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홍: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27번째 줄: | 27번째 줄: | ||
*'''1981년'''{{공백|3}}《주간종교》 인터뷰: 재림 그리스도의 사역과 운명 예고 | *'''1981년'''{{공백|3}}《주간종교》 인터뷰: 재림 그리스도의 사역과 운명 예고 | ||
*'''1984년'''{{공백|3}}마지막 유월절 집례 (서울) | *'''1984년'''{{공백|3}}마지막 유월절 집례 (서울) | ||
::{{공백| | ::{{공백|12}}어머니 하나님 선포<br> | ||
::{{공백| | ::{{공백|12}}후계자 공표: 김주철 목사 | ||
*'''1985년'''{{공백|3}}2월 25일 승천 | *'''1985년'''{{공백|3}}2월 25일 승천 | ||
| 60번째 줄: | 60번째 줄: | ||
====한국전쟁 발발==== | ====한국전쟁 발발==== | ||
1950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2143 한국전쟁(6.25전쟁)]이 발발했다. 6월 25일 새벽 38선을 넘은 북한군은 순식간에 남한의 수도 서울을 점령하고 남하했다. 1개월 만에 대전 시내에 돌입, 대구, 마산, 포항까지 | 1950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2143 한국전쟁(6.25전쟁)]이 발발했다. 6월 25일 새벽 38선을 넘은 북한군은 순식간에 남한의 수도 서울을 점령하고 남하했다. 1개월 만에 대전 시내에 돌입, 8월에는 대구, 마산, 포항까지 육박했다. 임시 수도 부산을 최종 목표로 진격하던 북한군은 낙동강 방어선을 구축한 한국군과 유엔 연합군의 반격에 막혀 9월부터 북으로 패퇴했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1567 낙동강 방어선 전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1953년 마침내 휴전이 성립됐다. 일제의 식민 통치와 연이은 전쟁으로 대한민국은 초토화되었다. 가옥 60만 채가 파괴되고 전쟁미망인 20만 명, 전쟁고아 10만 명이 생겼다. 공업 시설 45%가 가동 불능상태가 되어 경제도 무너졌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A%B8%80%EB%A1%9C%EB%B2%8C_%EC%84%B8%EA%B3%84_%EB%8C%80%EB%B0%B1%EA%B3%BC%EC%82%AC%EC%A0%84/%ED%95%9C%EA%B5%AD%EC%82%AC/%ED%98%84%EB%8C%80%EC%82%AC%ED%9A%8C%EC%9D%98_%EB%B0%9C%EB%8B%AC/%EC%8B%9C%EB%A0%A8%EA%B3%BC_%EB%AF%BC%EC%A3%BC%EC%A3%BC%EC%9D%98%EC%9D%98_%EB%B0%9C%EC%A0%84/6%C2%B725%EC%A0%84%EC%9F%81&oldid=198078 |제목=6·25전쟁 |웹사이트=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저널=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br> | ||
당시 안상홍님은 부산에서 새 언약 복음을 전하고 계셨다. 가난하고 피폐한 시국에도 안상홍님은 하나님의 계명을 소중히 지키셨다. 당시 상황을 담은 친필 노트에는 ''"6.25 사변에서도 죽음의 고역, 양산 변내 산중에서도 생활에 굴하지 않았다. 직장에서도 안식일 범하지 않았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 당시 안상홍님은 부산에서 새 언약 복음을 전하고 계셨다. 가난하고 피폐한 시국에도 안상홍님은 하나님의 계명을 소중히 지키셨다. 당시 상황을 담은 친필 노트에는 ''"6.25 사변에서도 죽음의 고역, 양산 변내 산중에서도 생활에 굴하지 않았다. 직장에서도 안식일 범하지 않았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 ||
| 68번째 줄: | 68번째 줄: | ||
안상홍님은 1964년 [https://www.google.com/maps/place/%EB%B6%80%EC%82%B0%EA%B4%91%EC%97%AD%EC%8B%9C+%ED%95%B4%EC%9A%B4%EB%8C%80%EA%B5%AC/@35.1852524,128.9575904,11.25z/data=!4m5!3m4!1s0x35688d9fdaeda715:0x21c4cd40510865a5!8m2!3d35.1631139!4d129.1635509 부산 해운대구]에 하나님의 교회를 설립하셨다. 2000년 전 예수님이 친히 세우신 교회, [[사도]]들이 새 언약 진리를 고수했던 초대교회의 재건이었다.<br> | 안상홍님은 1964년 [https://www.google.com/maps/place/%EB%B6%80%EC%82%B0%EA%B4%91%EC%97%AD%EC%8B%9C+%ED%95%B4%EC%9A%B4%EB%8C%80%EA%B5%AC/@35.1852524,128.9575904,11.25z/data=!4m5!3m4!1s0x35688d9fdaeda715:0x21c4cd40510865a5!8m2!3d35.1631139!4d129.1635509 부산 해운대구]에 하나님의 교회를 설립하셨다. 2000년 전 예수님이 친히 세우신 교회, [[사도]]들이 새 언약 진리를 고수했던 초대교회의 재건이었다.<br> | ||
