다. 요단강은 전체적으로 강폭이 좁고 강바닥이 얕아 배가 다닐 수 없고, 우기(雨期)에는 물이 자주 범람하는 강이다.<ref name=":0" /><br>요단강은 사해에 들어서면 흐름을 멈춘다. 사해는 수면 높이가 해수면보다 약 392m 아래에 있어서, 강물이 빠져나갈 곳이 없다.<ref>[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word_no=436938&searchKeywordTo=3 "사해(死海)"],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호수의 수면이 해수의 수면보다 392미터 낮아 세계의 호수 가운데 가장 낮다. 이스라엘과 요르단에 걸쳐 있으며 북으로부터 요르단강이 흘러 들어오지만 나가는 데가 없고 증발이 심한 까닭에 염분 농도가 바닷물의 약 다섯 배에 달하여 세균과 염생 식물을 제외한 생물이 살 수 없다."</ref> 사해 주변은 연중 고온 건조한 사막기후이다. | ||
==성경 속 요단강== | ==성경 속 요단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