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의 제사: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 73번째 줄: | 73번째 줄: | ||
====소제==== | ====소제==== | ||
소제는 '흴 소(素), 제사 제(祭)' 자를 쓰며, | 소제는 '흴 소(素), 제사 제(祭)' 자를 쓰며, 곡식으로 드리는 제사다. 고운 가루, 화덕에 구운 것, 번철에 부친 것, 솥에 삶은 것 등의 형태로 드렸다. 소제물 중 기념할 것은 불태우고 나머지는 제사장에게 돌렸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2장 |제목=레위기 2:1-9 |저널= |인용문= }}</ref> 소제 단독으로만 제사가 드려지는 경우는 없었고 번제 등 다른 형식의 제사와 함께 드려졌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28장 |제목=민수기 28:4-6 |저널= |인용문= 한 어린양은 아침에 드리고 한 어린양은 해 질 때에 드릴 것이요 또 고운 가루 에바 십분지 일에 빻아낸 기름 힌 사분지 일을 섞어서 소제로 드릴 것이니 이는 시내산에서 정한 상번제로서 여호와께 드리는 향기로운 화제며}}</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28장 |제목=민수기 28:9-10 |저널= |인용문= 안식일에는 일 년 되고 흠 없는 수양 둘과 고운 가루 에바 십분지 이에 기름 섞은 소제와 그 전제를 드릴 것이니 이는 매 안식일의 번제라}}</ref> | ||
[[초실절]]로부터 50일째 되는 날인 [[칠칠절]]에는 새 소제를 하나님께 드렸는데, 그것은 구운 떡 두 개를 요제로 드리는 것이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23장 |제목=레위기 23:15-17 |저널= |인용문= 안식일 이튿날 곧 너희가 요제로 단을 가져온 날부터 세어서 칠 안식일의 수효를 채우고 제칠 안식일 이튿날까지 합 오십 일을 계수하여 새 소제를 여호와께 드리되 너희 처소에서 에바 십분 이로 만든 떡 두 개를 가져다가 흔들지니 이는 고운 가루에 누룩을 넣어서 구운 것이요 이는 첫 요제로 여호와께 드리는 것이며}}</ref> | [[초실절]]로부터 50일째 되는 날인 [[칠칠절]]에는 새 소제를 하나님께 드렸는데, 그것은 구운 떡 두 개를 요제로 드리는 것이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23장 |제목=레위기 23:15-17 |저널= |인용문= 안식일 이튿날 곧 너희가 요제로 단을 가져온 날부터 세어서 칠 안식일의 수효를 채우고 제칠 안식일 이튿날까지 합 오십 일을 계수하여 새 소제를 여호와께 드리되 너희 처소에서 에바 십분 이로 만든 떡 두 개를 가져다가 흔들지니 이는 고운 가루에 누룩을 넣어서 구운 것이요 이는 첫 요제로 여호와께 드리는 것이며}}</ref> | ||