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 그리스도: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41번째 줄: 41번째 줄:
|월||'''무화과나무를 저주하고 성전을 깨끗게 하심'''||•열매 없는 [[무화과나무]]를 저주하심. 이후 무화과나무가 말라 죽음.<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11장 |제목=마가복음 11:12-14, 19-21 |저널= |인용문=멀리서 잎사귀 있는 한 무화과나무를 보시고 혹 그 나무에 무엇이 있을까 하여 가셨더니 가서 보신즉 잎사귀 외에 아무것도 없더라 이는 무화과의 때가 아님이라 예수께서 나무에게 일러 가라사대 이제부터 영원토록 사람이 네게서 열매를 따 먹지 못하리라 하시니 ... 매양 저물매 저희가 성 밖으로 나가더라 저희가 아침에 지나갈 때에 무화과나무가 뿌리로부터 마른 것을 보고 베드로가 생각이 나서 여짜오되 랍비여 보소서 저주하신 무화과나무가 말랐나이다}}</ref><br>•[[성전]]에서 장사하는 자들을 책망하시며 내쫓으심.<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11장 |제목=마가복음 11:15-19 |저널= |인용문=예수께서 성전에 들어가사 성전 안에서 매매하는 자들을 내어 쫓으시며 돈 바꾸는 자들의 상과 비둘기 파는 자들의 의자를 둘러 엎으시며 아무나 기구를 가지고 성전 안으로 지나다님을 허치 아니하시고 이에 가르쳐 이르시되 기록된 바 내 집은 만민의 기도하는 집이라 칭함을 받으리라고 하지 아니하였느냐 너희는 강도의 굴혈을 만들었도다 하시매 }}</ref>
|월||'''무화과나무를 저주하고 성전을 깨끗게 하심'''||•열매 없는 [[무화과나무]]를 저주하심. 이후 무화과나무가 말라 죽음.<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11장 |제목=마가복음 11:12-14, 19-21 |저널= |인용문=멀리서 잎사귀 있는 한 무화과나무를 보시고 혹 그 나무에 무엇이 있을까 하여 가셨더니 가서 보신즉 잎사귀 외에 아무것도 없더라 이는 무화과의 때가 아님이라 예수께서 나무에게 일러 가라사대 이제부터 영원토록 사람이 네게서 열매를 따 먹지 못하리라 하시니 ... 매양 저물매 저희가 성 밖으로 나가더라 저희가 아침에 지나갈 때에 무화과나무가 뿌리로부터 마른 것을 보고 베드로가 생각이 나서 여짜오되 랍비여 보소서 저주하신 무화과나무가 말랐나이다}}</ref><br>•[[성전]]에서 장사하는 자들을 책망하시며 내쫓으심.<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11장 |제목=마가복음 11:15-19 |저널= |인용문=예수께서 성전에 들어가사 성전 안에서 매매하는 자들을 내어 쫓으시며 돈 바꾸는 자들의 상과 비둘기 파는 자들의 의자를 둘러 엎으시며 아무나 기구를 가지고 성전 안으로 지나다님을 허치 아니하시고 이에 가르쳐 이르시되 기록된 바 내 집은 만민의 기도하는 집이라 칭함을 받으리라고 하지 아니하였느냐 너희는 강도의 굴혈을 만들었도다 하시매 }}</ref>
|-
|-
|화<br>수||'''예언과 [[예수님의 비유|비유]]로 가르치심'''||'''종교 지도자들과 논쟁'''<br>•논쟁을 걸어온 종교 지도자들에게 하나님의 말씀으로 그들의 오류를 드러내심.<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0장 |제목=누가복음 20:21-26 |저널= |인용문=우리가 가이사에게 세를 바치는 것이 가하니이까 불가하니이까 하니 예수께서 그 간계를 아시고 가라사대 ...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치라 하시니 저희가 백성 앞에서 그의 말을 능히 책잡지 못하고 그의 대답을 기이히 여겨 잠잠하니라 }}</ref><br><br>'''말세와 재림 예언'''<br>•제자들에게 에루살렘 멸망과 재림, 세상 끝의 징조에 대해 알리심.<br>•말세에 재앙이 일어나고, [[거짓 그리스도]]가 등장할 것을 예언하심.<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4장 |제목=마태복음 24:3-8 |저널= |인용문=우리에게 이르소서 어느 때에 이런 일이 있겠사오며 또 주의 임하심과 세상 끝에는 무슨 징조가 있사오리이까 예수께서 대답하여 가라사대 너희가 사람의 미혹을 받지 않도록 주의하라  많은 사람이 내 이름으로 와서 이르되 나는 그리스도라 하여 많은 사람을 미혹케 하리라 난리와 난리 소문을 듣겠으나 너희는 삼가 두려워 말라 이런 일이 있어야 하되 끝은 아직 아니니라 민족이 민족을, 나라가 나라를 대적하여 일어나겠고 처처에 기근과 지진이 있으리니 이 모든 것이 재난의 시작이니라 }}</ref><br>•재림의 징조에 대해서는 [[예수님의 재림 시기|무화과나무의 비유]]를 배우라 하심.