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옥: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Lazarus in Abrahams schoot en de rijke man in de hel, RP-P-1896-A-19368-2800.jpg |섬네일 | px |지옥에 간 부자와 천국에 간 나사로의 비유]]
[[파일:Lazarus in Abrahams schoot en de rijke man in de hel, RP-P-1896-A-19368-2800.jpg |섬네일 | px |지옥에 간 부자와 천국에 간 나사로의 비유]]
'''지옥'''(地獄, 영어: Hell, 헬라어: γέεννα)<ref>{{웹 인용 |url=https://dict.naver.com/grckodict/#/entry/grcko/20f14c3eee8344c48a2e11017fce17ae |제목=γέεννα |웹사이트=고대 그리스어사전 }}</ref>은 [[성경]]에 기록된 사후세계로, 죄인의 [[영혼]]이 형벌을 당하는 장소다. 성경은 사람이 육신의 죽음을 당한 이후 그 영혼이 행위에 따라 [[천국]]과 지옥으로 가게 된다고 알려준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5장 |제목=마태복음 25:31-46 |저널= |인용문= 인자가 자기 영광으로 모든 천사와 함께 올때에 자기 영광의 보좌에 앉으리니 모든 민족을 그 앞에 모으고 각각 분별하기를 목자가 양과 염소를 분별하는 것같이 하여 양은 그 오른편에, 염소는 왼편에 두리라 ... 또 왼편에 있는 자들에게 이르시되 저주를 받은 자들아 나를 떠나 마귀와 그 사자들을 위하여 예비된 영영한 불에 들어가라 ... 저희는 영벌에, 의인들은 영생에 들어가리라 하시니라}}</ref> 일반적으로 지옥이라고 하면 이 땅에서 악한 일을 행한 범죄자들이 가는 고통스러운 장소라고 생각한다. 성경이 알려주는 지옥의 개념은 영혼세계로부터 이 땅까지 [[하나님]]을 대적한 [[사단 (마귀)|마귀]]와 그를 따라 [[다른 복음|불법]]을 행한 자들이 그 죄의 대가로 맞이하는 최후 형벌의 장소다. 구원받지 못한 사람들의 영혼은 죄악의 경중에 따라 형벌을 받은 뒤 최후에는 소멸된다.<br>
'''지옥'''(地獄, 영어: Hell, 헬라어: γέεννα)<ref>{{웹 인용 |url=https://dict.naver.com/grckodict/#/entry/grcko/20f14c3eee8344c48a2e11017fce17ae |제목=γέεννα |웹사이트=네이버 고대 그리스어사전 }}</ref>은 [[성경]]에 기록된 사후세계로, 죄인의 [[영혼]]이 형벌을 당하는 장소다. 성경은 사람이 육신의 죽음을 당한 이후 그 영혼이 행위에 따라 [[천국]]과 지옥으로 가게 된다고 알려준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5장 |제목=마태복음 25:31-46 |저널= |인용문= 인자가 자기 영광으로 모든 천사와 함께 올때에 자기 영광의 보좌에 앉으리니 모든 민족을 그 앞에 모으고 각각 분별하기를 목자가 양과 염소를 분별하는 것같이 하여 양은 그 오른편에, 염소는 왼편에 두리라 ... 또 왼편에 있는 자들에게 이르시되 저주를 받은 자들아 나를 떠나 마귀와 그 사자들을 위하여 예비된 영영한 불에 들어가라 ... 저희는 영벌에, 의인들은 영생에 들어가리라 하시니라}}</ref> 일반적으로 지옥이라고 하면 이 땅에서 악한 일을 행한 범죄자들이 가는 고통스러운 장소라고 생각한다. 성경이 알려주는 지옥의 개념은 영혼세계로부터 이 땅까지 [[하나님]]을 대적한 [[사단 (마귀)|마귀]]와 그를 따라 [[다른 복음|불법]]을 행한 자들이 그 죄의 대가로 맞이하는 최후 형벌의 장소다. 구원받지 못한 사람들의 영혼은 죄악의 경중에 따라 형벌을 받은 뒤 최후에는 소멸된다.<br>
[[신약성경]]의 원어인 헬라어 성경에는 지옥과 관련된 용어로 게엔나(γέεννα)가 자주 언급되었고, 하데스(ᾅδης),<ref>{{웹 인용 |url=https://dict.naver.com/grckodict/#/entry/grcko/8cffa0df7e9d4faa93219ece3b241739 |제목=ᾅδης |웹사이트=고대 그리스어사전 |인용문= }}</ref> 타르타로오(ταρταρόω)<ref>{{웹 인용 |url=https://dict.naver.com/grckodict/#/entry/grcko/5dd95a1092c24b008f582f36a66f268f |제목=ταρταρόω |웹사이트=고대 그리스어사전 |인용문= }}</ref>도 사용되었다. 하데스는 [[구약성경]]의 '음부(셰올)'를 헬라어로 표기한 단어이고, 신약성경에 단 한 번 언급된 타르타로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베드로후서#2장 |제목=베드로후서 2:4 |저널= |인용문= 하나님이 범죄한 천사들을 용서치 아니하시고 '''지옥에 던져'''[타르타로오] 어두운 구덩이에 두어 심판 때까지 지키게 하셨으며}}</ref>는 '타르타로스(Τάρταρος)에 가두다'는 의미의 동사다. [[예수 그리스도|예수님]]은 주로 게엔나라는 단어를 사용해 범죄한 영혼들이 가는 형벌의 장소, 곧 지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셨다.  