당시 한국은 세계 최빈국 중 하나였다. 1960년 국민의 1인당 실질국민총소득(GNI)은 133만 원,<ref>{{웹 인용 |url= https://www.index.go.kr/potal/ | 당시 한국은 세계 최빈국 중 하나였다. 1960년 국민의 1인당 실질국민총소득(GNI)은 133만 원,<ref>{{웹 인용 |url= https://www.index.go.kr/unity/potal/indicator/IndexInfo.do?cdNo=2&clasCd=8&idxCd=8086|제목=1인당 실질 국민총소득 |웹사이트=국가지표체계 |저널=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국내총생산(GDP)은 158달러(약 18만 원)<ref>{{웹 인용 |url=https://data.worldbank.org/indicator/NY.GDP.PCAP.CD?end=2020&locations=KR&name_desc=false&start=1960&view=chart |제목= GDP per capita (current US$) - Korea, Rep.|웹사이트=World Bank Open Data |저널=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에 불과했다.<ref>{{웹 인용 |url= https://www.joongang.co.kr/article/1766759#home|제목= GDP와 GNI 차이점|웹사이트= |저널=중앙일보 |출판사= |날짜= 2005. 12. 16|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br> | ||
초창기 하나님의 교회 역시 하우스처치(House church, 가정 교회) 규모로 미약했다. 안상홍님은 부산과 서울을 비롯한 큰 도시뿐 아니라 오지 마을, 바닷가 작은 마을까지 방방곡곡 다니며 새 언약 진리를 전하셨다. 교회 운영과 전도 경비를 마련하기 위해 고된 노동을 마다하지 않았고 밤낮 없는 전도 활동 중에도 진리 책자 집필에 힘쓰셨다. 《일곱 우뢰의 개봉》, 《[[천사세계에서 온 손님들]]》, 《[[선악과와 복음]]》, 《[[모세의 율법과 그리스도의 율법]]》, 《[[최후의 재앙과 하나님의 인]]》, 《[[성부 성자 성령 성삼위일체 해설]]》, 《[[하나님의 비밀과 생명수의 샘]]》 등이 안상홍님이 저술하신 책이다. 안상홍님의 헌신으로 1970년 전국에 4개였던 하나님의 교회는 1980년 13개 교회로 성장했다. | 초창기 하나님의 교회 역시 하우스처치(House church, 가정 교회) 규모로 미약했다. 안상홍님은 부산과 서울을 비롯한 큰 도시뿐 아니라 오지 마을, 바닷가 작은 마을까지 방방곡곡 다니며 새 언약 진리를 전하셨다. 교회 운영과 전도 경비를 마련하기 위해 고된 노동을 마다하지 않았고 밤낮 없는 전도 활동 중에도 진리 책자 집필에 힘쓰셨다. 《일곱 우뢰의 개봉》, 《[[천사세계에서 온 손님들]]》, 《[[선악과와 복음]]》, 《[[모세의 율법과 그리스도의 율법]]》, 《[[최후의 재앙과 하나님의 인]]》, 《[[성부 성자 성령 성삼위일체 해설]]》, 《[[하나님의 비밀과 생명수의 샘]]》 등이 안상홍님이 저술하신 책이다. 안상홍님의 헌신으로 1970년 전국에 4개였던 하나님의 교회는 1980년 13개 교회로 성장했다. | ||
| 101번째 줄: | 101번째 줄: | ||
====유월절==== | ====유월절==== | ||
{{그림|최후의 | {{그림|최후의 만찬 유월절.jpg|정렬=오른쪽섬네일|너비=320px|타이틀='최후의 만찬'으로 유명한 유월절 성만찬 장면}} | ||
새 언약의 핵심 계명이 예수님이 당신의 살과 피를 상징하는 떡과 포도주로 지키신 [[유월절]]이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2장|제목=누가복음 22:15, 19–20|인용문=이르시되 내가 고난을 받기 전에 너희와 함께 이 유월절 먹기를 원하고 원하였노라 ... 또 떡을 가져 사례하시고 떼어 저희에게 주시며 가라사대 이것은 너희를 위하여 주는 내 몸이라 너희가 이를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하시고 저녁 먹은 후에 잔[포도주]도 이와 같이 하여 가라사대 이 잔은 내 피로 세우는 새 언약이니 곧 너희를 위하여 붓는 것이라}}</ref> 새 언약 유월절에는 [[죄 사함]]과 영생의 축복이 약속되어 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6장 |제목=마태복음 26:28 |저널= |인용문=이것[유월절 포도주]은 죄 사함을 얻게 하려고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 바 나의 피 곧 언약의 피니라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6장 |제목=요한복음 6:54 |저널= |인용문=내 살을 먹고 내 피를 마시는 자는 영생을 가졌고 마지막 날에 내가 그를 다시 살리리니}}</ref><br> | 새 언약의 핵심 계명이 예수님이 당신의 살과 피를 상징하는 떡과 포도주로 지키신 [[유월절]]이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2장|제목=누가복음 22:15, 19–20|인용문=이르시되 내가 고난을 받기 전에 너희와 함께 이 유월절 먹기를 원하고 원하였노라 ... 