<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4장 |제목=마태복음 24:32-33 |저널= |인용문=무화과나무의 비유를 배우라 그 가지가 연하여지고 잎사귀를 내면 여름이 가까운 줄을 아나니 이와 같이 너희도 이 모든 일을 보거든 인자가 가까이 곧 문 앞에 이른 줄 알라}}</ref><br>•종교 지도자들이 예수님을 죽일 방도를 모의하고, 가룟 유다는 그들에게 은화 30개를 받은 후 예수님을 넘길 기회를 엿봄.<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14장 |제목=마가복음 14:10-11 |저널= |인용문=열둘 중에 하나인 가룟 유다가 예수를 넘겨주려고 대제사장들에게 가매 저희가 듣고 기뻐하여 돈을 주기로 약속하니 유다가 예수를 어떻게 넘겨줄 기회를 찾더라}}</ref>
|화<br>수||'''예언과 [[예수님의 비유|비유]]로 가르치심'''||'''종교 지도자들과 논쟁'''<br>•논쟁을 걸어온 종교 지도자들에게 하나님의 말씀으로 그들의 오류를 드러내심.<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0장 |제목=누가복음 20:21-26 |저널= |인용문=우리가 가이사에게 세를 바치는 것이 가하니이까 불가하니이까 하니 예수께서 그 간계를 아시고 가라사대 ...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치라 하시니 저희가 백성 앞에서 그의 말을 능히 책잡지 못하고 그의 대답을 기이히 여겨 잠잠하니라 }}</ref><br><br>'''말세와 재림 예언'''<br>•제자들에게 예루살렘 멸망과 재림, 세상 끝의 징조에 대해 알리심.<br>•말세에 재앙이 일어나고, [[거짓 그리스도]]가 등장할 것을 예언하심.<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4장 |제목=마태복음 24:3-8 |저널= |인용문=우리에게 이르소서 어느 때에 이런 일이 있겠사오며 또 주의 임하심과 세상 끝에는 무슨 징조가 있사오리이까 예수께서 대답하여 가라사대 너희가 사람의 미혹을 받지 않도록 주의하라  많은 사람이 내 이름으로 와서 이르되 나는 그리스도라 하여 많은 사람을 미혹케 하리라 난리와 난리 소문을 듣겠으나 너희는 삼가 두려워 말라 이런 일이 있어야 하되 끝은 아직 아니니라 민족이 민족을, 나라가 나라를 대적하여 일어나겠고 처처에 기근과 지진이 있으리니 이 모든 것이 재난의 시작이니라 }}</ref><br>•재림의 징조에 대해서는 [[예수님의 재림 시기|무화과나무의 비유]]를 배우라 하심.<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4장 |제목=마태복음 24:32-33 |저널= |인용문=무화과나무의 비유를 배우라 그 가지가 연하여지고 잎사귀를 내면 여름이 가까운 줄을 아나니 이와 같이 너희도 이 모든 일을 보거든 인자가 가까이 곧 문 앞에 이른 줄 알라}}</ref><br>•종교 지도자들이 예수님을 죽일 방도를 모의하고, 가룟 유다는 그들에게 은화 30개를 받은 후 예수님을 넘길 기회를 엿봄.<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14장 |제목=마가복음 14:10-11 |저널= |인용문=열둘 중에 하나인 가룟 유다가 예수를 넘겨주려고 대제사장들에게 가매 저희가 듣고 기뻐하여 돈을 주기로 약속하니 유다가 예수를 어떻게 넘겨줄 기회를 찾더라}}</ref>
|-
|-
|목||'''마지막 유월절'''||'''제자들과 지킨 새 언약 유월절'''<br>•예수님이 [[베드로]]와 [[요한 (사도)|요한]]을 보내 유월절을 예비하게 하심.<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2장 |제목=누가복음 22:7-13 |저널= |인용문=유월절 양을 잡을 무교절일이 이른지라 예수께서 베드로와 요한을 보내시며 가라사대 가서 우리를 위하여 유월절을 예비하여 우리로 먹게 하라 ... 저희가 나가 그 하시던 말씀대로 만나 유월절을 예비하니라}}</ref><br>•유월절 성만찬 전, 제자들의 발을 씻기며 [[세족예식]]을 행하심.<ref name="세족" /><br>•유월절 성만찬 때 당신의 살과 피로 표상된 유월절 떡과 포도주를 먹고 마시라 하시며 [[죄 사함]]을 언약하심.