[[신약성경]]의 원어인 헬라어 성경에는 지옥과 관련된 용어로 게엔나(γέεννα)가 자주 언급되었고, 하데스(ᾅδης),<ref>{{웹 인용 |url=https://dict.naver.com/grckodict/#/entry/grcko/8cffa0df7e9d4faa93219ece3b241739 |제목=ᾅδης |웹사이트=네이버 고대 그리스어사전 |인용문= }}</ref> 타르타로오(ταρταρόω)<ref>{{웹 인용 |url=https://dict.naver.com/grckodict/#/entry/grcko/5dd95a1092c24b008f582f36a66f268f |제목=ταρταρόω |웹사이트=네이버 고대 그리스어사전 |인용문= }}</ref>도 사용되었다. 하데스는 [[구약성경]]의 '음부(셰올)'를 헬라어로 표기한 단어이고, 신약성경에 단 한 번 언급된 타르타로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베드로후서#2장 |제목=베드로후서 2:4 |저널= |인용문= 하나님이 범죄한 천사들을 용서치 아니하시고 '''지옥에 던져'''[타르타로오] 어두운 구덩이에 두어 심판 때까지 지키게 하셨으며}}</ref>는 '타르타로스(Τάρταρος)에 가두다'는 의미의 동사다. [[예수 그리스도|예수님]]은 주로 게엔나라는 단어를 사용해 범죄한 영혼들이 가는 형벌의 장소, 곧 지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셨다.  


== 어원 ==
== 어원 ==
10번째 줄: 10번째 줄:
[[파일:Foster Bible Pictures 0074-1 Offering to Molech.jpg |섬네일|이방 신 몰렉을 숭배하는 사람들. 찰스 포스터(Charles Foster), 1897]]
[[파일:Foster Bible Pictures 0074-1 Offering to Molech.jpg |섬네일|이방 신 몰렉을 숭배하는 사람들. 찰스 포스터(Charles Foster), 1897]]
[[파일:예루살렘 감람산 힌놈 골짜기2.jpg|섬네일|예루살렘 남서쪽에 위치한 힌놈의 골짜기]]
[[파일:예루살렘 감람산 힌놈 골짜기2.jpg|섬네일|예루살렘 남서쪽에 위치한 힌놈의 골짜기]]
히브리어 '게 힌놈(힌놈의 골짜기)'의 헬라어 표기인 '게엔나'는 [[예루살렘]] 남서쪽에 있는 좁은 골짜기의 명칭이다. 이스라엘 왕국 시대에 우상 숭배자들이 이방 신 몰렉(מֹלֶךְ)<ref>{{웹 인용 |url=https://dict.naver.com/hbokodict/#/entry/hboko/5ee9cecc759d40a485c1539533544cf6 |제목=מֹלֶךְ |웹사이트=고대 히브리어사전 |인용문= }}</ref>에게 제사하던 곳으로 악명이 높다. 몰렉은 소머리에 인간의 몸을 하고 있으며 두 팔을 벌려 손바닥이 위를 보도록 손을 내밀고 있는 [[우상]]이다. 몰록(Moloch),<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23장 |제목=열왕기하 23:10 |저널= |인용문= 왕이 또 힌놈의 아들 골짜기의 도벳을 더럽게 하여 사람으로 몰록에게 드리기 위하여 그 자녀를 불로 지나가게 하지 못하게 하고}}</ref> 밀곰(Milcom),<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11장 |제목=열왕기상 11:5 |저널= |인용문= 이는 시돈 사람의 여신 아스다롯을 좇고 암몬 사람의 가증한 밀곰을 좇음이라}}</ref> 말감(Malcam)<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49장 |제목=예레미야 49:1 |저널= |인용문= 암몬 자손에 대한 말씀이라 여호와께서 이같이 말씀하시되 이스라엘이 무자하냐 상속자가 없느냐 말감이 갓을 점령하며}}</ref>이라고도 한다. 몰렉 숭배자들은 어린 자녀를 제물로 불태우는 인신 제사를 드렸는데, 쇠로 만들어진 우상을 불로 달구고, 달궈진 두 팔에다 어린 자식들을 바쳐 태우는 제사였다. 