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온과 절기: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30번째 줄: 30번째 줄:
* 날짜: 무교절 후 첫 안식일 이튿날(첫 일요일)
* 날짜: 무교절 후 첫 안식일 이튿날(첫 일요일)
* 유래: 이스라엘 백성들은 무사히 홍해를 건넜고, 뒤따라오던 애굽 군대는 바다에 수장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4장 |제목=출애굽기 14:26-31 |저널= |인용문= 애굽 사람들이 물을 거스려 도망하나 여호와께서 애굽 사람들을 바다 가운데 엎으시니 물이 다시 흘러 병거들과 기병들을 덮되 그들의 뒤를 쫓아 바다에 들어간 바로의 군대를 다 덮고 하나도 남기지 아니하였더라 그러나 이스라엘 자손은 바다 가운데 육지로 행하였고 물이 좌우에 벽이 되었었더라}}</ref>  
* 유래: 이스라엘 백성들은 무사히 홍해를 건넜고, 뒤따라오던 애굽 군대는 바다에 수장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4장 |제목=출애굽기 14:26-31 |저널= |인용문= 애굽 사람들이 물을 거스려 도망하나 여호와께서 애굽 사람들을 바다 가운데 엎으시니 물이 다시 흘러 병거들과 기병들을 덮되 그들의 뒤를 쫓아 바다에 들어간 바로의 군대를 다 덮고 하나도 남기지 아니하였더라 그러나 이스라엘 자손은 바다 가운데 육지로 행하였고 물이 좌우에 벽이 되었었더라}}</ref>  
* 예언 성취: 모세가 백성들과 함께 홍해로 들어간 것은 예수님께서 무덤에 들어가실 것을 표상하고, 홍해에서 상륙한 것은 예수님께서 무덤에서 [[부활]]하실 것을 표상한다. 구약시대 무교절 후 안식일 이튿날(일요일)에 처음 익은 이삭 한 단을 [[하나님]]께 드린 것처럼,<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23장 |제목=레위기 23:10-12 |저널= |인용문=이스라엘 자손에게 고하여 이르라 너희는 내가 너희에게 주는 땅에 들어가서 너희의 곡물을 거둘 때에 위선 너희의 곡물의 첫 이삭 한 단을 제사장에게로 가져갈 것이요 제사장은 너희를 위하여 그 단을 여호와 앞에 열납되도록 흔들되 안식일 이튿날에 흔들 것이며}}</ref> 예수님께서 잠자는 자들의 첫 열매가 되어<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5장 |제목=고린도전서 15:20 |저널= |인용문=그리스도께서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 잠자는 자들의 첫 열매가 되셨도다}}</ref> 일요일에 부활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2장 |제목=마가복음 16:9 |저널= |인용문=예수께서 안식 후 첫날 이른 아침에 살아나신 후}}</ref>
* 예언 성취: 모세가 백성들과 함께 홍해로 들어간 것은 예수님께서 무덤에 들어가실 것을 표상하고, 홍해에서 상륙한 것은 예수님께서 무덤에서 [[부활]]하실 것을 표상한다. 구약시대 무교절 후 안식일 이튿날(일요일)에 처음 익은 이삭 한 단을 [[하나님]]께 드린 것처럼,<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23장 |제목=레위기 23:10-12 |저널= |인용문=이스라엘 자손에게 고하여 이르라 너희는 내가 너희에게 주는 땅에 들어가서 너희의 곡물을 거둘 때에 위선 너희의 곡물의 첫 이삭 한 단을 제사장에게로 가져갈 것이요 제사장은 너희를 위하여 그 단을 여호와 앞에 열납되도록 흔들되 안식일 이튿날에 흔들 것이며}}</ref> 예수님께서 잠자는 자들의 첫 열매가 되어<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5장 |제목=고린도전서 15:20 |저널= |인용문=그리스도께서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 잠자는 자들의 첫 열매가 되셨도다}}</ref> 일요일에 부활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16장 |제목=마가복음 16:9 |저널= |인용문=예수께서 안식 후 첫날 이른 아침에 살아나신 후}}</ref>