또 떡을 가져 사례하시고 떼어 저희에게 주시며 가라사대 이것은 너희를 위하여 주는 내 몸이라 너희가 이를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하시고 저녁 먹은 후에 잔[포도주]도 이와 같이 하여 가라사대 이 잔은 내 피로 세우는 새 언약이니 곧 너희를 위하여 붓는 것이라}}</ref> 새 언약 유월절에는 [[죄 사함]]과 영생의 축복이 약속되어 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6장 |제목=마태복음 26:28 |저널= |인용문=이것[유월절 포도주]은 죄 사함을 얻게 하려고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 바 나의 피 곧 언약의 피니라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6장 |제목=요한복음 6:54 |저널= |인용문=내 살을 먹고 내 피를 마시는 자는 영생을 가졌고 마지막 날에 내가 그를 다시 살리리니}}</ref><br> | ||
| 107번째 줄: | 107번째 줄: | ||
====3차의 7개 절기==== | ====3차의 7개 절기==== | ||
{{그림 | 3차7개절기- | {{그림 | 3차7개절기-성소.jpg |너비= 320px |정렬=오른쪽섬네일 |타이틀= 모세의 행적에서 유래한 3차의 7개 절기는 예수님의 행적에 대한 예언이다. 사진은 하나님의 교회 역사관, '구약관' 내부}} | ||
[[하나님의 절기#연간 절기|3차의 7개 절기]]는 신구약 성경에 기반한 연간 절기다. 7개의 절기가 총 3차로 조직되어 있으며 1차 절기는 유월절과 무교절, 2차 절기는 초실절(부활절)과 칠칠절(오순절), 3차 절기는 나팔절과 대속죄일(속죄일)과 초막절이다. 모세의 행적에서 유래했으며 신약시대 예수님이 이루시는 일에 대한 예언이기도 하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18장 |제목=신명기 18:18 |인용문= 내가 그들의 형제 중에 너(모세)와 같은 선지자 하나를 그들을 위하여 일으키고 내 말을 그 입에 두리니}}</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3장 |제목=사도행전 3:22–24 |인용문= 모세가 말하되 주 하나님이 너희를 위하여 너희 형제 가운데서 나 같은 선지자 하나를 세울 것이니 ... 또한 사무엘 때부터 옴으로 말한 모든 선지자도 이때[예수님이 나타나신 때]를 가리켜 말하였느니라}}</ref> 절기에는 죄 사함, 영생, [[부활]], 성령 등 하나님의 축복이 담겨 있다.<br> | [[하나님의 절기#연간 절기|3차의 7개 절기]]는 신구약 성경에 기반한 연간 절기다. 7개의 절기가 총 3차로 조직되어 있으며 1차 절기는 유월절과 무교절, 2차 절기는 초실절(부활절)과 칠칠절(오순절), 3차 절기는 나팔절과 대속죄일(속죄일)과 초막절이다. 모세의 행적에서 유래했으며 신약시대 예수님이 이루시는 일에 대한 예언이기도 하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18장 |제목=신명기 18:18 |인용문= 내가 그들의 형제 중에 너(모세)와 같은 선지자 하나를 그들을 위하여 일으키고 내 말을 그 입에 두리니}}</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3장 |제목=사도행전 3:22–24 |인용문= 모세가 말하되 주 하나님이 너희를 위하여 너희 형제 가운데서 나 같은 선지자 하나를 세울 것이니 ... 또한 사무엘 때부터 옴으로 말한 모든 선지자도 이때[예수님이 나타나신 때]를 가리켜 말하였느니라}}</ref> 절기에는 죄 사함, 영생, [[부활]], 성령 등 하나님의 축복이 담겨 있다.<br> | ||
| 209번째 줄: | 209번째 줄: | ||
{{패밀리 사이트}} | {{패밀리 사이트}} | ||
{{#seo:|title=안상홍}}{{#seo:|keywords=안상홍}}{{#seo:|description=안상홍(安商洪, Ahnsahnghong)님은 성경의 예언에 따라 인류 구원을 위해 재림하신 그리스도다. 2천 년 전 예수 그리스도가 세운 새 언약 진리를 복구하고 하나님의 교회를 재건하였다. 또한 성경의 마지막 비밀인 어머니 하나님을 증거하였다.}} | |||
[[분류:아버지 하나님]] | [[분류:아버지 하나님]] | ||
[[분류:재림 그리스도]] | [[분류:재림 그리스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