이 제사가 바로 힌놈의 골짜기에 만들어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1469&cid=50762&categoryId=51387 도벳](Topheth, 히브리어: תֹּפֶת)<ref>{{웹 인용 |url=https://dict.naver.com/hbokodict/#/entry/hboko/44ac885026684510a33988e95816df6b |제목=תֹּפֶת |웹사이트=고대 히브리어사전 |인용문= }}</ref> 사당에서 자행(恣行)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7장 |제목=예레미야 7:30-31 |저널= |인용문= 여호와께서 말씀하시되 유다 자손이 나의 목전에 악을 행하여 ... 힌놈의 아들 골짜기에 도벳 사당을 건축하고 그 자녀를 불에 살랐나니 내가 명하지 아니하였고 내 마음에 생각지도 아니한 일이니라}}</ref> [[남 유다 왕국|남 유다]]의 왕 아하스와 므낫세도 이곳에서 자기 아들을 불태워 몰렉에게 바쳤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하#28장 |제목=역대하 28:1-3 |저널= |인용문= 아하스가 위에 나아갈 때에 나이 이십세라 ... 힌놈의 아들 골짜기에서 분향하고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자손 앞에서 쫓아내신 이방 사람의 가증한 일을 본받아 그 자녀를 불사르고}}</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하#33장 |제목=역대하 33:1-6 |저널= |인용문= 므낫세가 위에 나아갈 때에 나이 십이 세라 ... 힌놈의 아들 골짜기에서 그 아들들을 불 가운데로 지나게 하며 또 점치며 사술과 요술을 행하며 신접한 자와 박수를 신임하여 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많이 행하여 그 진노를 격발하였으며}}</ref> <br>
히브리어 '게 힌놈(힌놈의 골짜기)'의 헬라어 표기인 '게엔나'는 [[예루살렘]] 남서쪽에 있는 좁은 골짜기의 명칭이다. 이스라엘 왕국 시대에 우상 숭배자들이 이방 신 몰렉(מֹלֶךְ)<ref>{{웹 인용 |url=https://dict.naver.com/hbokodict/#/entry/hboko/5ee9cecc759d40a485c1539533544cf6 |제목=מֹלֶךְ |웹사이트=네이버 고대 히브리어사전 |인용문= }}</ref>에게 제사하던 곳으로 악명이 높다. 몰렉은 소머리에 인간의 몸을 하고 있으며 두 팔을 벌려 손바닥이 위를 보도록 손을 내밀고 있는 [[우상]]이다. 몰록(Moloch),<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23장 |제목=열왕기하 23:10 |저널= |인용문= 왕이 또 힌놈의 아들 골짜기의 도벳을 더럽게 하여 사람으로 몰록에게 드리기 위하여 그 자녀를 불로 지나가게 하지 못하게 하고}}</ref> 밀곰(Milcom),<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11장 |제목=열왕기상 11:5 |저널= |인용문= 이는 시돈 사람의 여신 아스다롯을 좇고 암몬 사람의 가증한 밀곰을 좇음이라}}</ref> 말감(Malcam)<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49장 |제목=예레미야 49:1 |저널= |인용문= 암몬 자손에 대한 말씀이라 여호와께서 이같이 말씀하시되 이스라엘이 무자하냐 상속자가 없느냐 말감이 갓을 점령하며}}</ref>이라고도 한다. 몰렉 숭배자들은 어린 자녀를 제물로 불태우는 인신 제사를 드렸는데, 쇠로 만들어진 우상을 불로 달구고, 달궈진 두 팔에다 어린 자식들을 바쳐 태우는 제사였다. 