''<small>{{참고|초실절|부활절 |설명=더 자세한 내용은}}</small>''
''<small>{{참고|초실절|부활절 |설명=더 자세한 내용은}}</small>''


42번째 줄: 42번째 줄:
===나팔절===
===나팔절===
* 날짜: 성력 7월 1일
* 날짜: 성력 7월 1일
* 유래: 모세가 첫 번째 십계명을 받으러 시내산으로 가서 40일을 지내는 동안 이스라엘 백성들은 금송아지 [[우상]]을 만들어 숭배했다. 그 광경을 본 모세는 들고 내려오던 십계명을 던져 깨뜨렸고, 이날 3000명의 백성들이 죽임을 당했다.<ref name="출32">{{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2장 |제목=출애굽기 32:1-28 |저널= |인용문= 아론이 그들의 손에서 그 고리를 받아 부어서 각도로 새겨 송아지 형상을 만드니 그들이 말하되 이스라엘아 이는 너희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낸 너희 신이로다 하는지라 ... 모세가 ... 진에 가까이 이르러 송아지와 그 춤추는 것을 보고 대노하여 손에서 그 판들을 산 아래로 던져 깨뜨리니라 ... 이날에 백성 중에 삼천 명 가량이 죽인 바 된지라}}</ref> 이후 백성들은 죄를 뉘우치며 단장품을 제했고, 모세는 백성을 위해 기도함으로 성력 7월 10일에 두 번째 십계명 돌비를 받아 가지고 내려왔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4장 |제목=출애굽기 34:1-35 |저널= |인용문=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너는 돌판 둘을 처음 것과 같이 깎아 만들라 네가 깨뜨린바 처음 판에 있던 말을 내가 그 판에 쓰리니 ... 모세가 여호와와 함께 사십 일 사십 야를 거기 있으면서 떡도 먹지 아니하였고 물도 마시지 아니하였으며 여호와께서는 언약의 말씀 곧 십계를 그 판들에 기록하셨더라}}</ref> 하나님은 두 번째 십계명 받은 날을 대속죄일로 정하시고, 그로부터 열흘 전을 나팔절로 정하셔서 회개의 나팔을 불어 대속죄일을 준비하도록 하셨다.
* 유래: 모세가 첫 번째 십계명을 받으러 시내산으로 가서 40일을 지내는 동안 이스라엘 백성들은 금송아지 [[우상]]을 만들어 숭배했다. 그 광경을 본 모세는 들고 내려오던 십계명을 던져 깨뜨렸고, 이날 3000명의 백성들이 죽임을 당했다.<ref name="출32">{{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2장 |제목=출애굽기 32:1-28 |저널= |인용문= 아론이 그들의 손에서 그 고리를 받아 부어서 각도로 새겨 송아지 형상을 만드니 그들이 말하되 이스라엘아 이는 너희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낸 너희 신이로다 하는지라 ... 모세가 ... 진에 가까이 이르러 송아지와 그 춤추는 것을 보고 대노하여 손에서 그 판들을 산 아래로 던져 깨뜨리니라 ... 이날에 백성 중에 삼천 명 가량이 죽인 바 된지라}}</ref> 이후 백성들은 죄를 뉘우치며 단장품을 제했고, 모세는 백성을 위해 기도함으로 성력 7월 10일에 두 번째 십계명 돌비를 받아 가지고 내려왔다.<ref name="출34">{{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4장 |제목=출애굽기 34:1-35 |저널= |인용문=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너는 돌판 둘을 처음 것과 같이 깎아 만들라 네가 깨뜨린바 처음 판에 있던 말을 내가 그 판에 쓰리니 ... 모세가 여호와와 함께 사십 일 사십 야를 거기 있으면서 떡도 먹지 아니하였고 물도 마시지 아니하였으며 여호와께서는 언약의 말씀 곧 십계를 그 판들에 기록하셨더라}}</ref> 하나님은 두 번째 십계명 받은 날을 대속죄일로 정하시고, 그로부터 열흘 전을 나팔절로 정하셔서 회개의 나팔을 불어 대속죄일을 준비하도록 하셨다.
