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일 휴업령: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26번째 줄: 26번째 줄:
===일요일 예배 확립===
===일요일 예배 확립===
2세기 초 로마를 중심으로 한 서방 교회는 이방인 신자들이 주축을 이루고 있었고,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고 기독교를 지속적으로 핍박해 온 유대교에 대해 강한 반감을 가지고 있었다. 두 차례 유대 전쟁이 일어나고 로마제국이 유대인들을 박해하는 정책을 펴자 서방 교회 신자들은 굳이 유대교와 같은 날에 지키는 안식일을 고수해 로마제국으로부터 더 많은 핍박을 받을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게 됐다. 당시 로마에서 가장 인기 있던 태양신 미트라교의 성일인 일요일을 예배일로 삼으면 로마인들의 환심을 얻어 핍박을 피하고 더 나아가 로마인들을 개종시키는 일이 더 쉬워질 것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이에 로마 교회는 2세기 초부터 안식일 대신 일요일에 예배하기 시작했다. <br>
2세기 초 로마를 중심으로 한 서방 교회는 이방인 신자들이 주축을 이루고 있었고,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고 기독교를 지속적으로 핍박해 온 유대교에 대해 강한 반감을 가지고 있었다. 두 차례 유대 전쟁이 일어나고 로마제국이 유대인들을 박해하는 정책을 펴자 서방 교회 신자들은 굳이 유대교와 같은 날에 지키는 안식일을 고수해 로마제국으로부터 더 많은 핍박을 받을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게 됐다. 당시 로마에서 가장 인기 있던 태양신 미트라교의 성일인 일요일을 예배일로 삼으면 로마인들의 환심을 얻어 핍박을 피하고 더 나아가 로마인들을 개종시키는 일이 더 쉬워질 것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이에 로마 교회는 2세기 초부터 안식일 대신 일요일에 예배하기 시작했다. <br>
서방 교회는 일요일 예배를 정당화하는 다양한 논리를 만들어냈다. 이교에서 기독교로 개종한 변증가 유스티누스(Justinus)는 150년경 기독교를 옹호하기 위해 로마 황제 안토니누스 피우스(Antoninus Pius, 재위: 138-161)에게 쓴 〈제1변증서〉에서 하나님이 세상을 창조하기 시작한 날과 예수 그리스도가 [[부활]]한 날이 한 주의 첫날인 태양의 날이었기 때문에 기독교인들이 이날에 예배를 드린다고 설명했다.<ref>유충희, 《예수의 최후만찬과 초대교회의 성만찬 연구》, 우리신학연구소, 1999, 152-158쪽, "[유스티누스, 제1변증서] 67, 7. 우리 모두는 일요일에 공동체 모임을 가집니다. 그 까닭인즉, 일요일은 하나님께서 어두움과 물질을 변화시켜 세상을 창조하신 첫날이었기 때문이요, 아울러 우리 구원자인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죽은 이들로부터 같은 날 부활하셨기 때문입니다. 즉 그들(유대인들)은 토요일 전날에 그리스도를 십자가에 못박았으며, 그분은 토요일 다음날, 즉 일요일에 당신의 사도들과 제자들에게 나타나셨으며, 우리가 여러분에게 숙고하도록 전해준 것을 그들에게 가르치셨습니다."</ref><br>   