이 제사가 바로 힌놈의 골짜기에 만들어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1469&cid=50762&categoryId=51387 도벳](Topheth, 히브리어: תֹּפֶת)<ref>{{웹 인용 |url=https://dict.naver.com/hbokodict/#/entry/hboko/44ac885026684510a33988e95816df6b |제목=תֹּפֶת |웹사이트=네이버 고대 히브리어사전 |인용문= }}</ref> 사당에서 자행(恣行)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7장 |제목=예레미야 7:30-31 |저널= |인용문= 여호와께서 말씀하시되 유다 자손이 나의 목전에 악을 행하여 ... 힌놈의 아들 골짜기에 도벳 사당을 건축하고 그 자녀를 불에 살랐나니 내가 명하지 아니하였고 내 마음에 생각지도 아니한 일이니라}}</ref> [[남 유다 왕국|남 유다]]의 왕 아하스와 므낫세도 이곳에서 자기 아들을 불태워 몰렉에게 바쳤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하#28장 |제목=역대하 28:1-3 |저널= |인용문= 아하스가 위에 나아갈 때에 나이 이십세라 ... 힌놈의 아들 골짜기에서 분향하고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자손 앞에서 쫓아내신 이방 사람의 가증한 일을 본받아 그 자녀를 불사르고}}</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하#33장 |제목=역대하 33:1-6 |저널= |인용문= 므낫세가 위에 나아갈 때에 나이 십이 세라 ... 힌놈의 아들 골짜기에서 그 아들들을 불 가운데로 지나게 하며 또 점치며 사술과 요술을 행하며 신접한 자와 박수를 신임하여 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많이 행하여 그 진노를 격발하였으며}}</ref> <br>
몰렉 숭배를 가증하게 여기신 하나님은 남 유다의 제16대 왕 [[요시야]]에게 이곳을 파괴하라고 명령하셨다. 요시야는 [[하나님의 율법]] 말씀을 듣고 유다와 예루살렘에 있는 모든 우상과 가증한 것들을 없애는 종교개혁을 단행했다. 이때 [[바알과 아세라]] 등의 우상을 제거하는 것은 물론이고, 몰렉에게 제사를 드리던 도벳 사당도 부정한 곳으로 만들어 더 이상 몰렉 숭배가 이루어지지 못하게 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23장 |제목=열왕기하 23:10 |저널= |인용문= 왕이 또 힌놈의 아들 골짜기의 도벳을 더럽게 하여 사람으로 몰록에게 드리기 위하여 그 자녀를 불로 지나가게 하지 못하게 하고}}</ref><br>
몰렉 숭배를 가증하게 여기신 하나님은 남 유다의 제16대 왕 [[요시야]]에게 이곳을 파괴하라고 명령하셨다. 요시야는 [[하나님의 율법]] 말씀을 듣고 유다와 예루살렘에 있는 모든 우상과 가증한 것들을 없애는 종교개혁을 단행했다. 이때 [[바알과 아세라]] 등의 우상을 제거하는 것은 물론이고, 몰렉에게 제사를 드리던 도벳 사당도 부정한 곳으로 만들어 더 이상 몰렉 숭배가 이루어지지 못하게 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23장 |제목=열왕기하 23:10 |저널= |인용문= 왕이 또 힌놈의 아들 골짜기의 도벳을 더럽게 하여 사람으로 몰록에게 드리기 위하여 그 자녀를 불로 지나가게 하지 못하게 하고}}</ref><br>
몰렉에게 바쳐진 아이들을 불사르느라 계속 불이 피어올랐던 이곳은, 요시야의 종교개혁 이후 쓰레기 소각장이 되었다. 여기서 쓰레기뿐 아니라 죽은 동물의 사체와 처형된 후 매장되지 않은 범죄자들의 시체도 함께 불태워졌다. 이로 인해 게엔나의 불은 꺼지지 않고 계속해서 피어올랐다. 게엔나 주변에서는 쓰레기와 짐승의 사체, 사람의 시체 등에서 나오는 심한 악취가 진동했다.  
몰렉에게 바쳐진 아이들을 불사르느라 계속 불이 피어올랐던 이곳은, 요시야의 종교개혁 이후 쓰레기 소각장이 되었다. 여기서 쓰레기뿐 아니라 죽은 동물의 사체와 처형된 후 매장되지 않은 범죄자들의 시체도 함께 불태워졌다. 이로 인해 게엔나의 불은 꺼지지 않고 계속해서 피어올랐다. 게엔나 주변에서는 쓰레기와 짐승의 사체, 사람의 시체 등에서 나오는 심한 악취가 진동했다.  