<ref name="누가복음 유월절" /><br>•제자 중 하나가 당신을 팔 것과 베드로가 당신을 부인할 것을 예언하심.<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3장 |제목=요한복음 13:21 |저널= |인용문=예수께서 이 말씀을 하시고 심령에 민망하여 증거하여 가라사대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 중 하나가 나를 팔리라 하시니}}</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3장 |제목=요한복음 13:36-38 |저널= |인용문=시몬 베드로가 가로되 ... 주를 위하여 내 목숨을 버리겠나이다 예수께서 대답하시되 네가 나를 위하여 네 목숨을 버리겠느냐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네게 이르노니 닭 울기 전에 네가 세 번 나를 부인하리라 }}</ref>
|목||'''마지막 유월절'''||'''제자들과 지킨 새 언약 유월절'''<br>•예수님이 [[베드로]]와 [[요한 (사도)|요한]]을 보내 유월절을 예비하게 하심.<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2장 |제목=누가복음 22:7-13 |저널= |인용문=유월절 양을 잡을 무교절일이 이른지라 예수께서 베드로와 요한을 보내시며 가라사대 가서 우리를 위하여 유월절을 예비하여 우리로 먹게 하라 ... 저희가 나가 그 하시던 말씀대로 만나 유월절을 예비하니라}}</ref><br>•유월절 성만찬 전, 제자들의 발을 씻기며 [[세족예식]]을 행하심.<ref name="세족" /><br>•유월절 성만찬 때 당신의 살과 피로 표상된 유월절 떡과 포도주를 먹고 마시라 하시며 [[죄 사함]]을 언약하심.<ref name="누가복음 유월절" /><br>•제자 중 하나가 당신을 팔 것과 베드로가 당신을 부인할 것을 예언하심.<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3장 |제목=요한복음 13:21 |저널= |인용문=예수께서 이 말씀을 하시고 심령에 민망하여 증거하여 가라사대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 중 하나가 나를 팔리라 하시니}}</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3장 |제목=요한복음 13:36-38 |저널= |인용문=시몬 베드로가 가로되 ... 주를 위하여 내 목숨을 버리겠나이다 예수께서 대답하시되 네가 나를 위하여 네 목숨을 버리겠느냐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네게 이르노니 닭 울기 전에 네가 세 번 나를 부인하리라 }}</ref>
102번째 줄: 102번째 줄:


*'''새 언약 유월절'''
*'''새 언약 유월절'''
[[파일:유월절 최후의 만찬(캡쳐본).png|섬네일|370px|〈최후의 만찬〉으로 알려진 유월절 성만찬. ]]
[[파일:최후의 만찬 유월절.jpg|섬네일|370px|〈최후의 만찬〉으로 알려진 유월절 성만찬. ]]
[https://www.britannica.com/biography/Leonardo-da-Vinci 레오나르도 다빈치(Leonardo da Vinci, 1452-1519)]의 명화로 잘 알려진 〈[[최후의 만찬]]〉은 예수님이 십자가에 운명하기 전날, 제자들과의 마지막 만찬 장면을 묘사한 그림이다. 이 만찬의 성경적 명칭은 [[새 언약 유월절]]이다. 성경은 예수님이 "유월절 지키기를 원하고 원하셨다"고 기록하고 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2장 |제목=누가복음 22:15 |저널= |인용문=내가 고난을 받기 전에 너희와 함께 이 '''유월절''' 먹기를 '''원하고 원하였노라''' }}</ref> 예수님이 그토록 간절히 원하신 이유는 유월절이 인류의 구원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인류는 죄로 인해 죽을 수밖에 없는 존재인데 그리스도의 피를 힘입어 구속받을 수 있다.