서방 교회는 일요일 예배를 정당화하는 다양한 논리를 만들어냈다. 이교에서 기독교로 개종한 변증가 유스티누스(Justinus)는 150년경 기독교를 옹호하기 위해 로마 황제 안토니누스 피우스(Antoninus Pius, 재위: 138-161)에게 쓴 〈제1변증서〉에서 하나님이 세상을 창조하기 시작한 날과 예수 그리스도가 [[부활]]한 날이 한 주의 첫날인 태양의 날이었기 때문에 기독교인들이 이날에 예배를 드린다고 설명했다.<ref>유충희, 《예수의 최후만찬과 초대교회의 성만찬 연구》, 우리신학연구소, 1999, 152-158쪽, "[유스티누스, 제1변증서] 67, 7. 우리 모두는 일요일에 공동체 모임을 가집니다. 그 까닭인즉, 일요일은 하나님께서 어두움과 물질을 변화시켜 세상을 창조하신 첫날이었기 때문이요, 아울러 우리 구원자이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죽은 이들로부터 같은 날 부활하셨기 때문입니다. 즉 그들(유대인들)은 토요일 전날에 그리스도를 십자가에 못박았으며, 그분은 토요일 다음 날, 즉 일요일에 당신의 사도들과 제자들에게 나타나셨으며, 우리가 여러분에게 숙고하도록 전해준 것을 그들에게 가르치셨습니다."</ref><br>   
이처럼 서방 교회는 일찍이 [[새 언약]]의 안식일을 떠나 일요일에 예배했지만 동방 교회는 일요일 휴업령이 내려질 때까지 예수님과 사도들의 본을 따라 토요일을 안식일로 지켰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4장|제목=누가복음 4:16|인용문=예수께서 그 자라나신 곳 나사렛에 이르사 안식일에 자기 규례대로 회당에 들어가사 성경을 읽으려고 서시매}}</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17장|제목=사도행전 17:2-3|인용문=바울이 자기의 규례대로 저희에게로 들어가서 세 안식일에 성경을 가지고 강론하며 뜻을 풀어 그리스도가 해를 받고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야 할 것을 증명하고 이르되 내가 너희에게 전하는 이 예수가 곧 그리스도라 하니}}</ref>
이처럼 서방 교회는 일찍이 [[새 언약]]의 안식일을 떠나 일요일에 예배했지만 동방 교회는 일요일 휴업령이 내려질 때까지 예수님과 사도들의 본을 따라 토요일을 안식일로 지켰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4장|제목=누가복음 4:16|인용문=예수께서 그 자라나신 곳 나사렛에 이르사 안식일에 자기 규례대로 회당에 들어가사 성경을 읽으려고 서시매}}</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17장|제목=사도행전 17:2-3|인용문=바울이 자기의 규례대로 저희에게로 들어가서 세 안식일에 성경을 가지고 강론하며 뜻을 풀어 그리스도가 해를 받고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야 할 것을 증명하고 이르되 내가 너희에게 전하는 이 예수가 곧 그리스도라 하니}}</ref>
{{인용문|제2기 사도 후 시대(100-313년)<br>예배의 시기로는 주(週) 예배로서 '''안식일 예배가 이 시기까지 계속'''되었으나, 말기에 점차로 주의 첫날 즉 일요일로 대용케 되었다.|송낙원, 《교회사》, 이건사, 1981, 101쪽}}
{{인용문|제2기 사도 후 시대(100-313년)<br>예배의 시기로는 주(週) 예배로서 '''안식일 예배가 이 시기까지 계속'''되었으나, 말기에 점차로 주의 첫날 즉 일요일로 대용케 되었다.|송낙원, 《교회사》, 이건사, 1981, 101쪽}}
39번째 줄: 39번째 줄:
로마 가톨릭교를 적극 받아들인 서유럽 국가들에도 일요일 휴일 제도가 널리 퍼졌다. 프랑크 왕국의 카롤루스 대제([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00093 샤를마뉴])는 789년에 법령을 만들어 일요일을 예배와 휴식의 날로 지정하고 모든 육체노동을 금지했다.<br>