46번째 줄: 46번째 줄:


== 구약성경의 음부 ==
== 구약성경의 음부 ==
[[구약성경]]에서 죽은 자들이 가는 저승을 의미하는 단어로 '음부(陰府, 히브리어: שְׁאוֹל [셰올],<ref>{{웹 인용 |url=https://dict.naver.com/hbokodict/hebrew/#/entry/hboko/584258094aeb48bba1ac1715ca7db802 |제목=שְׁאוֹל |웹사이트=고대 히브리어사전 |인용문= }}</ref><ref>원래 발음은 '셰올'에 가까운데, 히브리어 '셰올'의 'ㅖ' 발음이 매우 짧고 약하므로 소리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스올'로 표기하기도 한다. 개역개정 성경에서는 이 단어를 번역하지 않고 그냥 '스올'로 표현했다. 영어로는 'Sheol'로 음역되었다.</ref> 헬라어: ᾅδης [하데스])'가 있다. 음부의 일차적 뜻은 땅속 즉 지하(地下)다. [[광야 생활|광야 시대]]에 고라 일당이 [[모세]]와 [[아론]]에게 반역했을 때, 하나님은 땅을 열어 그들을 삼키게 하셨다. 성경은 이를 음부에 빠졌다고 표현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16장 |제목=민수기 16:32-33 |저널= |인용문= 땅이 그 입을 열어 그들과 그 가족과 고라에게 속한 모든 사람과 그 물건을 삼키매 그들과 그 모든 소속이 산 채로 음부에 빠지며 땅이 그 위에 합하니 그들이 총회 중에서 망하니라}}</ref> <br>
[[구약성경]]에서 죽은 자들이 가는 저승을 의미하는 단어로 '음부(陰府, 히브리어: שְׁאוֹל [셰올],<ref>{{웹 인용 |url=https://dict.naver.com/hbokodict/hebrew/#/entry/hboko/584258094aeb48bba1ac1715ca7db802 |제목=שְׁאוֹל |웹사이트=네이버 고대 히브리어사전 |인용문= }}</ref><ref>원래 발음은 '셰올'에 가까운데, 히브리어 '셰올'의 'ㅖ' 발음이 매우 짧고 약하므로 소리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스올'로 표기하기도 한다. 개역개정 성경에서는 이 단어를 번역하지 않고 그냥 '스올'로 표현했다. 영어로는 'Sheol'로 음역되었다.</ref> 헬라어: ᾅδης [하데스])'가 있다. 음부의 일차적 뜻은 땅속 즉 지하(地下)다. [[광야 생활|광야 시대]]에 고라 일당이 [[모세]]와 [[아론]]에게 반역했을 때, 하나님은 땅을 열어 그들을 삼키게 하셨다. 성경은 이를 음부에 빠졌다고 표현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16장 |제목=민수기 16:32-33 |저널= |인용문= 땅이 그 입을 열어 그들과 그 가족과 고라에게 속한 모든 사람과 그 물건을 삼키매 그들과 그 모든 소속이 산 채로 음부에 빠지며 땅이 그 위에 합하니 그들이 총회 중에서 망하니라}}</ref> <br>
사람이 죽으면 일반적으로 땅속에 묻히기 때문에, 음부는 사망과 무덤을 상징하기도 한다. 그래서 음부와 사망이라는 단어는 대개 함께 사용된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하#22장 |제목=사무엘하 22:6 |저널= |인용문= 음부의 줄이 나를 두르고 사망의 올무가 내게 이르렀도다}}</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시편#116장 |제목=시편 116:3 |저널= |인용문= 사망의 줄이 나를 두르고 음부의 고통이 내게 미치므로 내가 환난과 슬픔을 만났을 때에}}</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호세아#13장 |제목=호세아 13:14 |저널= |인용문= 내가 저희를 음부의 권세에서 속량하며 사망에서 구속하리니 사망아 네 재앙이 어디 있느냐 음부야 네 멸망이 어디 있느냐 뉘우침이 내 목전에 숨으리라}}</ref> 비슷한 맥락으로 공동번역 성경에는 일부 '음부'라는 단어를 '저승'으로 번역했다.<ref>{{웹 인용 |url=https://www.bskorea.or.kr/bible/korbibReadpage.php?back=yes&version=COG&book=psa&chap=49&sec=14#focus#focus |제목=시편 49:14 |저널= 공동번역|인용문= 양이나 소가 끌려 가 죽고 말듯이 죽음에 몰려 저승으로 곧장 가리라. 