* 예언 성취: 모세가 시내산에서 더디 내려오자 이스라엘 백성이 부패하여 금송아지를 숭배한 역사는 신약시대에 예수님께서 떠나신 후 세월이 흐르자 [[교회]]가 부패하여 태양신의 날들을 지키게 될 것에 대한 예언이다. 대속죄일을 알리는 나팔을 분 것같이 회개를 촉구하는 예수 재림 운동이 일어났다.
* 예언 성취: 모세가 시내산에서 더디 내려오자 이스라엘 백성이 부패하여 금송아지를 숭배한 역사는 신약시대에 예수님께서 떠나신 후 세월이 흐르자 [[교회]]가 부패하여 태양신의 날들을 지키게 될 것에 대한 예언이다. 대속죄일을 알리는 나팔을 분 것같이 회개를 촉구하는 예수 재림 운동이 일어났다.
''<small>{{참고|나팔절|l1=나팔절 |설명=더 자세한 내용은}}</small>''
''<small>{{참고|나팔절|l1=나팔절 |설명=더 자세한 내용은}}</small>''
48번째 줄: 48번째 줄:
===대속죄일===
===대속죄일===
* 날짜: 성력 7월 10일
* 날짜: 성력 7월 10일
* 유래: 모세가 두 번째 십계명 돌비를 받아 가지고 내려온 날이다.<ref name="출32"/>
* 유래: 모세가 두 번째 십계명 돌비를 받아 가지고 내려온 날이다.<ref name="출34"/>
* 예언 성취: 대속죄일에 십계명이 다시 허락된 것같이, 1844년 10월 22일(성력 7월 10일) 대속죄일에 그리스도의 중보사업이 재개되었다.<br>구약의 대속죄일에는 아사셀 수염소에게 백성들의 모든 죄를 안수한 후 광야로 보내는 의식이 진행됐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16장 |제목=레위기 16:8-10 |저널= |인용문= 두 염소를 위하여 제비 뽑되 한 제비는 여호와를 위하고 한 제비는 아사셀을 위하여 할지며 ... 아사셀을 위하여 광야로 보낼지니라}}</ref> 이는 아사셀 수염소로 표상된 [[사단 (마귀)|사단]]이 모든 사람의 죄를 짊어지고 무저갱 속에 갇혀 있다가 [[지옥]] 불 못에 던져지게 될 것에 대한 예언이다.
* 예언 성취: 대속죄일에 십계명이 다시 허락된 것같이, 1844년 10월 22일(성력 7월 10일) 대속죄일에 그리스도의 중보사업이 재개되었다.<br>구약의 대속죄일에는 아사셀 수염소에게 백성들의 모든 죄를 안수한 후 광야로 보내는 의식이 진행됐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16장 |제목=레위기 16:8-10 |저널= |인용문= 두 염소를 위하여 제비 뽑되 한 제비는 여호와를 위하고 한 제비는 아사셀을 위하여 할지며 ... 아사셀을 위하여 광야로 보낼지니라}}</ref> 이는 아사셀 수염소로 표상된 [[사단 (마귀)|사단]]이 모든 사람의 죄를 짊어지고 무저갱 속에 갇혀 있다가 [[지옥]] 불 못에 던져지게 될 것에 대한 예언이다.
''<small>{{참고|대속죄일|l1=대속죄일 |설명=더 자세한 내용은}}</small>''
''<small>{{참고|대속죄일|l1=대속죄일 |설명=더 자세한 내용은}}</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