로마 가톨릭교를 적극 받아들인 서유럽 국가들에도 일요일 휴일 제도가 널리 퍼졌다. 프랑크 왕국의 카롤루스 대제([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00093 샤를마뉴])는 789년에 법령을 만들어 일요일을 예배와 휴식의 날로 지정하고 모든 육체노동을 금지했다.<br>
16세기 종교개혁가들이 로마 가톨릭교회를 비판하며 믿음의 자유를 외쳤지만 [[새 언약]]의 안식일은 찾지 못했고, 일요일 예배가 그대로 유지됐다. 일요일 휴일 제도는 종교개혁가들의 맥을 이은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0948 청교도]들로 이어졌다. 17세기 영국에서 종교의 자유를 찾아 미국으로 이주한 청교도들은 일요일 예배를 엄수하면서 일요일에 무역, 여행, 연극, 축제 등의 활동을 금지하는 법을 시행했다. 이 법은 '일요일 법(Sunday law)' 또는 '청색법([https://www.britannica.com/topic/blue-law blue law])'으로 불린다. 지금도 이러한 전통이 남아 있는 미국의 일부 지역에서는 일요일에 술이나 일부 상품을 구매할 수 없다.<ref>"[http://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555063 뉴저지 버겐 카운티, 일요일엔 상점 문 닫아]", 《이코노믹 리뷰》, 2021. 11. 13., "현재는 뉴저지내에서 버겐 카운티는 청색법이 유지되는 유일한 지역으로 필수품인 음식이나 약을 구입할 수 있는 빵집, 약국, 식품점 등을 제외하고는 소매업체는 일요일날 영업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아기 장난감이나 옷, 후라이팬 등의 상품들은 구매를 할 수가 없다. 미국내 일부 지역도 청색법이 유지되고는 있지만 아주 제한적이라서 노스 캐롤라이나의 채플 힐의 경우 일요일에는 술을 구매할 수 없고 노스 다코타에서는 차량을 구매할 수가 없다."</ref><br>
16세기 종교개혁가들이 로마 가톨릭교회를 비판하며 믿음의 자유를 외쳤지만 [[새 언약]]의 안식일은 찾지 못했고, 일요일 예배가 그대로 유지됐다. 일요일 휴일 제도는 종교개혁가들의 맥을 이은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0948 청교도]들로 이어졌다. 17세기 영국에서 종교의 자유를 찾아 미국으로 이주한 청교도들은 일요일 예배를 엄수하면서 일요일에 무역, 여행, 연극, 축제 등의 활동을 금지하는 법을 시행했다. 이 법은 '일요일 법(Sunday law)' 또는 '청색법([https://www.britannica.com/topic/blue-law blue law])'으로 불린다. 지금도 이러한 전통이 남아 있는 미국의 일부 지역에서는 일요일에 술이나 일부 상품을 구매할 수 없다.<ref>"[http://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555063 뉴저지 버겐 카운티, 일요일엔 상점 문 닫아]", 《이코노믹 리뷰》, 2021. 11. 13., "현재는 뉴저지내에서 버겐 카운티는 청색법이 유지되는 유일한 지역으로 필수품인 음식이나 약을 구입할 수 있는 빵집, 약국, 식품점 등을 제외하고는 소매업체는 일요일날 영업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아기 장난감이나 옷, 후라이팬 등의 상품들은 구매를 할 수가 없다. 미국내 일부 지역도 청색법이 유지되고는 있지만 아주 제한적이라서 노스 캐롤라이나의 채플 힐의 경우 일요일에는 술을 구매할 수 없고 노스 다코타에서는 차량을 구매할 수가 없다."</ref><br>