<ref name="죄의 삯">{{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로마서#6장 |제목=로마서 6:23 |저널= |인용문='''죄의 삯'''은 '''사망'''이요 하나님의 은사는 그리스도 예수 우리 주 안에 있는 영생이니라 }}</ref><ref name="피로 죄 사함">{{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베소서#1장 |제목=에베소서 1:7 |저널= |인용문=우리가 '''그리스도''' 안에서 그의 은혜의 풍성함을 따라 '''그의 피'''로 말미암아 '''구속 곧 죄 사함'''을 받았으니 }}</ref><ref name="은이나 금같이">{{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베드로전서#1장 |제목=베드로전서 1:18-19 |저널= |인용문=너희가 알거니와 너희 조상의 유전한 망령된 행실에서 구속된 것은 은이나 금같이 없어질 것으로 한 것이 아니요 오직 흠 없고 점 없는 어린양 같은 그리스도의 보배로운 피로 한 것이니라 }}</ref> 예수님은 유월절의 떡과 포도주를 당신의 살과 피라고 하시며 유월절을 통해 죄 사함과 영생을 약속하셨다.<ref name="유월절 마태복음" /><ref name="요한복음 6장 내 살과 피" /> 새 언약 유월절 날, 당신의 살과 피를 내어주신다는 말씀은 언약으로만 그치지 않았다. 다음 날, 예수님은 십자가에서 살을 찢기고, 피를 흘리심으로써 유월절의 언약을 완성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9장 |제목=요한복음 19:34 |저널= |인용문=그 중 한 군병이 창으로 옆구리를 찌르니 곧 피와 물이 나오더라 }}</ref> 예수님은 인류의 죄를 대신해 십자가에 운명하심으로써 인류에게 죄 사함과 구원의 길을 열어주신 것이다.  
[https://www.britannica.com/biography/Leonardo-da-Vinci 레오나르도 다빈치(Leonardo da Vinci, 1452-1519)]의 명화로 잘 알려진 〈[[최후의 만찬]]〉은 예수님이 십자가에 운명하기 전날, 제자들과의 마지막 만찬 장면을 묘사한 그림이다. 이 만찬의 성경적 명칭은 [[새 언약 유월절]]이다. 성경은 예수님이 "유월절 지키기를 원하고 원하셨다"고 기록하고 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2장 |제목=누가복음 22:15 |저널= |인용문=내가 고난을 받기 전에 너희와 함께 이 '''유월절''' 먹기를 '''원하고 원하였노라''' }}</ref> 예수님이 그토록 간절히 원하신 이유는 유월절이 인류의 구원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인류는 죄로 인해 죽을 수밖에 없는 존재인데 그리스도의 피를 힘입어 구속받을 수 있다.<ref name="죄의 삯">{{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로마서#6장 |제목=로마서 6:23 |저널= |인용문='''죄의 삯'''은 '''사망'''이요 하나님의 은사는 그리스도 예수 우리 주 안에 있는 영생이니라 }}</ref><ref name="피로 죄 사함">{{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베소서#1장 |제목=에베소서 1:7 |저널= |인용문=우리가 '''그리스도''' 안에서 그의 은혜의 풍성함을 따라 '''그의 피'''로 말미암아 '''구속 곧 죄 사함'''을 받았으니 }}</ref><ref name="은이나 금같이">{{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베드로전서#1장 |제목=베드로전서 1:18-19 |저널= |인용문=너희가 알거니와 너희 조상의 유전한 망령된 행실에서 구속된 것은 은이나 금같이 없어질 것으로 한 것이 아니요 오직 흠 없고 점 없는 어린양 같은 그리스도의 보배로운 피로 한 것이니라 }}</ref> 예수님은 유월절의 떡과 포도주를 당신의 살과 피라고 하시며 유월절을 통해 죄 사함과 영생을 약속하셨다.<ref name="유월절 마태복음" /><ref name="요한복음 6장 내 살과 피" /> 새 언약 유월절 날, 당신의 살과 피를 내어주신다는 말씀은 언약으로만 그치지 않았다. 다음 날, 예수님은 십자가에서 살을 찢기고, 피를 흘리심으로써 유월절의 언약을 완성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9장 |제목=요한복음 19:34 |저널= |인용문=그 중 한 군병이 창으로 옆구리를 찌르니 곧 피와 물이 나오더라 }}</ref> 예수님은 인류의 죄를 대신해 십자가에 운명하심으로써 인류에게 죄 사함과 구원의 길을 열어주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