올바른 자가 그들을 다스릴지니 아침에 그 모습 사라지고 영원히 저승을 벗어나지 못하리라.}}</ref><ref>{{웹 인용 |url=https://www.bskorea.or.kr/bible/korbibReadpage.php?back=yes&version=COG&book=isa&chap=14&sec=11#focus#focus |제목=이사야 14:11 |저널= 공동번역|인용문= 너의 위세가 거문고소리와 함께 저승으로 떨어졌구나. 구더기를 요로 깔고 벌레를 이불로 덮었구나.}}</ref> [[시편]] 기자는 이 땅에서 죽음을 맞으면 산 사람들에게 잊혀지는 특성을 생각해 육신의 죽음 후에 가는 음부를 '잊음의 땅'으로 표현하기도 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시편#88장 |제목=시편 88:10-12 |저널= |인용문= 주께서 사망한 자에게 기사를 보이시겠나이까 유혼이 일어나 주를 찬송하리이까 주의 인자하심을 무덤에서, 주의 성실하심을 멸망 중에서 선포할 수 있으리이까 흑암 중에서 주의 기사와 잊음의 땅에서 주의 의를 알 수 있으리이까}}</ref><br>
사람이 죽으면 일반적으로 땅속에 묻히기 때문에, 음부는 사망과 무덤을 상징하기도 한다. 그래서 음부와 사망이라는 단어는 대개 함께 사용된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하#22장 |제목=사무엘하 22:6 |저널= |인용문= 음부의 줄이 나를 두르고 사망의 올무가 내게 이르렀도다}}</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시편#116장 |제목=시편 116:3 |저널= |인용문= 사망의 줄이 나를 두르고 음부의 고통이 내게 미치므로 내가 환난과 슬픔을 만났을 때에}}</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호세아#13장 |제목=호세아 13:14 |저널= |인용문= 내가 저희를 음부의 권세에서 속량하며 사망에서 구속하리니 사망아 네 재앙이 어디 있느냐 음부야 네 멸망이 어디 있느냐 뉘우침이 내 목전에 숨으리라}}</ref> 비슷한 맥락으로 공동번역 성경에는 일부 '음부'라는 단어를 '저승'으로 번역했다.<ref>{{웹 인용 |url=https://www.bskorea.or.kr/bible/korbibReadpage.php?back=yes&version=COG&book=psa&chap=49&sec=14#focus#focus |제목=시편 49:14 |저널= 공동번역|인용문= 양이나 소가 끌려 가 죽고 말듯이 죽음에 몰려 저승으로 곧장 가리라. 올바른 자가 그들을 다스릴지니 아침에 그 모습 사라지고 영원히 저승을 벗어나지 못하리라.}}</ref><ref>{{웹 인용 |url=https://www.bskorea.or.kr/bible/korbibReadpage.php?back=yes&version=COG&book=isa&chap=14&sec=11#focus#focus |제목=이사야 14:11 |저널= 공동번역|인용문= 너의 위세가 거문고소리와 함께 저승으로 떨어졌구나. 구더기를 요로 깔고 벌레를 이불로 덮었구나.}}</ref> [[시편]] 기자는 이 땅에서 죽음을 맞으면 산 사람들에게 잊혀지는 특성을 생각해 육신의 죽음 후에 가는 음부를 '잊음의 땅'으로 표현하기도 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시편#88장 |제목=시편 88:10-12 |저널= |인용문= 주께서 사망한 자에게 기사를 보이시겠나이까 유혼이 일어나 주를 찬송하리이까 주의 인자하심을 무덤에서, 주의 성실하심을 멸망 중에서 선포할 수 있으리이까 흑암 중에서 주의 기사와 잊음의 땅에서 주의 의를 알 수 있으리이까}}</ref><br>
이처럼 구약성경에는 죽은 자들의 세계가 음부 등의 단어로  희미하게 표현되어 있지만 [[신약성경]]에는 사후 세계가 명확하게 표현되어 있다. 따라서 영혼 문제를 뚜렷하게 이해하려면 영혼의 주인이신 [[그리스도]]의 말씀을 중심으로 연구해야 한다.
이처럼 구약성경에는 죽은 자들의 세계가 음부 등의 단어로  희미하게 표현되어 있지만 [[신약성경]]에는 사후 세계가 명확하게 표현되어 있다. 따라서 영혼 문제를 뚜렷하게 이해하려면 영혼의 주인이신 [[그리스도]]의 말씀을 중심으로 연구해야 한다.
원본 주소 "https://watv.kr/지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