미국의 일요일 법은 세월이 흐름에 따라 강도가 점진적으로 약화되었다. 하지만 청교도의 고향인 영국의 식민지 확장, 영국과 미국의 해외 선교 사역 등으로 인해 일요일에 일을 쉬는 제도는 아시아, 아프리카 등 세계 곳곳에 널리 퍼지게 되었다. 현재 금요일에 예배하는 이슬람권 국가 중 일부와 [[유대교]]의 안식일에 따라 토요일에 쉬는 이스라엘을 제외하고, 거의 대부분의 국가가 일요일을 휴일로 지정하고 있다.<ref>"[http://www.mediain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0542 이슬람 국가에서 금요일은 휴일, 일요일은 평일?]", 《미디어인뉴스》, 2022. 1. 3., "아랍에미리트(UAE)는 2022년 1월부터 토요일, 일요일을 휴일로 지킨다고 발표하였고, 지금 그 규정이 시행되고 있다. ... 이미 오래전부터 일요일을 휴일로, 금요일을 평일로 지키는 이슬람 국가(무슬림 절대 다수의 국가)들도 적지 않았다. 북아프리카의 튀니지와 모로코, 모리타니아와 레바논, 구소련 지역에 속한 카자흐스탄을 비롯한 중앙아시아의 절대다수 무슬림 국가들, 동남아시아의 말레이시아(수도권을 비롯한 절대 다수의 지방), 인도네시아, 파키스탄 그리고 터키 등을 들 수 있다. 대표적인 무슬림 다수 국가들이다. 이들 국가에서 금요일은 평일로 일요일은 공휴일로 지켜지고 있다."</ref><ref>"[https://www.mk.co.kr/news/home/view/2007/01/31079/ 토요일엔 상점 문닫는 이스라엘]", 《매일경제》, 2007. 1. 19., "안식일은 이스라엘의 가장 독특한 문화 중 하나다. 말 그대로 쉬는 날인 안식일에는 원칙적으로 아무 일도 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금요일 저녁부터 시작돼 토요일 저녁에 끝나는 안식일이 이스라엘인들에게는 주말인 셈이다. 공공기관과 일반기업 역시 금요일에 쉬고 대신 일요일부터 한 주가 시작된다."</ref>
미국의 일요일 법은 세월이 흐름에 따라 강도가 점진적으로 약화되었다. 하지만 청교도의 고향인 영국의 식민지 확장, 영국과 미국의 해외 선교 사역 등으로 인해 일요일에 일을 쉬는 제도는 아시아, 아프리카 등 세계 곳곳에 널리 퍼지게 되었다. 현재 금요일에 예배하는 이슬람권 국가 중 일부와 [[유대교]]의 안식일에 따라 토요일에 쉬는 이스라엘을 제외하고, 거의 대부분의 국가가 일요일을 휴일로 지정하고 있다.<ref>"[http://www.mediain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0542 이슬람 국가에서 금요일은 휴일, 일요일은 평일?]", 《미디어인뉴스》, 2022. 1. 3., "아랍에미리트(UAE)는 2022년 1월부터 토요일, 일요일을 휴일로 지킨다고 발표하였고, 지금 그 규정이 시행되고 있다. ... 이미 오래전부터 일요일을 휴일로, 금요일을 평일로 지키는 이슬람 국가(무슬림 절대 다수의 국가)들도 적지 않았다. 북아프리카의 튀니지와 모로코, 모리타니아와 레바논, 구소련 지역에 속한 카자흐스탄을 비롯한 중앙아시아의 절대다수 무슬림 국가들, 동남아시아의 말레이시아(수도권을 비롯한 절대 다수의 지방), 인도네시아, 파키스탄 그리고 터키 등을 들 수 있다. 대표적인 무슬림 다수 국가들이다. 이들 국가에서 금요일은 평일로 일요일은 공휴일로 지켜지고 있다."</ref><ref>"[https://www.mk.co.kr/news/all/4256725 토요일엔 상점 문닫는 이스라엘]", 《매일경제》, 2007. 1. 19., "안식일은 이스라엘의 가장 독특한 문화 중 하나다. 말 그대로 쉬는 날인 안식일에는 원칙적으로 아무 일도 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금요일 저녁부터 시작돼 토요일 저녁에 끝나는 안식일이 이스라엘인들에게는 주말인 셈이다. 공공기관과 일반기업 역시 금요일에 쉬고 대신 일요일부터 한 주가 시작된다."</ref>


==같이 보기==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